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814A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814A
KR20040067814A KR1020030091739A KR20030091739A KR20040067814A KR 20040067814 A KR20040067814 A KR 20040067814A KR 1020030091739 A KR1020030091739 A KR 1020030091739A KR 20030091739 A KR20030091739 A KR 20030091739A KR 20040067814 A KR20040067814 A KR 20040067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inth
angle
extension
pos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다토요지
Original Assignee
지오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지오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06C1/393Ladders having platforms foldable with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6Height adjustable supports for receiving both ladder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각부(脚部)의 하부를 주각인 외관과 연장각인 내관과의 2중관 구조로 한 경우에 주각과 연장각 사이에 모래 등의 이물을 끼어넣어도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주각의 모서리부에 운반물이나 공구 등이 닿아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각에 대해 연장각이 슬라이드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동식 작업대를 얻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한쌍의 주각사이에 여러개의 발받침을 적절한 간격으로 부착한 사다리틀을 형성하고, 상기 주각의 하부를 주각과 이 주각내에 자유로이 슬라이드하도록 삽입하는 연장각에 의한 2중관 구조로 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연장각(14)의 외측에 하부주각(1b)의 내측면에 닿는 돌출부(12)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2)에 의해 하부주각(1b)의 내측면과 연장각(14)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15)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작업대{POTABLE TYPE WORKING BASE}
본 발명은 건설공사현장, 건축물의 천정이나 벽면 등의 내외장 작업, 전기배선작업 등의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사용하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식 작업대는 종래 예를들어 도 2와 같이 한쌍의 주각 사이에 여러개의 발받침(2)을 적절한 간격으로 부착하여 사다리모양의 주각(1)을 형성하고, 이 사다리모양의 주각(1)의 한쌍 사이에 장방형상의 발판(17)을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하며 또한 발판(17)과 주각(1) 사이에 중간에 굴곡이 자유로운 스테이(18)를 끼워배치하고 있다.
또 발판(17)의 4모서리, 즉 주각(1)과 발판(17)과의 승강구에 봉모양의 손잡이부재(19)를 세워 마련했다. 이들 주각(1), 발판(17) 및 손잡이부재(19)는 재질로서는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주각(1)은 채널모양 또는 각관(角管)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작업장소가 되는 발판(17)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주각(1)의 아래부분을 외관과 내관에 의한 2중관 구조로 하고, 내관을 연장각(14)으로서 주각(1)이 되는 외관에 대해 아래쪽으로 자유로이 끌어내어 조합하며, 주각(1)에서 꺼낸 연장각(14)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각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당업자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문헌공지발명에 관련된 것은 아니다.
내관인 연장각과 외관인 주각은 상기와 같이 각각 채널모양 또는 각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면이 서로 면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각과 주각사이에 모래 등의 이물질이 끼워들어가면 손상을 일으키고 또한 분사도료·몰탈 등의 이물이 들어가면 고착 등을 일으켜 주각에 대해 연장각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각부의 단면형상이 채널모양 또는 각관형상으로 각부를 갖기 때문에 작업중에 운반물(단관 등의 가설·연설자료 등), 공구 등을 이 모서리부에 쉽게 부딪혀 주각을 변형시키는 경우가 많다. 변형의 정도가 큰 경우는 내관인 연장각에 영향을 주어 연장각을 슬라이드시킬 수 없게 되며 그 결과 각부의 높이조정이 불가능하게 되며 또한 주각을 접을 수도 없게 되어 다음 현장으로 운반하는 데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를 해소하여 각부의 하부를 주각인 외관과 연장각인 내관과의 2중관 구조로 한 경우에 주각과 연장각 사이에 모래 등의 이물을 끼어넣어도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주각의 모서리부에 운반물이나 공구 등이 닿아도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며, 주각에 대해 연장각이 슬라이드할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한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인 주축의 개소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인 주각의 개소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각 1a: 상부주각
1b: 하부주각 2: 발받침
3: 사다리틀 4: 접는지지기둥
5: 이동식 접는장치가 있는 작업대 6: 밟는판 유닛
8,9: 접는 틀 10: 연결금구
11: 회전금구 12: 돌출부
13: 홈조 14: 연장각
15: 간극 16: 돌출부
17: 발판 18: 스테이
19: 잡는봉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로 한쌍의 주각사이에 여러개의 발받침을 적절한 간격으로 부착한 사다리틀을 형성하고, 상기 주각의 하부를 주각과 이 주각내에 자유로이 슬라이드하도록 삽입하는 연장각에 의한 2중 구조로 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연장각의 외측에 주각의 내측면에 닿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이 돌출부에 의해 주각의 내측면과 연장각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제 2로, 주각 및 연장각을 채널모양 또는 각관모양으로 형성하여 연장각에 배치하는 돌출부는 연장각의 모서리부 외측에 리브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제 3으로, 주각의 모서리부 내측에 연장각에 형성한 돌출부가 감합하는 홈조를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제 4로 주각의 모서리부 외측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두꺼운 부를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연장각과 주각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각과 주각 사이에 모래 등의 이물이 끼어들어가도 이물은 상기 간극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연장각이 슬라이드하지 않게 될염려가 없다.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용에 덧붙여 연장각에 배치한 돌출부는 연장각의 모서리부 외측에 리브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리브모양의 돌출부가 주각의 모서리부 내측에 닿는 것으로 리브모양 돌출부가 가이드가 되어 연장각을 주각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용에 덧붙여 연장각에 형성한 돌출부는 주각의 모서리부 내측에 형성한 홈조에 감합하기 때문에 연장각의 슬라이드방향이 축선방향으로 확실하게 규제된다.
청구항 4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용에 덧붙여 운반물이나 공구 등이 부딪히기 쉬운 주각의 모서리부 외측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두꺼운 부를 형성함으로써 운반물이나 공구 등이 닿아도 주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연장각의 슬라이드가 곤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인 주각의 개소의 횡단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이동식 작업대의 전체 구성으로 설명하면 일예로서 한쌍의 주각사이에 여러개의 발받침(2)을 적절한 간격으로 부착하여 사다리모양의 주각(1)을 형성하고, 이 사다리모양의 주각(1)의 한쌍 사이에 장방형상의 발판(17)을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하며 또한 발판(17)과 주각(1) 사이에 중간에서 굴곡이 자유로운 슬라이드(18)를 끼우고 있다.
또 발판(17)의 4모서리, 즉 주각(1)과 발판(17)의 승강구에 봉모양의 손잡이부재(19)를 입설했다. 이들 주각(1),발판(17) 및 손잡이부재(19)는 재질로서는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한다.
주각(1)은 채널모양 또는 각관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작업장소가 되는 발판(17)의 높이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주각(1)의 아래부분을 외관과 내관에 의한 2중관 구조로 하고, 내관을 연장각(14)으로 하여 주각(1)이 되는 외관에 대해 아래쪽으로 자유로이 꺼내도록 삽입한다.
이 연장각(14)은 일예로서 도 1과 같이 각관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외관으로서의 주각(1)에 대해 내관이 되고, 4모서리의 각부를 외측에 리브모양으로 돌출시켜 돌출부(12)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12) 및 그 근방 부분은 다른 측벽부분도 두껍게 형성한다.
한편 주각(1)에는 모서리부의 내측에 상기 돌출부(12)에 대응하는 홈조(13)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외관이 되는 주각(1)의 내부에 내관이 되는 연장각(14)을 삽입한 상태에서 주각(1)의 내측면과, 연장각(14)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15)이 형성된다.
또한 주각(1)의 모서리부, 즉 상기 돌출부(12)에 대응하는 개소 및 그 근방을 두껍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 개소의 외측에 돌출부(16)를 형성한다.
다음에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사용할 때 주각(1)과 연장각(14)과의 사이에 모래 등의 이물을 끼어넣어도 이물은 주각(1)과 연장각(14)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을 통해 배출되므로 손상이 일어나지않고 연장각(14)이 슬라이드 하지 않게 될 염려가 없다.
또 주각(1)과 연장각(14) 사이에 분사도료·몰탈 등의 이물이 들어가도 간극(15)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고착 등을 일으켜 주각(1)에 대해 연장각(14)이 슬라이드 하지 않게 될 염려도 없다.
또한 작업현장에서 운반물이나 공구 등이 하부주각(1b)에 닿아도 부딪히기 쉬운 외측모서리부에는 돌출부(16)를 배치하여 두께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주각(1)이 잘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변형되어도 변형이 내측의 연장각(14)까지 미치지 않기 때문에 주각(1)의 변형에 의해 연장각(14)이 슬라이드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주각(1)에 대해 연장각(14)을 꺼내거나 또는 밀어넣을 때 연장각(14)에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12)가 주각(1)에 형성하고 있는 홈조(13)에 감합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12)와 홈조(13)가 가이드로서 작용하여 연장각(14)의 슬라이드방향이 규제된다. 따라서 연장각(14)의 슬라이드가 스무스하게 행해진다.
도 3은 제 2실시예를 도시하고 주각(1)의 외측에 배치하는 돌출부(16)를 산모양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주각(1b)의 외측에 크게 돌출시켜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장각(14)이 실시되는 다른 예로서의 이동식 접는장치가 있는 작업대(5)를 도시하고 이 이동식 접는장치가 있는 작업대(5)는 주지와 같이 한쌍의 사다리틀(3)과, 이 사다리틀(3)사이에 자유로이 접을 수 있도록 가교한 발판유닛(6)과, 한쌍의 사다리틀(3)의 상부에 자유로이 접을 수 있도록 각각 부착한 접는틀(8)(9)로 구성한다.
사다리모양틀(3)은 한쌍의 주각(1)(1)사이에 적절한 간격(도시한 예에서는 높이방향으로 약 300mm간격)으로 여러개(도시한 예에서는 7개)의 발받침(2)을 가교하고, 주각(1)의 상단에서 접는지지기둥(4)을 위쪽을 향해 연설한 것으로 주각(1), 접는지지기둥(4) 모두 재질로서는 예를들어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며 도시와 같이 단면 ㄷ자모양의 채널모양 또는 각관형상으로 형성한다.
접는지지기둥(4)의 상단부는 마주닿아 직사각형의 회전금구(11)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결합한다.
주각(1)은 상부주각(1a)과 하부주각(1b)으로 분할하고 상부주각(1a)의 하단과 하부주각(1b)의 상단을 연결금구(10)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결합하며, 하부주각(1b)을 상부주각(1a)에 대해 위쪽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조합했다.
이러한 이동식 접는장치가 있는 작업대(5)에 있어서도 상기 도 2에 도시한 작업대와 마찬가지로 하부주각(1b)의 하부내부에 연장각(14)을 아래쪽으로 자유로이 꺼낼 수 있도록 삽입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6)는 하부주각(1b)뿐만 아니라 상부주각(1a)에 배치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는 각부의 하부를 주각인 외관과 연장각인 내관의 2중관 구조로 한 경우, 주각과 연장각과의 사이에 간극을 배치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모래 등의 이물을 끼어넣어도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장각이 슬라이드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주각의 모서리부에 운반물이나 공구 등이 닿아도 이 부분은 두껍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각에 대해 연장각이 슬라이드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한 것이 된다.

Claims (4)

  1. 한쌍의 주각사이에 여러개의 발받침을 적절한 간격으로 부착한 사다리틀을 형성하고, 상기 주각의 하부를 주각과 이 주각내에 자유로이 슬라이드하도록 삽입하는 연장각에 의한 2중 구조로 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연장각의 외측에 주각의 내측면에 닿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이 돌출부에 의해 주각의 내측면과 연장각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주각 및 연장각을 채널모양 또는 각관모양으로 형성하여 연장각에 배치하는 돌출부는 연장각의 모서리부 외측에 리브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주각의 모서리부 내측에 연장각에 형성한 돌출부가 감합하는 홈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각의 모서리부 외측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두꺼운 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KR1020030091739A 2003-01-17 2003-12-16 이동식 작업대 KR20040067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9362 2003-01-17
JP2003009362A JP2004218355A (ja) 2003-01-17 2003-01-17 可搬式作業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814A true KR20040067814A (ko) 2004-07-30

Family

ID=3289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739A KR20040067814A (ko) 2003-01-17 2003-12-16 이동식 작업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218355A (ko)
KR (1) KR200400678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0404A1 (en) * 2019-12-12 2021-06-17 Albert Larry Gerbrandt Ladder stabilizer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1843B2 (ja) * 2005-06-08 2011-08-31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可搬式作業台
CN205713939U (zh) * 2016-05-03 2016-11-23 厦门新技术集成有限公司 一种伸缩梯子的伸缩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0404A1 (en) * 2019-12-12 2021-06-17 Albert Larry Gerbrandt Ladder stabiliz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8355A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2676B2 (ja) 建物の出隅部構造および室内の堀壁構造
KR20040067814A (ko) 이동식 작업대
KR101071918B1 (ko) 건축현장의 바닥개구부용 만능 덮개
KR20200057273A (ko) 시스템 비계
JP2005290763A (ja) 可搬式作業台の手摺部材
KR200335420Y1 (ko) 거푸집의 발판설치장치
KR200493581Y1 (ko) 작업대용 스토퍼
JP2989166B2 (ja) アルミニウム製可搬式作業台
KR100675169B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수평 규준틀
KR101814713B1 (ko) 이동식 작업대
KR100275802B1 (ko) 작업대(Footing)
KR100753475B1 (ko) 전도방지장치
JP6968327B1 (ja) 単管足場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JP2007039935A (ja) 基礎用型枠パネル構造体
KR970003940Y1 (ko) 절첩식 작업대
JP2914768B2 (ja) 昇降式移動作業台
JP3406538B2 (ja) 移動式手摺り装置
KR200226707Y1 (ko) 건축 및 외벽단열마감용 작업대
JP7351654B2 (ja) 曲線踏板
KR200342283Y1 (ko) 작업장용 발판
KR200426299Y1 (ko) 개구부 덮개 구조물
JP3078052B2 (ja) 昇降式移動作業台
JP2005139663A (ja) 足場用幅木
KR200226716Y1 (ko) 건축 및 외벽단열마감용 작업대
JP3188275U (ja) 仮設足場用の単管伸縮式手摺及び該単管伸縮式手摺を備える仮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