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467A -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467A
KR20040067467A KR1020030004578A KR20030004578A KR20040067467A KR 20040067467 A KR20040067467 A KR 20040067467A KR 1020030004578 A KR1020030004578 A KR 1020030004578A KR 20030004578 A KR20030004578 A KR 20030004578A KR 20040067467 A KR20040067467 A KR 2004006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pull
signal
respon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516B1 (ko
Inventor
허낙원
유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516B1/ko
Priority to US10/728,630 priority patent/US6940321B2/en
Publication of KR2004006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이중데이터율(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는 제1 및 제2 로직부와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를 구비한다. 제1 로직부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제2 로직부는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는 제1 또는 제2 로직부로부터 출력되는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제1 로직부는 제1 클럭 신호의 첫 번째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을 만드는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제1 클럭 신호의 마지막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만드는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Description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 회로{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in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데이터율(double data rate, 이하 DDR이라 함)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 데이터 출력시 사용되는 데이터 스트로브(data strobe) 신호의 발생에 관한 것이다.
동기식 반도체 장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한다.
도 1은 통상의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 클럭 신호, 출력 데이터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는, 클럭(CLK)에 동기되어 액티브 명령(ACT) 이나 독출 명령(RD)이 인가된다. 독출 명령(RD)이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클럭 싸이클 후에 출력 데이터(DOUT)가 외부로 출력된다. 여기서는, 한 번의 독출 명령(RD)에 응답하여 하나의 데이터 입출력 핀당 4 비트의 데이터(A1~A4, B1~B4)가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데이터가 출력될 때 반도체 장치는 출력 데이터(DOUT)를 수신하는 장치(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가 반도체 장치의 출력 데이터(DOUT)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를 생성하여 출력 데이터(DOUT)와 함께 출력한다.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데이터(DOUT)가 출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하이 임피던스(Hi-impedance, 이하 Hi-Z라 함) 상태로 있다가 출력 데이터(DOUT)가 출력되는 동안에는 클럭(CLK) 주기로 토글한다. 토글링하기 전에 프리앰블(preamble) 구간이 있고 토글링 후에 포스트앰블(postamble) 구간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는 웨이브 파이프라인(wave-pipeline) 방식의 데이터 출력 회로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동작 속도가 증가하다 보니, 카스 레이턴시(CAS latency)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고속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5~6 이상의 긴 카스 레이턴시를 구현하기 위하여 웨이브 파이프라인 방식의 데이터 출력 회로가 많이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셀 어레이(1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다수의 래치들(111~122) 중에서 해당 래치로 입력된다, 래치들에 저장된 데이터는 파이프라인 제어 신호(CDQF1~CDQF6, CDQS1~CDQS6)에 응답하여 다음 래치(130)에 입력된다. 래치(130)의 데이터(DO)는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회로(140)를 거쳐 출력 데이터 버퍼(150)로 입력된다.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회로(140)는 데이터(DO)와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에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 버퍼(150)로 입력되는 풀업 데이터(DOP) 및 풀다운 데이터(DON)를 출력한다.
출력 데이터 버퍼(150)는 풀업 트랜지스터(TP1)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N1)를 포함한다. 풀업 트랜지스터(TP1)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N1)는 풀업 데이터(DOP)와 풀다운 데이터(DON)에 각각 응답하여 출력 데이터(DOUT)를 전원 전압(VDD) 또는 그라운드 전압 레벨로 구동한다.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로우레벨이면 데이터(DO)에 상관없이 풀업 데이터(DOP)는 로우레벨이 되고 풀다운 데이터(DON)는 하이레벨이 된다. 따라서, 출력 데이터 버퍼(150)의 풀업 트랜지스터(TP1)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TN1)가 모두 턴오프되어, 출력 데이터(DOUT)는 하이 임피던스(Hi-impedance, 이하 Hi-Z라 함) 상태가 된다. Hi-Z 상태를 트라이-스테이트(tri-state)라 하기도 한다.
반면,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하이레벨이면 데이터(DO)의 로직 레벨에 따라 풀업 데이터(DOP) 및 풀다운 데이터(DON)는 모두 하이레벨이 되거나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출력 데이터 버퍼(150)의 풀업 트랜지스터(TP1)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N1) 중 어느 하나만 턴온되어, 출력 데이터(DOUT)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이 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와 유사하게 구현된다.
하이레벨 신호(H) 또는 로우레벨 신호(L)가 파이프라인 제어 신호(CDQF1~CDQF6, CDQS1~CDQS6) 또는 프리앰블 신호(CDQPRE)에 응답하여 래치(230)에 입력된다. 래치(230)의 데이터(DS)는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회로(240)를 거쳐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250)로 입력된다. 프리앰블 신호(CDQPRE)는 로우레벨의 프리앰블 구간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이다. 파이프라인 제어 신호(CDQF1~CDQF6, CDQS1~CDQS6)는 CDQFQ, CDQS1, CDQF2, CDQS2, ..., CDQF6,CDQS6 순으로 활성화되므로, 하이레벨 신호(H)와 로우레벨 신호(L)가 교대로 래치(230)로 입력되게 한다.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회로(240)는 데이터(DS)와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250)로 입력되는 풀업 제어 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를 출력한다.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250)는 풀업 트랜지스터(TP2)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N2)를 포함한다. 풀업 트랜지스터(TP2)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N2)는 풀업 제어 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에 각각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를 발생한다.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로우레벨이면 래칭(230)의 데이터(DS)에 상관없이 풀업 제어 신호(DSP)는 로우레벨이 되고 풀다운 제어 신호(DSN)는 하이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250)의 풀업 트랜지스터(TP2)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TN2)가 모두 턴오프되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Hi-Z 상태가 된다.
반면,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하이레벨이면 데이터(DS)의 로직 레벨에 따라 풀업 제어 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는 모두 하이레벨이 되거나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250)의 풀업 트랜지스터(TP2)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N2) 중 어느 하나만 턴온되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이 된다. 즉,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하이레벨이 되면, CDQPRE에 의해 로우레벨 신호(H)가 래치되어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이 생성되고 또한 파이프라인 제어 신호(CDQF1~CDQF6, CDQS1~CDQS6)에 의해 하이레벨 신호(H)와 로우레벨 신호(L)가 번갈아 래치됨으로써 토글링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생성된다. 그리고,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로우레벨이 되면, 포스트앰블이 생성되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Hi-Z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에 의하면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간에 정확한 동기가 어렵다. 즉, 래치(230)에 유효한 데이터(DS)가 래치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로직 하이레벨이 되어야 한다. 래치(230)에 유효한 데이터(DS)가 래치되기 전에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일찍 하이레벨이 되면 무효의 스트로브 신호(DQS)가 발생될 수 있고, 래치(230)에 유효한 데이터가 래치된 시점보다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가 늦게 하이레벨이 되면 프리앰블 구간이 짧아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출력 회로는 카스 레이턴시가 증가할수록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래치들(111~122) 및 파이프라인 제어 신호(CDQFi, CDQSi, i=1~6)의 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그만큼 데이터 출력 회로의 크기도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역시 카스 레이턴시가 증가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안정적으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카스 레이턴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크기가 증가되지 않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통상의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 클럭 신호, 출력 데이터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의 신호 타이밍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중데이터율(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는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로직부;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로직부; 및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될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직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첫 번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을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마지막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로직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첫 번째 펄스 및 마지막 펄스를 제외한 나머지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소정의 제1 로직 레벨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2 로직부는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소정의 제2 로직 레벨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이중데이터율(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는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될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로직부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 구간, 제1 로직 레벨 구간 및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제1 로직부; 및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로직부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제2 로직 레벨 구간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제2 로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로직부는 프리앰블 제어 신호가 소정의 로직 레벨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프리앰블 제어 신호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의 데이터 출력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는 카스 레이턴시 6(CL=6), tCCD=2 tCK, BL=4, 4 비트 프리페치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웨이브 파이프라인 방식의 데이터 출력 회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출력 회로는 파이프라인 회로부(410,420,430), 멀티플렉서(440) 및 출력 데이터 버퍼(450)를 구비한다.
파이프라인 회로부(410,420,430)는 제1 래치부(410), 스위칭부(420)와 제2 래치부(430)를 포함한다.
메모리셀 어레이(100)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는 제1 래치부의 래치들(411~422) 중에서 해당 래치로 입력된다, 래치들(411~422)에 저장된 데이터는 파이프라인 제어 신호(CDQF1~CDQF6)에 응답하여 제2 래치부(430)로 입력된다. 이 때 제1 래치부의 래치들(411~416)에 저장된 데이터는 우수 노드(DOFi)로 멀티플렉싱되어 래치(431)로 입력되고, 제1 래치부의 래치들(417~422)에 저장된 데이터는 기수 노드(DOSi)로 멀티플렉싱되어 래치(432)로 입력된다. 래치(431)의 데이터(EREAD)(이하, 우수 데이터라 함)와 래치(432)의 데이터(OREAD)(이하, 기수 데이터라 함)는 멀티플렉서로(440)로 동시에 입력된다.
멀티플렉서(440)는 우수 데이터(EREAD)와 기수 데이터(OREAD)를 수신하여, 우수 출력 클럭(CLKDQF)에 응답하여 풀업 데이터(DOP) 및 풀다운 데이터(DON)를 발생하고 기수 출력 클럭(CLKDQS)에 응답하여 풀업 데이터(DOP) 및 풀다운데이터(DON)를 발생한다. 우수 출력 클럭(CLKDQF)과 기수 출력 클럭(CLKDQS)은 클럭 신호(CLK)와 동일한 주기를 갖는 신호로서, 기수 출력 클럭(CLKDQS)은 우수 출력 클럭(CLKDQF)에 비하여 반 클럭 싸이클(tCK/2)의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이다.
따라서, 멀티플렉서(440)는 파이프라인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2비트의 병렬 데이터(우수 데이터 및 기수 데이터)에 응답하여, DDR 데이터인 풀업 데이터(DOP) 및 풀다운 데이터(DON)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440)는 또한, 뒤에서 설명되는 출력 데이터 버퍼(450)의 트라이-스테이트 제어를 위하여 수신되는 우수 데이터(EREAD) 및 기수 데이터(OREAD)를 소정의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와 연산하여 풀업 데이터(DOP) 및 풀다운 데이터(DON)를 발생할 수도 있다.
출력 데이터 버퍼(450)는 풀업 데이터(DOP)에 응답하여 턴온/턴오프되는 풀업 트랜지스터(451)와 풀다운 데이터(DON)에 응답하여 턴온/턴오프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45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에서는 파이프라인 회로부(410,420,430)로부터 멀티플렉싱되어 래치된 데이터(EREAD, OREAD)가 멀티플렉서(440)에서 한 번 더 멀티플렉싱되어 출력 데이터 버퍼(450)로 입력된다. 즉, 파이프라인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소정의 클럭 신호에 의해 클럭킹(clocking)된 후 출력 데이터 버퍼(450)로 입력된다. 이와 유사한 개념이 후술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에도 적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에서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를 만들기 위해 발생된소정의 로직 신호들을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로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반도체 장치에서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500)는 인버터들(511~512), 낸드(NAND) 게이트들(521~522), 스위치들(531~534), 래치들(541, 542) 및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를 포함한다.
인버터들(511~513)은 각각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511)는 프리앰블 제어 신호(PREAD_PRE)를 반전하고, 인버터(512)는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S)를 반전한다. 낸드 게이트(521)는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F)와 하이레벨 신호(H)를 부정 논리곱(NAND)한다. 낸드 게이트(522)는 프리앰블 제어 신호(PREAD_PRE)와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F)의 반전 신호를 부정 논리곱한다. 여기서,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F) 및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S)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의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신호들로서, 독출 명령 인가 시점으로부터 카스 레이턴시를 고려한 소정 시간 후에 각각 하이레벨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프리앰블 제어 신호(PREAD_PRE)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프리앰블 구간을 생성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스위치들(531,532)은 제1 클럭 신호(CLKDQF_G)에 응답하여 온(on)/오프(off)되고, 스위치들(533,534)은 제2 클럭 신호(CLKDQS_G)에 응답하여 온/오프된다. 스위치들(531~534)은 전송 게이트(transmission gate)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제2 클럭 신호(CLKDQF_G, CLKDQS_G)는 뒤에서 상세히 기술되겠지만, 우수 및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들(PREAD_F, PREAD_S), 프리앰블 제어 신호(PREAD_PRE), 포스트앰블 제어 신호(PREAD_PA)와 우수 및 기수 출력 클럭(CLKDQF, CLKDQS)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신호이다.
스위치(531)는 제1 클럭 신호(CLKDQF_G)에 응답하여 온(on)되어,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F)와 하이레벨 신호(H)의 로직 연산 신호를 래치(541)로 전달한다. 스위치(532)는 제1 클럭 신호(CLKDQF_G)에 응답하여 온(on)되어,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F)와 프리앰블 제어 신호(PREAD_PRE)의 로직 연산 신호를 래치(542)로 전달한다. 그리고, 스위치들(533,534)은 각각 제2 클럭 신호(CLKDQS_G)에 응답하여 온되어, 로우 레벨 신호(L)와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PREAD_S)의 반전 신호를 래치들(541, 542)로 전달한다. 래치들(541, 542)의 출력 신호가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로 입력되는 풀업 제어 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이다.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500)의 동작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클럭 신호(CLKDQF_G)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1,532)이 턴온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때, PREAD_PRE가 로직 하이레벨이고 PREAD_F가 로직 로우레벨이면 풀업 제어 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 모두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의 풀다운 트랜지스터(552)만 턴온되어 로우레벨의 DQS 신호가 발생된다. PREAD_PRE와 PREAD_F가 모두 로직 하이레벨이면 풀업 제어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 모두 하이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의 풀업 트랜지스터(551)만 턴온되어 하이레벨의 DQS 신호가 발생된다. PREAD_PRE와 PREAD_F가 모두 로직 로우레벨이면 풀업 제어 신호(DSP)는 로우레벨, 풀다운 제어 신호(DSN)는 하이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의 풀업 트랜지스터(551)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552)는 모두 턴오프되어 DQS는 Hi-Z 상태가 된다.
제2 클럭 신호(CLKDQS_G)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3,534)이 턴온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때, PREAD_S가 하이레벨이면, 풀업 제어 신호(DSP) 및 풀다운 제어 신호(DSN) 모두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의 풀다운 트랜지스터(552)만 턴온되어 로우레벨의 DQS 신호가 발생된다. 반면, PREAD_S가 로우레벨이면, 풀업 제어 신호(DSP)는 로우레벨, 풀다운 제어 신호(DSN)는 하이레벨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550)의 풀업 트랜지스터(551)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552)는 모두 턴오프되어 DQS는 Hi-Z 상태가 된다.
상기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PREAD_PRE PREAD_F PREAD_S DSP DSN DQS
H L - L L L
H H - H H H
L L - L H Hi-Z
- - H L L L
- - L L H Hi-Z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의 신호 타이밍도이다.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후에 우수 데이터(EREAD)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PREAD_F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소정 시간 후에 디스에이블된다. 또한 독출 명령(READ)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후에 기수 데이터(OREAD)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PREAD_S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소정 시간 후에 디스에이블된다.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프리앰블과 포스트앰블을 제어하기 위한 프리앰블 제어 신호(PREAD_PRE) 및 포스트앰블 제어 신호(PREAD_PA) 역시 소정 시간동안 하이레벨로 활성화된다.
버스트 길이(BL)가 4인 경우, 하나의 데이터 출력 핀을 통하여 4개의 출력 데이터가 연속으로 출력되므로, 우수 데이터(EREAD)를 출력하기 위한 두 펄스의 클럭 신호와 기수 데이터(OREAD)를 출력하기 위한 두 펄스의 신호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 함께 출력되는 DQS 신호의 출력을 위해서 두 펄스의 신호가 필요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DQS 신호의 프리앰블 및 포스트앰블 생성을 위하여 각각 한 펄스의 신호가 더 생성된다.
제1 클럭 신호(CLKDQF_G)는 PREAD_PRE, PREAD_F 및 PREAD_PA을 논리합한 신호를 우수 출력 클럭(CLKDQF)과 논리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제2 클럭 신호(CLKDQS_G)는 PREAD_S를 기수 출력 클럭(CLKDQS)와 논리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제1 클럭 신호(CLKDQF_G)는 PREAD_PRE, PREAD_F 또는 PREAD_PA가 하이레벨인 동안의 우수 출력 클럭(CLKDQF)과 같고, 제2 클럭 신호(CLKDQS_G)는 PREAD_S가 하이레벨인 동안의 기수 출력 클럭(CLKDQF)과 같다.
제1 클럭 신호(CLKDQF_G)의 첫 번째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1,532)이 턴온될 때, PREAD_PRE는 하이레벨이고 PREAD_F는 로우레벨이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된다. 이는 DQS의 프리앰블에 해당된다. 제1 클럭 신호(CLKDQF_G)의 두 번째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1, 532)이 턴온될 때, PREAD_PRE과 PREAD_F는 모두 하이레벨이다. 따라서, 하이레벨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된다.
제2 클럭 신호(CLKDQS_G)의 첫 번째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3, 534)이 턴온될 때, PREAD_S는 하이레벨이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된다. 제1 클럭 신호(CLKDQF_G)의 세 번째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1, 532)이 다시 턴온될 때, PREAD_PRE과 PREAD_F는 역시 모두 하이레벨이다. 따라서, 하이레벨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된다. 제2 클럭 신호(CLKDQS_G)의 두 번째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3, 534)이 다시 턴온될 때, PREAD_S는 역시 하이레벨이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1 클럭 신호(CLKDQF_G)의 네 번째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스위치들(531, 532)이 다시 턴온될 때, PREAD_PRE과 PREAD_F는 모두 로우레벨이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Hi-Z 상태가 된다.
한편, 멀티플렉서(도 4의 440)로 입력되는 우수 데이터(EREAD)는 제1 클럭 신호(CLKDQF_G)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풀업 데이터 및 풀다운 데이터(DOP, DON)로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수 데이터(OREAD)는 제2 클럭 신호(CLKDQF_G)에 응답하여, 풀업 데이터 및 풀다운 데이터(DOP, DON)로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출력 데이터 버퍼(45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DOUT)는 DQS의 토글링 구간과 동기되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에 따르면, 스위치들(531, 532)이 온(on)될 때, PREAD_PRE가 하이레벨이고 PREAD_F가 로우레벨이면 DQS의 프리앰블 구간이 발생된다. PREAD_F를 하이레벨로 하고, PREAD_S를 하이레벨로 하여, 스위치들(531, 532)과 스위치들(533,534)을 번갈아 스위칭하면, 하이레벨과 로우레벨로 토글링하는 DQS 신호가 발생된다. 출력 데이터(DOUT)가 모두 출력된 후, 스위치들(531, 532)이 한 번 더 온(on)될 때, PREAD_PRE와 PREAD_F가 모두 로우레벨이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Hi-Z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발생을 위하여 하이레벨 신호(H) 및 로우레벨 신호(L)의 발생 시점을 제어 신호들(PREAD_PRE, PREAD_F, PREAD_S, PREAD_PA)과 정확히 동기시킬 필요가 없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Hi-Z 상태를 제어하는 트라이-스테이트 제어 신호(PTRSTDS)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데이터(DS)의 발생시점이 정확히 동기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 안정되게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스 레이턴시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가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 안정되게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스 레이턴시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이중데이터율(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로직부;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로직부; 및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될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직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첫 번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을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마지막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첫 번째 펄스 및 마지막 펄스를 제외한 나머지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소정의 제1 로직 레벨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2 로직부는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소정의 제2 로직 레벨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신호는 클럭 주기를 가지는 우수 출력 클럭과 소정의 제1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는 상기 클럭 주기를 가지고 상기 우수 출력 클럭에 비하여 반 클럭 싸이클의 위상차를 가지는 기수 출력 클럭과 소정의 제2 제어 신호를이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로직부는
    소정의 프리앰블 제어 신호와 하이레벨 신호를 연산하는 제1 연산부;
    상기 프리앰블 제어 신호와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제2 연산부 및;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1 연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풀업 제어 신호로 전달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2 연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앰블 제어 신호와 상기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로직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로우레벨 신호를 상기 풀업 제어신호로 전달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를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로 전달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7. 이중데이터율(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풀업 제어 신호 및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 출력될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제1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로직부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 구간, 제1 로직 레벨 구간 및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제1 로직부; 및
    제2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로직부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제2 로직 레벨 구간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제2 로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부는 프리앰블 제어 신호가 소정의 로직 레벨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프리앰블 제어 신호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부는 상기 프리앰블 제어 신호와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가 모두 소정의 로직 레벨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1 로직 레벨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는 상기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직부는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가 소정의 로직 레벨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2 로직 레벨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는 상기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부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첫 번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마지막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만드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신호는 클럭 주기를 가지는 우수 출력 클럭과 상기 프리앰블 제어 신호 및 상기 우수 데이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는 상기 클럭 주기를 가지고 상기 우수 출력 클럭에 비하여 반 클럭 싸이클의 위상차를 가지는 기수 출력 클럭과 상기 기수 데이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DR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발생회로.
KR10-2003-0004578A 2003-01-23 2003-01-23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KR10051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578A KR100510516B1 (ko) 2003-01-23 2003-01-23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US10/728,630 US6940321B2 (en) 2003-01-23 2003-12-05 Circuit for generating a data strobe signal used in a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578A KR100510516B1 (ko) 2003-01-23 2003-01-23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67A true KR20040067467A (ko) 2004-07-30
KR100510516B1 KR100510516B1 (ko) 2005-08-26

Family

ID=3273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78A KR100510516B1 (ko) 2003-01-23 2003-01-23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40321B2 (ko)
KR (1) KR100510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649B1 (ko) * 2004-04-20 2005-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디알 메모리 소자의 디큐에스 신호 생성 회로 및 생성방법
US7466783B2 (en) * 2004-12-13 2008-1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to implement a double data rate (DDR) interface
KR100637098B1 (ko) * 2004-12-28 2006-10-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생성 회로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생성 방법
KR100559737B1 (ko) * 2005-03-14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스트로브 제어 방법
US7280417B2 (en) 2005-04-26 2007-10-09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ata signals using a data strobe signal
KR100599216B1 (ko) * 2005-07-11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회로 및 데이터 출력방법
KR100776740B1 (ko) * 2006-05-08 2007-1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장치 및 방법
US7714618B2 (en) * 2007-12-13 2010-05-1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Output driver circuit with output preset circu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having lower power consumption
KR100991999B1 (ko) * 2008-10-21 2010-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전송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 회로
US9210569B2 (en) * 2008-12-31 2015-12-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Femto personal proxy application client
KR101575816B1 (ko) * 2009-06-19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1858470B1 (ko) * 2011-12-21 2018-05-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160002503A (ko) * 2014-06-30 2016-01-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41535A (ko) * 2014-10-08 2016-04-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US11127444B1 (en) 2019-08-20 2021-09-21 Rambus Inc. Signal receiver with skew-tolerant strobe gat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288A (en) * 1995-08-30 1998-03-03 Micron Technology, Inc. Data communication for memory
KR100268429B1 (ko) * 1997-03-18 2000-11-01 윤종용 동기형반도체메모리장치의데이터의입력회로및데이터입력방법
KR100303775B1 (ko) 1998-10-28 2001-09-24 박종섭 디디알 에스디램에서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304963B1 (ko) * 1998-12-29 2001-09-24 김영환 반도체메모리
KR100333683B1 (ko) * 1998-12-30 2002-06-20 박종섭 반도체장치의데이터스트로브신호발생기
KR100296913B1 (ko) * 1999-06-28 2001-07-12 박종섭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출력버퍼
KR100615081B1 (ko) * 1999-10-04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데이터 레이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출력방법
JP2002042498A (ja) * 2000-07-24 2002-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補助装置および試験装置
US6519188B2 (en) * 2000-12-18 2003-02-11 Hynix Semiconductor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ffer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28322B1 (ko) 2001-09-28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청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480598B1 (ko) * 2002-05-25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앰블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45962A1 (en) 2004-07-29
US6940321B2 (en) 2005-09-06
KR100510516B1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8127B2 (en) Data output circuit and method in DDR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KR10066849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및 방법
KR100406543B1 (ko) 동기식 메모리의 파이프 래치 제어회로
US6987704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put-data controller advantageous to low power and high frequency
US7394707B2 (en) Programmable data strobe enable architecture for DDR memory applications
KR100510516B1 (ko)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발생 회로
US6324119B1 (en) Data in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34480B1 (ko) 개선된 버스트 모드 동작을 위하여 반도체 기억장치에서 사용하
US6192004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927570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6075748A (en) Address counter cell
TW200418268A (en) Synchronous mirror delay (SMD) circuit and method including a counter and reduced size bi-directional delay line
US5901110A (en) Synchronous memory with dual sensing output path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latch circuit
US6341100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circuit for writing data to memory cell
JP4008624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781919B2 (en) Address selec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address signal paths
US8068383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ddress control circuit
US6885589B2 (en) Synchronous up/down address generator for burst mode read
KR20090093510A (ko) 고속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20052934A (ko) 컬럼 어드레스 버퍼장치
KR100507866B1 (ko) 디디알 에스디램의 파이프래치 출력단 프리차지 구조
KR20090093509A (ko) 고속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3257200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499632B1 (ko) 출력인에이블 신호 발생장치
KR100321182B1 (ko) 데이터 프리패치를 위한 카운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