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796A -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796A
KR20040071796A KR1020030007662A KR20030007662A KR20040071796A KR 20040071796 A KR20040071796 A KR 20040071796A KR 1020030007662 A KR1020030007662 A KR 1020030007662A KR 20030007662 A KR20030007662 A KR 20030007662A KR 20040071796 A KR20040071796 A KR 2004007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nector
computer
mobile ph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629B1 (ko
Inventor
정동훈
Original Assignee
한컴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컴씨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컴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629B1/ko
Priority to PCT/KR2004/000229 priority patent/WO2004070514A2/en
Publication of KR2004007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방법 및 전송방법이 개시된다. 제1커넥터는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이동통신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한다. 제2커넥터는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되어 컴퓨터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한다. 메모리에는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는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의 제1커넥터의 연결여부 및 컴퓨터의 직렬포트에의 제2커넥터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고 제1 및 제2커넥터 중에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장치 또는 컴퓨터와의 데이터 입출력동작 및 데이터 저장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휴대폰의 저장용량의 확장과 함께 휴대폰과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자유로운 전송을 보장할 수 있고, 휴대용 저장장치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휴대폰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방법 및 전송방법{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단을 구비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복수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을 통해 이메일송수신서비스, VOD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현재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는 32Mbyte 또는 64Mbyte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간단한 단문메시지나 이메일의 수신, 스트리밍기술이 적용된 동영상파일의 수신 및 재생 등의 서비스는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을 통해 대용량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이미지형태의 팩스문서, 파일이 첨부된 메일의 송수신 등과 같이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이는 메모리 용량의 추가에 따른 휴대폰의 가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낳는다.
한편, 휴대폰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거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휴대폰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가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저장장치는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한 것으로 휴대폰의 직렬포트에 장착된다.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휴대폰의 메모리 용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휴대폰의 메모리용량을 확장에 불과하며, 외부로부터 휴대폰으로 다운로드된 데이터 또는 휴대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외부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노트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서버 또는 컴퓨터 등)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포맷으로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휴대폰으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포맷으로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휴대폰으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포맷으로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휴대폰으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벨소리 작성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는,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하는 제1커넥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의 상기 제1커넥터의 연결여부 및 상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의 상기 제2커넥터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중에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장치 또는 상기 컴퓨터와의 데이터 입출력동작 및 데이터 저장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방법은,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의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파일을 상기 이동통신장치에서 재생가능한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송하여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을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벨소리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전송메뉴 및 전송될 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 이동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휴대용 저장장치의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하거나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소정의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되었는가는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상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소정의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소정의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 또는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저장용량의 확장과 함께 휴대폰과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자유로운 전송을 보장할 수 있고, 휴대용 저장장치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휴대폰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는 휴대폰용 커넥터(100), 컴퓨터용 커넥터(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구비한다.
휴대폰용 커넥터(100)는 휴대폰에 구비된 데이터 단자에 삽입고정되어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휴대폰으로 출력한다. 휴대폰용 커넥터(100)는 현재 휴대폰의 데이터 단자에 채택되고 있는 표준 24핀 무단자 포트와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컴퓨터용 커넥터(110)는 컴퓨터에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에 삽입고정되어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20)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에는 운용프로그램이 구비된다. 제어부(120)는 휴대폰용 커넥터(100) 또는 컴퓨터용 커넥터(110)의 접속여부를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저장장치는 휴대폰 및 컴퓨터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제어부(120)는 전원이 공급되는 커넥터를 파악하여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된 장치(즉, 휴대폰 또는 컴퓨터)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장치가 휴대폰 및 컴퓨터에 동시에 접속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제어부(120)는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장치(휴대폰 또는 컴퓨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한다. 휴대용 저장장치가 휴대폰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휴대폰용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휴대폰용 커넥터(100)를 통해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메뉴는 휴대폰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출력된다. 사용자가 휴대폰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한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어부(120)가 기능하며, 양자는 유저인터페이스화면, 입력수단의 차이(휴대폰의 경우 버튼,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 또는 마우스)에 의한 제어신호발생과정, 외부장치에 고유한 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유저인터페이스의 구성 및 입력수단에 따른 제어신호의 발생동작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며, 이는 휴대폰 및 컴퓨터상에서의 공지된 유저인터페이스 구성기술 및 입력수단에 따른 제어신호 발생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가 제공하는 기능은 데이터 저장기능, 데이터 중계기능, 데이터 변환기능, 데이터 전송기능 등이 있다.
먼저, 데이터 저장기능은 휴대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무선통신망을통해 휴대폰으로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휴대폰용 커넥터(100)를 통해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컴퓨터용 커넥터(110)를 통해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데이터 저장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휴대폰용 커넥터(100) 또는 컴퓨터용 커넥터(1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중계기능은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컴퓨터용 커넥터(110)를 통해 컴퓨터로 전달하거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휴대폰용 커넥터(100)를 통해 휴대폰으로 전달하는 기능이다. 이 때, 제어부(120)는 데이터를 각각의 장치에서 실행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 등의 포맷으로 작성되어 있는 동영상파일을 휴대폰에서 사용가능한 포맷인 JPEG으로 변환하거나, MP3 등의 포맷으로 작성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휴대폰에서 사용가능한 포맷인 MMF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기능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중계할 때 데이터를 휴대폰 또는 컴퓨터에서 사용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한다. 이 때, 기본설정은 입력된 데이터의 포맷으로 저장 및 중계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MP3, WAVE, MIDI, AU, RA 등의 포맷의 파일을 휴대폰을 이용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재생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휴대폰에서 재생가능한 MA1, MA2, MMF, CMX, 및 MID 중에서 하나의 포맷으로 작성된 파일로 변환하여 휴대폰용 커넥터(100)를 통해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변환기능의 다른 예는 벨소리 작성기능이다. 벨소리 작성기능은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MP3파일을 이용하여 벨소리 파일을 생성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벨소리 작성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저장되어 있는 MP3파일의 목록을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출력된 MP3파일 목록중에서 벨소리로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MP3파일을 MMF파일로 변환하여 휴대폰을 통해 재생한다. 이 때, 제어부(120)는 파일의 재생시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파일의 재생에 따른 시각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파일의 특정구간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을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휴대폰에 전송된 벨소리 파일은 휴대폰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기능은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되면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받아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 또는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자신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기능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120)는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받은 해당 단문메시지를 메모리(130)의 특정한 위치에 저장하거나 해당 단문메시지에 특정한 플래그를 부가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그 후,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되면, 제어부(120)는 특정한 위치에저장되어 있는거나 특정한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이 경우 단문메시지)를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 또는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전자우편주소를 설정할 수 있으며,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설정한 경우에 컴퓨터에 특정한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제어부(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제어부(120)는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장치(휴대폰 또는 컴퓨터)의 검출 및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에 해당하는 제어명령(변환명령, 저장명령, 응용프로그램의 실행명령 등)의 출력기능만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변환은 별도로 구비된 변환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는 휴대폰용 커넥터(200), 컴퓨터용 커넥터(210), 제1제어부(220), 제2제어부(230), 및 메모리(240)를 구비한다.
휴대폰용 커넥터(200), 컴퓨터용 커넥터(220), 및 메모리(240)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제어부(220)는 휴대폰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 간의 데이터 입출력과 관련하여 저장동작 및 변환동작을 수행하며, 제2제어부(230)는 컴퓨터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 간의 데이터 입출력과 관련하여 저장동작 및 변환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데이터의 저장 및 변환과 관련하여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20)와 동일하다. 다만, 벨소리 작성과 같이 휴대폰과의 관계에서 특유한 기능의 경우에는 제1제어부(220)에서 수행하며, 데이터의 전송과 같이 컴퓨터와의 관계에서 특유한 기능의 경우에는 제2제어부(230)에서 수행한다. 한편, 데이터의 중계의 경우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달리, 외부장치(예를 들면, 휴대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메모리(240)에 저장되지 않고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를 통해 직접 목적지인 외부장치(예를 들면, 컴퓨터)로 전달된다. 이 때, 휴대폰용 커넥터(200)와 컴퓨터용 커넥터(210)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는 데이터의 입출력 속도를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서 전송적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저장장치에 구비된 휴대폰용 커넥터(100)를 휴대폰의 데이터 단자에 접속하면 제어부(120)는 휴대용 저장장치가 휴대폰에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한다(S300). 사용자가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출력되는 메뉴에서 자동전송을 선택하고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할 데이터를 선택하면(S310),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가 휴대폰용 커넥터(100)를 통해 휴대용 저장장치로 입력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된다(S320). S32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휴대용 저장장치로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30)의 특정영역에 저장하거나 특정한 플래그를 부가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추후, 사용자가 휴대용 저장장치에 구비된 컴퓨터용 커넥터(110)를 컴퓨터의 USB포트에 접속하면 제어부(120)는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한다(S330). 이 때, 제어부(120)는 메모리(130)의 특정영역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메모리(130)에 특정한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40). 만약, 메모리(130)의 특정영역에 데이터가 존재하거나 메모리(130)에 특정한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120)는 해당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 또는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특정 폴더로 전송한다(S350). 이 때,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폴더명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우편주소 또는 폴더명을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벨소리 작성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벨소리 작성메뉴를 선택하면(S400), 제어부(120)는 저장되어 있는 MP3파일의 목록을 휴대폰으로 전송한다(S410). 사용자가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출력된 MP3파일 목록중에서 벨소리로 선택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S420)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MP3파일을 MMF파일로 변환하여 휴대폰을 통해 재생한다(S430). 이 때, 제어부(120)는 파일의 재생시각을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파일의 재생에 따른 시각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파일의 특정구간을 선택하면(S440)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을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며(S450), 휴대폰에 전송된 벨소리 파일은 휴대폰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다(S4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방법, 및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저장장치에 상이한 통신방식에 적합한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저장용량의 확장과 함께 휴대폰과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자유로운 전송을 보장할 수 있고, 휴대용 저장장치에 데이터의 변환 또는 전송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휴대용 저장장치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휴대폰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하는 제1커넥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의 상기 제1커넥터의 연결여부 및 상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의 상기 제2커넥터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중에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장치 또는 상기 컴퓨터와의 데이터 입출력동작 및 데이터 저장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24핀 데이터 포트이며,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이며,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중에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가 삽입된 장치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장치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이동통신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변환부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MP3, WAVE, MIDI, AU, 및 RA를 포함하는 포맷으로 작성된 음악파일이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음악파일을 MA1, MA2, MMF, CMX, 및 MID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을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폰을 통해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을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컴퓨터에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소정의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거나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제1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휴대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우편주소를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출력되는 메뉴에서 자동전송을 선택하고 자동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의 특정영역에 저장하거나 상기 소정의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에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폴더에 상기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소정의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의 상기 제1커넥터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장치와의 데이터 입출력동작 및 데이터 저장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의 상기 제2커넥터의 연결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상기 컴퓨터와의 데이터 입출력동작 및 데이터 저장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12. 이동통신장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의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파일을 상기 이동통신장치에서 재생가능한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송하여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을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벨소리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파일변환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의 재생시각을 상기 이동통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의 시작 및 종료위치는 상기 재생시각에 의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파일변환 방법.
  14. 사용자로부터 전송메뉴 및 전송될 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
    이동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휴대용 저장장치의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하거나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소정의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되었는가는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상기 컴퓨터의 직렬포트에 연결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소정의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소정의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지정한 전자우편주소 또는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 또는 상기 전송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우편주소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 또는 상기 전송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저장될 폴더명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에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입력받은 폴더명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컴퓨터에 상기 폴더명에 해당하는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폴더에 상기 상기 메모리의 소정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소정의 플래그가 부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30007662A 2003-02-07 2003-02-07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KR10067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662A KR100679629B1 (ko) 2003-02-07 2003-02-07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PCT/KR2004/000229 WO2004070514A2 (en) 2003-02-07 2004-02-06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662A KR100679629B1 (ko) 2003-02-07 2003-02-07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796A true KR20040071796A (ko) 2004-08-16
KR100679629B1 KR100679629B1 (ko) 2007-02-07

Family

ID=3284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662A KR100679629B1 (ko) 2003-02-07 2003-02-07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9629B1 (ko)
WO (1) WO200407051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81B1 (ko) * 2013-05-22 2013-10-18 (주) 위즈네트 독립적으로 통신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넥트 및 이 통신 커넥트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1371131B1 (ko) * 2012-07-25 2014-03-07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휴대용 변환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9991B2 (en) * 2005-03-31 2011-04-1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interface for input devices
TW201539194A (zh) * 2014-01-06 2015-10-16 Imation Corp 三機一體可攜式儲存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41A (en) * 1995-05-25 1999-06-22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storage/playback apparatus having a data interface
JP2001036603A (ja) * 1999-07-16 2001-02-09 Doriimuzu Cam Touruu:Kk 携帯電話機における着信メロディ書換装置
JP2001036606A (ja) * 1999-07-23 2001-02-09 Kaga Micro Art Kk 携帯電話装置用の外部接続装置
KR200214930Y1 (ko) * 2000-09-19 2001-02-15 주식회사이지엘 이동통신단말기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접속을 위한어댑터
KR200218544Y1 (ko) *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이지엘 보조 메모리수단을 내장하는 이동단말기용 어댑터
KR20010044238A (ko) * 2001-01-19 2001-06-05 김양환 무선망을 이용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 및 재생장치
KR200246710Y1 (ko) * 2001-06-28 2001-10-17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71284Y1 (ko) * 2002-01-25 2002-04-09 최인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휴대 메모리팩과 그 연결장치
KR200280636Y1 (ko) * 2002-04-04 2002-07-04 주식회사 네모스 휴대형 저장장치
KR20030080625A (ko) * 2002-04-10 2003-10-17 휴쳐인터넷주식회사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KR200294768Y1 (ko) * 2002-08-08 2002-11-13 오피스뱅크(주) 휴대형 개인정보 및 벨소리용 음악파일 저장장치
KR200299830Y1 (ko) * 2002-10-14 2003-01-06 김희석 핸드폰 결합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KR200313898Y1 (ko) * 2003-02-08 2003-05-22 장종기 복합결합 및 휴대통신단말식 휴대형저장장치
KR200315129Y1 (ko) * 2003-02-11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저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31B1 (ko) * 2012-07-25 2014-03-07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휴대용 변환 커넥터
KR101319981B1 (ko) * 2013-05-22 2013-10-18 (주) 위즈네트 독립적으로 통신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커넥트 및 이 통신 커넥트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US9003073B2 (en) 2013-05-22 2015-04-07 Wiznet Co., Ltd. Communication connector enabling communication status thereof to be determined independently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0514A3 (en) 2005-01-06
WO2004070514A2 (en) 2004-08-19
KR100679629B1 (ko)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6104A (ko)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최적화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모바일 단말기
US7881334B2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20080096040A (ko) 화상채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N1845522B (zh) 在无线终端中蓝牙通信期间显示文件的装置和方法
KR101588993B1 (ko) 프로토콜 변환 어댑터
US20100185736A1 (en) Interdevice transmission of data
CN1984411B (zh) 蓝牙通信期间日志管理的方法及其移动终端装置
JP2002359694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記憶システム
KR100679629B1 (ko)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KR100711724B1 (ko)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데이터 전송방법
US20060245383A1 (en) Service execution using multiple devices
KR100784263B1 (ko) 클립보드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210880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734203B1 (ko) 모바일폰에 연결되는 통합 인터페이싱 정보를 내장한통신환경 설정 장치 및 그 설정방법
CN100517325C (zh) 一种闪联集线器及文件格式自动转换方法
JP5785688B2 (ja) シンジケーテッドデータフィード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60133757A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JP6635873B2 (ja) 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93750B1 (ko) 복수의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모드 변경 방법
KR1007333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파일전송방법
JP5201575B2 (ja) シナリオデータの編集装置、シナリオデータの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06936B1 (ko) 데이터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365343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원격 제어 방법
CN115174737A (zh) 音频共享方法和装置
JP2002176471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17

Effective date: 2006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