KR20040078056A -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056A
KR20040078056A KR1020040012528A KR20040012528A KR20040078056A KR 20040078056 A KR20040078056 A KR 20040078056A KR 1020040012528 A KR1020040012528 A KR 1020040012528A KR 20040012528 A KR20040012528 A KR 20040012528A KR 20040078056 A KR20040078056 A KR 2004007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at
head
pair
pari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특히 베드 상태일 때에 아기의 머리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좌석 형성 부재(10)는,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등받이 벽(12)과, 이 등받이 벽(12)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13)을 구비한다. 베드 상태일 때, 정수리부 벽(13)이 등받이 벽(12)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한다. 좌석 형성 부재(10)는, 정수리부 벽(13)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를 구비한다. 각 측부 보호부재(14b)는, 베드 상태일 때 좌석의 측벽에 안내되어 정수리부 벽(13)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등받이 벽(12)상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SEAT OF CHILD-CARE INSTRUMENT AND HEAD PROTECTO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좌석을 구비한 육아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기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좌석을 구비한 육아 기구로서, 유모차, 유아용 시트, 아기 의자, 베이비 래크 등이 있다.
특개소57-95254호 공보는,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모차의 좌석을 개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 공보에 개시된 좌석 형성 부재(1)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의자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베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좌석 형성 부재(1)는, 좌벽(2)과, 등받이 벽(3)과, 등받이 벽(3)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4)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의자 상태에서는, 정수리부 벽(4)은 등받이 벽(3)과 거의 동일 평면이 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베드 상태에서는, 정수리부 벽(4)은, 등받이 벽(3)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하고, 누운 상태의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보호한다.
또한, 본 명세서중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의 「좌석 형성 부재」란, 육아 기구 본체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좌석 해먹, 좌석 심재 등을 포함한다.
[특허 문헌 1]
특개소57-95254호 공보(도 4, 도 5)
신체가 작은 아기의 경우, 아기의 머리부와 육아 기구의 좌석의 측면과의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긴다. 특히 좌석을 베드 상태로 한 때, 아기의 옆머리부와 좌석 측면과의 사이에 큰 간극이 있는 것은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베드 상태일 때에 아기의 머리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의자 상태의 좌석 형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베드 상태의 좌석 형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선 4-4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좌석 형성 부재의 의자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좌석 형성 부재의 베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머리부 보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머리부 보호장치의 배면도.
도 10은 도 8의 선 10-10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1은 좌석 해먹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좌석 해먹에 머리부 보호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머리부 보호장치를 좌석 해먹의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떨어뜨려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머리부 보호장치와 정수리부 벽을 측면측에서 본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좌석 형성 부재 11 : 좌벽
12 : 등받이 벽 13 : 정수리부 벽
14 : 머리부 보호장치 14a : 중앙부재
14b : 측부 보호부재 20 : 좌석 형성 부재
21 : 좌벽 22 : 등받이 벽
23 : 정수리부 벽 24 : 측부 보호부재
25 : 측부 보호부재 30 : 머리부 보호장치
A : 중앙 영역 B : 측부 영역
31 : 중앙 플레이트 32 : 탄성 플레이트
32a : 중앙부 32b : 측방 장출부
33 : 배면 플레이트 33a : 중앙 고정부
33b : 굴곡부 40 : 좌석 해먹
41 : 등받이 벽 42 : 정수리부 벽
43 : 갈라진 틈 44 : 갈라진 틈
45 : 연결 띠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는,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등받이 벽과, 등받이 벽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을 구비한다. 정수리부 벽은, 베드 상태일 때 등받이 벽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한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좌석 형성 부재는, 정수리부 벽에 연결되고, 이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를 구비한다. 각 측부 보호부재는, 베드 상태일 때 좌석의 측벽에 안내되어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등받이 벽상에 위치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각 측부 보호부재는, 휨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좌석 형성 부재는, 정수리부 벽에 따라 위치하는 중앙부재와, 1쌍의 측부 보호부재를 일체로 갖는 머리부 보호장치를 구비한다. 머리부 보호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휨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는, 정수리부 벽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는, 정수리부 벽의 양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정수리부 벽과 1쌍의 측부 보호부재는,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는, 등받이 벽과, 등받이 벽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과, 정수리부 벽에 연결되고, 이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를 구비한다. 각 측부 보호부재는,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각 측부 보호부재는, 예를 들면, 휨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각 측부 보호부재는, 예를 들면, 정수리부 벽의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리부 보호장치는, 등받이 벽과, 이 등받이 벽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을 갖는 좌석 형성 부재의 정수리부 벽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머리부 보호장치는, 정수리부 벽에 고정되는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있는 1쌍의 측부 영역을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는, 중앙 영역과 정수리부 벽과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 조정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또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는,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플레이트와, 중앙 플레이트에 서로 부착된 탄성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탄성 플레이트는, 중앙 플레이트의 양 측방으로부터 뻗어나와 상기의 1쌍의 측부 영역을 형성하는 측방 장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구체적인 구조로서, 머리부 보호장치는, 중앙 영역에서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서로 부착된 배면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 배면 플레이트는, 탄성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중앙 고정부와, 중앙 고정부의 양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1쌍의 굴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예」의 항 중에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좌석 형성 부재(10)는,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모차의 차체에 장착되어 좌석을 형성한다.
좌석 형성 부재(10)는, 좌벽(11)과, 등받이 벽(12)과, 등받이 벽(12)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13)을 구비한다. 정수리부 벽(13)은, 유모차를 베드 상태로 한 때, 등받이 벽(12)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하여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보호한다.
정수리부 벽(13)에는, 비스(15)를 통하여 머리부 보호장치(14)가 부착되어있다. 머리부 보호장치(14)는 휨 탄성을 갖는 1장의 판재로서, 정수리부 벽(13)에 고정되는 중앙부재(14a)와, 정수리부 벽(13)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좌석이 의자 상태일 때에는, 정수리부 벽(13)은 등받이 벽(12)의 등받이 면을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늘어나고,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의 상부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14)의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는 정수리부 벽(13)의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아기의 옆머리부를 개방한다.
도 6에 도시한 베드 상태에서는, 정수리부 벽(13)은, 등받이 벽(12)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하고,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보호한다. 이 상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14)의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는, 유모차의 좌석의 측벽(도시 생략)에 안내되어 정수리부 벽(13)의 양 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등받이 벽(12)상에 위치하고, 아기의 옆머리부를 보호한다.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의 절곡을 안내하는 좌석의 측벽은, 예를 들면, 좌석 해먹의 측면 형성 부재나, 유모차의 차체 프레임 등이다. 아기의 옆머리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메움과 함께, 부드러운 감촉을 주기 위해,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에 패드나 쿠션재를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모차의 좌석을 도 6에 도시한 베드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한 의자 상태로 이행기키면,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는 정수리부 벽(13)의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위치로 탄성 복귀한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14)가 1장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변형예로서, 1쌍의 측부 보호부재(14b)를 서로 분리하여 다른 부재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머리부 보호장치(14)를 정수리부 벽(13)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좌석 형성 부재(20)는 좌석 심재로서, 유모차의 차체에 직접 부착되거나, 좌석 해먹의 속에 넣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형성 부재(20)는, 좌벽(21)과, 등받이 벽(22)과, 정수리부 벽(23)과, 1쌍의 측부 보호부재(24, 25)를 구비한다. 측부 보호부재(24, 25)는, 정수리부 벽(23)의 양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석 형성 부재(20)를 1장의 수지제 판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힌지를, 두께를 작게 한 박육부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8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인 머리부 보호장치(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머리부 보호장치(30)를 부착한 좌석 형성 부재로서의 좌석 해먹(40)을 도시하고 있다. 좌석 해먹(40)은, 등받이 벽(41)과, 이 등받이 벽(41)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42)을 갖는다. 좌석 해먹(40)은 천으로 만든 커버를 구비하고 있고, 정수리부 벽(42) 위의 커버에는, 간격을 두고 2개의 갈라진 틈(43 및 44)이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 보호장치(30)는, 좌석 해먹(40)의 정수리부 벽(4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리부 벽(42)에 고정되는 중앙영역(A)(도 8)과, 중앙 영역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있는 1쌍의 측부 영역(B)(도 8)을 구비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머리부 보호장치(3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머리부 보호장치(30)는, 중앙 영역(A)에 위치하는 중앙 플레이트(31)와, 이 중앙 플레이트(31)에 접착시키진 탄성 플레이트(32)를 구비한다. 탄성 플레이트(32)는, 중앙 플레이트(31)에 고정되는 중앙부(32a)와, 중앙 플레이트(31)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1쌍의 측부 영역(B)을 형성하는 측방 장출부(32b)를 갖는다.
머리부 보호장치(30)는, 또한, 중앙 영역(A)에서 탄성 플레이트(32)의 배면에 접착된 배면 플레이트(33)와, 탄성 플레이트(32)의 1쌍의 측방 장출부(32b)상에 배치된 쿠션재(34)와, 커버(35)를 구비한다. 커버(35)는, 중앙 플레이트(31), 쿠션재(34) 및 1쌍의 측방 장출(32b)을 덮는다. 배면 플레이트(33)는, 커버(32)로부터 노출한다.
배면 플레이트(33)는, 탄성 플레이트(32)에 고정되는 중앙 고정부(33a)와, 이 중앙 고정부(33a)의 양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1쌍의 굴곡부(33b)를 포함한다. 도 10에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플레이트(33)의 굴곡부(33b)는 배면측으로 일으켜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굴곡부(33b)는, 머리부 보호장치(30)의 중앙 영역(A)과 좌석 해먹(40)의 정수리부 벽(42)과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 조정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보호장치(30)를 좌석 해먹(40)의 정수리부 벽(42)에 형성된 갈라진 틈(43, 44)에 통하게 함으로써, 정수리부벽(42)에 부착한다. 도 12에 도시한 부착 상태에서는, 머리부 보호장치(30)의 측부 영역(B)이 갈라진 틈(43, 44)으로부터 측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도 12는, 의자 상태의 좌석 해먹(4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좌석 해먹(40)을 베드 상태로 하면, 정수리부 벽(42)이 등받이 벽(41)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하고, 머리부 보호장치(30)의 측부 영역(B)은 정수리부 벽(42)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등받이 벽(41)상에 위치한다.
좌석 해먹(40)이 베드 상태로부터 의자 상태로 이행하면, 머리부 보호장치(30)는 도 12에 도시한 형상으로 탄성 복귀한다.
신체가 작은 유소아의 경우, 좌석을 베드 상태로 한 때, 좌석 해먹(40)의 정수리부 벽(42)과 유소아의 머리부와의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긴다. 이와 같은 단계의 유소아를 좌석에 태우는 때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보호장치(30)를 좌석 해먹(40)으로부터 밖으로 빼내고, 배면 플레이트(33)의 굴곡부(33b)를 배면측을 향하여 일으킨다. 그리고, 연결 띠(45)를 이용하여, 머리부 보호장치(30)를 정수리부 벽(42)의 앞면에 부착한다.
연결 띠(45)의 일단은 좌석 해먹의 등받이 벽(41)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머리부 보호장치(30)를 감아 돌린 후에 면 파스너(46)을 통하여 정수리부 벽(42)의 배면에 접합된다.
배면 플레이트의 굴곡부(33b)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정수리부 벽(42)에 맞닿기 때문에, 머리부 보호장치(30)의 주요부는, 정수리부 벽(42)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도 13 및 도 14는, 베드 상태의 좌석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가 작은 유소아라도, 머리부 보호장치(30)를 좌석 해먹(40)의 정수리부 벽(42)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시킴에 의해, 머리부 보호장치(30)의 측부 영역(B)을 유소아의 옆머리부의 근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성장하여 신체가 커진 때에는, 머리부 보호장치(30)의 굴곡부(33b)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플레이트(32) 곁에 있게 하여, 도 12에 도시한 사용 방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기의 머리부와 육아 기구의 좌석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없애며, 베드 상태일 때에 아기의 머리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에서, 또는 균등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의자 상태와 베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등받이 벽과, 상기 등받이 벽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을 구비하고, 베드 상태일 때 상기 정수리부 벽이 상기 등받이 벽에 대해 전방으로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하는 좌석 형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정수리부 벽에 연결되고, 이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측부 보호부재는, 베드 상태일 때 좌석의 측벽에 안내되어 상기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등받이 벽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보호부재는, 휨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리부 벽에 따라 위치하는 중앙부재와, 상기 1쌍의 측부 보호부재를 일체로 갖는 머리부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보호장치는, 휨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보호장치는, 상기 정수리부 벽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부 보호부재는, 상기 정수리부 벽의 양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리부 벽과 상기 1쌍의 측부 보호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8. 등받이 벽과, 상기 등받이 벽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과, 상기 정수리부 벽에 연결되고, 이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뻗어나가는 1쌍의 측부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측부 보호부재는, 상기 정수리부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보호부재는, 휨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보호부재는, 상기 정수리부 벽의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11. 등받이 벽과, 이 등받이 벽의 상부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정수리부 벽을 갖는 좌석 형성 부재의 정수리부 벽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수리부 벽에 고정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양 측방으로 뻗어나와 있는 1쌍의 측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머리부 보호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정수리부 벽과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 조정 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머리부 보호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플레이트와, 상기 중앙 플레이트에 서로 부착된 탄성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양 측방으로부터 뻗어나와 상기 1쌍의 측부 영역을 형성하는 측방 장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머리부 보호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서로 부착된 배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중앙 고정부와, 상기 중앙 고정부의 양 측연에 힌지를 통하여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1쌍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 보호장치.
KR1020040012528A 2003-03-03 2004-02-25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 KR20040078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56085 2003-03-03
JP2003056085A JP4190913B2 (ja) 2003-03-03 2003-03-03 育児器具の座席形成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56A true KR20040078056A (ko) 2004-09-08

Family

ID=3282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528A KR20040078056A (ko) 2003-03-03 2004-02-25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35685B2 (ko)
EP (1) EP1454812B8 (ko)
JP (1) JP4190913B2 (ko)
KR (1) KR20040078056A (ko)
CN (1) CN100386232C (ko)
DE (1) DE602004019001D1 (ko)
TW (1) TWI2488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2869B2 (en) 2007-07-13 2011-10-25 Kids Ii, Inc. Child seat liner
US7621010B1 (en) * 2008-09-25 2009-11-24 Eltzroth Ruda R Dental chair overlay
DE202009008200U1 (de) * 2009-03-04 2010-07-22 "Zwei Plus Zwei" Marketing Gmbh Sicherheitseinrichtung
US8459737B2 (en) * 2010-06-08 2013-06-11 Brenda Brotsch Spinal supporting chair attachment
GB2486923B (en) 2010-12-31 2013-01-02 Caroline Dale Head support for a pushchair
US20140031609A1 (en) * 2012-07-24 2014-01-30 Rebecca Anna BALLARD Sensory input devices, and sensory input methods
US9233630B2 (en) 2013-03-05 2016-01-12 Dorel Juvenile Group, Inc. Belt-positioning booster seat for vehicles
JP5885374B1 (ja) * 2014-04-17 2016-03-15 株式会社グランド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添い寝用兼お座り用のサポート具
EP3199401B1 (en) * 2014-09-26 2022-01-1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Automobile seat
US10299600B2 (en) * 2016-11-22 2019-05-28 Brittany Cribbs Portable memory foam seat cushion
HK1231677A2 (zh) * 2017-02-09 2017-12-22 李惠樑 種輪椅坐墊
CN110171457A (zh) * 2019-04-18 2019-08-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用睡兜及具有该睡兜的婴儿车
FR3095932B1 (fr) * 2019-05-18 2023-03-31 Alessi Clement Dispositif de maintien dorsal adaptable à un dossier de siè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3148B2 (ja) 1980-12-02 1983-07-18 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FR2495560A1 (fr) 1980-12-09 1982-06-11 Ruyter Jackie De Dispositif d'armature pliante pour poussette
DE3901743A1 (de) 1988-01-22 1989-07-27 Biemme Spa Wagenkasten fuer kinderwagen
ES2046928B1 (es) 1991-06-20 1994-06-01 Jane Sa Asiento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5586351A (en) * 1995-03-07 1996-12-24 Ive; Ronald A. Infant support pad with adjustable pillow
US5918933A (en) * 1995-09-21 1999-07-0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ody support
US5735576A (en) * 1996-06-18 1998-04-07 Noel Joanna, Inc. Head support for infants and toddlers
US5916089A (en) * 1997-02-06 1999-06-29 Ive; Diana R. Support article for use with infant carrier device
US5979981A (en) * 1997-12-19 1999-11-09 Noel Joanna Inc. Dual mode infant head rest
US6036263A (en) * 1998-09-11 2000-03-14 Gold Bug, Inc. Infant rest
US20020014793A1 (en) * 2000-05-30 2002-02-07 Santha Isabelle M. Infant seat insert
US20020070592A1 (en) * 2000-12-07 2002-06-13 Norman Lisa C. Car seat support member
JP3981023B2 (ja) * 2003-01-28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61453A (ja) 2004-09-24
DE602004019001D1 (de) 2009-03-05
EP1454812B8 (en) 2009-04-08
US6935685B2 (en) 2005-08-30
TWI248887B (en) 2006-02-11
CN100386232C (zh) 2008-05-07
TW200422218A (en) 2004-11-01
JP4190913B2 (ja) 2008-12-03
US20040195878A1 (en) 2004-10-07
CN1530270A (zh) 2004-09-22
EP1454812A1 (en) 2004-09-08
EP1454812B1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8056A (ko) 육아 기구의 좌석 형성 부재 및 머리부 보호장치
EP1745724A1 (en) Cushion for baby chair
FI951822A (fi) Istuin
EP1442956A1 (en) Seat core of child-care instrument
KR20040069986A (ko)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KR200454402Y1 (ko) 유아용 카시트
JP4489927B2 (ja) 乳母車用の幌
JP5550477B2 (ja) 頭部保護プロテクター
JP4300989B2 (ja) ヘッドレスト
JP2006273256A (ja) 頭部保護パッドおよび自動車用子供座席
JP3794691B2 (ja) 車椅子の乗員保持構造
KR102476352B1 (ko) 방진마스크
JPH0527892Y2 (ko)
JP2009028094A (ja) 車両用シート
JP3063905B1 (ja) マスク装置
JP2010247822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22000547A (ja) マスク用空間形成枠及びマスク付空間形成枠
JP2006117056A (ja) ベビーカー用の補助日除け
KR200144107Y1 (ko) 유아용 안전 벨트가 내장된 자동차 시이트
KR200424779Y1 (ko) 유모차 겸용 차량용 어린이 왕골 시트
KR101217486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인너시트
JP2022024695A (ja) フレームおよびフェイスガード
JP648573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KR200178565Y1 (ko) 착탈이 용이한 의자 등받이
JP2001138789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