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862A -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862A
KR20040074862A KR1020030010498A KR20030010498A KR20040074862A KR 20040074862 A KR20040074862 A KR 20040074862A KR 1020030010498 A KR1020030010498 A KR 1020030010498A KR 20030010498 A KR20030010498 A KR 20030010498A KR 20040074862 A KR20040074862 A KR 2004007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ipc
standby
data
ip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862A/ko
Publication of KR2004007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6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 B28C7/161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with storage reservoirs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resh concrete; 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위시스템으로부터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의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의 이중화제어부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 각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기상태보드들간의 트래픽 경로를 연결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및 패키지(Package)의 구현이 용이하여 상기 대기상태보드들의 사용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EFFECTIVELY STAND-BY SIDE BOAR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보드에서 대기상태보드들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가입자보드들(200, 201)과 스위칭보드들(100, 1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보드들(100, 101)은활성화상태보드A(100)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A(100)의 장애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활성화상태보드A(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기상태보드A'(10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보드들(200, 201)은 활성화상태보드B(200)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B(200)의 장애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활성화상태보드B(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기상태보드B'(201)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드들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B(200)는 송수신부(210)를 구비하여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인 프로세서간 통신 데이터(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데이터, 이하 "IPC데이터"라 칭한다)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IPC 데이터는 IPC 처리부(220)를 통해 상기 IPC 데이터가 현재 보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IPC 데이터는 각 보드들의 통신 설정/ 해제를 확인하거나, 각각의 보드내의 장애 알람 발생과 관련된 통신 상태 정보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IPC 처리부(220)는 상기 수신된 IPC 데이터가 현재 보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IPC 데이터를 상기 해당하는 보드의 상태를 제어 관리하는 제어부(Control Process Unit, 이하 'CPU 부'라 칭한다. 23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B'(201)는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B(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응용처리부들(211, 221, 231)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B(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의 송수신부(210)와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의 송수신부(211)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동일한 IPC 데이터를 다음에 위치한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A(100)와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A'(101)에 모두 전송한다.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A(100)의 이중화제어부(110)는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B(200)의 송수신부(210)와, 가입자 대기상태보드B'(201)의 송수신부(211)들 중에서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B(100)의 송수신부(210)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A'(101)의 이중화제어부(110)도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B(200)의 송수신부(210)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B'(201)의 송수신부(211)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도, 대기상태보드의 특성에 따라 트래픽 경로를 할당받지 못하여 해당하는 IPC 데이터를 출력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A(100)는 이중화제어부(1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IPC 데이터를 IPC 처리부(130)로 전달되고, 상기 수신한 IPC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IPC 처리부(130)는 상기 IPC 데이터가 현재 보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인지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에 관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IPC 처리부(130)는 상기 IPC 데이터가 현재 자신의 보드에 해당하는 IPC 데이터이면 CPU부(140)로 전달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IPC 데이터이면, 상기 스위칭부(12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대기상태보드A'(101)는 상기 활성화상태보드 A(100)를 통해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 B(200)로부터 전달되는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100)와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화구조를 이루는 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상태보드 B'(201)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도 출력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기상태보드들(101, 201)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활성화상태보드 A(100) 또는 활성화상태보드B(200)에 장애가 발생하여 상기 대기상태보드 A'(101) 또는 대기상태보드 B'(201)로 스위칭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대기상태보드 A'(101) 또는 대기상태보드 B'(201)가 오류없이 동작하는지 검증되지 않아 시스템 전반에 따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IPC 데이터'라 칭한다)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대기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 및 제1대기상태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제2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대기상태보드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상태보드간의 상기 IPC 데이터를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기상태보드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의 이중화제어부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IPC 데이터'라 칭한다)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대기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 및 제1대기상태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대기상태보드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상태보드간의 상기 IPC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기상태보드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의 이중화제어부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기능보드들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기능보드들은 특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응용블록들을 구비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동작한다. 이때, 각각의 기능보드들은 상위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내부에 구비된 중앙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응용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상위시스템이 다수의 기능보드들 및 상태정보를 제어하거나, 또는 각각의 기능보드들이 상기 응용블록들 및 상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IPC 데이터라 칭하고, 상기 IPC 데이터를 트래픽 경로를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각각의 응용블록들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이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고, 상기 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가입자보드들(400, 401)과 스위칭보드들(300, 3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보드들(300, 301)은 활성화상태보드C(300)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C(300)의 장애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활성화상태보드C(3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기상태보드C'(30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보드들(400, 401)은 활성화상태보드D(400)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D(400)의 장애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활성화상태보드D(4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기상태보드D'(401)로 구성된다.
우선,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D(400)와 가입자 대기상태보드D'(401)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D(400)는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인 IPC 데이터를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하여 IPC 처리부(420)에 전달한다. 상기 IPC처리부(420)는 상기 수신한 IPC 데이터가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D(400)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IPC 데이터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D(400)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라고 판단하면, 상기 CPU부(430)에 상기 IPC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IPC 데이터는 각 보드들의 통신 설정/ 해제를 확인하거나, 각각의 보드내의 장애 알람 발생과 관련된 통신 상태 정보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D(400)의 송수신부(210)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각각의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C(300)와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에 모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활성화상태보드 D(400)의 IPC 처리부(420)는 대기상태보드 D'(401)의 IPC 처리부(421)에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상태보드 D'(401)의 IPC처리부(421)는 상기 수신한 IPC 데이터가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 D'(401)에 해당하는 IPC데이터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IPC 데이터가 상기 활성화상태보드D'(401)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라고 판단하면,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D'(401)의 상기 CPU부(431)에 상기 IPC 데이터를 전달한다. 즉,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CPU부(431)는 상기 송수신부(411)를 통해 상기 IPC 데이터를 각각의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C(300)와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에 모두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C(300)와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 C(300)의 이중화 제어부(310)는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D(400) 또는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D'(401)의 송수신부(410, 411)중에서 상기 활성화상태보드 D(400)의 송수신부(410)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의 이중화제어부(301)는 상기 활성화 상태보드D(400)와 트래픽 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C(300)로부터 전송되는 IPC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상기 스위칭 활성화상태보드C(300)와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의 이중화제어부(310, 311) 각각은 상기 가입자 활성화상태보드D(400)의 송수신부(410)와, 가입자 대기상태보드D'(401)의 송수신부(411)중에서 활성화상태보드D(400)의 송수신부(410)에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한 이중화제어부(300, 311) 각각은 상기 IPC 데이터를 스위치부(320, 321)에 전달한다. 상기 스위칭부(320, 321)는 상기 IPC 데이터를 각각의 IPC 처리부(330, 331)에 전달한다. 상기 IPC 처리부(330, 331)는 해당하는 IPC 데이터가 현재 자신의 보드에 해당하는 IPC 데이터인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IPC 데이터이면, CPU부(340, 341)로 전달한다. 반면에, 상기 IPC 데이터가 다른 보드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인 경우는 스위치부(321)로 전달하여 해당보드로 상기 IPC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기상태보드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IPC데이터 경로시험 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의 이중화제어부(311)는 활성화상태보드 D(400)와 연결된 트래픽 경로의 연결을 끊고 상기 대기상태보드D'(401)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한다. 이때, 대기상태보드 시험은 사용자데이터 시험과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인 IPC 데이터시험이 가능하다. 우선, 사용자데이터 시험을 살펴보면,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301)의 이중화제어부(311)는 대기상태보드D'(401)의 송수신부(411)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부(321)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부(321)는 입력된 사용자데이터를 다시 대기상태보드D'(401)로 전송하고, 상기 대기상태보드D'(401)는 상기 사용자데이터가 정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데이터 시험을 완료한다. 반면에, IPC 데이터 시험을 살펴보면,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IPC 데이터시험은 2가지로 가능하다. 첫 번째는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에서 IPC 데이터시험을 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상기 가입자 대기상태보드D'(401)에서 IPC데이터시험을 하는 경우이다. 우선, 상기 스위칭 대기상태보드C'(301)에서 IPC 데이터시험을 하는 경우, 상기 CPU부(341)는 수신된 IPC데이터를 상기 IPC처리부(331)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321)로 전송하고, 상기 스위칭부(321)는 수신된 IPC 데이터를 상기 활성화상태보드C(300)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CPU부(341)는 상기 활성화상태보드C(300)로부터 전달된 IPC 데이터와 상기 대기상태보드D'(401)로부터 전송된 IPC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IPC 데이터가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한 것인지 확인한다. 두 번째는 대기상태보드D'(401)의CPU부(431)에서 전송되는 IPC데이터는 대기상태보드C'(301)의 이중화제어부(311)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IPC 데이터는 IPC처리부(331)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IPC처리부(331)는 상기 IPC 데이터가 자기 자신에 관련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IPC 데이터가 자신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스위치부(321)를 통해 상기 활성화상태보드C(300)의 CPU부(341)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CPU부(341)로 전송되었던 IPC 데이터는 다시 스위치부(321)를 통해 IPC 처리부(331)로 전달된다. 즉, 상기 사용자데이터 경로시험과, 상기 IPC 데이터 경로시험이 종료되면, 시험 결과를 출력하고 시스템의 이중화동작도 평상시와 같이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다시 활성화상태의 보드(300, 400)간에 사용자 데이터와 IPC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IPC 데이터 경로시험은 상기 대기상태보드C'(301)와 대기상태보드D'(401)간에 사용자데이터 및 IPC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기상태보드간의 트래픽 채널의 연결은 패키지 검증 시험에도 이용 가능하다. 여기서, 패키지 검증 시험이란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할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새로이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동안 상기 시스템은 모든 서비스를 중단하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설치 후에 다시 서비스를 재개하더라도 실재 운용상의 오동작에 대처하지 못하고 서비스를 중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대기상태보드들(301, 401)을 이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동안 활성화상태보드들(300, 400)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설치 후 대기상태보드들을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구현에 관한 검증을 수행한다.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설치한 대기상태보드들의 검증에서 이상이 없을 경우 활성화상태보드들과 대기상태보드들의 상태를 바꾸어 줌으로써 지속적인 서비스를 보장한다. 또한 오동작이 일어날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보드들을 다시 활성화상태로 바꾸어 줌으로써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대기상태보드들(301, 401)의 이용성을 극대화하고,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중화구조를 이루는 시스템의 대기상태보드간의 트래픽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대기상태보드 각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기상태보드간의 트래픽 채널을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및 패키지(Package)를 구현이 용이하여 상기 대기상태보드의 사용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중화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보드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IPC 데이터'라 칭한다)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대기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 및 제1대기상태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대기상태보드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상태보드간의 상기 IPC 데이터를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기상태보드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의 이중화제어부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는 IPC 처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신된 IPC 데이터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이면 상기 IPC 데이터를 제어 관리하는 제어부에 전송한 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로 다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PC 데이터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구된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데이터 및 상기 각 보드들의 통신 상태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 데이터(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IPC 데이터'라 칭한다)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대기상태보드와, 상기 제1활성화상태보드 및 제1대기상태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IPC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상기 제2활성화상태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대기상태보드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상태보드간의 상기 IPC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기상태보드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의 이중화제어부와 트래픽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IPC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는 IPC 처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신된 IPC 데이터가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대기상태보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이면 상기 IPC 데이터를 제어 관리하는 제어부에 전송한 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대기상태보드로 다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IPC 데이터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요구된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데이터 및 상기 각 보드들의 통신 상태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10498A 2003-02-19 2003-02-19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74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98A KR20040074862A (ko) 2003-02-19 2003-02-19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98A KR20040074862A (ko) 2003-02-19 2003-02-19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862A true KR20040074862A (ko) 2004-08-26

Family

ID=3736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498A KR20040074862A (ko) 2003-02-19 2003-02-19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4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564B1 (ko) * 2003-12-11 2006-08-29 엘지노텔 주식회사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아이피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564B1 (ko) * 2003-12-11 2006-08-29 엘지노텔 주식회사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아이피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09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ndancy Control of Electrical Devices
KR101185971B1 (ko) 통신 시스템, 시험 장치,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시험 방법
CN101247213A (zh) 一种主备倒换的方法及系统
KR20060087827A (ko) 오.오.비.시그널링 자가 테스트 기능을 가진 사타 전자 장치
US77246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ervice switching
KR20040074862A (ko) 이중화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보드간의 통신을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50060394A1 (en) Programmable delay, transparent switching multi-port interface line card
KR1002778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이중화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변경 방법
KR200301942Y1 (ko)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KR0155335B1 (ko) 데이타 통신용 보드에서의 이중화 접속 구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7993B1 (ko) 접속 교환 프로세서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448218B1 (ko) 이중화 보드 시스템 및 그의 이중화 보드 절체 방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575957B1 (ko) 전송장치에서 서비스 유지장치 및 방법_
KR100724904B1 (ko)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링크 장치
KR20050003684A (ko) 통신시스템의 이중화 보드 및 그 운용 방법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US20090303873A1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JPS60217445A (ja) 通信制御装置切替方式
KR100244196B1 (ko) 시스템의 주요 소자에 대한 이중화 회로
JPH10285163A (ja) 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
JP2000324102A (ja) 伝送装置および伝送システム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KR20080038800A (ko) 이더넷 허브 보드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의 매체접근제어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H11220515A (ja) バス二重化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