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0Y1 -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0Y1
KR200400720Y1 KR20-2005-0025005U KR20050025005U KR200400720Y1 KR 200400720 Y1 KR200400720 Y1 KR 200400720Y1 KR 20050025005 U KR20050025005 U KR 20050025005U KR 200400720 Y1 KR200400720 Y1 KR 200400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gear
roller
bevel gear
dr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양종
Original Assignee
유양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양종 filed Critical 유양종
Priority to KR20-2005-0025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마그네틱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구동장치의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간단한 이루어짐은 물론 그 설치 및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이송 컨베이어 및 프레임 전방에 설치된 전방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다수개의 마그네틱 기어가 형성된 아이들 롤러와, 상기 아이들 롤러의 마그네틱 기어와 직교 방향으로 0.5~2mm 이격되어 일측에 마그네틱 기어를 형성하고 타측에 마그네틱 베벨 기어를 형성한 하부 클린롤러와, 상기 마그네틱 베벨 기어와 직교 방향으로 0.5~2㎜ 이격되게 설치된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의 중앙에 볼 스플라인을 결합하고 이의 상부에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를 결합한 수직 아이들 롤러와, 상기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와 직교 방향으로 0.5~2㎜ 이격되게 설치된 마그네틱 베벨 기어를 형성한 상부 클린롤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상부 클린롤러와 하부 클린롤러를 구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기어, 체인 등의 동력전달 방식에 비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용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없고, 먼지 유발 원인을 제거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Magnetic Driving Apparatus of Dry Cleaning System}
본 고안은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에 설치된 상부 클린롤러와 하부 클린롤러의 구동을 마그네틱으로 동력 전달시키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니트는 액정표시장치 내에서 빛을 액정에 인도하는 아크릴 사출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휘도와 균일한 조명 밝기 등을 조절하는 주요한 부품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니트(Backlight Unit)는 반사시트, 확산시트,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ourscent Lamp), 프리즘 시트 등 여러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루는 각 부품 표면에 묻은 유기물, 무기물, 먼지 등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5-56268호(발명의 명칭: 백라이트 유니트의 먼지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도1a 내지 도1c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전방에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101)를 설치하고, 시트를 낱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102)가 설치되며, 이동된 시트를 클린롤러(110)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 컨베이어(103)를 설치하며, 이의 상면에 에어나이프(104)와 이오나이저(105)를 설치한 커버(106)를 설치하고, 제1이송컨베이어(103)의 후방에 상부 클린롤러(111) 및 하부 클린롤러(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클린롤러(110)를 설치하며, 이의 후방에 클린롤러(110)에 의하여 세정된 시트를 배출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107)를 설치하고, 이의 상면에 에어나이프(104)와 이오나이저(105)를 설치한 커버(106)를 설치하며, 제2이송컨베이어(107)의 후방에 시트를 적재하는 적재플레이트(108)를 설치한다.
아울러 클린롤러(110)는 시트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111a)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상부 클린롤러(111)를 설치하며, 시트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 롤러(112a)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의 하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하부 클린롤러(112)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2a)의 일측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스프라킷(113)을 결합하고, 이들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2a)가 구동되도록 스프라킷(113)의 외주에 체인(114)을 결합한다.
또한, 하부 롤러(112a)의 스프라킷(113) 중 모우터(115)와 연동되는 구동 스프라킷(113a)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 스프라킷(113a)은 기어와 스프라킷이 형성된 것으로, 바깥쪽에 스프라킷이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가 형성되어 기어끼리 치차 결합됨으로써 기어로 동력을 전달받음과 함께 스프라킷이 회전됨으로써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동 스프라킷(113a)에 치차 결합되어 상부 롤러(111a)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아이들 기어(116)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인용발명은 모우터(115)에 인가된 전원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체인(114)에 의하여 구동 스프라킷(113a)이 회전되고, 이러한 구동 스프라킷(113a)의 회전으로 체인(114)이 회전됨으로써 하부 롤러(112a)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2열로 형성된 기어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아이들 기어(116)가 회전되어 상부 롤러(111a)에 동력을 전달시킨다.
이와 같이 인용발명은 스프라킷과 기어를 2열로 형성시키므로 제작이 어려우며, 모우터(116)의 동력을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2a)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그 설치 작업이 매우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결합 작업이 용이한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에 이송 컨베이어, 아이들 롤러, 상, 하부 클린롤러를 설치하고 하부 프레임에 캐스터를 설치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모우터를 고정 설치하고 이에 연결된 체인을 샤프트의 스프라킷에 결합하며 이로부터 이격된 샤프트를 벨트로 결합하고 이의 일측에 구동 마그네틱 기어를 결합한 후방 이송 컨베이어 및 샤프트 일측에 종동 마그네틱 기어를 결합하고 이로부터 이격된 샤프트를 벨트로 결합한 전방 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후방 이송 컨베이어의 구동 마그네틱 기어와 전방 이송 컨베이어의 종동 마그네틱 기어에 직교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다수개의 마그네틱 기어를 형성한 아이들 롤러와, 상기 아이들 롤러의 마그네틱 기어에 직교 방향으로 0.5~2mm 이격되게 마그네틱 기어를 설치하고 타측에 마그네틱 베벨 기어를 결합한 하부 클린롤러와, 상기 하부 클린롤러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에 0.5~2㎜ 이격되게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의 중앙에 수직으로 볼 스플라인을 고정하며 이의 상부에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를 설치한 수직 아이들 롤러와, 상기 수직 아이들 롤러의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에 마그네틱 기어를 결합한 상부 클린롤러로 이루어진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상부 클린롤러와 하부 클린롤러를 구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고, 기어, 체인 등의 동력전달 방식에 비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용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없고, 먼지 유발 원인을 제거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과,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시트가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이송 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하부 클린롤러(40)를 회전시키는 아이들 롤러(30)와, 상기 아이들 롤러(30)에 의하여 회전하는 하부 클린롤러(40)와, 상기 하부 클린롤러(40)의 타측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상부 클린롤러(60)로 전달하는 수직 아이들 롤러(50)와, 상기 수직 아이들 롤러(50)와 0.5~2mm 소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하는 상부 클린롤러(6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11)에 2개의 이송 컨베이어(20), 하부 클린롤러(40) 및 상부 클린롤러(6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하부 프레임(12)에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캐스터(13)를 설치한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20)는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며, 본 고안에서 '시트'는 백라이트 유니트를 구성하는 반사시트, 확산시트, 엘시디(LCD) 패널 등을 총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20)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와,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는 이격된 2개의 샤프트(21) 양측에 고정 브라켓트(22)를 설치하고, 후방에 설치되는 샤프트(21) 일측에 모우터(23)의 체인(23a)과 결합되는 스프라킷(24)을 결합하며, 이와 이격된 다른 샤프트(21)의 일측에 아이들 롤러(30)와 직교로 0.5~2㎜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마그네틱 기어(25)를 일체로 결합하고, 2개의 샤프트(21) 사이에 시트의 이송 및 샤프트(21)가 회전되도록 벨트(26)를 결합한다.
이러한 마그네틱 기어(25,31,41)는 원주면엘 N, S극을 번갈아 가면서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0.5~2㎜ 이격된 마그네틱 기어(25,31,41)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이다.
아울러 벨트(26)의 장력 유지 및 벨트(26)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벨트(26)의 하면에 공회전하는 지지 샤프트(27)를 설치하며, 이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트(27a)를 고정하고, 시트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시트의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8)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는 상기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는 이격된 2개의 샤프트(21a)를 설치하되, 이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트(22a)를 결합하여 상부 프레임(11)에 고정하고, 2개의 샤프트(21a)를 연결시키는 벨트(26a)를 결합하며, 벨트(26a)의 하면에 장력 유지 및 벨트(26a)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 샤프트(27b)를 설치하며, 이의 양측에 상부 프레임(11)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27c)를 결합한다.
아울러 시트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시트의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8a)를 설치하고, 2개의 샤프트(21a) 중 후방측 샤프트(21a)의 일측에 아이들 롤러(30)와 0.5~2㎜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마그네틱 기어(25a)를 일체로 결합한다.
또한, 아이들 롤러(30)는 마그네틱 기어(31)로 이루어지는데, 총 4개의 마그네틱 기어(3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그네틱 기어(31)는 각각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의 구동 마그네틱 기어(25)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마그네틱 기어(31a)와, 하부 클린 롤러(40)의 마그네틱 기어(41)와 직교로 0.5~2㎜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의 제2마그네틱 기어(31b)와,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의 종동 마그네틱 기어(25a)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마그네틱 기어(31c)를 형성하며, 상기 마그네틱 기어(31)가 회전 가능하도록 이의 양측에 베어링(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된 고정 브라켓트(32)를 결합하고, 이의 하면에 상부 프레임(11)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서포트(33)를 고정한다.
아울러 하부 클린롤러(40)는 상기 제2마그네틱 기어(31b)와 직교로 0.5~2㎜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마그네틱 기어(41)를 일측에 고정하고, 타측에 마그네틱 베벨 기어(42)를 고정한다.
또한, 수직 아이들 롤러(50)는 상기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42)와 직교로 0.5~2㎜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1)를 결합하고, 이의 중앙에 수직으로 볼 스플라인(52)을 고정하며, 상기 볼 스플라인(52)의 상부 즉, 상부 클린롤러(60)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61)와 직교로 0.5~2㎜ 이격되게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와 함께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는 소정 깊이의 고정홈(54)을 형성하며, 이에 상부 클린롤러(60)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62)를 고정한다.
아울러 상부 클린롤러(60) 및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를 승강시키는 높이 조절장치(7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부 프레임(11)에 구동 모우터(71)를 고정하고, 이의 구동축에 웜기어(72)를 설치하며, 이에 웜휠(73)을 치차 결합하고, 상기 웜휠(73)의 중앙에 스크류(7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 클린롤러(60)의 승강판(75)에 스크류(74)의 선단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11)의 전방 측에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를 결합시키고, 이의 후방에 하부 클린롤러(40) 및 상부 클린롤러(60)를 결합시키며, 이의 후방에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를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의 스프라킷(24)에 모우터(23)와 연결된 체인(23a)을 결합시켜 모우터(23)의 구동으로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가 회전하도록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는 이격된 샤프트(21)를 다수의 벨트(26)로 회전되도록 연결시키고, 상기 하부 클린롤러(40)와 인접되게 설치된 샤프트(21)에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구동 마그네틱 기어(25)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이와 함께 상부 프레임(11) 전방에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를 설치하며, 이는 하부 클린롤러(40)와 인접된 샤프트(21a)의 일측에 종동 마그네틱 기어(25a)를 일체로 고정시키고, 이격된 샤프트(21a) 사이에 다수의 벨트(26a)를 결합시키며, 이들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와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에 각각 시트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8a)가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의 감지센서(28a)는 클린롤러(40,60)에서 클리닝 작업 지연시 시트의 공급을 일시 중지시키며,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의 감지센서(28)는 클리닝된 시트의 배출시 시트의 배출 상태를 감지하여 시트 배출이 밀리게 되면 시트의 공급 및 클리닝 작업을 일시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20) 사이에 아이들 롤러(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아이들 롤러(30)는 마그네틱 기어(31)로 이루어지며, 총 4개의 마그네틱 기어(31)가 일렬로 형성된다. 이들 마그네틱 기어(31) 중 제1마그네틱 기어(31a)는 상기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의 구동 마그네틱 기어(25)와 직교로 0.5~2㎜ 정도 비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중간에 위치하는 2개의 제2마그네틱 기어(31b)는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기어(41)와 직교로 0.5~2㎜ 정도 비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제3마그네틱 기어(31c)는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의 샤프트(21a)에 고정된 종도 마그네틱 기어(25a)와 직교 방향으로 0.5~2㎜ 정도 비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아이들 롤러(30)에 결합된 하부 클린롤러(4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된 마그네틱 기어(41)는 아이들 롤러(30)와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에는 수직 아이들 롤러(50)의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42)와 0.5~2㎜ 정도 비 접촉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 아이들 롤러(50)는 하부 클린롤러(40)의 회전력을 상부 클린롤러(60)로 전달되도록 수직의 볼 스플라인(52)의 하부에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42)와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1)를 경사면으로 0.5~2㎜ 정도 이격되어 비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수직의 볼 스플라인(52)의 상부에 상부 클린롤러(60)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61)와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를 경사면으로 0.5~2㎜ 정도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비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부 클린롤러(60)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62)는 상기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62)의 고정홈(54)에 고정되고, 상부 클린롤러(60)의 상부에 구동 모우터(71)로 구동되는 높이 조절장치(70)를 설치하며, 이는 치합된 웜기어(72)와 웜휠(73)로 스크류(74)가 회전되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마그네틱 구동장치는 모우터(23)에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체인(23a)이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의 스프라킷(24)을 회전시킴으로써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회전력은 벨트(26)로 연결된 2개의 샤프트(2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력은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마그네틱 기어(25)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그네틱 기어(31)로 이루어진 아이들 롤러(30)가 회전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마그네틱 기어(25,25a,31,41,42,51,53,61)들은 원통형상에 N,S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만곡되면서 반복적으로 형성시킨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져 구동 마그네틱 기어(25)에 형성된 N극과 S극의 회전으로 직교 설치된 제1마그네틱 기어(31a)의 N극 또는 S극을 끌어당김으로써 아이들 롤러(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30)는 N,S극을 가지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져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기어(4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의 종동 마그네틱 기어(25a)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벨트(26a)가 회전하게 되어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아이들 롤러(30)의 제2마그네틱 기어(31b)와 직교로 0.5~2㎜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 클린롤러(40)의 일측에 마그네틱 기어(41)가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타측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42)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아울러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42)와 수직 아이들 롤러(50)의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1)는 그 경사면(42a, 51a))에 N,S극을 경사져 반복되게 형성시킴으로써 마그네틱 베벨 기어(42)에 직교 방향으로 경사면 0.5~2㎜ 이격되게 설치된 수직 아이들 롤러(50)의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1)를 회전시키고, 이의 회전으로 수직으로 고정된 볼 스플라인(52)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53a)에 N,S극이 형성된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와 직교 방향으로 0.5~2㎜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 클린 롤러(60)의 경사면(61a)에 N,S극이 형성된 마그네틱 베벨 기어(6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클린롤러(6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20)의 작동으로 전방에 설치된 적재 플레이트(도면상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낱장씩 공급되는 시트가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에 의하여 클린롤러(40,60)측으로 공급되며, 에어나이프(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밀폐됨은 물론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오나이저(도면상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하부 클린롤러(40,60)를 지나면서 시트 표면에 묻은 유기물, 무기물,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하부 클린롤러(40)의 하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유포지 롤러(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와 상부 클린롤러(60)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유포지 롤러(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백 라이트 유니트를 이루는 확산시트, 반사시트, 프리즘시트 등 시트 중 두께가 얇은 시트의 드라이 세정작업을 완료하고, 이 보다 두께가 두꺼운 시트의 드라이 세정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부 클린롤러(6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도9 내지 도10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장치(70)의 구동 모우터(71)에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 모우터(71)에 결합된 웜기어(72)를 회전시키고, 이에 치합된 웜휠(73)이 회전되며, 상기 웜휠(73)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74)가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74)의 선단에 고정된 승강판(75)이 상승됨에 따라 이에 고정된 상부 클린롤러(60)가 상승되고, 이와 함께 고정 플레이트(62)에 고정된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가 볼 스플라인(5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드라이 세정 시스템을 재가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20), 아이들 롤러(30), 상,하부 클린롤러(40,60) 및 수직 아이들 롤러(50)가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시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부 클린롤러(60)의 높이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구동 모우터(71)를 역회전으로 상기 스크류(74)를 하강시키는 것이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상부 클린롤러와 하부 클린롤러를 구동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그 설치 및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고, 기어, 체인 등의 동력전달 방식에 비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용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없고, 먼지 유발원인을 제거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a는 기 출원된 먼지 제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1b는 기 출원된 먼지 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1c는 기 출원된 먼지 제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드라이 세정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드라이 세정 시스템을 보인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드라이 세정 시스템을 보인 배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드라이 세정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마그네틱 구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요부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마그네틱 구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배면에서 보인 요부 사시도.
도8은 본 고안 마그네틱 구동장치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고안 상부 클린롤러가 상승된 상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10은 본 고안 상부 클린롤러가 상승된 상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를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상부 프레임 12: 하부 프레임
13: 캐스터 20: 이송 컨베이어 20a: 후방 이송 컨베이어
20b: 전방 이송 컨베이어 21,21a: 샤프트 22,22a: 고정 브라켓트
23: 모우터 23a: 체인 24: 스프라킷
25: 종동 마그네틱 기어 25a: 구동 마그네틱 기어
26,26a: 벨트 27: 고정 브라켓트
28,28a: 감지센서 30: 아이들 롤러 31: 마그네틱 기어
31a,31b,31c: 제1,2,3 마그네틱 기어 32: 고정 브라켓트
33: 서포트
40: 하부 클린롤러 41: 마그네틱 기어 42: 마그네틱 베벨 기어
50: 수직 아이들 롤러 51: 하부 마그네틱 기어 52: 볼 스플라인
53: 상부 마그네틱 이거 54: 고정홈 60: 상부 클린롤러
61: 마그네틱 베벨 기어 62: 고정 플레이트 70: 높이 조절장치
71: 구동 모우터 72: 웜기어 73: 웜휠
74: 스크류 75: 승강판

Claims (3)

  1. 상부 프레임(11)에 이송 컨베이어(20), 아이들 롤러(30), 상,하부 클린롤러(40,60)를 설치하고 하부 프레임(12)에 캐스터(13)를 설치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모우터(23)를 고정 설치하고 이에 연결된 체인(23a)을 샤프트(21)의 스프라킷(24)에 결합하며 이격된 샤프트(21)를 벨트(26)로 결합하고 이의 일측에 구동 마그네틱 기어(25)를 결합한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 및 샤프트(21a) 일측에 종동 마그네틱 기어(25a)를 결합하고 이로부터 이격된 샤프트(21a)를 벨트(26a)로 결합한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로 이루어진 이송 컨베이어(20)와,
    상기 후방 이송 컨베이어(20a)의 구동 마그네틱 기어(25)와 전방 이송 컨베이어(20b)의 종동 마그네틱 기어(25a) 및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기어(41)와 직교 방향으로 비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마그네틱 기어(31)를 형성한 아이들 롤러(30)와,
    상기 아이들 롤러(30)의 마그네틱 기어(31)에 직교 방향으로 일측이 비 접촉되게 마그네틱 기어(41)를 결합하고 타측에 마그네틱 베벨 기어(42)를 결합한 하부 클린롤러(40)와,
    상기 하부 클린롤러(40)의 마그네틱 베벨 기어(42)에 하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1)를 비 접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의 중앙에 수직으로 볼 스플라인(52)을 고정하며 이의 상부에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를 결합한 수직 아이들 롤러(50)와,
    상기 수직 아이들 롤러(50)의 상부 마그네틱 베벨 기어(53)에 마그네틱 베벨 기어(61)를 비 접촉되게 설치한 상부 클린롤러(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는 벨트(26,26a)의 장력 유지 및 벨트(26,26a)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 샤프트(27,27b)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는 시트의 공급 또는 배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8,28a)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KR20-2005-0025005U 2005-08-30 2005-08-30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KR200400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05U KR200400720Y1 (ko) 2005-08-30 2005-08-30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005U KR200400720Y1 (ko) 2005-08-30 2005-08-30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0Y1 true KR200400720Y1 (ko) 2005-11-08

Family

ID=4370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005U KR200400720Y1 (ko) 2005-08-30 2005-08-30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8073A1 (en) Unscrambling conveyor
KR100835202B1 (ko) 기판 이송 장치
US20120103762A1 (en) Conveyor with parallel conveyor members defining a helical path
KR20090011381A (ko) 기판이송장치
JPH10265018A (ja) 基板の搬送装置
TWI533540B (zh) 用於將電纜套管安裝到電纜上的設備
US20050115773A1 (en) Lift for substrate
KR200400720Y1 (ko) 드라이 세정 시스템의 마그네틱 구동장치
KR20090129156A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그 장치를 갖는 기판제조 설비
KR101031105B1 (ko)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KR100817945B1 (ko) 이송용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이송장치
KR200472388Y1 (ko) 기판 반송장치
KR101195861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200394276Y1 (ko) 블로워를 갖춘 패널시트 이송장치
KR20100024174A (ko) 기판 세정 장치
JP2008081250A (ja) 歯付きベルト搬送コンベヤ
KR101270532B1 (ko)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KR101071268B1 (ko) 기판 이송 장치
KR100870745B1 (ko) 이송장치
KR101334770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이송 가이드 장치
KR100803686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287216B1 (ko) 평판표시소자용 기판이송장치 및 방법
KR200165645Y1 (ko) 이송물의 방향전환용 롤러콘베이어의 유도롤러장치
KR200388522Y1 (ko)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JP3238131B2 (ja) ローラ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