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044A -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044A
KR20040065044A KR1020030002523A KR20030002523A KR20040065044A KR 20040065044 A KR20040065044 A KR 20040065044A KR 1020030002523 A KR1020030002523 A KR 1020030002523A KR 20030002523 A KR20030002523 A KR 20030002523A KR 20040065044 A KR20040065044 A KR 2004006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arlic
solution
aga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269B1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2003000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2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2Coa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미, 싹틔운 현미 및 백미에 마늘 효소액을 침투시켜서 마늘의 성분을 함유토록 하고, 한천용액에 원하는 기능성 성분을 혼합하여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마늘 효소액이 흡수된 쌀을 상기 코팅용 한천용액에 침지하여 코팅함으로써 제조되는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RICE HAVING USEFUL INGREDIENTS FOR BOD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쌀 및 상기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늘의 유효한 성분을 현미, 싹틔운 현미 및 백미에 침투시켜 쌀의 본래 성분에 마늘의 약리성과 약효성을 첨가하고, 그 밖의 인체에 유익한 다른 성분을 포함한 코팅용 한천용액으로 다시 한번 코팅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및 상기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작물의 하나이며 한국인의 주식으로 식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쌀은 높은 탄수화물 조성(현미; 단백질 10.12%, 탄수화물 76%, 지질 2~3%, 칼륨 1.47%, 지방 2.5%, 수분 13.5%, 인, 섬유질)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성인병의 예방을 위하여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가 늘어나 정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식단에서 부족한 식이섬유원, 저항전분, 미량원소, 비타민, 기타 phytoestrogen과 항산화제 같이 질병예방에 중요한 성분의 제공원인 전곡립(whole grain)이나 이의 가공제품의 소비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기능성 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2000-71982호는 식이섬유질이 코팅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코팅제로는 동물성 및 식물성 식이섬유를 사용하여 기계조작으로 코팅하는 것이고, 한국 특허 공개번호 2001-85059호는 활성수를 이용하여 세균이나 농약성분 등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기타 공지된 방법들은 쌀을 분쇄하여 기능성물질을 혼합한 다음 다시 고형물체로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기능성 쌀들은 기계조작을 통하여 제조되거나 원료를 만드는데 설비비용이 요구되어 원가 절감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로 시중에 있는 기능성 쌀의 단가가 일반 쌀의 5~6배 이상을 웃돌고 있어서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같은 청 ‘쌀 바구미와 곰팡이가 저장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김영배외2)’에서는 수분함량이 13.7%~14.1%에서 곰팡이의 생장은 보이지 않으나 바구미가 존재할 경우 수분함량이 16.6%~17.3%까지 증가하여 접종여부에 관계없이 4.3×10⁴/g ~ 7.2×10⁴/ 수준까지 곰팡이가 생장하였고, 그결과 곡립경도, 천립중, 아밀로그람의 최대점도, 환원당, 지방산도, n-hexanal함량도 등이 대조구와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같은 청 ‘정조, 현미, 백미에 대한 쌀바구미의 선호성(조기종외2)’에서는 쌀바구미의 개체군의 내적 자연증가율은 정조 0.188, 백미0.4816, 현미0.6791로써 현미에 대한 선호도가 현저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산란을 척도로 할 경우 현미가 백미보다 9배정도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쌀바구미의 세대기간은 20℃, 25℃, 30℃에서 18.8주, 10.9주, 7.1주로 추정되고, 정상발육이 가능한 온도범위는 암컷이17.7~36.2℃, 수컷이 17.1~36.4℃로 조사되어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저곡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군집은 Aspergillus spp., Penicillium spp.를 주로 하는 곰팡이군과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tella),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등의 곤충군과, 가루응애(Acarus siro) 등의 응애 및 이들의 천적인 마디발동물군이 있다. 이들에 의하여 손실되는 양은 전세계적으로 20%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변질미는 주로 Aspergillus glaucus 종류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방제는 주로 메틸 브로마이드 또는 포스톡신을 이용한 훈증으로 방제하고 있으나 이들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해충이나 곰팡이 등의 발생을 신체에 해로운 살충제가 아닌 천연 성분을 이용하여 억제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저장성을 높이고, 미질을 오래 유지하여 밥맛을 좋게 하는 동시에 경제성 있는 방법으로 쌀에 약리성 등을 부여하는 기능성 쌀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다수 존재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늘을 이용하여 해충이나 곰팡이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마늘의 성분을 배가하여 쌀의 기능과 마늘의 기능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쌀을 제조하기 위한 천연물질 특히 마늘을 발효시킨 마늘효소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마늘효소액을 이용하여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천을 사용하여 마늘 성분이외의 인체에 유익한 다른 기능성 성분을 부여하여 다양한 기능성 쌀 및 상기 다양한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마늘과 삼온당 또는 올리고당을 1:1 중량비로 배합하고, 발효시켜 얻어지는 마늘 효소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한천(寒天,agar)에 물을 흡수시켜 80~90℃의 한천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원하는 기능성 성분을 5~10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하는 기능성 성분이 마늘분말, 마늘 원액, 인삼분말, 녹용분말, 녹용대보탕 액, 굴 분말을 포함하는 인체에 유익한 식용물질인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쌀에 흡수시킬 마늘 효소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늘 효소액을 흡수한 쌀에 원하는 성분을 더 코팅시키는 코팅용 한천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준비된 상기 마늘 효소액과 코팅용 한천용액을 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마늘 효소액을 준비하는 단계가 마늘과 삼온당 또는 올리고당을 1: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발효시켜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발효액을 10-50%농도로 물로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코팅용 한천용액을 준비하는 단계가 한천에 물을 흡수시켜 80~90℃의 한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원하는 기능성 성분을 5~10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마늘효소액과 코팅용 한천용액을 쌀에 처리하는 단계가 상기 마늘 효소액에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를 침적하여 현미는 60~120분, 싹틔운 현미는 10~30분, 백미는 40~60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침적된 쌀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쌀을 코팅용 한천용액에 침적하여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쌀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코팅용 한천용액에 포함되는 기능성 성분이 마늘분말, 마늘원액, 인삼분말, 녹용분말, 녹용대보탕 액, 굴 분말을 포함하는 인체에 유익한 식용물질인 기능성 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기능성 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늘 쌀과 여러 가지 특수한 영양소가 들어 있는 인삼 등의 식물성 식품과 녹용이나 굴 등의 동물성식품들을 구성물로 하여 완성되는 장기간 저장의 효과와 특수 영양소를 갖는 기능성 쌀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주원료인 마늘을 비롯하여 한천, 인삼, 녹용, 굴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마늘(대산,大蒜; Allium sativum)은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이며 인경은 연한 갈색의 껍질같은 잎으로 싸여 있고 안쪽에 5~6개의 소인경이 들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재배되는 작물로서 옛날부터 향신료 및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마늘의 유효성분은 alliin, 즉 결정성 아미노산인 S-allyl-L- cysteine sulfoxide라고 알려져 있으며, 마늘 특유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마늘 조직이 파괴될 때 자체효소인 allinase에 의하여 alliin이 분해되어 생성된 allicin이 다시 diallyl thiosulfonate와 diallyl disulphide 및 저급의 sulphide류로 분해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allicin의 thiosulfonate기가 SH기와 강하게 반응하여 세포대사에 저해작용을 함으로써 마늘은 항균력, 항암작용, 저혈당작용, 동맥경화예방 등의 약리적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천(寒天 , agar)은 해조류에서 얻어지는 점질다당류로서 응고성, 점탄성, 보수성의 성질을 가진 물질이며, 원조(原藻)의 종류, 추출, 탈수 및 건조 공정에 따라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이 다르지만 크게 agarose 70%와 agaropectin 30%의 두 가지 다당류로 혼합되어 있다. 중성 다당류인 agarose는 겔(gel)화하려는 특성이 강해 강도를 높이는 성질이 있고, 산성 다당류인 agaropectin 은 점탄성을 향상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 한천의 성분은 수분 13~24%, 무질소물70~85%,조단백질1.5~3.0%, 에테르0.2~0.3%, 조섬유0.5~0.8%, 회분1~3% 등으로 구성되며, 건조된 한천은 자기무게의 20배정도의 물을 흡수한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식품첨가물, 의약품, 화장품, 공업원료, 가축사료 및 농업원료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드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를 인삼이라고 하며, 약효로는 대보원기, 고탈생진, 안신의 효능이 있고, 노상허손, 권태, 건망증, 빈뇨, 소갈, 기혈부족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으로는 ginsenoside-Rb를 주성분으로 하는 diol계 성분은 진정작용이 있고, ginsenoside-Rg를 주성분으로 하는 triol계 성분은 중추신경 흥분작용이 있고, saponin성분은 항궤양 작용, 항암작용, 혈압강하작용, 단백질 생합성 촉진작용 등이 있다.
녹용(鹿茸,Cervi parvum Cornu)은 사슴과(Cervidae)에 속하는 사슴의 털이 밀생되고 골질화되지 않은 어린 뿔로서, 보건복지부에서는 건조 녹용의 규격기준을 정하고 있다. 즉, 110℃에서 6시간 건조시의 수분 함량이 14.0% 이하의 기준을 두고, wet basis로 회분량 25% 이하의 골질화되지 않은 사슴뿔은 녹용, 회분함량 25.01% 이상 35% 이하의 약간 골질화된 어린 뿔은 녹용각, 회분함량 35%이상의 골질화된 뿔은 녹각으로 정의하였다. 녹용의 유효성분은 무기질 조성으로 Ca > Na > K > Mn > Fe 등이며,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함량보다 훨씬 높으며, 그 중에서도 docosahexaenoic acid가 43.73%로 가장 높이 존재하며, 아미노산은 총17종이 있는데 glycine > alanine > proline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강장작용, 생장발육촉진작용, 조혈작용, 신경쇠약치료작용, 심부전증치료작용, 오장육부의 기능항진작용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동의보감에 수록되어 있다.
굴( 石花 , oyster)은 연체동물, 부족류(斧足類), 빈치목(貧齒目)과에 속하는 조개류의 총칭으로서 식용종인 참굴을 말한다. 굴에는 글리코겐, 타우린, 비타민, 칼슘, 인, 요오드, 게르마늄 등의 영양소가 들어 있어서 고혈압, 동맥경화, 골다공증을 막아 주고 유아의 두뇌발달, 소화흡수를 촉진한다. 특히 글리코겐과 아연은 성호르몬의 활성화 작용을 하여 강정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땀을 흘리지 않게 하고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으며, 뇌일혈과 불면증에 좋다고 한다. 또한, 굴껍질은 간장 및 장질환과 두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유한 특성 및 수행하는 방법을 더 잘 기술하기 위해 실시예가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마늘 효소액의 제조
마늘을 껍질을 벗기고 깨끗하게 씻어서 분쇄기나 마쇄기로 150~200mesh 정도로 만든다. 흑설탕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항아리에 2/3정도 채우고 창호지로 봉하여 6개월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마늘 효소액을 얻는다. 이 때 마늘 효소액을 얻기 우해 3개월 내지 1년 동안 발효시킬 수 있고, 흑설탕 대신에 올리고당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과하여 얻어진 마늘 효소액에 지하수를 첨가하여 10-50% 농도로 사용하는데, 마늘발효 효소액의 농도와 흡수정도를 나타낸 도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마늘 효소액의 흡수정도는 30~35%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의 제조
1.마늘분말의 준비
마늘을 외피와 내피를 벗기고 즙이 흐르지 않도록 절단기로 쪼갠 다음 35~50℃의 환풍건조기내에 4~7일 정도 건조하여 분쇄기로 100~ 200mesh 정도의 분말을 만들었다. 또한 마늘을 분쇄기로 30mesh 정도로 하여 50~60℃의 열풍건조기에 7~10시간 건조한 후 100~200mesh 정도의 분말을 만들수도 있다.
2. 마늘원액의 준비
마늘을 분쇄한 다음 착즙기에 넣어 마늘즙 원액을 수득한다.
3. 한천용액의 준비
한천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 상태의 한천 중량부에 대해 60~80 중량부의 물을 더 첨가하고 80~90℃ 온도로 가열하여 한천을 용해시킨다.
4.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의 준비
①준비된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준비된 마늘분말을 5~10중량부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여 마늘한천용액1을 준비한다.
②준비된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준비된 마늘원액을 5~10중량부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여 마늘한천용액2를 준비한다.
③준비된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마늘 분말 3~5중량부와 상기 마늘원액 2~5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여 마늘한천용액3을 준비한다.
(실시예3)
마늘 쌀의 제조
1. 현미, 백미 및 싹틔운 현미의 준비단계
현미 및 백미는 종래 방법으로 준비한 후, 현미를 지하수에 2시간 침적한 후에 30℃로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덮어서 6~8시간 동안 싹을 틔운 다음, 발아취를 씻어내어 자연 건조시켜 싹틔운 현미를 준비한다. 이때 쑥효소액 2~5%정도의 용액에 담그면 냄새가 없어지고 쑥향이 배인다.
2. 마늘 효소액과 준비된 현미, 백미 및 싹튀운 현미를 침적하는 단계
상기 실시예1에서 준비된 30%농도의 마늘효소액에 현미는 60~120분, 싹틔운 현미는 10~30분, 백미는 40~60분간 침적하여 마늘효소액을 흡수시킨다. 이 때 시간을 초과 할 경우에는 쌀의 경도가 떨어져서 밥맛이 떨어지고, 침적시키는 시간이 한정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마늘 효소액의 흡수가 덜 된다. 싹틔운 현미는 이미 경도와 점성이 떨어진 상태여서 수분확산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가능한 빨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건조단계
마늘효소액에 침적시킨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를 건조한다. 건조방법은 자연건조방법과 열풍건조방법 및 동결건조방법이 있는데, 세 가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자연건조방법이 밥맛이 더 좋고 기타 방법은 밥맛이 약간 떨어질 수 있다.
4. 마늘 쌀 제조단계
상기 실시예2에서 준비된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1 내지 3에 3.에서 준비된 현미, 싹틔운 현미 및 백미를 침지하여 피막을 입혀서 수분함량이 30% 미만이 되도록 건조하는데, 수분함량이 14-15%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4)
마늘 인삼 쌀 제조
실시예2에서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 제조시, 마늘분말 이나 마늘 원액이 아니라 인삼분말을 한천용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인삼성분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3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마늘 인삼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5)
마늘 녹용 쌀 제조
실시예2에서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 제조시, 마늘분말 이나 마늘 원액이 아니라 녹용분말을 한천용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녹용성분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3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마늘 녹용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6)
마늘 한약 쌀 제조
실시예2에서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 제조시, 마늘분말 이나 마늘 원액이 아니라 종래 방법으로 녹용대보탕(육종용4g, 두충4g, 백작약2.8g, 백출2.8g, 부자2.8g, 인삼2.8g, 육계2.8g, 반하2.8g, 석곡2.8g, 오미자2.8g, 녹용2g, 숙지황2g, 백봉령2g, 감초1g, 생강3쪽, 대추2개의 비율)을 달인 액을 한천용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한약성분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3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마늘 한약 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7)
마늘 굴 쌀 제조
실시예2에서 마늘성분 코팅용 한천용액 제조시, 마늘분말 이나 마늘 원액이 아니라 굴 분말을 한천용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굴 성분 코팅용 한천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3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마늘 굴 쌀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4 내지 7의 경우 침지 시간은 가능한 빠를수록 쌀이 용액의 온도에 영향을 덜 받으므로 바람직하다. 용액의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되면 쌀의 밥맛이 떨어지고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7의 경우 한천용액에 첨가된 분말의 부착율을 높이기 위하여 말티톨(액상과당)을 5~10중량%를 첨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건조시간이 약간 길어질 수 있다.
(실험예1)
마늘 효소액에 침적한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의 침적시간에 따른 경도(무른 정도)
마늘 효소액에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를 침적시키는 최적 침적시간을 알기 위해, 30% 농도의 마늘 효소액에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를 침적하여 침적시간에 따른 각 쌀의 경도를 표1에 나타내었다.
침적시간과 경도비교 (최소0~최대10을 기준으로 함)
시간(min)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
0 ~ 30 10 10 10
30-60 10 8 10
60-90 10 3 10
90-120 9 1 8
120-150 5 0 5
마늘효소액에 쌀을 침적시키는 시간은 흡수정도를 고려할 때 현미는 60~120분, 싹틔운 현미는 30분이내, 백미는 90분 이내가 가장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2)
실시예2에서 마늘한천용액 준비시, 특히 한천에 첨가되는 수분의 최적비율을 알기 위해 한천과 수분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마늘한천용액을 준비하여 마늘 쌀을 제조하여 그 상태를 표2에서 비교하였다.
한천과 수분의 양에 따른 상태 비교
한천:수분 비 상태
1:20-40 분말의 흡착력은 좋으나 쌀알끼리 부착율이 매우 높음,따라서 상품가치가 떨어짐
1:40-60 분말의 흡착력은 좋으나 쌀알끼리 부착율이 20~30%정도 됨
1:60-80 분말의 흡착력이 양호하고 쌀알끼리 부착율이 0%에 이름
1:80-100 분말의 흡착력이 불량하여 분말이 떨어지는 율이 50%정도임
따라서 한천과 수분의 비율은 1:60~80의 비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실시예3,4,5, 및 실시예 7에서 제조되는 기능성 쌀 제조시, 한천용액에 배합되는 마늘분말, 인삼분말, 녹용분말 및 굴 분말의 최적 배합량을 알기 위해 분말의 양을 달리하여 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쌀을 제조하여 그 부착율 및 상태를 비교하여 표3에 나타내었다.
분말의 양과 부착율(각 분말은 150~200mesh 동일하고 한천용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분말의 양(중량부) 부착율 및 상태
1-3 매우 좋음
3-5 매우 좋음
5-7 부착율 97 ~100%정도
7-10 부착율 95~ 97정도
10-15 부착율 85~95% 정도
15-20 부착율 40~50 정도
따라서 각 분말의 양은 5~10%정도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비교되었다.
또한, 실시예 6의 녹용대보탕은 액체로서 기호와 맛 , 냄새 등을 고려하고 또한 경제성을 고려하여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5~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실험예4)
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저장성
실시예3내지 7에서 완성된 쌀의 저장성을 일반 쌀과 비교하여 표4에 나타냈다.
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저장성
수분함량 실시예3 내지7에서제조된 기능성 쌀 햅쌀
14-15% 1년 이상 보관하여도 해중 및 곰팡이류 발생 없음 쌀바구미등의 해충과 곰팡이류가 6월이 지나게되면 발생함.
30%이상 1년 이상 보관하게되면 해충의 발생은 없으나 곰팡이류 발생이 관측됨 수분함량이 적을 때보다 더 빨리 해충과 곰팡이류가 발생함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보통 쌀바구미 둥의 해충과 곰팡이류는 자연적인 조건에서 햅쌀의 경우 6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저장용기에 따라 번식률이 차이가 난다. 즉, 공기의 소통이 원활한 경우 보다 밀폐된 경우가 훨씬 심한 것으로 공지된 사실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3내지 7에서 제조된 기능성 쌀은 수분을 14~15%상태로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방법을 각각 사용하여 완성 한 후에 폴리에틸렌 백에 밀봉하여 6개월 내지 1년 이상을 보관하여도 해충이나 곰팡이류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다만 수분 30%이상에서는 해충은 발견 할 수 없지만 곰팡이류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수분은 본 발명의 기능성 쌀 제조시 수분 함량이 14~15%정도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내지 7에서 제조된 기능성 쌀은 실험예4에서 알 수 있듯이 저장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마늘성분을 함유하여 마늘의 약효성과 약리성이 배가된다. 또한 한천용액에 첨가된 분말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독특한 성분이 쌀과 결합되어 있음을 육안이나 냄새 등의 관능적인 판단으로 알 수 있다.
한편 구체적인 실시예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인삼, 녹용. 녹용대보탕, 굴만이 아니라 인체에 유익하고 마늘과 잘 조화되는 식용물질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다양한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늘 효소액에 쌀을 침적시켜 마늘 효소액을 쌀에 흡수시킴으로써 마늘의 항균성과 살균성으로 인해 저장성이 우수한 기능성 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의 유효한 성분이 쌀과 결합하여 쌀의 본래기능과 마늘의 약효성과 약리성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 효소액에 쌀을 침적시켜 저장성을 높임으로써, 코팅용 한천용액에 식물이나 동물의 유효한 성분 즉 인체에 유익한 식용성분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어서 다양한 기능성 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마늘을 이용한 기능성 쌀의 순기능은 농촌의 소득증대가 될 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마늘과 삼온당 또는 올리고당을 1:1 중량비로 배합하고, 발효시켜 얻어지는 마늘 효소액.
  2. 한천에 물을 흡수시켜 80~90℃의 한천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원하는 기능성 성분을 5~10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코팅용 한천용액.
  3. 제2항에서, 상기 원하는 기능성 성분은 마늘분말, 마늘 원액, 인삼분말, 녹용분말, 녹용대보탕 액, 굴 분말을 포함하는 인체에 유익한 식용물질인 코팅용 한천용액.
  4. 쌀에 흡수시킬 마늘 효소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늘 효소액을 흡수한 쌀에 원하는 성분을 더 코팅시키는 코팅용 한천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준비된 상기 마늘 효소액과 코팅용 한천용액을 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마늘 효소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마늘과 삼온당 또는 올리고당을 1: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물을 발효시켜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발효액을 10-50%농도로 물로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코팅용 한천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한천에 물을 흡수시켜 80~90℃의 한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한천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원하는 기능성 성분을 5~10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
  7. 제4항에서, 상기 마늘효소액과 코팅용 한천용액을 쌀에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마늘 효소액에 현미, 싹틔운 현미, 백미를 침적하여 현미는 60~120분, 싹틔운 현미는 10~30분, 백미는 40~60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침적된 쌀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쌀을 코팅용 한천용액에 침적하여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쌀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쌀 제조방법.
  8. 제4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코팅용 한천용액에 포함되는 기능성 성분은 마늘분말, 마늘원액, 인삼분말, 녹용분말, 녹용대보탕 액, 굴 분말을 포함하는 인체에 유익한 식용물질인 기능성 쌀 제조방법.
  9. 제 8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기능성 쌀.
KR1020030002523A 2003-01-14 2003-01-14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056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23A KR100563269B1 (ko) 2003-01-14 2003-01-14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23A KR100563269B1 (ko) 2003-01-14 2003-01-14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044A true KR20040065044A (ko) 2004-07-21
KR100563269B1 KR100563269B1 (ko) 2006-03-27

Family

ID=3735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523A KR100563269B1 (ko) 2003-01-14 2003-01-14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2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714B1 (ko) * 2004-06-01 2006-07-03 신성인 녹용이 함유된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0826894B1 (ko) * 2006-12-20 2008-05-06 이민호 마늘성분을 함유하는 쌀의 제조방법
KR101121087B1 (ko) * 2009-06-30 2012-03-15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액으로 코팅된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2337B1 (ko) * 2011-12-26 2014-02-12 정유근 마늘 발효액을 이용한 거대배아 현미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거대배아 현미 발효 조성물
KR20170103195A (ko) * 2016-03-03 2017-09-13 이부활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053528A (ko) * 2017-11-10 2019-05-20 김양희 혈당강하 기능을 지닌 반려동물 사료의 제조를 위한 혼합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112B1 (ko) 2018-01-29 2018-05-23 박신자 혈당 강하용 쌀 제조방법
KR20210028852A (ko) 2019-09-05 2021-03-15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쌀가루를 이용한 기능성 쌀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714B1 (ko) * 2004-06-01 2006-07-03 신성인 녹용이 함유된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0826894B1 (ko) * 2006-12-20 2008-05-06 이민호 마늘성분을 함유하는 쌀의 제조방법
KR101121087B1 (ko) * 2009-06-30 2012-03-15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액으로 코팅된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2337B1 (ko) * 2011-12-26 2014-02-12 정유근 마늘 발효액을 이용한 거대배아 현미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거대배아 현미 발효 조성물
KR20170103195A (ko) * 2016-03-03 2017-09-13 이부활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053528A (ko) * 2017-11-10 2019-05-20 김양희 혈당강하 기능을 지닌 반려동물 사료의 제조를 위한 혼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269B1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44B1 (ko) 흰점박이꽃무지의 사료 조성물
CN102524707A (zh) 一种魔芋加工工艺
KR20090016539A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101561579B1 (ko) 편백나무, 계피, 아마씨를 주재로 하는 마사지용 오일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563269B1 (ko)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1909423B1 (ko)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KR101426006B1 (ko) 방풍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떡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20180088217A (ko) 굼벵이가 함유된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굼벵이가 함유된 과자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2474511B1 (ko) 유황의 독성이 제거된 제독유황의 제조방법과 제독유황, 그를 이용한 비료, 살균제, 살충제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사포닌 유황비료, 친환경 살균제, 산야초 살충제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KR20150061841A (ko) 유기질 비료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질 비료 용 효소 조성물
KR20090016538A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96531B1 (ko) 약간장인 사리장의 제조방법
KR2018002321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1799815B1 (ko)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101667740B1 (ko)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및 그 김치
CN107094881A (zh) 一种应用于粮食储存防谷牛的植物中草药香囊
KR102415159B1 (ko) 혼합 벌꿀 제조 시스템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8293602A (zh) 一种木耳培养料及木耳培养方法
Uraku et al. Determination of some vitamins in three selected African green leafy veget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