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625A -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625A
KR20030080625A KR1020020019349A KR20020019349A KR20030080625A KR 20030080625 A KR20030080625 A KR 20030080625A KR 1020020019349 A KR1020020019349 A KR 1020020019349A KR 20020019349 A KR20020019349 A KR 20020019349A KR 20030080625 A KR20030080625 A KR 2003008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mory
battery
charg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동철
Original Assignee
휴쳐인터넷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쳐인터넷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쳐인터넷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625A/ko
Publication of KR2003008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6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본 발명은 최근 근거리통신의 표준으로 자리 잡아가는 블루투스 무선기술과
메모리기술을 복합화하여 컴퓨터, PDA, 휴대폰, MP3등의 각종의 정보기기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외부 확장 저장장치를 상기한 정보기기에 직접 연결
하지 않고 무선으로 메모리 혹은 저장장치와 연결, 접속하여 사용할수 있도
록 하기위한 무선 원격접속 메모리에 관련한 발명이다.
즉 메모리기능과 무선통신기술을 통합함과 아울러 밧데리를 내장함으로서
유선연결상태에서는 두가지 기능 즉 메모리기능과 무선통신기능을 독립적
으로 사용하고 아울러 이때 본체쪽에서의 전원을 이용 충전기능을 가져감
으로서 본체로 부터 본발명의 장치를 분리 했을때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
이 가능하게끔 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나 세트와 연결, 결착
등의 불편함 없이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게 함으로서 다양한 무선접속 데이터 저장 및 전달이 가능하게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표준 인터페이스 방식 원격접속용 무선 메모리 장치{Remote Accessible Memory System}
본 발명은 최근 근거리통신의 표준으로 자리 잡아가는 블루투스 무선기술과
메모리기술을 복합화하여 컴퓨터, PDA, 휴대폰, MP3등의 각종의 정보기기
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메모리를 상기한 정보기기에 직접 내장하지 않고
외부에 선 연결없이 무선으로 메모리 혹은 저장장치와 연결, 접속하여 사용
할수 있도록 하기위한 무선 원격접속 메모리에 관련한 발명이다.
본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서는 USB 단자 일체형 플레쉬메모리가 있으며 본
플레쉬메모리방식 USB어댑터는 반드시 사용자 컴퓨터에 삽입하여야 외부저
장장치로 사용가능하며 따라서 사용 OS에 따라서는 별도의 설치 소프트웨어
설치해야한다는 점과 다른 컴퓨터 혹은 기기와 접속하여 사용하고저 할경우
는 플레쉬메모리방식 USB어댑터를 빼서 다른 컴퓨터나 기기에 꼽아야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블루투스 USB 어댑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그
기능 즉 무선접속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코저하는 기기에 연
결 접속하여 블루투스가 내장되거나 어댑터 형태로 구성된 기기간에 무선 데
이타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각각의 기능을 통합함과 아울러
밧데리를 내장함으로서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끔 함으로서 설치나
세트내 삽입등의 불편함 없이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무선으로 데이
터를 주고 받을수 있게 함으로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게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PDA, MP3, E-BOOK등 각종 휴대형 모바일 정보기기에는 반드시
읽고 쓰기가 가능한 저장매체인 플레쉬 메모리가 필수적으로 소요되는데
이러한 필수요소인 저장장치로서의 플레쉬 메모리는 그 단가가 다른 소자
대비해서 상당히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한 휴대형 모바일 기기
에 있어 소비자가격의 인상요인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휴대형 정보기기의 외부 저장장치로서 기존의 유선방식이 아닌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게 함으로서 공간상, 설치상의 제약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다. 물론 본 발명의 원격접속용 무선 메모리 장치가 PDA,
MP3, E-BOOK등 각종 휴대형 모바일 정보기기와 접속되려면 휴대형 모바일
기기내에서 무선통신 모듈이 들어가 있거나 어댑터 형태로 연결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1]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 본 발명의 종래기술
[도 3] 본 발명의 전원공급 체계도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 1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 2
본 발명은 무선방식 메모리장치에 관련한 발명으로 전원 충전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고 컴퓨터 표준 인터페이스에 접속, 연결 사용시에는 블루투스
의 기능과 플레쉬 메모리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수 있고 또한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본 발명의 제품을 휴대하여 들고 다니면서도 내재된 밧데리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메모리 즉 모바일 메모리로서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의
활용이 가능한 원격접속 방식 무선 메모리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로서 컴퓨터 표준인터페이스인 USB
콘넥터(10)와 허브부(40), 메모리부(50), 블루투스부(60), 중앙처리장치(70)
충전부(20), 밧데리(25), 스위치(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시스템적 동작을 알아보면 먼저 USB잭에 PC의 USB잭과 연결 접속이 되면
허브부(40)에서 메모리부(50)과 블루투스부(60)의 두가지 경로를 동시 접속
할수있게끔 하드웨어적으로 셋팅이 된다. 이와같은 구조만으로는 PC쪽의
소프트웨어적으로 메모리기능을 수행할지 아니면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할
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PC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장형 메모리
기능과 블루투스 무선통신기능을 겸할수 있게 된다.
또한 USB잭에는 그 표준 규격에 따라 전원핀(+5V)와 그라운드핀 그리고 두개
의 데이터라인(D+, D-)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발명의 충전부(20)으로는 USB
의 전원핀(+5V)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안정화 회로 및 충전제어부로 구
성된 충전부(20)를 거쳐 다음단 밧데리(25)쪽으로 일정 충전전류를 흘려보내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컴퓨터의 USB잭과 본 발명의 USB잭
이 연결접속된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완료 표시용 LED(91)가
온되어 점등되게 된다. 충전완료 표시용 LED(91)가 온 되어 충전이 완료되면
밧데리(25)쪽에 더이상 충전전류를 흘려보내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원격 메모리장치가 컴퓨터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블루투스 무선통신기능과 외부저장 메모리 기능 그리고 본 발명
의 구조에 있어 충전용 밧데리(25)에 충전기능을 동시에 수행할수 있게
된다. 이상태 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컴퓨터로 부터 분리하면 이제부터는
밧데리 전원으로 본 발명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전원제어
스위치(30)에 의해 동작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에 전원제어 스위치(30)
가 없다면 밧데리가 사용여부에 상관없이 소모됨으로 이내 사용시간상의
제약을 받게 됨으로 전원제어 스위치(30)를 부설하였다.
그 동작을 알아보면 우선 전원제어 스위치(30)가 오프되어 있으면 본 시스템
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오프상태가 된다. 하지만 전원제어 스위치(30)를
온하면 먼저 무선메모리 동작 상태임을 알리는 LED(90)이 점등되게 되고
다이오우드(85)를 경유하여 본 발명의 각 블록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되며
이때 저항(R1)은 전류제한용으로 작용한다.
이때 다이오우드(80)은 USB잭 쪽으로 역전류가 흐르는것을 막기위함
이다. 상기한바와 같이 밧데리로 동작할경우는 메모리부(50)의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70)가 입출력 처리하면서 블루투스부(60)쪽을 제어하여 무선
으로 원격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 즉 PDA, MP3, E-Book등의 휴대용 기기 또는
일반 컴퓨터류와의 연결접속을 이루면서 무선 메모리장치로서의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블루투스의 표준 프로파일중 하나인 시리얼통신을 할수
있으며 그외에 원격접속될 본체 시스템의 프로파일에 따라 대응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서 USB잭과 블루투스가 일체화 된 경우와
USB잭과 메모리가 일체화 된 경우가 있다. 이때는 각각의 단일 기능으로만
작동될것이며 반드시 본체와 연결접속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등 활용용도가
극히 제약을 받을것으로 예상된다.
[도 3]은 본발명의 선택적 전원공급과 역류방지기능을 수행하기위한 전원
경로 제어에 관련한 회로이다. 컴퓨터의 USB잭에 연결되어 본발명을 사용
할 경우는 USB전원 즉 +5V가 다이오우드(80)을 통해 본 발명의 주요 블록
으로 전원 공급되며 이때는 밧데리(25)쪽의 전압이 5V 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제어스위치(30)의 온, 오프 여부에 상관없이 다이오우드(85)는
역방향 바이어스 되어 있어 역류를 방지할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의 USB잭에서 본 발명의 장치가 분리되었을때는 더이상
다이오우드(80)을 통해 전원이 투입되지않고 밧데리(25)의 충전전압에
의해 전원제어스위치(30)가 온된후 다이오우드(85)를 경유하여 본 장치의
주요블록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때는 플레쉬 메모리의 데이터
를 중앙처리장치(70)이 주고 받으며 블루투스부(60)을 통해 원격에 있는
블루투스기기와 무선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경우 본 장치는 무선 원격
접속 메모리 장치가 되는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PC표준 인터페이스인 USB잭
대신 또다른 PC표준 인터페이스인 PCMCIA 인터페이스나 PDA에 많이 채용
되고 있는 컴팩트플레쉬 인터페이스로 대체한 것이며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매우 다양한 응용분야가 나올수 있는것이다. PCMCIA 인터페이스는 노트북을
중심으로 많이 채용되고 있는 표준인터페이스로서 명함사이즈정도의 공간과
면적을 가져갈수 있는 카드형태의 주변기기 표준이라고 볼수 있다.
그리고 컴펙트플레쉬의 경우는 휴대형 정보기기인 PDA에 외부기기나 다른
디바이스 즉 메모리나 LAN카드 혹은 CDMA모듈등을 내장하여 PDA의 사용환경
을 다양화하는데 일조하는 표준인터페이스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일체화함으로서 매우 다양한 적용제품 범위의 확대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 에서는 면적은 어느정도 보장이 되나 높이가 낮은편임으로 적용
할 밧데리는 슬림형 충전밧데리를 적용해야 할것이다. 그리고 블루투스
안테나부의 경우는 가능한한 적용 제품(SET)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고려
되어야 할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앞서 [도 1]과 [도 4]에서
적용한 1 : 2 허브(40)가 아니라 1 : 4 허브(45)를 적용하며 이때 4 개의
확장포트중 2개는 블루투스부(60)과 메모리부(50)의 용도로 사용하고 나머
지 추가 2개의 확장포트(11,12)는 사용자가 임의로 각종의 USB 주변기기
즉 마우스, 스피커, 키보드, LAN등을 꼽아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구조
이다. 일반적인 데스크 탑 컴퓨터니 노트북의 경우는 2개의 USB포트만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최근의 다양한 USB주변기기의 등장으로 이를
사용할려면 반드시 USB 확장용 허브가 필요했든바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널리 쓰이게 될 블루투스 기능과 확장 메모리기능은 기본적
으로 탑재시키고 그기에 추가하여 2포트 정도의 USB확장 포트 여유분을
둔 방식이다.
본 발명은 최근에 다양하게 시장에 등장하는 각종의 모바일 기기 즉 PDA
MP3, E-Book, 휴대폰등에 필수적이고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외부 확장 메모리
를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인 블루투스 기술과 결합하여 제품(Set)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었을 경우는 각각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유선
연결된 제품(Set)로 부터의 전원을 이용 본발명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기능까지 가져감으로서 본발명의 장치를 제품(Set)로
부터 분리 하였을때는 원격 무선 접속용 메모리로서 작용할수 있게 함으로서
휴대용 무선 메모리를 구성할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 메모리는
다양한 정보기기 즉 PDA, MP3, E-Book, 휴대폰등에 탑재하거나 부착시키는
과정없이 무선접속만으로 마치 결합되어 있는것처럼 사용이 가능하며 이기종
기기간의 정보교환 및 데이터의 전달 및 저장이 용이해진다.

Claims (3)

  1. 무선통신부와 메모리가 결합되어 표준 외부인터페이스에 연결 접속되는 장치
    에 있어
    표준인터페이스 접속수단과 상기한 접속수단에 확장기능을 가지는 허브부와
    상기한 허브부와 연결접속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저장장치와
    상기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저장장치의 제어을 하기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상기한 표준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인입된 전원으로 부터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부와 상기한 충전부의 제어를 받는 밧데리수단과
    상기한 밧데리수단으로 부터의 충전전압을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한 표준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인입된 전원을 직접 사용하거나
    상기한 밧데리수단으로 부터의 충전전압을 사용하는것을 선택적으로 제어
    하기 위한 전원 제어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접속용 무선 메모리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 표준인터페이스 수단은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USB),
    PCMCIA 혹은 컴펙트플레쉬로 구성될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접속용
    무선 메모리 장치.
  3. 무선통신부와 메모리가 결합되어 표준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 접속되는
    장치에 있어
    적어도 2개이상의 확장기능을 가지는 허브부와 상기한 2개의 확장 포트에는
    블루투스부와 저장장치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나머지 추가 확장포트에는 상기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따르는 임의의 주변
    기기를 연결접속해 확장사용이 가능토록 확장포트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접속용 무선 메모리 장치.
KR1020020019349A 2002-04-10 2002-04-10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KR20030080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349A KR20030080625A (ko) 2002-04-10 2002-04-10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349A KR20030080625A (ko) 2002-04-10 2002-04-10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25A true KR20030080625A (ko) 2003-10-17

Family

ID=3237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349A KR20030080625A (ko) 2002-04-10 2002-04-10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62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238A (ko) * 2002-05-08 2003-11-14 김하영 데이터센터 시스템 및 착탈식 데이터팩
KR20030095909A (ko) * 2002-06-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용 확장 어뎁터 및 이를 이용한 중계방법
WO2004070964A1 (en) * 2003-02-10 2004-08-19 Jung Yel Na External memor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mobile phone
WO2004070514A2 (en) * 2003-02-07 2004-08-19 Bluzen Co., Ltd.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evice
US8027165B2 (en) 2004-07-08 2011-09-27 Sandisk Technologies Inc. Portable memory devices with removable caps that effect operation of the devices when attached
KR101300756B1 (ko) * 2012-01-04 2013-08-29 주식회사 리얼브레인 블루투스 통신 지원장치
CN103871448A (zh) * 2014-03-04 2014-06-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手机作无线存储器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253A1 (en) * 1997-11-14 1999-05-27 Atmel Corporation Programmable access protection in a flash memory device
KR200177637Y1 (ko) * 1999-10-26 2000-04-15 유경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카드 장치 및 무선 통신이가능한 장치
KR20010037513A (ko) * 1999-10-18 2001-05-07 조명래 휴대용 영상음악 재생장치 및 방법
JP2001189785A (ja) * 1999-10-20 2001-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器用バッテリ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パックを装着した携帯電話機
JP2001236935A (ja) * 2000-02-24 2001-08-31 Sony Corp 電池パック及び携帯電話装置
KR200244892Y1 (ko) * 2001-06-12 2001-10-29 김선섭 휴대폰의 i/o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 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253A1 (en) * 1997-11-14 1999-05-27 Atmel Corporation Programmable access protection in a flash memory device
KR20010037513A (ko) * 1999-10-18 2001-05-07 조명래 휴대용 영상음악 재생장치 및 방법
JP2001189785A (ja) * 1999-10-20 2001-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器用バッテリ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パックを装着した携帯電話機
KR200177637Y1 (ko) * 1999-10-26 2000-04-15 유경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카드 장치 및 무선 통신이가능한 장치
JP2001236935A (ja) * 2000-02-24 2001-08-31 Sony Corp 電池パック及び携帯電話装置
KR200244892Y1 (ko) * 2001-06-12 2001-10-29 김선섭 휴대폰의 i/o커넥터를 이용한 메모리 확장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238A (ko) * 2002-05-08 2003-11-14 김하영 데이터센터 시스템 및 착탈식 데이터팩
KR20030095909A (ko) * 2002-06-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용 확장 어뎁터 및 이를 이용한 중계방법
WO2004070514A2 (en) * 2003-02-07 2004-08-19 Bluzen Co., Ltd.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evice
WO2004070514A3 (en) * 2003-02-07 2005-01-06 Haansecure Co Ltd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evice
WO2004070964A1 (en) * 2003-02-10 2004-08-19 Jung Yel Na External memor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mobile phone
US8027165B2 (en) 2004-07-08 2011-09-27 Sandisk Technologies Inc. Portable memory devices with removable caps that effect operation of the devices when attached
KR101300756B1 (ko) * 2012-01-04 2013-08-29 주식회사 리얼브레인 블루투스 통신 지원장치
CN103871448A (zh) * 2014-03-04 2014-06-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手机作无线存储器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3876B1 (en) A modular data processing system
CN106134033B (zh) 用于对电池进行充电的方法和电子装置
US7925904B2 (en)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for integrated interface of PDA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14381B2 (en) System for performing re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KR20090091343A (ko) 통합된 통신 및 정보 처리 시스템
US20190052105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pple and android devices
US20120270602A1 (en)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troller
KR20030080625A (ko) 표준 인터페이스방식 원격접속용 무선메모리장치
US7654861B2 (en) Connector and method thereof
KR20160081676A (ko) 트래블 어댑터
KR20150069659A (ko) 유에스비 연결 장치
US20100211805A1 (en) Method of supplying power for a device wired adapter,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system
JP3118303U (ja) 伝送機能を有するマルチ用途充電装置及びマルチ用途充電システム
KR101799487B1 (ko) 오티지 메모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
CN220208164U (zh) 外设底座的电路
KR102109582B1 (ko)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CN211787072U (zh) Usb供电及数据传输装置
CN214674403U (zh) 一种充放电电路与电子设备
KR200366033Y1 (ko) 유에스비 메모리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KR200330771Y1 (ko)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KR200288185Y1 (ko) Usb 단자를 내장한 휴대폰
KR100733348B1 (ko) 전원공급이 용이한 전기전자기기
KR100776614B1 (ko) 마스터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드라이브장치
CN203366183U (zh) 一种手持便携卫星通信控制模块
KR200402754Y1 (ko) 전원공급이 용이한 전기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