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115A -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115A
KR20040064115A KR1020030001408A KR20030001408A KR20040064115A KR 20040064115 A KR20040064115 A KR 20040064115A KR 1020030001408 A KR1020030001408 A KR 1020030001408A KR 20030001408 A KR20030001408 A KR 20030001408A KR 20040064115 A KR20040064115 A KR 2004006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verage particle
particle diameter
nonmagnetic
ton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198B1 (ko
Inventor
임인희
이창순
이원섭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0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1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소수성 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0.05 내지 1.0 ㎛이고 산화주석 함량이 10 내지 80 중량%인 산화금속 미분말을 외첨함으로써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고, PCR의 오염 및 화질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위에 토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면서도 현상 롤러의 브레이드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시에 저온 환경하에서 잔류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NON-MAGNETIC MONOCOMPONENT POSITIVE TO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고, PCR의 오염 및 화질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위에 토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면서도 현상 롤러의 브레이드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시에 저온 환경하에서 잔류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의 건식 현상법 중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기의 소형화 및 저가격화를 달성할 수 있고, 유지 보수도 간편한 잇점이 있으며, 특히 비자성 토너를 이용하는 방식은 컬러 인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복사기 및 프린터가 보급되고 있으며, 인쇄 속도도 현저하게 향상되고 있다.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복사기 및 프린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복사기 및 프린터의 사용환경이 다양화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현상방식으로 인하여여러 가지 화상오염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는 방식을 주로 택하고 있으며, 감광체에서 종이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 또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클리닝 공정시 클리닝 블레이드 또는 모피 브러시는 클리닝 부재의 점탄성 성질을 이용한다. 따라서, 저온환경에서 클리닝 부재가 견고해지고,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클리닝할 경우 토너와의 접촉으로 클리닝 부재가 쉽게 마모되어 클리닝 불량으로 인한 화상오염, 특히 비화상부 오염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의 토너 입자가 잠상 감광체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토너 구성 성분에 의하여 감광체 특성이 열화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공정을 제거한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은 고온환경에서 금속, 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블레이드에 압력을 가하여 현상 롤러를 눌러주므로써 현상 롤러 위에 형성되는 토너에 압력이 가해진다. 때문에, 장기간 여러 번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현상 롤러와 블레이드에 토너가 융착되기 쉽고, 이러한 융착으로 인하여 현상 롤러 위의 토너층 두께와 대전량이 불균일하게 되어 화상농도가 불균일해지며, 화상에 포그 현상과 농도 얼룩짐 등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토너 융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너 모입자에 포함되는 바인더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를 높이거나, 바인더 수지의 분자량을 크게 하는 방법이 종래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토너의 정착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정착 화상의 평활성을 얻을 수 없으며, 화상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너 모입자에 비표면적의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소수성 실리카와 산화금속 미분말을 동시에 외첨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고온환경에서는 현상 롤러상에 토너 융착을 방지한다는 잇점이 있으나, 저온환경에서 특히 클리닝 공정을 제거한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는 감광체 표면 위의 잔류하는 토너의 제거가 불가능하여 잔류된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며, 클리닝 공정이 제거된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현상장치의 변형에 강하며, 동시에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고, PCR의 오염 및 화질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위에 토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면서도 현상 롤러의 브레이드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시에 저온 환경하에서 잔류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있어서,
a)ⅰ) 바인더 수지 75 내지 98 중량%;
ⅱ) 착색제 1 내지 20 중량%; 및
ⅲ) 대전제어제 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
b)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 0.05 내지 1.0 중량
부;
c)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소수성 실리카 0.5 내지 2.5 중량
부; 및
d) 평균입경이 0.05 내지 1.0 ㎛이고 산화주석 함량이 10 내지 80 중
량%인 산화금속 미분말 0.3 내지 2.5 중량부
를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며, 클리닝 공정이 제거된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현상장치의 변형에 강하며, 동시에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의 표면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소수성 실리카, 및 평균입경이 0.05 내지 1.0 ㎛이고 산화주석 함량이 10 내지 80 중량%인 산화금속 미분말을 외첨하여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를 제조한 결과,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고, PCR의 오염 및 화질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위에 토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면서도 현상 롤러의 브레이드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시에 저온 환경하에서 잔류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어제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외첨제로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 0.05 내지 1.0 중량부,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소수성 실리카 0.5 내지 2.5 중량부, 및 평균입경이 0.05 내지 1.0 ㎛이고 산화주석 함량이 10 내지 80 중량%인 산화금속 미분말 0.3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은 클리닝 공정이 없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저온 잔사현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유기물 미분말은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스타이렌-아크릴릭산 공중합체 미분말, 폴리에틸렌 미분말,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미분말,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미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 미분말은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3.5 ㎛인 것이다. 상기 비표면적이 0.1 ㎛ 미만일 경우에는 토너 모입자 표면에 유기물 미분말이 불충분하게 존재하여 고온환경하에서 토너 융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4.0 ㎛을 초과할 경우에는 유기물 미분말이토너 모입자 표면에서의 분리가 되고, 토너 입자의 정착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기물 미분말은 토너 모입자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토너 모입자 표면에 유기물 미분말 층의 형성이 불충분하여 저온 잔사현상이 발생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기물 미분말이 토너 모입자 표면에서의 분리가 발생하여 화상 오염 및 솔리드 화상에서 흰 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소수성 실리카는 비자성 일성분 토너 모입자의 유동성 및 대전능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g인 것이다. 상기 비표면적이 10 ㎡/g 미만일 경우에는 토너 모입자에 대한 유동성 부여 효과가 부족하며, 현상 롤러 표면에 토너층을 균일하게 형성하지 못하여 솔리드(solid) 화상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 ㎡/g을 초과할 경우에는 고온환경하에서 현상 롤러 표면에 토너 융착이 발생하기 쉬우며, 저온 잔사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토너 모입자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토너 모입자에 대한 유동성 부여 효과가 부족하고, 고온환경하에서 토너 융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토너 모입자의 대전균일성이저하되어 솔리드 화상의 불균일, 비화상부 오염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산화금속 미분말은 평균입경이 0.05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5 ㎛인 것이다. 상기 평균입경이 0.05 ㎛ 미만이거나, 1.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 및 PCR 오염에 의한 화상 불균일의 개선 효과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산화금속 미분말은 산화주석을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산화주석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PCR의 오염을 제거하는 효과가 저하되어 화상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마찰 대전값이 저하되어 화상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산화금속 미분말은 이산화 티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산화철, 또는 산화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금속 미분말은 토너 모입자 총 100 중량부에 대해 0.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PCR 오염에 의한 화상 불균일이 발생하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착성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이 외첨되는 본 발명의 토너 모입자는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대전제하제를 포함하며, 이 외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바인더 수지는 종래 공지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스티렌 초산 비닐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토너 모입자에 75 내지 9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7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착색제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아 화상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98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착색제 또는 대전제어제의 함량이 부족하여 화상형상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착색제는 카본 블랙, 아닐린블루, 카코오일, 크롬 옐로우, 울트라마린부루, 듀폰오일 레드, 키놀린 옐로우, 메틸렌부루크로라이드, 프탈로시아닌 블루, 마라가이트그린옥사레이트, 램프 블랙, 또는 로즈벤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충분한 농도의 가시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충분한 비율로 포함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토너 모입자에 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화상은 형성되나 화상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착이 불량한 화상이 출력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대전제어제는 함금속아조염료, 살리틸산 화합물, 니그로신염료, 또는 제4급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제어제는 토너 모입자에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토너 입자의 대전이 균일하지 못하여 불균일한 화상을 형성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착이 불량한 화상이 출력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전하 조정제, 정착 보조제, 연마제, 유동성 부여제, 케이킹 방지제, 또는 이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산화세륨 또는 탄화규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성 부여제로는 실리콘 오일, 각종 변성 실리콘 오일, 또는 실레인 커플링제 등의 표면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알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제는 열 롤러 정착시의 이형성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하며, 그 예로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또는 카나우바왁스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의 평균입경은 5 내지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은 부전하상 현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는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고, PCR의 오염 및 화질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위에 토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면서도 현상 롤러의 브레이드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저온 환경하에서 잔류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토너 모입자의 제조)
바인더 수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말 89 중량부, 착색제로 카본 블랙 분말 7 중량부, 대전 제어제로 금속아조염 2 중량부, 및 이형제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2 중량부를 헨쉘 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이를 시트상으로 연신시키고 냉각한 후, 햄머 믹서에 의해 수 ㎜의 크기로 조 분쇄하고, 젯트 밀로 미분쇄한 다음, 분급기로 분급하여 평균입경이 9.2 ㎛의 토너 모입자를 제조하였다.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한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물 미분말로 평균입경이 3.5 ㎛인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05 중량부, 소수성 실리카로 비표면적이 40 ㎡/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및 산화금속 미분말로 평균입경이 0.05 ㎛이고 산화주석의 함량이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를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5 분 동안 교반, 혼합하여 토너 모체의 표면에 코팅하여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5, 및 비교예 1~13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물 미분말, 소수성 실리카, 및 산화금속 미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유기물 미분말 소수성 실리카 산화금속 미분말
실시예 2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3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1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4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1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5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70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6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7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7 평균입경 0.1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8 평균입경 2 ㎛의 스티렌-아크릴릭산 공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9 평균입경 0.15 ㎛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0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2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1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8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2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0.5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3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2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4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0.3 중량부
15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2.5 중량부
구분 유기물 미분말 소수성 실리카 산화금속 미분말
비교예 1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2 평균입경 6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3 평균입경 5 ㎛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4 -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5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1.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6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13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7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3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8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1.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3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9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1.3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0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75 ㎛인 산화티탄 1 중량부
11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100 중량%인 산화금속 1 중량부
12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
13 평균입경 3.5 ㎛의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0.5 중량부 비표면적 40㎡/g인 소수성 실리카 1 중량부 평균입경 0.05 ㎛, 산화주석 함량 45 중량%인 산화티탄 1 중량부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13에서 제조한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을 시판되는 접촉식, 비자성 일성분계 현상 방식의 프린터(ML5300, (주)삼성전자)를 사용하여 저온 저습(5 ℃, 20 %RH) 및 상온 상습(20 ℃, 55 %RH)의 환경하에서 5,000 매까지 프린트하고, 저온 잔사현상, 토너 융착, 화상 불균일, 및 정착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저온잔사 토너융착 화상불균일 정착불량
실시예 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3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4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5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6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7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8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9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10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1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1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13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14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15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비교예 1 없음 발생 없음 없음
비교예 2 없음 없음 없음 불량
비교예 3 없음 없음 없음 불량
비교예 4 발생 없음 없음 없음
비교예 5 없음 없음 발생 없음
비교예 6 발생 발생 없음 없음
비교예 7 없음 없음 발생 없음
비교예 8 없음 없음 없음 불량
비교예 9 발생 없음 없음 없음
비교예 10 없음 없음 발생 없음
비교예 11 없음 발생 발생 없음
비교예 12 없음 발생 발생 없음
비교예 13 없음 없음 발생 발생
상기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5의 비자성 일성분 토너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13과 비교하여 저온 잔사, 토너 융착, 화상 불균일, 및 정착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는 현상 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는 비자성 일성분 현상방식에서 토너의 공급이 원활하고, PCR의 오염 및 화질 열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 위에 토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면서도 현상 롤러의 브레이드에 융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저온 환경하에서 잔류 토너가 비화상부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저온 잔사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에 있어서,
    a)ⅰ) 바인더 수지 75 내지 98 중량%;
    ⅱ) 착색제 1 내지 20 중량%; 및
    ⅲ) 대전제어제 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토너 모입자 100 중량부;
    b)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 0.05 내지 1.0 중량
    부;
    c) 비표면적이 10 내지 100 ㎡/g인 소수성 실리카 0.5 내지 2.5 중량
    부; 및
    d) 평균입경이 0.05 내지 1.0 ㎛이고 산화주석 함량이 10 내지 80 중
    량%인 산화금속 미분말 0.3 내지 2.5 중량부
    를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평균입경이 0.1 내지 4.0 ㎛인 유기물 미분말이 플루오르네이티드 중합체 미분말, 스타이렌-아크릴릭산 공중합체 미분말, 폴리에틸렌 미분말,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미분말, 및 이들의 공중합체 미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산화금속 미분말이 평균입경 0.05 내지 1.0 ㎛이고, 산화주석 함량이 10 내지 80 중량%인 이산화 티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산화철, 및 산화동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ⅰ)의 바인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스티렌 초산 비닐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ⅱ)의 착색제가 카본 블랙, 아닐린블루, 카코오일, 크롬 옐로우, 울트라마린부루, 듀폰오일 레드, 키놀린 옐로우, 메틸렌부루크로라이드, 프탈로시아닌 블루, 마라가이트그린옥사레이트, 램프 블랙, 및 로즈벤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ⅲ)의 대전제어제가 함금속아조염료, 살리틸산 화합물, 니그로신염료, 및 제4급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토너 모입자가 전하 조정제, 정착 보조제, 연마제, 유동성 부여제, 케이킹 방지제, 및 이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토너 모입자의 평균입경이 5 내지 12 ㎛인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조성물이 부전하상 현상용인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KR1020030001408A 2003-01-09 2003-01-09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KR10055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08A KR100553198B1 (ko) 2003-01-09 2003-01-09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08A KR100553198B1 (ko) 2003-01-09 2003-01-09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115A true KR20040064115A (ko) 2004-07-16
KR100553198B1 KR100553198B1 (ko) 2006-02-22

Family

ID=3735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408A KR100553198B1 (ko) 2003-01-09 2003-01-09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1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88B1 (ko) * 2004-09-20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조성물
KR100713779B1 (ko) * 2005-02-17 2007-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계조성을 가지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9659B1 (ko) * 2006-02-08 2008-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환경의존성이 적은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88B1 (ko) * 2004-09-20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조성물
KR100713779B1 (ko) * 2005-02-17 2007-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계조성을 가지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9659B1 (ko) * 2006-02-08 2008-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환경의존성이 적은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토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198B1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3085A1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gent
KR100938180B1 (ko) 화상 균일성이 우수한 토너
US20090004582A1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KR20050108745A (ko) 대전부 오염을 낮춘 칼라토너
US7288351B2 (en) Magenta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developer and image-forming method
US7393621B2 (en) Toner composition for electrophotography image forming apparatus
US7435520B2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gent
US20060251977A1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gen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H10161335A (ja) 非磁性トナー
CN100582954C (zh) 非磁性单组分调色剂及使用该调色剂的显影方法
JPS6013168B2 (ja) 電子写真トナ−
KR100553198B1 (ko)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JP2006267280A (ja) 静電荷現像用トナー、静電荷現像剤、画像形成方法
KR101065197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토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9079B1 (ko) 고 전사 효율을 가지는 토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03362B1 (ko) 대전균일성이 우수한 자성 토너 조성물
EP1367451A2 (en) Developer,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35286B1 (ko) 저온현상 특성이 우수한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EP0615168B1 (en)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KR20020039858A (ko) 내구성이 우수한 자성 토너 조성물
JPH1195484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2673017B2 (ja) 非磁性一成分電子写真用トナー
JP2741019B2 (ja) カラー現像方法
KR100636134B1 (ko) 균일한 대전분포 및 향상된 내오프셋 특성을 갖는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용 토너
JPH10293494A (ja) トナー像のローラ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