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131B1 - 휴대용 변환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변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131B1
KR101371131B1 KR1020120080893A KR20120080893A KR101371131B1 KR 101371131 B1 KR101371131 B1 KR 101371131B1 KR 1020120080893 A KR1020120080893 A KR 1020120080893A KR 20120080893 A KR20120080893 A KR 20120080893A KR 101371131 B1 KR101371131 B1 KR 10137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over
memory unit
conversion conn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569A (ko
Inventor
정덕희
최원용
배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8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1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하면과 상면 각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범용규격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포트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부의 탈착이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저장공간을 가진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성과 저장공간을 다 채운 메모리부는 따로 보관하여 굳이 다른 저장소로 데이터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변환 커넥터{Portable conversion 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는 컴퓨터가 필요로 하는 정보, 컴퓨터가 자료를 처리하여 얻은 결과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컴퓨터, 핸드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종래에는 주로 USB에 플래시메모리를 장착한 USB휴대용메모리와 USB포트를 채용한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가진 외장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일명 스마트기기라 불리는 작고 얇은 소형 전자기기에 다소 큰 USB포트를 적용하는 것이 어려워, 최근에 출시되는 전자기기에는 마이크로 USB포트를 채택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USB포트를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현재 새롭게 널리 사용되는 마이크로 USB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젠더를 따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메모리부 또는 저장디스크가 몸체에 내장되어 용량이 가득 찬 경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저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접속단자를 갖으며, 메모리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 상기 제1접속단자와 규격이 다른 제2접속단자;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지지되는 몸체부;및 상기 제1접속단자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 또는 상기 제2접속단자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 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1덮개; 상기 제2접속단자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2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의 평면기준 면적과 비례하는 면적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는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결합된 경우에 평면기준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덮개가 끼워지고 빼어지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과 상기 제2덮개가 끼워지고 빼어지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부에 형성된 끼움홈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돌기를 형성되며,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의 측부가 절개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1접속단자 또는 제2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하면과 상면 각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범용규격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포트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부의 탈착이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저장공간을 가진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성과 저장공간을 다 채운 메모리부는 따로 보관하여 굳이 다른 저장소로 데이터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의 제1접속단자에 대한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의 삽입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와 링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메모리부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하는 개략적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의 제1접속단자에 대한 참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의 삽입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와 링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메모리부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하는 개략적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1)는 크게 제1접속단자(2), 제2접속단자(3), 몸체부(4), 메모리부(5), 제1덮개(6) 및 제2덮개(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1)의 메모리부(5)는 제1접속단자(2) 또는 제2접속단자(3) 또는 몸체부(4)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메모리부(5)가 제1접속단자(2)에 배치되는 것이다.
메모리부(5)가 제1접속단자(2)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는 실시예1에서 설명되며, 메모리부(5)가 몸체부(2)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는 실시예2에서 설명된다.
한편, 제2접속단자(3)에 메모리부(5)가 배치되는 구성과 방법은 후술되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제2접속단자(3)에 메모리부(5)가 배치되는 실시예는 생략한다.
제1접속단자(2)는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단자로써, 후술되는 몸체부(4)에 설치되고 지지되며,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접속단자(2)는 후술되는 메모리부(5)가 삽입되어 메모리부(5)가 제1접속단자(2) 및 제2접속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홈(22)이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삽입홈(22)에는 메모리부(5)의 전도성단자(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금속으로 된 접촉핀(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22)에 형성된 상기 접촉핀(221)은 기판상에서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와 도선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삽입홈(22)에 삽입되어지는 메모리부(5)와 제1접속단자(2) 또는 제2접속단자(3)와 접속되는 전자기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제1접속단자(2)는 USB 포트규격에 맞는 접속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포트 규격에 맞는 접속단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접속단자(2)는 USB포트 규격에 맞는 접속단자라 하고, 제1접속단자(2)에 메모리부(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을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삽입홈(22)은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2)의 금속으로 된 접촉부(21) 아래 받침부에 마련되고, 메모리부(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금속으로 된 접촉핀(22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기판상에서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와 도선으로 연결된다.
제2접속단자(3)는 제1접속단자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단자로써, 제1접속단자(2)와 다른 규격을 갖으며, 후술되는 몸체부(4)에 설치되고 지지되며,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접속단자(3)는 삽입홈(22)에 안착되는 메모리부(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삽입홈(22)에 안착되어 지는 메모리부(5)의 전도성단자(51)와 삽입홈(22)에 형성된 접촉핀(221)이 접촉된다.
메모리부(5)의 전도성단자(51)와 접촉된 삽입홈(22)의 접촉핀(221)은 기판상에서 제2접속단자(3)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메모리부(5)와 제2접속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2접속단자(3)가 접속된 전자기기(미도시)와 메모리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몸체부(4)는 입체형으로,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가 각각 하면과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몸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 몸체부(4)는 후술되는 제1덮개(6), 제2덮개(7)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양측부에 하나 이상의 끼움홈(8)이 형성된다.
끼움홈(8)의 개수는 활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덮개(6)과의 결합을 위해서 양측부(앞뒤)에 각각 1개씩 마련되고, 제2덮개(7)과의 결합을 위해서 양측부에 각각 한 개씩 마련되어, 몸체부(4)의 양측부에 총 네 개의 끼움홈(8)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5)는 제1접속단자(2)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접속단자(2)의 금속으로 된 접촉부(21) 아래쪽 받침부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되며, 삽입시에는 메모리부(5)의 전도성단자(51)와 삽입홈(22)의 접촉핀(221)이 서로 접촉된다.
또한, 메모리부(5)는 삽입과 꺼냄이 가능한 탈착 방식이며, 메모리부(5)는 일반적으로 소형으로 제작되는 마이크로카드칩 형태인 메모리부(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소형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삽입홈(22)의 접촉핀(221)은 기판상에서 도선으로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메모리부(5)가 제1접속단자(2)에 마련된 삽입홈(22)에 끼워지면, 전자기기와 접속된 제1접속단자(2) 또는 제2접속단자(3)를 통하여 메모리부(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1덮개(6)과 제2덮개(7)은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1)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써, 세부적으로는 제1접속단자(2)를 보호하기 위한 제1덮개(6)과 제2접속단자(3)를 보호하기 위한 제2덮개(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덮개(6)와 제2덮개(7)는 각각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덮개(6)는 제1접속단자(2)의 형태에 맞는 홈이 형성되어지며, 제2덮개(6)는 제2접속단자(3)의 형태에 맞는 홈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제1접속단자(2)가 제2접속단자(3)보다 큰 규격으로 이루어진다고 할때,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 각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덮개(6)과 제2덮개(7)이 형성된다.
상기 크기가 다른 제1덮개(6)과 제2덮개(7)이 몸체부(4)와 결합하였을 때, 평면기준으로 원형인 것이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1)를 사용하는데 용이하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덮개(6)와 제2덮개(7)가 결합되었을 때 원형인 것이 사용하는 데 용이하다고 하는 이유로는, 본 발명의 후술되는 절개부(10) 형성과 제1덮개(6) 또는 제2덮개(7)의 탈착 및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의 크기 차이에 따른 제1덮개(6)과 제2덮개(7)의 크기조절을 가장 효과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덮개(6)과 제2덮개(7)는 몸체부(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끼움홈(8)과 대응되는 걸림돌기(9)를 형성하며, 실리콘과 유사한 연질로써 사람의 작은 힘으로 모양이 쉽게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었을 시에는 본 모양으로 돌아가는 탄성을 지닌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덮개(6)과 제2덮개(7)의 측부에는 일정한 깊이로 절개된 절개부(10)가 형성되는데, 절개부(10)는 제1덮개(6)과 제2덮개(7) 중에 어느 하나를 몸체부(4)에서 떼어낼 때, 몸체부(4)의 끼움홈(8)과 결합된 걸림돌기(9)가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를 들면, 제1덮개(6)을 탈거시키기 위하여 제2덮개(7)과 결합된 몸체부(4)의 일부를 잡아서 제2덮개(7)의 걸림돌기(9)와 몸체부(4)의 끼움홈(8)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제1덮개(6)의 끝부분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연질인 제1덮개(7)의 모양이 절개부(10)를 따라 변형되면서 제1덮개(6)의 걸림돌기(9)와 제2덮개(7)의 끼움홈(8)이 서로 분리되어 제1덮개(6)의 탈거가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덮개(6)와 제2덮개(7)의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10)는 제1덮개(6)와 제2덮개(7)가 결합된 덮개 측부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10)에 끼워지는 링(11)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링(11)은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써, 상기 링(11)이 상기 제1덮개(6)와 제2덮개(7)의 절개부(10)에 끼워졌을 경우에 링(11)과 제1덮개(6) 및 제2덮개(7)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링(11)이 형성하는 구멍에 스트랩(미도시)을 끼워넣어 휴대폰 또는 가방 등에 연결하여 휴대용 변환 커넥터(1)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1)의 사용 실시예로는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제1접속단자(2)는 USB접속단자이고, 제2접속단자(3)는 마이크로USB접속단자일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환 커넥터(1)는 USB포트용 휴대용 저장장치, 마이크로USB포트용 휴대용 저장장치, 및 USB포트와 마이크로USB포트의 젠더로써 사용될 수 있다.
USB포트용 휴대용 저장장치로 사용될 때는, 제1접속단자(2)인 USB 포트단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1)에 포함된 메모리부(5)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불러오기 할 수 있다.
마이크로USB포트용 휴대용저장장치로 사용될 때는, 제2접속단자(3)인 마이크로USB포트단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1)에 포함된 메모리부(5)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불러오기 할 수 있다.
USB포트와 마이크로USB포트의 젠더로 사용될 때는, 제1접속단자(2)인 USB포트단자가 전자기기에 연결되고, 제2접속단자(3)인 마이크로USB포트단자가 상기 제1접속단자(2)가 연결된 전자기기 이외의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가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메모리부(5)도 함께 연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접속단자(2)는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단자로써, 후술되는 몸체부(4)에 설치되고 지지되며,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접속단자(3)는 제1접속단자(2)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단자로써, 제1접속단자(2)와 다른 규격을 갖으며, 후술되는 몸체부(4)에 설치되고 지지되며,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몸체부(4)는 입체형으로,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가 설치되고 지지되며, 각각 하면과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몸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몸체부(4)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메모리부(5)가 고정설치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홈(22)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삽입홈(22)에는 메모리부(5)의 전도성단자(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금속으로 된 접촉핀(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22)에 형성된 접촉핀은 기판상에서 제1접속단자(2)와 제2접속단자(3)와 도선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삽입홈(22)에 삽입되어지는 메모리부(5)의 제1접속단자(2) 또는 제2접속단자(3)와 접속되는 전자기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메모리부(5)는 몸체부(4)의 내부에 배치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4)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되며, 삽입시에는 메모리부(5)의 전도성단자(51)와 삽입홈(22)의 접촉핀(221)이 서로 접촉된다.
또한, 메모리부(5)는 삽입과 꺼냄이 가능한 탈착방식이며, 메모리부(5)는 일반적으로 소형으로 제작되는 마이크로카드칩 형태인 메모리부(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소형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제1덮개(6)와 제2덮개(7)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으로 생략한다.
한편, 메모리부(5)는 제1접속단자 또는 제2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진과 비디오를 앨범의 형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응용에 따라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 다른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와 연결된 스마트폰에 있는 사진 또는 비디오를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간편하게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의 메모리부로 옮길 수 있으며, 또한, 반대로 메모리부에 있던 사진 또는 비디오를 간편하게 본 발명의 휴대용 변환 커넥터와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휴대용 변환 커넥터
2: 제1접속단자
21: 접촉부
22: 삽입홈
221: 접촉핀
3: 제2접속단자
4: 몸체부
5: 메모리부
51: 전도성단자
6: 제1덮개
7: 제2덮개
8: 끼움홈
9: 걸림돌기
10: 절개부
11: 링

Claims (9)

  1.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
    상기 제1접속단자와 규격이 다른 제2접속단자;
    상기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지지되는 몸체부;및
    상기 제1접속단자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 또는 상기 제2접속단자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모리부;
    상기 제1접속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1접속단자의 평면기준 면적과 비례하는 면적을 갖으며, 측부가 절개된 제1덮개;
    상기 제2접속단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접속단자의 평면기준 면적과 비례하는 면적을 갖으며, 측부가 절개된 제2덮개; 및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의 절개된 상기 측부에 끼워지고, 일부가 돌출된 형태를 갖는 링;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덮개 및 상기 제2덮개가 끼워지고 빼어지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홈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링은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의 상기 측부에 끼워졌을 경우에 상기 링과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환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와 상기 제2덮개는,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가 결합된 경우에 평면기준으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환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1접속단자 또는 제2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변환 커넥터.

KR1020120080893A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변환 커넥터 KR10137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93A KR101371131B1 (ko)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변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93A KR101371131B1 (ko)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변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69A KR20140014569A (ko) 2014-02-06
KR101371131B1 true KR101371131B1 (ko) 2014-03-07

Family

ID=5026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93A KR101371131B1 (ko)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변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393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맥스테일 휴대가 용이한 멀티형 usb 젠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796A (ko) * 2003-02-07 2004-08-16 한컴씨큐어 주식회사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KR100874360B1 (ko) * 2008-05-30 2008-12-16 주식회사 셀런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전자 기기 연결용 커넥터
KR200457265Y1 (ko) * 2010-12-30 2011-12-13 (주)대영케이티엑스 포터블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젠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796A (ko) * 2003-02-07 2004-08-16 한컴씨큐어 주식회사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KR100874360B1 (ko) * 2008-05-30 2008-12-16 주식회사 셀런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전자 기기 연결용 커넥터
KR200457265Y1 (ko) * 2010-12-30 2011-12-13 (주)대영케이티엑스 포터블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젠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393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맥스테일 휴대가 용이한 멀티형 usb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69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79197A1 (en) Card-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card-reading device to access memory card
US6821155B2 (en) Card switch device
KR101386854B1 (ko)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TW201502751A (zh) 縮短長度的記憶卡
CN104346595A (zh) 读取装置
KR200469127Y1 (ko) 휴대폰 케이스
US20050258068A1 (en) Multi-medium cards case structure
KR101371131B1 (ko) 휴대용 변환 커넥터
US9208660B2 (en) Docking device for credit card payment and cash drawer including the same
TWI635659B (zh) 卡托、插接裝置和終端
KR200470736Y1 (ko)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
US20120140393A1 (en) Protective case
KR20140039556A (ko) 8핀커넥터 을 갖는 유에스비 메모리
KR101316777B1 (ko) 마이크로 5핀을 갖는 유에스비 메모리
US20080160791A1 (en) Memory card with a slim USB connector
TWM546028U (zh) 充電儲存資料線
KR100634435B1 (ko) 익스텐더 기능을 내장한 메모리 카드
KR20210092393A (ko) 휴대가 용이한 멀티형 usb 젠더
KR200461243Y1 (ko) 메모리카드 수납케이스
TWM494346U (zh) 智慧型手機保護套
KR101272536B1 (ko) 카드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US20130137301A1 (en) Eletronic device having a tray for placing digital card
US20080160834A1 (en) Memory card with a slim USB connector
TWM491242U (zh) 多埠式隨身碟
KR200481543Y1 (ko) 오티지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