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019A - 제모기용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제모기용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019A
KR20040068019A KR1020040004402A KR20040004402A KR20040068019A KR 20040068019 A KR20040068019 A KR 20040068019A KR 1020040004402 A KR1020040004402 A KR 1020040004402A KR 20040004402 A KR20040004402 A KR 20040004402A KR 20040068019 A KR20040068019 A KR 2004006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ank
housing
chann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291B1 (ko
Inventor
사이토아쓰히로
이와사키쥬자에몬
가메오카히로유키
이부키야스오
다니구치후미오
야나기고타로
시게타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4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shavers or raz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8Accessory implements for carrying out a function other than cutting hair, e.g. attachable appliances for manic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6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reversing fan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건식 셰이버와 같은 제모기용 세정 장치는 셰이버 헤드를 수용하고 상기 헤드를 세정하는 세정액이 공급되는 용기(basin)를 갖는다. 하나의 펌프를 사용하여 탱크로부터 용기에 유체를 공급한다. 탱크는 기밀 밀봉되고 에어 밸브에 의하여 대기중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밸브 및 펌프는 탱크로부터 용기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모드 및 용기로부터 탱크로 유체를 회수하는 회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 하에 작동된다.

Description

제모기용 세정 장치 {CLEANING DEVICE FOR A HAIR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모기(hair removing apparatus), 특히 세정액을 사용하는 건식 셰이버(dry shaver)용 세정 장치(clean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6,263,890호에는 건식 셰이버용 세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셰이버의 셰이버 헤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및 소정 양의 세정액이 들어 있고 유체 공급 채널을 통하여 용기와 연통되는 탱크로 형성된다. 셰이버 헤드, 즉 커터 및 이와 결합된 부품을 세정하기 위한 유체를 탱크로부터 용기에 공급하도록 유체 공급 채널 내에 펌프가 배치된다. 탱크는 중력에 의한 공급법에 의하여 용기로부터 유체를 회수하도록 용기 바로 하측에 배치된다. 탱크는 셰이버 헤드를 세정하기에 충분한 양을 용기 내에 공급하도록 소정 양의 유체를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탱크는 본래부터 부피가 크게 제조되므로 세정 장치에 추가적인 높이가 가산되어 설계의 융통성을 감소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5,711,328호에는 용기로부터 탱크로 유체를 회수하고 탱크로부터 용기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용기와 탱크 사이에 펌프가 배치된 다른 세정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탱크 자체는 용기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기밀 밀봉된 컨테이너로 제조된다. 용기가 비워있거나 또는 비워지기 시작할 때, 외부 공기가 용기로부터 탱크로 안내되는 유체 채널 내로 유입되어 탱크 내에 또한 수용된다. 공기는 탱크 내의 유체를 용기 내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높은 공기압을 제공하도록 모아진다. 따라서, 유체가 용기와 탱크 사이를 끊임없이 순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설계에서는, 용기를 완전하게 비우기, 즉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유체 전부를 수용한다는 것이 곤란하거나 또는 실행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용기가 거의 비워질 때, 공기가 탱크 내로 공급되어 공기압을 증가시키고, 또한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유체를 배출시킨다. 따라서, 용기에는 항상 유체로 채워져 있고 펌프에 의하여 완전하게 비워질 수는 없다. 따라서, 유체는 탱크 내로 완전히 회수될 수 없고 추후 세정 작업할 때까지 원하지 않게 증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제모기용 개선된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는 제모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제모기의 오퍼레이터 헤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로 형성되며, 소정 양의 세정액이 들어 있는 탱크를 갖는다. 오퍼레이터 헤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을 탱크로부터 용기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가 포함된다. 탱크는 유입구 및 배출 포트를 갖는다. 유입구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대기를 향하여 개방된 유체 흡입 채널에 의하여 용기와 연통되는 한편, 배출 포트는 유체를 용기 내로 배분하는 유체 공급 채널과 연통된다. 공급 기구는 용기로부터 세정액을 흡입하고 공기를 탱크 내로 흡입할 뿐만 아니라 탱크로부터 용기 내로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유체 흡입 채널 및 유체 공급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탱크가 에어 밸브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기밀 밀봉된 컨테이너 형태이고, 장치는 탱크로부터 용기 내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모드 및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유체를 회수하는 회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컨트롤러는 펌프가 작동되는 동안 에어 밸브가 개폐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급 모드 및 회수 모드 중 한 가지 모드로 선택적으로 될 수 있다. 에어 밸브 및 상기 에어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컨트롤러가 제공되기 때문에, 유체는 하나의 펌프를 사용하여 단지 오퍼레이터 헤드만 세정한 후 용기 내에 실질적으로 유체를 남기지 않고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성공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펌프는 에어 밸브의 제어에 따라 공급 모드 및 회수 모드를 제공하도록 유체 흡입 채널 내에 배치된다. 공급 모드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공기를 유체 흡입 채널을 통해 탱크 내로 공급하고 탱크 내의 공기압을 축적하도록 펌프를 작동시키는 한편 에어 밸브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증가된 공기압의 작용으로 유체가 탱크로부터 용기로 강제로 배출된다. 회수 모드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탱크 내에 공기압을 축적시키지 않고 유체를 유체 흡입 채널을 통해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수용하도록 펌프를 작동시키는 한편 에어 밸브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유체가 탱크 내로 성공적으로 수용된다.
에어 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자기 밸브가 바람직하다.
장치는 용기로부터 떨어지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용기 바로 하측에 배치된 액체받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액체받이는 대기 중으로 개방되고, 세정액 및/또는 공기를 탱크 내로 흡입하도록 유체 흡입 채널에 연결된다.
용기에는 유체가 오퍼레이터 헤드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과 함께 액체받이로 관통하여 떨어지는 배출 포트가 자신의 저부에 형성된다. 액체받이에는 탱크를 오염물질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오염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탱크 내로 통과시키는 필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받이는 용기 하측에 위치된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제거가능하게 수용된 드로어(drawer)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드로어에는 용기의 배출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 및 유체 흡입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포트가 형성된다. 필터는 개구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드로어에 고정된다. 상기 배열로, 용기와 탱크 사이의 순환로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장기간 사용을 위하여 유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탱크는 필요한 경우 또는 새것으로 교체할 때 세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 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에어 밸브는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고 에어 배출 채널을 통해 탱크와 연통한다. 하우징은 유체 흡입 채널, 에어 배출 채널, 및 용기로 안내되는 유체 공급 채널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탱크는 에어 배출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 배출 튜브, 유체 공급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유체 배출 튜브, 및 유체 흡입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흡입구로부터 연장되는 유체 흡입 튜브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탱크는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성공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은 탱크가 부착되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스탠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면은 하우징의 상측 말단에 형성되고, 에어 배출 튜브, 유체 배출 튜브, 및 유체 흡입 튜브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한다. 소켓은 탱크가 상측으로부터 스탠드 상에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높이 축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배향되므로, 탱크 상에 장착하고 탱크로부터 장착해제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하우징 측면 상의 유체 공급 채널 및 유체 흡입 채널에 잔류할 수 있는 유체가 실수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탱크는 필요한 경우 하우징 상에 장착된 탱크를 보충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캡으로 밀봉된 충전 포트를 자신의 상측 말단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제모기의 전기회로와 연결되는 전기 접촉 수단이 제공된다. 전기 접촉 수단은 하우징 내에서 제모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모기의 오퍼레이터 헤드는 제모기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때 충전될 수 있는 외에, 세정이 용이하도록 세정액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은 제모기 내의 전기회로와 전기 접촉 수단 사이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모기를 제위치에 지지하는 리테이너(retainer)를포함할 수 있다. 접촉 수단은 하우징의 외부 상에 노출된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제모기의 외부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단자에 맞대어 접촉부를 압착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용기는 높이 축 또는 치수에 대하여 하우징의 하측 말단에 제공되는 한편, 탱크는 하우징의 높이 축을 따라 제모기와 겹치는 관계가 되도록 용기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우징 상에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탱크는 수직부 및 수평부 및 수평부를 갖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부는 상기 탱크가 상기 높이 축을 따라 제모기와 겹치고 수평부는 상기 용기 하측에 배치되는 관계로 되도록 상기 높이 축에 대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탱크는 비교적 자유로운 형상으로 될 수 있고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설계 융통성이 향상된다.
또한, 장치는 유체 공급 채널 내에 펌프가 배치되고, 탱크로부터 안내되어 펌프의 유체 공급 채널에 종료되는 공기 배출 채널 내에 에어 밸브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 밸브는 펌프와 탱크 사이의 유체 공급 채널 내에 배치되고, 컨트롤러에 의하여 에어 밸브와 공동으로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공급 모드는 에어 밸브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유체 공급 밸브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펌프가 작동됨으로써 탱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이들 유체를 용기 내에 공급한다. 한편, 회수 모드는 에어 밸브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유체 공급 밸브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펌프가 작동됨으로써 탱크로부터 유체를 공급하지 않고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유체를 흡입하도록 탱크를 진공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셰이버가 도시된 세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상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건식 셰이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상기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6은 건식 셰이버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셰이버가 삽입된 상태 및 셰이버가 제거된 상태에 있는 상기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장치의 다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장치의 배면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장치에 사용된 착탈가능한 탱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장치에 사용된 액체받이(drip pan)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액체받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액체받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장치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밸브의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모기, 예를 들면 세정액을 사용하는 건식 셰이버(10) 또는 에필레이터(epilator)를 세정하는 세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베이스(30) 및 상기 베이스의 후측 말단으로부터 똑바로 선 스탠드(40)를 구비한 하우징(20)을 갖는다. 베이스(30)의 전방 말단에는 오퍼레이터 헤드, 즉 셰이버(10)의 셰이버 헤드(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용기(basin)(50)가 형성된다. 세정액은 스탠드(4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체를 용기 내에 공급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유체를 회수하도록 용기(50)에 연결되는 탱크(100)에 저장된다. 장치는 셰이버 헤드(12)를 세정하기 위하여 탱크(100)와 용기(50) 사이에 세정액을 순환시키도록 제어되는 펌프(70)를 포함한다. 세정 동작은 소정 기간 동안 계속된다. 다음에, 유체를 용기(50)로부터 탱크(100) 내로 수집하도록 제어되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유체를 탱크 내로 회수할 때, 팬(200)이 작동하여 강제 공기 흐름을 헤드(12) 상에 제공하여 헤드를 건조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받이(drip pan)(60)가 용기(50)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넘쳐 흐르는 유체를 수집하도록 용기(50) 바로 하측에 배치된다. 액체받이(60)는 용기(50)의 저면 중앙의 배출 포트(drain port)(52) 및 용기(50)의 상단 에지로 안내되는 오버플로 덕트(overflow duct)(34)와 연통하는 상단 개구를 갖는다. 액체받이(60)는 셰이버 헤드(12)로부터 제거되어 배출 포트(52)를 통해 액체받이(60) 내로 떨어지는 유체 상으로 이송되는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63)를 갖는다. 이렇게 오염물질이 여과된 유체는 연결 포트(65)를 통해 탱크(100)로 안내되는 유체 흡입 채널(22)에 공급된다. 펌프(70)는 용기(50)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도록 유체 흡입 채널(22) 내에 배치된다. 유체 흡입 채널(22)은 배출 포트(52), 오버플로 덕트(34), 및 용기(50) 둘레의 베이스(30) 내에 형성된 통기공(air vent)(36)을 통해 대기 중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용기(50) 내의 유체 수위에 따라, 외부 공기가 펌프(70) 작용에 의하여 단독으로 또는 유체와 함께 유체 흡입 채널(22)을 통해 탱크(100) 내로 흡입된다. 탱크(100)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기밀 밀봉된 컨테이너 형태로 제공된다. 입구는 유체 및/또는 공기를 흡입하도록 유체 흡입 채널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입구 튜브(102)에 의하여 형성된다. 출구는 하우징(20) 내에 형성되고,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용기(50) 내로 흐를 수 있도록 용기(50) 상측의 주둥이(spout)(25)로 안내되는 유체 공급 채널(24)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출구 튜브(104)에 의하여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출구 튜브(104)는 유체를 흡입하도록 탱크의 저면에 인접한 지점까지 탱크(100) 내로 깊이 연장되는 U자 형상의 흡입 튜브(105)에 연결된다. 또한, 탱크(100)에는 하우징(20) 내에 연장되는 공기 배출 채널(26)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환기창(29) 또는 하우징(20) 벽의 틈(clearance)을 통해 대기 중으로 개방되는 공기 배출 튜브(106)가 형성된다. 에어 밸브(80)는 선택적으로 탱크를 폐쇄시키고 탱크를 대기 중으로 개방시키도록 공기 배출 채널(26) 내에 배치된다. 에어 밸브(80)는 에너지를 공급받거나 또는 전류가 공급될 때 개방되는 정상 폐쇄 전자기 밸브에 의하여 실현된다. 유체를 교환 또는 보충하기 위하여 캡(112)이 탱크(100) 상측 말단의 충전 포트(110)에 착탈가능하고 밀봉 상태로 장착된다.
다음에,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장치는 각종 전기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0), 및 관련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2)를 포함한다. 스위치(94)를 활성화시켰을 때, 컨트롤러(92)는 공급 모드 및 회수 모드를 순차로 제공하도록 응답한다. 공급 모드에서, 펌프(70)가 활성화되고 에어 밸브(80)는 폐쇄 상태로 유지, 즉 탱크가 기밀 밀봉 상태로 유지된다. 처음에는, 용기의 내부 공기압을 증가시키도록 단지 공기만 흡입되어 탱크(100) 내에 축적되도록 용기(50)에는 실질적으로 유체가 들어 있지 않다. 공기압이 증가함에 따라, 탱크(100) 내의 유체는 유체 출구 튜브(104) 및 유체 공급 채널(24)을 통해 용기(50) 내로 강제 배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50)의 배출 포트(52)는 액체받이(50) 내로 떨어지는 유체의 유량이 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보다 더 적도록 치수가 형성되어 용기(50) 내의 유체량이 증가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용기(50)가 유체로 채워진 후, 과다한 양의 유체는 액체받이(60) 내로 오버플로되어, 용기(50) 내의 유체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는 넘치는 유체와 함께 탱크 내로 계속해서 흡입되어 유체를 용기(50) 내에 계속 공급하고, 즉 셰이버 헤드(12)를 세정하도록 탱크(100)와 용기(50) 사이로 유체를 순환시킨다. 공급 모드는 소정 기간에 걸쳐 계속되고, 이 기간 동안 셰이버 헤드는 단속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오염물질을 흔들어 떨어뜨려 세정 효과를 향상시킨다.
공급 모드는 자동적으로 회수 모드로 이어지고, 이 회수 모드에서 펌프(70)는 에어 밸브(8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작동되어 유체를 용기(50)로부터 액체받이(50)를 통해 탱크(100) 내로 수집한다. 에어 밸브(80)가 개방된 상태, 즉 탱크(100)가 대기 중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7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는 유체를 회수하고 단지 유체만 탱크(100) 내에 수집하도록 에어 밸브(80)를 통해 배출된다. 회수 모드는 유체 전부를 탱크 내에 수집하도록 소정 기간에 걸쳐 계속된다. 기간의 종료 시점이 가까워지면, 셰이버 헤드는 유체를 흔들어 떨어 뜨리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팬(200)이 활성화되어 셰이버 헤드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동시키지 않고 셰이버 헤드가 건조된다. 따라서, 공급 모드 및 회수 모드는 하나의 펌프 및 에어 밸브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0)는 넓은 헤더부(114) 및 스탠드(40)의 후면과 겹치는 수직으로 기다란 부분(116)을 갖는 L자 형상이다. 탱크(100)는 수평부(114)가 스탠드(40) 상단의 장착면(41) 상에 위치된 상태로 하우징(20) 상에 장착된다. 유체 흡입 튜브(102), 유체 출구 튜브(104), 및 공기 배출 튜브(106)는 유체 흡입 채널(22), 유체 공급 채널(24), 및 공기 배출 채널(26)과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헤더부(114)의 저면 상으로 돌출하도록 탱크(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채널(22, 24, 26)의 말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면(41)에 형성된 콤비네이션 소켓(28) 내에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탱크(100)는 상측으로부터 하우징(20)에 부착될 수 있다.
장치는 액체받이(60)가 용기(50) 하측의 제위치에 있지 않을 때 정지 신호를 발생하는 필터 검출기(98)를 또한 포함한다.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92)는 펌프 및 결합 부품을 작동해제시켜 상기 동작을 중단시킨다. 공급 모드 및 회수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진행 중인지 및 경과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96)가 장치 내에 포함된다. 또한, 셰이버 컨트롤러(14)에 수신된 전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신호 전송 단자(91)가 하우징(20)의 측면에 제공되어 셰이버 헤드(12) 또는 충전 배터리(15)용 충전 회로(16)를 활성화시킨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91)는 셰이버(10)의 외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세트의 패드(13)와 접촉되도록 스탠드(40)의 전방 벽 상에 노출된 한 세트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패드는 도 5에 표기된 신호 수신 단자(11)를 형성하고, 이 단자를 통해 신호가 셰이버 컨트롤러(14)에 전송된다. 접촉부, 즉 단자(91)는 셰이버(10)가 셰이버 헤드(12)를 용기(50) 내에 위치시키도록 전도된 상태로 지지될 때 패드(13) 또는 수신 단자(11)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탠드(40) 높이의 중간에 위치된다. 대안으로서, 신호 전송 단자(91)는 신호 수신 단자(11)로서 셰이버 내에 위치된 1차 권선과 결합되는 변압기용 2차 권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서, 권선 양자 모두는 하우징 및 셰이버 내에 각각 감추어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40)는 지지 수단, 즉 셰이버(10)를 제위치에 지지하는 기구를 갖고 있다. 기구는 하우징(20)의 높이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셰이버(10)를 받치는 지지 위치와 셰이버를 제거가능하게 할 수 있는 릴리싱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도록 스탠드(40)에 피벗식으로 지지된 한 쌍의 클래스프(clasp)(42)를 포함한다. 클래스프(42)는 코일 스프링(43)에 의하여 지지 위치에 바이어스되고, 이 위치에서 클래스프(42)는 셰이버(10)의 반대쪽에 결합된다. 클라스프(42)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쪽(18) 및 셰이버 헤드(12)에 인접한 상단 테이퍼진 쪽과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경사진 가이드(44)를 상측 말단 및 하측 말단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클래스프(42)는 셰이버가 수직으로 이동하여 셰이버 헤드(12)를 용기(50) 내에 위치시킬 때 릴리스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강제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셰이버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이 후 클래스프는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지지 위치 내에 폐쇄된다. 또한, 셰이버가 셰이버 헤드(12)를 용기(50)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수직으로 이동시킬 때, 클래스프(42)는 셰이버의 상단 테이퍼진 쪽(19)과의 접촉에 의하여 강제로 개방되어, 세이버를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지지 위치에서, 클래스프(42)는 수신 단자(11)의 패드를 접촉부 사이의 확실한 신호 전송을 위하여 대응하는 접촉부(93)에 맞대어 압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셰이버(10)를 스탠드(40)를 향하여 밀어 넣는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40)는 셰이버 헤드(12)가 용기(50) 내에 수용되는 지지 위치로 기기(10)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전면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전면은 하우징(20)의 수직 또는 높이 축에 대하여 경사지고 기기 또는 셰이버(10)의 쇼울더에 맞대어 접하도록 스토퍼(48)가 자신의 하측 말단에 형성된 안내면(46)을 갖는다. 스토퍼(48)는 기기(10)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스탠드의 전면에 기댈 수 있도록 위치되므로, 수신 단자(11)의 패드(13)를 확실한 전기 접촉을 위하여 전송 단자(91)의 접촉부에 맞대어 지도록 한다. 이 점에서, 전기 연결은 클래스프(42)의 스프링(43)의 응답에 좌우되지 않고도 성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받이(60)는 필터(63) 및 액체받이(60) 자체의 용이한 세정을 위해 하우징(20)에 착탈가능하게 제조된다. 도 7,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받이(60)는 전면 핸들(64) 및 용기(50)의 배출 포트(52), 통기공(36), 및 관통하는 유체 및/또는 공기를 수용하는 오버플로 덕트(34)와 유체 연통되는 상단 개구를 갖는 드로어 형태로 제공된다. 리세스(32)는 액체받이(60)를 수용하도록 용기(50) 바로 하측의 베이스(30)의 전방 말단에 형성된다. 액체받이(60)의 내부 저면은 유체를 유체 흡입 채널(22)로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연결 포트(65)를 향하여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받이(60)의 내부 공간은 필터(63)에 의하여 제1 챔버(61) 및 제2 챔버(62)로 분할된다. 제1 챔버(61)는 관통하는 유체 및/또는 공기를 각각 수집하도록 배출 포트(52) 및 오버플로 덕트(34)와 직접 개방된 상태로 연통되므로, 필터(63) 상의 유체에 의하여 이송된 오염물질이 퇴적된다. 제2 챔버(62)는 통기공(36) 및 오염물질이 없는 유체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를 유체 흡입 채널(22) 내로 공급하는 연결 포트(65)와 직접 개방된 상태로 연통된다. 이 때문에, 필터(6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 섹션으로 만곡된다. 상기 배열로, 필터(63)의 수직부는 공급 모드의 초기 단계 및 회수 모드의 최종 단계에서 배출 포트(5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는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액체받이(60) 내 유체의 수위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필터(6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하게 제조될 수 있고, 이로써 제2 챔버(62)는 필터(63)를 통해 통기공(36)과 연통한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필터(63)는 통기공(36)을 통해 또한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이송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액체받이(60)에는 리세스(32) 내에 액체받이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도록 필터 검출기에 의하여 감지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극이 형성된다. 어떤 경우이건, 액체받이(60)는 펌프(70)가 공급 모드 도중에 정지되는 경우에도 용기(50)로부터 유체 전부를 수집하도록 유체 저장 용량이 용기(50)의 저장 용량보다 더 크게 되도록 설계된다. 필터는 700mm2이상의 여과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탈가능한 액체받이(60)를 제공하는 대신, 필터(63)만 잦은 세정을 위해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100)는 장치에 추가의 높이가 가산되지 않도록 하우징(20)의 높이 또는 축에 대하여 용기(5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러나, 탱크(100)는 용기(50)의 위치에 상관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0)는 주요부, 즉 용기(50)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치된 수직부(121)를 갖는 반면, 수평부(122)는 액체받이(6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바와 같이 장치가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탱크(100) 및 용기(50)의 상기 공간 배열은 예시적으로 단지 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7 및 도 18은 에어 밸브(80A)에 추가하여 유체 공급 밸브(8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의 도면이다. 동일 부재에는 동일 도면 부호에 첨자 "A"를 부가하여 표기하였다. 펌프(70A)는 탱크(100A)로부터 세정액을 흡입하고 유체를 용기(50A) 내에 공급하도록 유체 공급 채널(24A) 내에 배치된다. 유체 공급 밸브(82)는 유체를 탱크(100A)로부터 용기(50A)내에 공급하고 반대로 유체를 용기로부터 탱크 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펌프(70A) 상류의 유체 공급 채널(24A) 내에 배치된다. 에어 밸브(80A)는 탱크(100A)로부터 안내되어 펌프(70A)의 유체 공급 채널(24A) 내로 합쳐지는 공기 배출 채널(26A) 내에 배치되고, 이로써 유체 공급 채널(24A)의 개방된 말단의 주둥이(25A)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개방된다. 유체 공급 밸브(82) 및 에어 밸브(80A)는 서로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어 유체를 탱크(100A)로부터 공급하는 공급 모드 및 유체를 탱크(100A) 내로 수집하는 회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공급 모드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밸브(80A)는 폐쇄되고 유체 공급 밸브(82)는 개방됨으로써, 펌프(70A)가 탱크(100A)로부터 유체를 용기(50A) 내로 흡입하는 한편, 유체 흡입 채널(22A)을 통하여 유체받이(60A)로부터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회수 모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밸브(80A)는 개방되고 유체 공급 밸브(82)는 폐쇄된다. 따라서, 단지 공기만 펌프(70A)에 의하여 공기 배출 채널(26A) 및 유체 공급 채널(24A)을 통해 배출되고, 이로써 유체가 용기(50A)로부터 액체받이(60A) 및 유체 흡입 채널(22A)을 통해 수집되도록 탱크(100A)를 진공화 시킨다. 밸브(80A, 82) 각각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30), 및 컨트롤러에 의하여 튜브 또는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채널(26A, 24A) 중 각각을 구성하는 가요성 튜브 상에 작용하는 피스톤(132)을 포함하는 전자기 작동식 밸브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는 손잡이식 제모기의 제모 헤드 또는 유사한 제모기의 오퍼레이터 헤드의 세정에 균등하게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에는 탱크가 부착되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스탠드를 갖고, 상기 장착면은 하우징의 상측 말단에 형성되고, 에어 배출 튜브, 유체 배출 튜브, 및 유체 흡입 튜브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한다. 소켓은 탱크가 상측으로부터 스탠드 상에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높이 축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배향되므로, 탱크 상에 장착하고 탱크로부터 장착해제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하우징 측면 상의 유체 공급 채널 및 유체 흡입 채널에 잔류할 수 있는 유체가 실수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5)

  1. 제모기용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모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제모기의 오퍼레이터 헤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소정 양의 세정액을 담을 수 있는 탱크, 및
    상기 오퍼레이터 헤드를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용기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대기 중으로 개방된 유체 흡입 채널에 의하여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입구 및 상기 용기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채널과 연통하는 출구를 갖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용기로부터 나오는 상기 세정액과 공기를 상기 탱크 내로 흡입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세정액을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용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유체 흡입 채널 및 상기 유체 공급 채널 중 하나에 배치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에어 밸브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기밀 밀봉된 컨테이너 형태이고,
    상기 세정 장치는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용기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모드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탱크로 유체를 회수하는 회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동안 상기 에어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공급 모드 및 상기 회수 모드 중 한 가지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유체 흡입 채널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모드는 상기 유체 흡입 채널을 통하여 상기 탱크 내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탱크 내에 공기압을 축적시킴으로써 상기 유체가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용기로 강제 배출되도록 상기 에어 밸브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정의되고,
    상기 회수 모드는 상기 탱크 내에 공기압을 축적시키지 않고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유체 흡입 채널을 통하여 상기 탱크에 상기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체가 상기 탱크 내에 수집되도록 상기 에어 밸브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정의되는
    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자기밸브(electromagnetic valve)인 세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유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용기 바로 하측에 배치된 액체받이(drip pan)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받이는 대기 중으로 개방되며, 세정액 및/또는 공기가 상기 유체 흡입 채널을 통해 상기 탱크 내로 흡입되도록 상기 유체 흡입 채널에 연결되는
    세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면에는 상기 오퍼레이터 헤드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과 함께 상기 액체받이 내로 떨어지는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배출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받이에는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기 유체를 상기 탱크 내로 통과시키는 필터가 제공되는
    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받이는 상기 용기 하측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로어(drawer)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배출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 및 상기 유체 흡입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포트를 가지며,
    상기 필터는 상기 개구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의 한 지점에서 상기 드로어에 고정되는
    세정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하우징 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공기 배출 채널을 통하여 상기 탱크와 연통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체 흡입 채널, 상기 공기 배출 채널, 및 상기 용기로 안내되는 유체 공급 채널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탱크는 상기 공기 배출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배출 튜브, 상기 유체 공급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유체 출구 튜브, 및 상기 유체 흡입 채널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유체 흡입 튜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세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탱크가 부착되는 장착면을 갖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 튜브, 상기 유체 출구 튜브, 및 상기 유체 입구 튜브와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탱크가 상기 스탠드 상에 상측으로부터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높이 축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세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측 말단에 착탈가능한 캡으로 밀봉된 충전 포트를 갖는 세정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모기의 전기 회로와 연결되는 전기 접촉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접촉 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 상기 제모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세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모기를 지지하는 리테이너(retainer)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촉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모기의 외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단자에 맞대어 압착하는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세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정 장치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는 높이 축을 갖고,
    상기 용기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말단에 제공되며,
    상기 탱크는 상기 탱크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 축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끼워진 상기 제모기와 겹치는 관계로 상기 높이 축에 대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상에 제공되는
    세정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장치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는 높이 축을 갖고,
    상기 탱크는 수직부 및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탱크가 상기 높이 축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끼워진 상기 제모기와 겹치는 관계로 상기 높이 축에 대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용기 하측에 배치되는
    세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채널은 대기 중으로 개방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유체 공급 채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밸브는 상기 탱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펌프의 상기 유체 공급 채널에서 종료되는 공기 배출 채널 내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탱크 사이의 상기 유체 공급 채널 내에 유체 공급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밸브는 상기 에어 밸브와 함께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공급 모드는 상기 탱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용기 내로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 밸브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유체 공급 밸브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정의되고,
    상기 회수 모드는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탱크 내로 유체를 흡입하도록 상기 탱크를 진공화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유체 공급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정의되는
    세정 장치.
KR10-2004-0004402A 2003-01-21 2004-01-20 제모기용 세정 장치 KR100529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2809 2003-01-21
JP2003012809 2003-01-21
JP2003012810 2003-01-21
JPJP-P-2003-00012810 2003-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19A true KR20040068019A (ko) 2004-07-30
KR100529291B1 KR100529291B1 (ko) 2005-11-17

Family

ID=3259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402A KR100529291B1 (ko) 2003-01-21 2004-01-20 제모기용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0285B2 (ko)
EP (1) EP1440628B1 (ko)
JP (2) JP4052253B2 (ko)
KR (1) KR100529291B1 (ko)
CN (1) CN1201692C (ko)
DE (1) DE6020040024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6102B2 (ja) * 2003-01-21 2008-01-23 松下電工株式会社 除毛器具の洗浄システム
DE10316935A1 (de) * 2003-04-12 2004-11-04 Braun Gmbh System aus einem elektrischen Kleingerät und einem diesem zugeordneten elektrischen Zusatzgerät
JP4511217B2 (ja) * 2004-02-26 2010-07-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除毛器具の洗浄装置
JP4650135B2 (ja) * 2005-07-15 2011-03-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機器システム
CN101242755B (zh) * 2005-08-17 2010-12-0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清洁电动剪发设备的装置和方法及包括这种装置的成套用具
JP4375316B2 (ja) * 2005-09-27 2009-12-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剤供給装置
JP4677894B2 (ja) * 2005-12-22 2011-04-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除毛器具用の洗浄装置
JP2007252675A (ja) * 2006-03-24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剤供給装置
JP4438774B2 (ja) * 2006-07-14 2010-03-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洗浄装置およびシェーバシステム
JP4697079B2 (ja) * 2006-07-20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
JP2008023025A (ja) * 2006-07-20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ェーバ洗浄装置およびシェーバシステム
JP2008061880A (ja) * 2006-09-08 2008-03-21 Izumi Products Co 電気かみそりの洗浄器
JP4919276B2 (ja) * 2006-11-08 2012-04-18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5028433B2 (ja) * 2009-01-15 2012-09-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119173B2 (ja) * 2009-01-15 2013-0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浄装置
JP4798227B2 (ja) * 2009-01-15 2011-10-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洗浄装置
JP4697308B2 (ja) * 2009-01-16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装着検知構造
US8177918B2 (en) 2009-03-24 2012-05-15 Rovcal, LLC Cleaning system for an electric shaver
US8939161B2 (en) * 2009-03-24 2015-01-27 Spectrum Brands, Inc. Cleaning system for an electric shaver
JP6057201B2 (ja) * 2012-04-27 2017-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US20140208601A1 (en) * 2012-09-27 2014-07-31 ShaveSimpl, Inc. Wet shaving apparatus rinsing device
BR112017025273A2 (pt) * 2015-06-08 2018-08-07 Babyliss Faco Sprl aparador de barba e kit de limpeza para aparador de barba
EP3103600A1 (fr) 2015-06-08 2016-12-14 BaByliss Faco sprl Tondeuse à barbe avec une ou plusieurs têtes rotatives entourées de peignes a géométrie particulière et équipée d'une position de protection du peigne
CN108348125B (zh) * 2015-11-11 2022-07-19 创科无线普通合伙 提取器清洁机
CN107584524B (zh) * 2017-10-23 2018-12-21 台州市专盛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电剃须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5838A (en) * 1945-07-02 1952-05-06 Winona Tool Mfg Company Apparatus for cleaning parts and for separating suspended particles from liquids
US3172416A (en) * 1963-06-28 1965-03-09 Herbert H Simmons Cleaning device for electric razors
US3365267A (en) * 1963-09-12 1968-01-23 Sterilmaster Inc Sterilizer unit for barber tools
US4054963A (en) * 1976-02-23 1977-10-25 Taylor Clarence R Electric shaver head cleaning device
DE4402238C2 (de) * 1994-01-26 1996-09-26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ers
DE19705975C2 (de) * 1997-02-17 2000-03-30 Brau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DE19705976C1 (de) * 1997-02-17 1998-10-01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DE19705977C1 (de) * 1997-02-17 1998-03-05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DE19907025A1 (de) * 1999-02-19 2000-08-31 Braun Gmbh Haarentfernungsgerät
DE19937167C1 (de) * 1999-08-06 2000-03-23 Brau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Rasierapparat
US6626194B2 (en) * 2001-05-16 2003-09-30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Electric shaver cleaning apparatus
TW584645B (en) * 2001-06-01 2004-04-21 Robert Lawrence Blackbourn A method for produc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JP4036102B2 (ja) * 2003-01-21 2008-01-23 松下電工株式会社 除毛器具の洗浄システム
US20060162749A1 (en) * 2003-01-21 2006-07-27 Atsuhiro Saito Cleaning device for a hair remo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43113A (ja) 2004-09-02
CN1517042A (zh) 2004-08-04
US20040154650A1 (en) 2004-08-12
JP2004243112A (ja) 2004-09-02
JP4052253B2 (ja) 2008-02-27
KR100529291B1 (ko) 2005-11-17
DE602004002490D1 (de) 2006-11-09
US7150285B2 (en) 2006-12-19
DE602004002490T2 (de) 2007-01-11
JP4513333B2 (ja) 2010-07-28
EP1440628B1 (en) 2006-09-27
CN1201692C (zh) 2005-05-18
EP1440628A1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291B1 (ko) 제모기용 세정 장치
US7984722B2 (en) Cleaning system of a hair removing apparatus
EP1523255B1 (en) Cleaning device for a hair removing apparatus
EP1568295B1 (en) Cleaning device for a hair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US6263890B1 (en) Cleaning device for a dry shaver
EP1609384B1 (en) Cleaning device for an electrical hair removing apparatus
EP1062900B1 (en) Suction cleaning device
JP4075865B2 (ja) 除毛器具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