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633A - 콘덴서 - Google Patents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633A
KR20040064633A KR1020040001391A KR20040001391A KR20040064633A KR 20040064633 A KR20040064633 A KR 20040064633A KR 1020040001391 A KR1020040001391 A KR 1020040001391A KR 20040001391 A KR20040001391 A KR 20040001391A KR 20040064633 A KR20040064633 A KR 20040064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condenser
electrode foil
sealing member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439B1 (ko
Inventor
가와하라가즈야
다도코로미츠오
하시모토요시키
하타도시유키
후쿠다모리히로
요시노츠요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가 제공된다.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은 각각 대응하는 외부 인출용 리드 선의 평면부에, 평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코킹 접합부를 통해 접합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위치된 코킹 접합부 사이에는 다수의 압접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코킹 접합부는 강한 접합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평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압접 접합부를 통해 포일과 리드 선 사이의 전기 접속이 낮은 저항에서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접합 구조체는 코킹 접합만으로는 구성할 수 없었던 소형의 콘덴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접합력이 강하고 전기 접속 내구성이 높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콘덴서{CAPACITOR}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콘덴서의 일례로서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구성하는 콘덴서 소자를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서, 참조 부호(10)는 콘덴서 소자를 표시한다. 이 콘덴서 소자(10)는 양극 포일(12), 음극 포일(13)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4)를 포함하는데, 이 구성 요소들은 함께 권취되어 롤 형상 구조체를 형성한다. 1쌍의 외부 인출용 리드 선(15)(이하, "리드 선"으로 지칭함)이 양극 포일(12)과 음극 포일(13)에 각각 접합된다. 리드 선(15) 각각은 콘덴서 소자(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구리 코팅 바탕의 주석 도금 철선(15c)(이하 "철선"으로 지칭함)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16)는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금속 케이스를 표시한다. 금속 케이스(16)는 폐쇄된 하부와 개방된 상부를 갖는다. 금속 케이스(16) 안에는 콘덴서 소자(10)와 구동 전해질(도시되지 않음)이 함께 수용되어 있다. 참조 부호(17)는 금속 케이스(16)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표시한다. 밀봉 부재(17)에는 1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 구멍을 통해 철선(15c)이 밀봉 부재(17)를 관통하여 콘덴서 소자(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선(15) 각각은 일 단부에 오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 기다란 알루미늄 원형봉 형상부(15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에 철선(15c)이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원형봉 형상부(15a)에 접합되어 있다. 원형봉 형상부(15a)의 타 단부는 평탄화되어 평면부(15b)를 형성한다. 이 평면부(15b)는 양극 포일(12)[또는 음극 포일(13)]에 접합되어 있다. 리드 선(15) 평면부(15b)는 초음파 용접, 코킹 또는 압접 등의 방법을 통해 다수의 접합부(15d)에서 양극 포일(12)에 접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0-12386 호가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개 문헌으로서 참조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는, 양극 포일(12) 및 음극 포일(13)과 이에 대응하는 리드 선(15) 사이의 접합이 초음파 용접, 코킹 또는 압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에서는 금속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 용접 접합부는 저항이 낮다는 이점을 가지는데, 이 저항값은 내구성 시험과 같은 가혹 조건에서도 열화없이 내구성 있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 용접 접합부의 경우에는, 양극 포일(1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산화물 층(도시되지 않음)의 영향으로 인해 충분한 접합력을 얻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또 용접 중에 발생하는 스파크 때문에 이물질이 부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코킹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 또는 코킹 접합부는 충분한 접합력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비교적 높은 저항을 가지며, 또 천공 작업이 실시되어야 하므로 불가피하게 양극 포일(12) 및 음극 포일(13)의 접합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소형 콘덴서에는 코킹 접합이 적용될 수 없다.
초음파 용접 접합부의 경우에서처럼, 압접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 또는 압접 접합부에서도 금속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접합부로 하여금 가혹 조건에서도 열화 없이 내구성 있게 유지되는 낮은 저항을 갖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압접 접합부는 초음파 용접 접합부 또는 코킹 접합부와 비교하여 접합력이 떨어진다.
상기 접합 수단 각각은 장단점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요구 사항을 전부 충족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실제로는 각각의 콘덴서의 유형에 적합한 접합부를 선택하는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는, 양극 및 음극 리드 선(15)이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1쌍의 관통 구멍이 밀봉 부재(17)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 다습 조건에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가 사용될 때는, 밀봉 부재(17)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관통 구멍으로 인해, 콘덴서 소자(10)에 주입된구동 전해질에 대한 밀봉에 있어서의 열화가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 포일 또는 음극 포일과 리드 선 사이의 접합력과 전기 접속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고, 또 고온 다습 조건에서 사용되더라도 탁월한 밀봉 성능이 보장되는 고품질의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극 포일, 음극 포일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콘덴서 소자와, 상기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에 각각 접합되는 부분을 갖는 1쌍의 리드 선을 포함하는 콘덴서를 제공한다. 양극 포일 및 음극 포일은 각각 대응하는 리드 선의 부분에, 상기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코킹 접합부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에 따르면, 양극 포일 또는 음극 포일과 이에 대응하는 리드 선 사이의 접합 구조체에서는, 코킹 접합부가 강한 접합력을 제공하고, 압접 접합부를 통해 상기 포일과 리드 선 사이의 전기 접속이 낮은 저항에서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개선된 접합력과 내구성이 높은 전기 접속으로 인해, 상기 접합 구조체는 종래의 코킹 접합으로는 제조하기 어렵던 소형 콘덴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내에 구성되어 있는 콘덴서 소자를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
도 3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 외부 인출용 리드 선이 접합되어 있는 양극 포일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 외부 인출용 리드 선이 접합되어 있는 양극 포일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구성하는 콘덴서 소자를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구성하는 콘덴서 소자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덴서 2 : 양극 포일
3 : 음극 포일 4 : 세퍼레이터
5 : 외부 인출용 리드 선 6 : 금속 케이스
7 : 밀봉 부재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덴서의 일례로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구성하는 콘덴서 소자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 외부 인출용 리드 선이 접합된 양극 포일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 부호(1)는 콘덴서 소자를 표시한다. 이 콘덴서 소자(1)는 양극 포일(2), 음극 포일(3)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4)를 포함하며, 이 구성 요소들은 함께 권취되어 롤(roll) 형상 구조체를 형성한다. 1쌍의 외부 인출용 리드 선(5)(이하, "리드 선"으로 지칭함)이 양극 포일(2)과 음극 포일(3)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리드 선(5)의 각각은 콘덴서 소자(1)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구리 코팅 바탕의 주석 도금 철선(5c)(이하, "철선"으로 지칭함)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6)는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금속 케이스를 표시한다. 금속 케이스(6)는 폐쇄된 하부와 개방된 상부를 갖는다. 금속 케이스(6) 안에는 콘덴서 소자(1)와 구동 전해질(도시되지 않음)이 함께 수용되어 있다. 참조 부호(7)는 금속 케이스(6)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표시한다. 밀봉 부재(7)에는 1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 구멍을 통해 철선(5c)이 밀봉 부재(7)를 관통하여 콘덴서 소자(1)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선(5)의 각각은, 직경이 2mm이고 일 단부에 오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 기다란 알루미늄 원형봉 형상부(5a)를 더 포함한다. 직경이 0.8mm인 철선(5c)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원형봉 형상부(5a)에 접합되어 있다. 원형봉 형상부(5a)의 타 단부는 평탄화되어 26mm(길이) ×3mm(폭) ×0.4mm(두께)의 규격을 갖는 평면부(5b)를 형성한다. 이 평면부(5b)가 양극 포일(2)[또는 음극 포일(3)]에 접합되어 있다. 리드 선(5) 평면부(5b)와 양극 포일(2)은 평면부(5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코킹 접합부(5d)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평면부(5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위치된 코킹 접합부(5d) 사이를 연결한 직선을 따라서 3개의 냉간 압접 접합부(5e)가 형성되어 있다. 코킹 접합부(5d)와 냉간 압접 접합부(5e)는 3mm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콘덴서에서는, 평면부(5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코킹 접합부가 강한 접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5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위치된 코킹 접합부(5d) 사이를 연결한 직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3개의 냉간 압접 접합부(5e)를 통해서, 포일과 리드 선 사이의 전기 접속이 낮은 저항에서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접합 구조체는 코킹 접합만으로는 구성될 수 없었던 소형의 콘덴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 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내의 양극 및 음극 포일이 각각 대응하는 리드 선 평면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에서 외부로 노출된 알루미늄 기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타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사이의 상이한 구조만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덴서의 일례로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 리드 선이 접합된 양극 포일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에서, 참조 부호(5f)는 양극 포일(2)의 알루미늄 기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표시한다. 알루미늄 노출 영역(5f)은, 양극 포일(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양극 포일(2) 표면의 소망 영역을 마스킹하여 그 영역에 유전체 산화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형성되거나, 양극 포일(2)의 표면에서 소망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산화막을 기계적 후가공을 통해 제거하여 알루미늄 기재를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노출 영역(5f)은 36mm(길이) ×5.5mm(폭)의 규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알루미늄 노출 영역(5f)에 접합될 리드 선(5) 평면부(5b)의 규격[26mm(길이) ×3mm(너비)]보다 충분히 크다.
이 콘덴서에서는, 유전체 산화막이 존재하지 않는 양극 및 음극 포일(2, 3)의 표면에 리드 선(5) 평면부(5b)가 각각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포일과 리드 선은 그 사이의 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서로 적절히 접합될 수 있어, 전기 접속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크게 개선된다.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리드 선(5) 평면부(5b)의 규격, 코킹 접합부(5d) 사이 또는 냉간 압접 접합부(5e) 사이의 간격, 그리고 알루미늄 노출 영역(5f)의 규격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그러한 예시적 치수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 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 음극 포일에 접합되어 있는 리드 선이, 전기 절연 수지막 층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기타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제 3 실시예 사이의 상이한 구조만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덴서의 일례로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참조 부호(8)는 전기 절연 수지막 층을 표시한다. 이 전기 절연 수지막 층(8)은, 밀봉 부재(7)와의 접촉 상태에 있고 음극 포일(3)에 접합되어 있는 리드 선(5) 표면 영역, 즉 음극 리드 선의 표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전기 절연 수지막 층(8)은, 개질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일종인 개질 폴리프로필렌을 준비하고, 상기 표면 영역에 브러시로써 개질 폴리프로필렌을 도포하며, 이어서 개질 폴리프로필렌이 도포된 상기 표면 영역을 약 200℃에서 약 2분 이상 고온 공기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전기 절연 수지막 층(8)의 수지 재료로서의 개질 폴리프로필렌은 음극 포일(3)에 접합되기 전 또는 후의 음극 리드 선(5) 표면에 도포되고 나서 콘덴서 소자(1)와 함께 권취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20개와 종래의 콘덴서(전기 절연 수지막 층이 없는 음극 리드 선을 포함하는 종래의 콘덴서) 20개를 비교예로서 준비하여, 약 70℃ 고온의 대기에서 각각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 2.5V 직류 전압을 인가하였다. 이 조건에서, 밀봉 결함이 유발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과 전기 특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초기값 5,000시간 후
커패시턴스(F) 내부 저항(m Ohm) 밀봉 결함(개수) 커패시턴스(F) 내부 저항(m Ohm) 밀봉 결함(개수)
본 발명의 콘덴서 10.5 65 0/5 9.2 82 0/5
종래의 콘덴서 10.3 67 0/5 8.1 100 3/5
10,000시간 후
커패시턴스(F) 내부 저항(m Ohm) 밀봉 결함(개수)
본 발명의 콘덴서 8.7 100 0/5
종래의 콘덴서 6.5 157 5/5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는 약 5,000시간 후에 밀봉 결함이 나타났으며, 10,000시간 후에는 초기값과 비교하여 내부 저항과 커패시턴스의 변동이 증가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는 5,000시간 및 10,000시간 후에도 밀봉 결함이 나타나지 않았고 종래의 콘덴서보다 특성 변동이 작았다.
개질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일종인 개질 폴리프로필렌을 전기 절연 수지막 층(8)의 수지 재료로서 사용하는 콘덴서에 관해 제 3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플루오르 수지로 구성된 집단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써 전기 절연 수지막 층(8)이 형성되어도 제 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산화물 층이 표면에 형성된 양극 포일(2)을 포함하는 콘덴서에 관해 제 1 내지 제 3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기 이중 층 콘덴서에서는 탄소 전극이 표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포일이 양극 및 음극 포일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의 요약
전술된 각종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콘덴서는, 함께 권취되어 롤 형상 구조체를 형성하는 양극 포일, 음극 포일 및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콘덴서 소자와, 상기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에 각각 접합된 평면부를 갖는 1쌍의 외부 인출용 리드 선과, 상기 콘덴서 소자를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단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이 콘덴서에서는, 평면부의 서로 대응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코킹 접합부를 통해, 양극 및 음극 포일이 각각 대응하는 리드 선의 평면부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위치된 코킹 접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서 대수의 압접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에서는, 양극 또는 음극 포일 사이의 접합 구조체에서, 코킹 접합부가 강한 접합력을 제공하고, 압접 접합부에 의해 포일과 리드 선 사이의 전기 접속이 낮은 저항에서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접합력과 내구성이 개선된 전기 접속에 의해, 상기 접합 구조체는 종래의 코킹 접합으로는 구성하기 어려웠던 소형의 콘덴서에도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코킹 접합부의 개수가 압접 접합부의 개수보다 많다. 이렇게 증가된 코킹 접합부는 좀더 안정적인 접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압접 접합부는 냉간 압접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콘덴서의 제조 설비가 간단해지며, 양극 및 음극 포일을 과도하게 가열하지 않고서도 접합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어 특성 열화의 위험이 배제된다.
양극 및 음극 포일 각각은 알루미늄 포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양극 및 음극 포일 각각의 알루미늄 포일은 적어도 대응하는 리드 선 평면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드 선의 평면부는 유전체 산화물 층 등이 존재하지 않는 양극 및 음극 포일 표면에 각각 접합될 수 있어, 전기 접속의 내구성이 크게 개선된다.
리드 선 중에 적어도 음극 포일에 접합된 리드 선은 밀봉 부재와 접촉하는 표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면 영역에는 개질 폴리올레핀 수지(modified polyolefin resin),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플루오르 수지(fluorine resin)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써 전기 절연 수지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콘덴서가 고온 다습 조건에서 사용되더라도 우수한 밀봉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3년 1월 1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3-004454 호에 기초한 것이며, 상기 일본 특허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 인용된다.
첨부 도면을 예시로서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화와 개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화와 개량은 하기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접합력이 강하고 전기 접속의 내구성이 개선된 콘덴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양극 포일, 음극 포일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콘덴서 소자로서, 상기 양극 포일, 음극 포일 및 세퍼레이터는 함께 권취되어 롤 형상 구조체를 형성하는 콘덴서 소자와,
    1쌍의 외부 인출용 리드 선으로서, 각각 기다란 알루미늄 원형봉 형상부, 상기 원형봉 형상부의 일 단부에 접합된 구리 코팅 바탕의 주석 도금 철선 및 상기 원형봉 형상부의 타 단부를 평탄화하여 형성되어 상기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1쌍의 외부 인출용 리드 선과,
    폐쇄된 하부와 개방된 상부를 갖고 상기 콘덴서 소자를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로서, 상기 리드 선으로 하여금 상기 밀봉 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1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코킹 접합부를 통해 상기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이 각각 대응하는 리드 선의 평면부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위치된 상기 코킹 접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다수의 압접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 접합부의 개수가 상기 압접 접합부의 개수보다 많은
    콘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접합부는 냉간 압접에 의해 형성되는
    콘덴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은 각각 알루미늄 포일을 가지며, 상기 양극 포일과 음극 포일 각각의 알루미늄 포일은 적어도 대응하는 리드 선 평면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노출되어 있는
    콘덴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 중에 적어도 상기 음극 포일에 접합된 리드 선은 상기 밀봉 부재와 접촉하는 표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면 영역에는 개질 폴리올레핀 수지(modified polyolefin resin),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플루오르 수지(fluorine resin)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써 전기 절연 수지막이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KR1020040001391A 2003-01-10 2004-01-09 콘덴서 KR101029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4454A JP2004221179A (ja) 2003-01-10 2003-01-10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JP-P-2003-00004454 2003-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633A true KR20040064633A (ko) 2004-07-19
KR101029439B1 KR101029439B1 (ko) 2011-04-14

Family

ID=3289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91A KR101029439B1 (ko) 2003-01-10 2004-01-09 콘덴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39223B2 (ko)
JP (1) JP2004221179A (ko)
KR (1) KR101029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6345A1 (en) * 2005-04-22 2006-11-02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apacitor electrodes
EP1990814A4 (en) * 2006-05-29 2015-03-04 Panasonic Corp DOUBLE-LAYER ELECTRICAL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811246B2 (ja) * 2006-09-07 2011-1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デンサ
WO2008129739A1 (ja) * 2007-03-30 2008-10-30 Nippon Chemi-Con Corporation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EP3467857B1 (en) * 2016-05-31 2020-05-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9307A (ja) * 1987-05-29 1988-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JPH01235226A (ja) * 1988-03-15 1989-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JPH0478121A (ja) * 1990-07-19 1992-03-12 Marcon Electron Co Ltd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874018B2 (ja) * 1990-10-17 1999-03-24 マルコン電子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0012386A (ja) * 1998-06-24 2000-01-14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3406247B2 (ja) * 1999-07-08 2003-05-12 ニチコン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439B1 (ko) 2011-04-14
US6839223B2 (en) 2005-01-04
JP2004221179A (ja) 2004-08-05
US20040174659A1 (en) 200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5091B (zh) 固体电解电容器
JP3403103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WO2008029694A1 (fr) Fil de sortie de condensateur,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condensateur utilisant un tel fil
KR20090132494A (ko) 전극탭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8130486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29439B1 (ko) 콘덴서
CN101300652B (zh) 固体电解电容器及其制造方法
JP2000243670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89023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779886B2 (en) Electronic component
JP2645562B2 (ja) 積層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5234828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S6326532B2 (ko)
JP2006500790A (ja) 電気部品要素及び当該部品要素を備える装置
JP2019075582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4352802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119612A (ja)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2007235101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4780726B2 (ja) 積層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S62569B2 (ko)
JPH02194614A (ja) チップ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315191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4780725B2 (ja) 積層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S5863127A (ja) チツプ形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3297122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