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399A -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 Google Patents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399A
KR20040070399A KR1020030006597A KR20030006597A KR20040070399A KR 20040070399 A KR20040070399 A KR 20040070399A KR 1020030006597 A KR1020030006597 A KR 1020030006597A KR 20030006597 A KR20030006597 A KR 20030006597A KR 20040070399 A KR20040070399 A KR 20040070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d controller
parameter
target system
pid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835B1 (ko
Inventor
장평훈
정제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3-000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835B1/ko
Priority to US10/697,816 priority patent/US6937908B2/en
Publication of KR2004007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11/4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for obtaining a characteristic which is both proportional and time-dependent, e.g. P. I., P. I. 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3/0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 G05D13/34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3/6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using regulating devices with proportional band, derivative and integral action, i.e. PID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05B13/02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in which a parameter or coefficien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ID 제어기의 설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 매니퓰레이터와 같이 2차 상 변환형식(phase variable form)으로 표현되는 비선형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에 PID 제어기 사용시 PID 제어기의 게인을 체계적으로 선정하는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적 게인의 선정을 위해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에서 PID 제어기와 시간지연제어(Time Delay Control)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PID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본 발명은 제어 대상 시스템의 차수를 n이라 했을 때 3n개의 PID 제어기 게인들을 한 개나 n 보다 작은 개수의 파라미터로 체계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A Being Most Suitable Gain Selection Method of PID Controller}
본 발명은 PID 제어기의 설계에 관한 것으로 2차 상 변환형식(phase variable form)으로 표현되는 비선형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에 PID 제어기 사용시 PID 제어기의 게인을 체계적으로 선정하는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PID 제어기의 게인 동조(tuning)에 관한 특허는 다수가 있다. 관련 특허들을 분석해 보면 크게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PID 제어기를 구성할 때 게인 동조(tuning)를 위해 어떻게 회로를 구성할 것인가 하는 방향과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PID 제어기의 게인을 동조(tuning)하는 방법에 관한 방향(알고리즘)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은 PID 제어기 게인 선정의 방법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특허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종래의 특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US6081751 : System and method for closed loop autotuning of PID controllers.
US5971579 : Un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gains a of PID controller using a genetic algorithm.
US5742503 : Use of saturation relay feedback in PID controller tuning.
US5331541 : PID control unit.
US5229699 :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ID controller tuning.
US5057993 :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parameters in process control.
US4754391 : Method of determining PID parameters and an autotuing controller using the method.
US4466054 : Improved proportional integral-derivative control apparatus.
위 특허들은 기본적으로 온라인 동조(online tuning) 방법으로 제어 과정에서 세트 포인트 값(setpoint value)과 처리 변화(process variable)를 측정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PID 제어기 게인을 자동으로 동조(tuning)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먼저 US6081751 특허는 도 1a와 같은 순서도로 PID 제어기의 게인 동조(tuning)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설명하면 릴레이(Relay)를 통해 발생한 진동의 주기와 진폭을 이용하여 Ziegler-Nichols method나 중간 스텝(intermediate step)을 통하여 PID 제어기의 새로운 게인을 구하는 방법이다. US5971579 특허는 도 1b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PID 제어기의 게인을 동조(tuning)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US5742503 특허는 변환기능(transfer function)을 이용하여변환기능(transfer function)의 파라미터를 두 단계를 통하여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PID 제어기의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US5331541 특허는 스텝 응답 방법(step response method)을 이용하여 참고값(reference)이 변화는 경우 신원확인(identification)을 통하여 상승도달(rise reach) 지점에서 지연시간(idle time)과 기울기(slope)를 이용하여 PID 제어기의 파라미터들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US5229699 특허는 PID 제어기의 게인중 비례 게인(proportional control gain)을 증가시켜 원하는 진동(oscillation)을 만든 뒤 이를 이용하여 주기와 진폭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최후 이득(ultimate gain)과 최후 기간(ultimate period)을 구하고 다시 이 값들을 이용하여 PID 제어기의 파라미터들을 셋팅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US5057993 특허는 신원확인 신호 발생기(identification signal generator)에서 나온 신호를 이용하여 처리(process)를 거치고 나온 제어된 변환출력(controlled variable output)의 데드 타임(dead time)과 최대 경사(maximum gradient)를 이용하여 PID 제어기의 초기값을 구하고, 이 초기값과 적응 구간(adaptive section)에서 구해진 펄스 변환 기능(pulse transfer function)과의 주파수 영역에서 부분 매칭 방법(partial matching method)를 통하여 PID 제어기의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US4754391 특허는 처리과정(process)의 특성을 얻기 위해 제어된 처리과정(process)에서 발생된 한계 사이클(limit cycle)을 모니터링 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PID 제어기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US4466054 특허는 PID 제어기와 비선형 제어기가 결합된 제어기를 제안하는데 여기에 처리과정(process)의 역동적 특성(dynamic characteristic)을 구하기 위한 부분과 이를 바탕으로 PID 제어기의 게인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 1c가 이 방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은 온라인으로 제어를 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 PID 제어기의 게인을 자동적으로 동조(tuning)를 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부가적인 시스템을 더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갖는 PID 제어기를 복잡하게 만들고 중간에 필요한 값들을 계산하는데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 시스템이 선형 시스템으로 제안돼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차 상 변환형식(phase variable form)으로 표현되는 비선형 MIMO 시스템에 대해 별도의 추가 장치없이 제어를 위한 컴퓨터와 I/O Board 만을 사용하고 그 컴퓨터 안에서 구현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PID 제어기를 구현시 게인들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알고리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수학적으로 2차 변수형태로 표현되는 멀티인풋 멀티아웃풋(Multi Input Multi Output) 타입의 제어 대상시스템을 선정하는 단계(S1000); 선정된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에 대해 PID(Proportion Derivation Integration) 및 TDC(Time Delay Control)의 각 파라메터가 상관관계를 갖도록 유도하는 단계(S2000);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오차 동역학을 갖도록 고유주파수 벡터( ω) 및 감쇠비 벡터( ξ)를 결정하는 단계(S3000); 상기 결정된 고유주파수 벡터( ω) 및 감쇠비 벡터( ξ)를 기초로 상기 유도된 상관관계에서 상기 오차동역학을 갖도록 하는 상수대각 행렬 형태의 각 파라메터( KD와 KP)를 결정하는 단계(S4000);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의 샘플링 시간( △t)을 결정하는 단계(S5000); 및 상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PID 제어의 각 게인을 선정하는 단계(S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관관계를 유도하는 단계(S2000)는, 상기 선정된 제어대상시스템에 대해 PID 제어기의 비례게인 행렬(K) 및 샘플링시간(△t)을 공유파라메터로 유도하는 단계(S3100); 상기 유도된 PID 제어기에 대해 상기 TDC의 각 파라메터가 수학적으로 대응하도록 관계충족파라메터( B-1)를 공유파라메터로 유도하는 단계(S3200); 및 상기 대응하는 각 파라메터별로 개별 도출하여 정리하는 단계(S330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TDC에서 상기 관계충족파라메터( B-1)는 상수 및 단위행렬의 곱으로 표현되고, 상기 PID제어기에서의 비례게인행렬(K)에 수학적으로 대응되는 것이특징이다.
또한, 상기 PID제어기는 상기 제어대상시스템과 I/O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컴퓨터에 내장되어 각 파라메터별 상관관계를 입력된 소정조건에 따라 연산 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a는 종래의 PID 제어기 공조에 대한 실시예도.
도 1b는 종래의 PID 제어기 공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c는 종래의 PID 제어기 공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PID 제어기와 제어대상 시스템을 포함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4a, b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상 시스템인 6자유도 퓨마로봇 매니 퓰레이터 구성도.
도 6a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설계한 PID 제어기를 대상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응답 오차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도 6b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설계한 PID 제어기를 대상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제어 입력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컴퓨터 22: I/O 보드
23: 대상 시스템 31: PID 콘트롤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2와 같은 하드웨어를 갖춘 시스템을 생각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로써 컴퓨터(21)와 I/O보드(22) 및 대상 시스템(23)으로 이루어지며, 이 시스템에서 PID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21)에서 구동이 되게 된다. 이 때 PID 제어를 위해 PID 제어기의 게인들을 설계하여야 하는데 그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설계 방법을 다루기 전에 대상 시스템(23)의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다룰 대상 시스템(23)은 2차 상 변환형식(phase variable form)으로 표현되는 비선형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으로 수학적으로는식 (1)과 같은 형태를 갖는 시스템이다.
(1)
여기서 시스템의 차수를 n이라고 했을 때 x는 제어하기를 위한 n×1변수 벡터를 의미하고는 시스템의 마찰 등을 포함한 동역학(dynamics)을 의미하는 n×1비선형 벡터 항이고는 입력 분포를 의미하는 n×n행렬 항이고 u는 시스템에 들어가는 n×1입력 변수 벡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로봇 매니퓰레이터가 식 (1)과 같은 시스템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는 x는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각 축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벡터가 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것은 식 (1)과 같은 시스템에 PID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u를 설계함에 있어 PID 제어에 필요한 Proportional, Derivative, Integral gain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표현하면 도 3과 같다.는 제어하기 원하는 궤적을 의미한다.
PID 제어기(31)의 게인 설계를 위해 먼저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에서 강인 제어 기법으로 알려진 시간 지연 제어(Time Delay Control)와 PID 제어기 사이의 관계를 밝힌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은 이산 시간 시스템과 연속 시간 시스템이 같이 있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실제로 식 (1)과 같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경우 제어기로는 보통 컴퓨터(21)를 사용하는데 이런 경우 제어기는 컴퓨터는 이산 시간 시스템이 되고제어 대상 시스템(23)은 연속 시간 시스템이 되어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이 된다.
먼저 PID 제어기(31)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PID 제어기는 식 (2)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2)
여기서 e(t)=(t)-x(t)인 오차 벡터이고 K는 n×n인 상수 대각 비례 게인
행렬,는 derivative time을 의미하는 n×n인 대각 상수 행렬,는 reset 또는 integral time을 의미하는 인 대각 상수 행렬이다.
결국 PID 제어기(31)를 설계하는 뜻은 K,,를 선정한다는 의미가 된다.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에서는 컴퓨터(21)에서 프로그램으로 식 (2)를 구현하기 때문에 시간 t는 제어 시스템의 sampling time(△t) 과 step 수(a=1,2,...k)의 조합으로 t=a·△t 처럼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제어 변수 만을 측정할 수 있는 경우는 식 (3)처럼 수치미분을 통해서 구현이 되고 적분 부분은 식 (4)처럼 구현된다.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t는 생략한다.
(3)
(4)
식 (3)과 식 (4)를 식 (2)에 넣고 다시 정리를 해주면 식 (5)와 같아진다.
(5)
u(k)에서 u(k-1)를 빼고 다시 정리해 주면 식 (6)처럼 다시 쓸 수 있다.
(6)
그러므로 샘플링 데이터(sampled data system)에서 PID 제어기는 식 (6)처럼 표현할 수 있다.
이제 시간 지연 제어(Time Delay Control(TDC))에 대해 설명한다. 시간 지연 제어(Time Delay Control)는 비선형 강인 제어 기법으로서 K. Youcef-Toumi 와 S.-T. Wu(1992)의 input/output liberalization using time delay control-Trans. Of ASME, J. Dyn. Sys., Meas., Contr.,vol. 114, pp. 10-19 논문에 설명되어 있다.
식 (1)과 같은 시스템에 TDC를 적용하는 경우 식 (7)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7)
여기서 λ는 시간 지연 값을 나타내고는 TDC와 제어 대상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폐루프 시스템이 원하는 오차 동역학을 갖도록 결정하는 n×n 상수 대각 행렬을 의미한다.는 식 (8)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선정되는 파라미터이다.
(8)
하첨자 i2는 induced matrix 2 norm을 의미하고을 나타낸다. β1과 β2는 L2 이득으로써 그 의미는 아래와 같다. 먼저 ε(t)를 식 (9)와 같이 정의한다.
(9)
또한H, G라하고는 시간T에서 truncated된 ·(t)의norm을 의미한다고 정의한다. 그리고 벡터 ε(t)의 각 element에 대해 operator를 고려하면사이의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를 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0)
또한 operator를 고려하면사이의 전달함수를 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여기서,는 각각,의 i번째 대각성분을 나타낸다. 그럼 전달함수의 이득은 식 (12)와 같이 정의된다.
(12)
그리고이고이다. 또한이고이 된다. 따라서는 식 (13)과 같이 구해진다.
(13)
PID 제어기에서와 마찬가지로 TDC도 sampled data system에서 사용하는 경우 시간 지연 값 λ는 제어 시스템의 sampling time △t가 되고는 수치미분 방법중 오차가 적은 central difference 방법으로,,는 backward difference 방법으로 식 (14)처럼 구현이 된다.
(14)
식 (14)를 식 (7)에 넣고 PID 제어기에서의 경우와 같이 다시 정리하면 식 (15)처럼 쓸 수 있다.
(15)
결국 식 (15)가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에서 TDC의 형태가 된다.
식 (6)과 식 (15)를 비교해 보면 샘플링 데이터 시스템(sampled data system)에서 PID 제어기와 TDC가 같은 형태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PID 제어기의 게인과 TDC의 파라미터 사이에 다음의 Relationship 1이 성립하게 된다.
위의 Relationship 1을 살펴보면 △t는 제어 시스템의 sampling time이 되고,는 전체 폐루프 시스템의 오차 동역학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써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 결정이 되는 값이다. 그러므로만 결정이 되면 자동적으로 PID 제어기의 게인들이 모두 결정되게 된다.
는 앞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식 (8)을 만족하도록 선정을 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아래의 두 방법으로 결정이 된다.
1)=I(는 상수, I는 단위행렬)
2)는 상수 대각 행렬
Relationship 1을 바탕으로 PID 제어기의 체계적인 설계 과정은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 각 부분을 자세히 설명하면
수학적으로 2차 변수형태로 표현되는 멀티인풋 멀티아웃풋(Multi Input Multi Output) 타입의 제어 대상시스템을 선정하는 단계(S1000)와; 선정된 상기제어 대상시스템에 대해 PID(Propotion Derivation Integration) 및 TDC(Time Delay Control)의 각 파라메터가 상관관계를 갖도록 유도하는 단계(S2000)와;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오차 동역학을 갖도록 고유주파수 벡터(ω) 및 감쇠비 벡터( ξ)를 결정하는 단계(S3000); 상기 결정된 고유주파수 벡터(ω) 및 감쇠비 벡터( ξ)를 기초로 상기 유도된 상관관계에서 상기 오차동역학을 갖도록 하는 상수대각 행렬 형태의 각 파라메터(KD와 KP)를 결정하는 단계(S4000)와;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의 샘플링 시간(△t)을 결정하는 단계(S5000); 및 상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PID 제어의 각 게인을 선정하는 단계(S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관관계를 유도하는 단계(S2000)는,
상기 선정된 제어대상시스템에 대해 PID 제어기의 비례게인 행렬(K) 및 샘플링시간(△t)을 공유파라메터로 유도하는 단계(S3100); 상기 유도된 PID 제어기에 대해 상기 TDC의 각 파라메터가 수학적으로 대응하도록 관계충족파라메터( B-1)를 공유파라메터로 유도하는 단계(S3200); 및 상기 대응하는 각 파라메터별로 개별 도출하여 정리(Relationship 1)하는 단계(S330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S1000단계에서 수학적으로 2차 변수형태로 표현되는 멀티인풋 멀티아웃풋(Multi Input Multi Output) 타입의 제어 대상시스템을 선정하고, S2000 단계에서 선정된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에 대해 PID(Propotion Derivation Integration) 및 TDC(Time Delay Control)의 각 파라메터가 상관관계를 갖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S3000단계는 대상 시스템이 따라가기를 원하는 오차 동역학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오차 동역학은 설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고유 주파수 벡터(ω)와 감쇠비 벡터()의 선정으로 오차 동역학을 결정한다. S4000단계에서는 S3000단계에서 결정된 고유 주파수와 감쇠비 벡터를 바탕으로,를 결정한다. 고유 주파수 벡터의 i번째 항을라하고 감쇠비 벡터의 i번째 항을라 하면 행렬,의 i번째 대각 성분은의 관계를 통해 구해진다. S5000단계는 제어 시스템의 샘플링 타임(sampling time)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가능한 작게 선정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제어기의 하드웨어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CPU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값이다.
그리고, S3100 단계와 S3200 단계는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앞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중 하나의 방법으로 식 (8)을 만족하도록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S3300단계에서 제안한 Relationship 1을 이용하여 PID 제어기의 게인들을 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실제 제안한 방법의 적용예를 살펴보자. 여기서 보인 적용예는 물리적인 대상 시스템으로 한 것이 아니고 컴퓨터 상에서 가상으로 대상 시스템을 만들어 적용 한 예이다.
대상 시스템으로는 도 5와 같은 6자유도 퓨마 타입(Puma type) 로봇 매니퓰레이터를 생각한다. 이 로봇은 B. Armstrong, O. Khatib, J. Burdick(1986)의 Theexplicit dynamic model and inertial parameters of the PUMA 560 arm -IEEE Int.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s,pp.510-518 논문에 나와 있는 모델이다.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동역학 식은 식 (17)과 같다.
(17)
여기서 M(θ)는 6 ×6인 관성 행렬이고 θ는 6축의 회전각을 뜻하는 6 ×1 벡터,는 코리올리(Coriolis)력과 원심력의 나타내는 벡터, G(θ)는 중력 벡터,는 마찰력이나 외란(disturbance)과 같이 모델링 되지 않은 힘을 나타내는 6×1벡터, τ는 관절에 가해지는 6 ×1 토크 벡터를 나타낸다. 식 (1)과 식 (17)를 비교해보면이 된다. 도 4의 순서대로 설계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6축 모두 오차 동역학의 pole이 5에 중근으로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6축 모두 고유 진동수=5(i=1, ...6), 감쇄비=1(i=1, ...6)가 된다.
여기서, 6축 모두=10,=25(i=1, ...6)이 된다.
그리고, 제어기의 샘플링 타임(sampling time)은 △t=0.001sec 이고,
그리고, Puma 560의 경우 로봇 팔 부분과 손목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두 부분은 질량 및 구조 차이로 인해 관성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1,2,3축에 같은 값(), 4,5,6축에 같은 값() 이렇게 두 개의 값을 사용한다.
이면으로 만족.
이후, Relationship 1을 이용.
계산하면 총 18개의 PID 제어기 게인들이 선정된다.
도 3에서 보여지는(t)는 6축 모두 식 (18)과 같다고 가정한다.
(18)
제안한 방법으로 설계한 PID 제어기의 값을 사용하여 제어한 결과는 도 6a 와 도 6b에 보여진다.
도 6a은 응답오차 e(t)를 도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입력 토크(τ)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첫 번째 도면(상부도면)에서 solid선은 1축, dotted선은 2축, dash선은 3축을 의미하고 두 번째 도면(하부도면)에서 solid선은 4축, dotted선은 5축, dash선은 6축을 의미한다. 도 6b에서도 마찬가지로 첫 번째 도면(상부도면)에서 solid선은 1축, dotted선은 2축, dash선은 3축을 의미하고 두 번째 도면(하부도면)에서 solid선은 4축, dotted선은 5축, dash선은 6축을 의미한다. 도6a와 도 6b를 보면 제안한 방법으로 설계한 PID 제어기의 적용 결과 6축 모두 제어가 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PID 제어기 게인 선정시 작은 개수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많은 수의 PID 제어기 게인들을 선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6축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경우 선정하여할 PID 제어기의 게인은 총 18개이다. 하지만 단 두 개의 파라미터()로 18개의 게인들을 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n차 시스템이 되면 선정하여야 할 PID 제어기 게인은 총 3n개가 되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면 한 개나 n보다 작은 개수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3n의 게인을 선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에 즉 실제로 PID 제어기를 tuning하여야 할 경우 3n 개의 게인을 모두 동조(tuing)하지 않고 한 개나 n 보다 작은 개수의 게인 동조(tuning)를 통해 3n개의 게인을 모두 체계적으로 동조(tuning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적용 시스템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적용 시스템이 선형 시스템 및 비선형 시스템을 포함하여 다루고 있고 또한 MIMO 시스템까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방법적인 면에서도 앞 단락에서 언급되었듯이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제어기 컴퓨터(21)에서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PID 제어기의 게인을 체계적으로 선정하고 동조(tuning) 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4)

  1. 수학적으로 2차 변수형태로 표현되는 멀티인풋 멀티아웃풋(Multi Input Multi Output) 타입의 제어 대상시스템을 선정하는 단계(S1000);
    선정된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에 대해 PID(Propotion Derivation Integration) 및 TDC(Time Delay Control)의 각 파라메터가 상관관계를 갖도록 유도하는 단계(S2000);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오차 동역학을 갖도록 고유주파수 벡터( ω) 및 감쇠비 벡터( ξ)를 결정하는 단계(S3000);
    상기 결정된 고유주파수 벡터( ω) 및 감쇠비 벡터( ξ)를 기초로 상기 유도된 상관관계에서 상기 오차동역학을 갖도록 하는 상수대각 행렬 형태의 각 파라메터( KD와 KP)를 결정하는 단계(S4000);
    상기 제어 대상시스템의 샘플링 시간( △t)을 결정하는 단계(S5000); 및
    상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PID 제어의 각 게인을 선정하는 단계(S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를 유도하는 단계(S2000)는,
    상기 선정된 제어대상시스템에 대해 PID 제어기의 비례게인 행렬(K) 및 샘플링시간(△t)을 공유파라메터로 유도하는 단계(S3100);
    상기 유도된 PID 제어기에 대해 상기 TDC의 각 파라메터가 수학적으로 대응하도록 관계충족파라메터( B-1)를 공유파라메터로 유도하는 단계(S3200); 및
    상기 대응하는 각 파라메터별로 개별 도출하여 정리하는 단계(S3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DC에서 상기 관계충족파라메터( B-1)는 상수 및 단위행렬의 곱으로 표현되고, 상기 PID제어기에서의 비례게인행렬( K)에 수학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ID제어기는 상기 제어대상시스템과 I/O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컴퓨터에 내장되어 각 파라메터별 상관관계를 입력된 소정조건에 따라 연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KR10-2003-0006597A 2003-02-03 2003-02-03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KR10050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597A KR100507835B1 (ko) 2003-02-03 2003-02-03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US10/697,816 US6937908B2 (en) 2003-02-03 2003-10-29 Method for tuning PID controllers applicable to nonlinear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597A KR100507835B1 (ko) 2003-02-03 2003-02-03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399A true KR20040070399A (ko) 2004-08-09
KR100507835B1 KR100507835B1 (ko) 2005-08-17

Family

ID=3276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597A KR100507835B1 (ko) 2003-02-03 2003-02-03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37908B2 (ko)
KR (1) KR100507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5145A (zh) * 2015-10-30 2016-01-13 中国兵器工业集团第二O二研究所 一种基于匀速无静差的位置伺服系统控制方法
KR20160119511A (ko) 2015-04-06 2016-10-14 한국전기연구원 퍼지 pid 제어기 생성 장치 및 그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5695B2 (en) * 2002-01-22 2006-04-25 Imb Contro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PID controller
JP2007519122A (ja) * 2004-01-23 2007-07-12 ジーエスアイ・グループ・コーポレーション 有限回転モ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トローラを診断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0454132C (zh) * 2004-10-11 2009-01-21 吉佳科技股份有限公司 音圈马达定位装置
US7890310B2 (en) * 2004-11-17 2011-02-15 The Mathworks, Inc. Method for analysis of control systems
US7112939B2 (en) * 2004-12-07 2006-09-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bile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363094B2 (en) * 2006-01-09 2008-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variable controller design method for multiple input/outputs systems with multiple input/output constraints
US7979483B1 (en) 2006-08-16 2011-07-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lexed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filter architecture (Mux-PID) for control-loop applications
US7809668B1 (en) * 2006-11-22 2010-10-05 Universidad Del Norte System and method to avoid oscillatory behavior in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PID) controllers by using fuzzy inference and modified/active damping
CN101436035B (zh) * 2008-12-16 2010-06-02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用于抽水蓄能机组调速器的双微分通道pid控制方法
TWI391800B (zh) * 2009-04-21 2013-04-01 Univ Shu Te Applied to the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Controller
JP6305673B2 (ja) * 2011-11-07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
CN102540875A (zh) * 2011-12-26 2012-07-04 浙江工业大学 基于满意数字pid控制器的离散时滞系统控制方法
CN102621882B (zh) * 2012-03-30 2013-09-04 山东轻工业学院 基于前馈-模糊pid控制的切纸机控制方法
CN102890446B (zh) * 2012-10-08 2015-10-14 北京化工大学 一种非方时滞系统的imc-pid控制器的设计方法
CN103197542B (zh) * 2013-02-07 2016-04-13 浙江工业大学 基于数据驱动的时滞系统pid控制器镇定方法
US9886008B1 (en) * 2013-06-07 2018-02-06 The Mathworks, Inc. Automated PID controller design, using parameters that satisfy a merit function
KR101478450B1 (ko) 2013-07-19 2014-12-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변수 비선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pid 가변 이득설계 방법
CN103809434B (zh) * 2014-02-28 2016-05-18 西安费斯达自动化工程有限公司 纵向飞行模型簇复合根轨迹多级pid控制器设计方法
CN104950905B (zh) * 2015-06-11 2017-12-22 北京控制工程研究所 一种基于复合pid的质心调节机构及调节方法
CN105137764B (zh) * 2015-10-15 2017-10-03 清华大学 一种具有快速响应及鲁棒性能的并联机器人运动控制方法
TWI564683B (zh) 2015-10-21 2017-0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未知pid控制器之參數調諧方法
KR101849464B1 (ko) 2016-08-26 2018-05-3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id 게인 자동 튜닝 방법
CN106681133B (zh) * 2016-12-29 2019-06-28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电网技术研究中心 一种水电机组模型改进型子空间闭环辨识方法
CN107544574B (zh) * 2017-09-07 2020-12-22 上海电力学院 基于嵌入式arm和组合滤波的巡检机器人轮速控制方法
CN109062033B (zh) * 2018-10-19 2021-08-24 宁波市机电工业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pid系统的参数自整定方法
CN109100935B (zh) * 2018-10-23 2021-07-16 长沙理工大学 大时滞系统的阻尼智慧pi控制方法
KR102225315B1 (ko) 2019-06-03 2021-03-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301178B (zh) * 2020-03-11 2022-11-15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状态观测器的磁浮列车pid控制方法
KR102514426B1 (ko) * 2020-09-29 2023-03-2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적응형 pid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5629536B (zh) * 2022-12-07 2023-03-07 太原理工大学 一种适用于一阶时滞积分系统的pid控制器参数整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9004A (en) * 1981-06-01 1982-12-06 Toshiba Corp Sample value adaptive process controller
US4539633A (en) * 1982-06-16 1985-09-0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PID process control apparatus
JPS6266301A (ja) * 1985-09-18 1987-03-25 Yamatake Honeywell Co Ltd オ−トチユ−ニングコントロ−ラ
JP2882586B2 (ja) * 1989-01-13 1999-04-12 株式会社東芝 適応制御装置
JP3275327B2 (ja) * 1991-09-20 2002-04-15 オムロン株式会社 Pid調節器
US5229699A (en) * 1991-10-15 1993-07-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ID controller tuning
US5568377A (en) * 1992-10-29 1996-10-22 Johnson Service Company Fast automatic tuning of a feedback controller
US6330484B1 (en) * 1993-08-11 2001-12-1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uzzy logic control with automatic tuning
US5587899A (en) * 1994-06-10 1996-12-24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ultimate gain and ultimate period of a controlled process
US5742503A (en) * 1996-03-25 1998-04-21 National Science Council Use of saturation relay feedback in PID controller tuning
KR100194377B1 (ko) * 1996-04-08 1999-06-15 윤종용 유전 이론을 이용한 피드 제어기의 이득 결정 장치및방법
US5847952A (en) * 1996-06-28 1998-12-08 Honeywell Inc. Nonlinear-approximator-based automatic tuner
US5818714A (en) * 1996-08-01 1998-10-06 Rosemount, Inc. Process control system with asymptotic auto-tuning
US6081751A (en) * 1997-12-19 2000-06-27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osed loop autotuning of PID controllers
US6510351B1 (en) * 1999-03-15 2003-01-2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odifier function block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6847954B1 (en) * 1999-08-23 2005-01-25 Fisher Rosemount Systems, Inc. Control-loop auto-tuner with nonlinear tuning rules estimators
US6697767B2 (en) * 2000-10-18 2004-02-24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Robust process identification and auto-tuning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511A (ko) 2015-04-06 2016-10-14 한국전기연구원 퍼지 pid 제어기 생성 장치 및 그 생성 방법
CN105245145A (zh) * 2015-10-30 2016-01-13 中国兵器工业集团第二O二研究所 一种基于匀速无静差的位置伺服系统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3173A1 (en) 2004-08-05
US6937908B2 (en) 2005-08-30
KR100507835B1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835B1 (ko) Pid 제어기의 최적 게인 선정방법
Le-Tien et al. Robust adaptive tracking control based on state feedback controller with integrator terms for elastic joint robots with uncertain parameters
Yi et al. Eigenvalue assignment via the Lambert W function for control of time-delay systems
US5737239A (en) Shaking test method and system for a structure
Omidi et al. Vibration reduction in aerospace structures via an optimized modified positive velocity feedback control
Dong et al. Research on spillover effects for vibration control of piezoelectric smart structures by ANSYS
Pan et al. Composite learning fuzzy control of uncertain nonlinear systems
Silva et al. Particle swarm optimization of a non-collocated MIMO PPF active vibration control of a composite sandwich plate
JP3852072B2 (ja) 油圧サーボ式材料試験機
Kaminski et al. An on-line trained neural controller with a fuzzy learning rate of the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for speed control of an electrical drive with an elastic joint
Goubej Kalman filter based observer design for real-time frequency identification in motion control systems
Kordasz et al. Active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 for a flexible-joint manipulator
Kireçci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for a hydraulic robot: a case study
JP2010242914A (ja) 除振システム、除振方法及びプログラム
Cunha et al. Design of cascade controllers for a hydraulic actuator
Ismail et al. Nonlinear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 distributed parameter system with time-varying soft constraints
Balaga et al. Stabilization of Cart Inverted Pendulum System using LQR, Two-Loop PID, and Regional Pole Placement techniques
Liu et al. Active control of smart structures with optimal actuator and sensor locations
Belotti et al. Concurrent design of active control and structural modifications for eigenstructure assignment on a cantilever beam
Astuti et al. Mp Tuning for Internal Model Control 2x2 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System
Piron et al. Determination of optimal sensor-actuator position for active vibration damping in collocated SISO systems using a pole-zero distance criterion for fast convergence of the search algorithm
Yim et al. Adaptive output feedback force control of a cantilever beam using a piezoelectric actuator
Saldaña Enderica et al. Optimization of Q and R Matrices with Genetic Algorithms to Reduce Oscillations in a Rotary Flexible Link System
Steil et al. Maximisation of stability ranges for recurrent neural networks subject to on-line adaptation.
Thenozhi et al. Frequency Response Function modeling of nonlinear converg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