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524A -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524A
KR20040074524A KR1020030010432A KR20030010432A KR20040074524A KR 20040074524 A KR20040074524 A KR 20040074524A KR 1020030010432 A KR1020030010432 A KR 1020030010432A KR 20030010432 A KR20030010432 A KR 20030010432A KR 20040074524 A KR20040074524 A KR 20040074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weight
hypochlorite
alkali met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이일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1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524A/ko
Publication of KR2004007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 및 살균력이 우수한 액체형 표백(bleaching)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또는 아민옥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을 높이고, 기포 조절제로서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을 사용함으로써 기포력을 증대시킨 세정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표백,살균제로서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또는 아민옥사이드, 기포 조절제로서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 알카리 pH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무기알카리염 및 물과 기타 향료와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스프레이 건 분사 시 풍부한 기포력을 가지면서도 날림현상이 없는 액체형 표백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Composition of Liquid Cleaner}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 및 살균력이 우수한 표백(bleaching)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저장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와 계면활성제의 기포력을 증대하기 위한 기포 조절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스프레이 건 분사 시 풍부한 기포력을 가지면서도 날림현상이 없는 액체형 표백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욕실이나 부엌 등 물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장소의 바닥이나 벽의 오염은 대개가 곰팡이에 기인한 유기물에 의한 오염이기때문에 일반세정제를 사용하여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유기물에 의한 오염은 일반적으로 표백제로 사용되는 차아 염소산 알카리 금속염을 주제로 하는 세정제가 주로 사용되며 또한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기포타입의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표백(bleaching)제로 작용하는 차아 염소산 이온은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차아 염소산 이온의 살균, 소독기능과 함께 계면활성제의 세정기능으로 오염 제거능력에 상승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력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아 염소산 이온은 강력한 산화력이 있어 유기 계면활성제와 쉽게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차아 염소산 이온을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여 저장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포타입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쉽게 날려 피부나 옷감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아 염소산 알카리 금속염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기포타입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분사 시, 내용물의 날림이 없는 표백 세정액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아 염소산 이온에 화학적으로 비교적 안정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액이 수소지수(pH)가 10 이상이 유지되도록 수소지수 조절제로서 무기알카리염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적 안정성을 극대화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포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계면활성제의 기포력을 향상시킨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세정제 조성물에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디페닐에테르디술포네이트 및/또는 알킬아민옥사이드와, 기포조절제로서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과, 수소지수 조절제로서 무기알카리염을 조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 및 살균력이 우수한 표백(bleaching)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스프레이 건 분사 시 풍부한 기포력을 가지기 때문에 분사 시 세정액의 날림현상이 없는 표백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또는 아민옥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안전성을 높이고, 기포 조절제로서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을 사용함으로써 기포력을 증대시키며, 수소지수 조절제로서 무기알카리염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 세정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표백제로서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또는 아민옥사이드, 기포 조절제로서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 수소지수(pH)를 10.0 이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수소지수 조절제로서 무기알카리염 및 물과 기타 향료와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오염부위에 접촉시키는 방식은 공지된 여러 방식이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한 방식은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분사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은 차아 염소산나트륨, 차아 염소산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차아 염소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의 조성비는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중량%가 사용된다.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 일 경우에는 세정, 살균 기능이 미흡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와의 상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차아 염소산 이온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 차아 염소산 이온의 오염제거 능력을 증대시키고, 세정제를 오염부위나 곰팡이에 일정시간 접촉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차아 염소산 이온의 강력한 산화력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또는 화학식(2)로 표시되는 아민옥사이드가 사용된다.
화학식(1)
(R은 탄소수가 8 - 14 이며, M은 나트륨 또는 칼륨이다.)
화학식(2)
(R은 탄소수가 6 - 14 이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구성하는 주성분이고,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아민옥사이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 이들 화합물은 차아 염소산 이온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비교적 안정하여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경질표면(hard surface)으로부터 오염(특히 greasy food stains) 제거 능력과 침투력 또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각각 단독 또는 혼합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그 조성비는 0.01 내지 10 중량%, 더 좋기로는 0.1 내지 5.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를 0.01 중량% 미만 사용 시에는 오염에 대한 세정기능이 약할 뿐만 아니라 기포타입의 스프레이 건 사용 시 기포형성이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 사용 시에는 차아 염소산 알카리 금속염에 대한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특히 기포타입의 스프레이 건을 사용 시 오염이나 곰팡이에 대한 내용물(세정액)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용물의 날림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계면활성제 외에 기포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계면활성제만으로는 풍부한 기포형성이 미흡하므로 기포조절제를 첨가하면 기포 형성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기포조절제로는 탄소수가 6 - 18의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을 사용한다. 또한 기포조절제로 쿠멘 술폰산, 크실렌 술폰산, 톨루엔 술폰산 및 이러한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카리 금속염으로는 쿠멘 술폰산나트륨, 크실렌 술폰산나트륨, 톨루엔 술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상기의 기포조절제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 사용가능하며 그 조성비는 0.05 내지 10.0 중량%, 더 좋기로는 0.1 내지 7.0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다. 0.05 중량% 미만 사용 시에는 기포 증대효과가 미미하고 7.0 중량%를 초과 사용 시에는 기포 증대효과는 더 이상 얻을 수가 없어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의 수용액은 수소이온 농도, 즉 수소지수(페하=pH)를 10.0 내지 14.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pH를 10 - 14로 조절, 유지하는 것은 수용액상에서의 차아 염소산 이온의 안정성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pH를 1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주요한 요소이고, 계면활성제의 오염 제거 능력도 향상시키는 요소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알카리 pH를 10 이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수소지수 조절제로서 무기알카리염이 조성성분으로 포함된다. 무기 알카리염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무수물(소다회), 탄산 수소 나트륨(중조), 중회, 규산소다 등의 화합물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무기 알카리염의 조성비는 0.05 내지 10 중량%, 더 좋기로는 0.1 내지 8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기알카리염의 사용양은 세정제 조성물의 pH를 10.0 - 14, 바람직하게는 10.5 - 13.5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향료와 같은 첨가제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조성 성분에 물을 합하여 100중량%가 되도록 조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하기 표 1 과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로 실시예 1 내지 4 와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제조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차아 염소산 나트륨 3.0 3.0 3.0 3.0 3.0 3.0 3.0 3.0
수산화나트륨 1.0 1.0 1.0 1.0 1.0 1.0 1.0 1.0
Na-도데실디페닐에테 르 디술폰네이트 1.0 - - - - - - 1.0
라울릴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 1.0 1.0 1.0 - - 1.0 -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 - - - 1.0 1.0 - -
올레인산 0.8 0.8 0.8 - 0.8 - - -
크실렌 술폰산나트륨 3.0 3.0 - 3.0 3.0 - - -
91.2 91.2 94.2 92.0 91.2 95.0 95.0 95.0
< 저장 안정성 평가 >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 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에대하여 저장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50℃ 인큐베이터(incubator)에 30일간 저장하면서 경과기간에 따른 유효염소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유효염소 잔존률% >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0일 100 100 100 100
10일 78 76 43 49
20일 59 55 0 0
30일 45 41 0 0
* 유효염소 잔존률(%) = (초기 유효염소량 - 측정 시 유효염소량)×100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저장안정성을 테스트한 결과 Na-도데실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와 라울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를 함유한 실시예(1 및 2)가 다른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1 및 2) 보다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기포력 평가 >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의 조성물과 비교예 3 및 4의 조성물에 대하여 기포력을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조성물을 250ml 실린더에 스프레이건(AT-1472,아폴로社)으로 20회 분사하여 실린더에 형성된 기포높이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비교예 4
기포력 210 ml 230 ml 150 ml 180 ml 30 ml 20 ml
상기 표 3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포력을 평가한 결과 올레인산을 함유하거나 크실렌술폰산나트륨을 함유한 실시예가 우수한 기포력을 나타냈으며 올레인산과 크실렌술폰산나트륨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가 기포력이 가장 우수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우수한 기포력 형성으로 오염에 대한 부착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기포타입의 스프레이 건 분사 시 세정제의 날림 방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종래의 세정제 조성물에 비해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포 발생이 현저히 많아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분사 사용할 경우, 세정제의 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나 의복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기되는 아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화합물의 혼합물과, 기포 조절제로서 고급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 금속염과 수소지수(pH)를 10.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무기 알카리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R은 탄소수가 8 - 14 이며, M은 나트륨 또는 칼륨이다.)
    화학식 (2)
    (R은 탄소수가 6 - 14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이 0.1 내지 10 중량%,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기되는 아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0.01 내지 10 중량%, 상기 기포조절제가 0.05 내지 10 중량%, 상기 무기알카리염이 0.05 내지 1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이 0.2 내지 5 중량%,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및 화학식 (2)로 표기되는 아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0.1 내지 5중량%, 상기 기포조절제가 0.1 내지 7 중량%, 상기 무기알카리염이 0.1 내지 8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이 차아 염소산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조절제를 탄소수가 6 ~14의 지방산 또는 그 알카리금속염이거나 쿠멘술폰산, 크실렌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또는 그 알카리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알카리염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소다회, 탄산 수소 나트륨(중조), 규산소다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수소지수(pH)가 10.5 내지 13.5인 세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20030010432A 2003-02-19 2003-02-19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KR20040074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32A KR20040074524A (ko) 2003-02-19 2003-02-19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432A KR20040074524A (ko) 2003-02-19 2003-02-19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524A true KR20040074524A (ko) 2004-08-25

Family

ID=3736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432A KR20040074524A (ko) 2003-02-19 2003-02-19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45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49B1 (ko) * 2009-06-02 2015-06-29 애경산업(주) pH 완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및 세정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49B1 (ko) * 2009-06-02 2015-06-29 애경산업(주) pH 완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및 세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1509B2 (en) Stabilized acidic chlorine bleach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4789495A (en) Hypochlorite compositions containing a tertiary alcohol
US6255270B1 (en)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with electrolytic disinfecting booster
JP3805629B2 (ja) 液体漂白洗浄剤組成物
JP5422882B2 (ja) 殺菌洗浄剤組成物
JP2008530320A (ja) 水性液体漂白組成物
JP4877917B2 (ja) スプレー容器入り洗浄剤
AU2161100A (en) High foaming, grease cutting light duty liquid detergent
JP5463026B2 (ja) 抗菌剤組成物
US20160362634A1 (en) All-In-One Air Cleaner/Odor Eliminator, Surface Disinfectant and Surface Multipurpose/All Purpose Cleaner
KR20040074524A (ko) 살균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JP5336160B2 (ja) 抗菌剤組成物
JP5000040B2 (ja) 液体漂白洗浄剤組成物
JP2002212595A (ja) 液体漂白剤組成物
US6824705B1 (en) Bleach odor reducing composition
JPH0841495A (ja) 硬質表面用漂白剤組成物
JP3253035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20080308767A1 (en) Increasing the stability of liquid hypochlorite-containing wash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JP4790130B2 (ja) 液体漂白洗浄剤組成物
JP2001302423A (ja) カビ取り剤組成物
JPH11236594A (ja) 硬質体用漂白剤組成物
US8338353B2 (en) Hard surface cleaner containing polysulfonic acid
KR0149399B1 (ko) 살균, 소독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JPS6019773A (ja) 塩素化イソシアヌル酸が安定化された組成物
KR100609773B1 (ko) 살균 소독력을 갖는 점도성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