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388B1 - 토너 조성물 - Google Patents

토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388B1
KR100675388B1 KR1020040074928A KR20040074928A KR100675388B1 KR 100675388 B1 KR100675388 B1 KR 100675388B1 KR 1020040074928 A KR1020040074928 A KR 1020040074928A KR 20040074928 A KR20040074928 A KR 20040074928A KR 100675388 B1 KR100675388 B1 KR 10067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ilica
weight
toner composition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151A (ko
Inventor
김상덕
이덕희
최석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388B1/ko
Priority to JP2005272941A priority patent/JP3874362B2/ja
Priority to US11/229,499 priority patent/US20060063083A1/en
Publication of KR2006002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19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s of the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03G9/09725Silicon-oxides; Silic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75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G03G9/08782Wa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28Compounds capable to generate colouring agents by chemical re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03G9/09716Inorganic compounds treated with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토너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토너 조성물은 착색제, 결합제, 대전 제어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와 외첨제를 포함하며, 상기 외첨제는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세륨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포그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공급성이 우수하고, 필르밍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 토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토너, 실리카, 산화티탄, 세륨 옥사이드

Description

토너 조성물{Toner composition}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감광체 200...현상 롤러
300...공급 롤러 400...토너
500...토너층 규제장치 600...대전 장치
본 발명은 토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서 토너의 대전량 및 토너의 대전 분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감광체의 필르밍 현상을 방지하고 화상의 백그라운드 현상을 방지하며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조성 및 성분비를 갖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화상형성장치는 고속으로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레이터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인 토너의 종류에 따라서 건식과 습식 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은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건식 토너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비접촉 현상방식의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전 장치(600)를 이용해서 감광체(100)를 대전시킨 다음, 레이저 주사 유닛(900)으로 화상을 노광시켜서 감광체(100)상에 잠상을 형성한다. 토너(400)는 공급롤러(300)에 의해서 현상롤러(200)로 공급된다. 토너층 규제장치(500)는 현상롤러(200)로 공급된 토너를 균일하고 얇은 두께로 조절하는데, 이와 동시에 현상롤러(200)와 토너층 규제장치(500)에 의해서 토너가 고마찰 대전된다. 이 과정에서 현상 영역으로 이동하는 토너의 M/A 및 Q/M이 조절된다. M/A는 토너층 규제장치를 통과한 다음 현상 롤러상에서 측정한 단위 면적당 토너 중량(㎎/㎠)을 뜻하고, Q/M은 토너층 규제장치를 통과한 다음 현상 롤러상에서 측정한 단위 중량당 토너의 대전량(μC/g)을 뜻한다. 규제장치(500)의 부재를 통과한 토너를 감광체(100)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현상하고, 현상된 토너는 전사롤러(미도시)에 의해서 기록 매체로 전사되며 정착기(미도시)에 의해서 정착된다. 전사된 후에 감광체(100)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700)에 의해서 클리닝 되며, 이후 다시 대전 과정부터 반복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건식 토너는 일반적으로 착색제, 결합제, 대전 제어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그 외 토너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들은 토너 입자의 내부에 첨가되는 내첨제와 토너 입자의 표면에 첨가되는 외첨제로 구분된다. 특히 토너는 기록 매체 상에 인쇄 화상을 형성하는 수 ㎛정도의 크기를 갖는 미립자로서 대전 특성 및 유동특성이 인쇄 화상의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이다. 따라서 토너에 유동성, 대전 안정성, 클리닝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화합물들이 외첨제로서 토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비접촉 비자성 1성분 현상방식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컬러 대응이 용이하며 계조성이 우수하여 고해상도의 인자 품질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접촉 비자성 1성분 현상방식의 경우, 안정적인 현상성 유지 및 포그, 비산 방지 등을 위해서는 초기 인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반복 인쇄 후에도 토너가 일정한 대전량 및 균일한 대전 분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토너에 균일한 대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현상 롤러 상에 얇은 층의 토너층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렇게 토너층을 얇게 하면 토너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게 되므로 쉽게 열화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현상 롤러상에서 얇은 토너층을 형성할 때 토너의 대전량이 상승하여 현상 효율이 급격히 저하하고 이에 따라 화상 농도가 저하하기 쉽다. 이러한 현상 효율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서 토너의 대전량을 하향 조정하면 포그(또는 백그라운드)가 증가하거나 토너 비산에 의한 오염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변화 및 장기간의 화상 인쇄로 인한 경시적 변화에도 안정적인 토너 대전량 및 대전량 분포를 유지하여 필르밍 현상과 포그 발생을 억제하고 고화질 의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일정한 조성비를 갖는 외첨제를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은 착색제, 결합제, 대전 제어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와 외첨제를 포함하며,
상기 외첨제는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및 세륨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외첨제 중의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8.0중량%,
상기 칼슘계 산화티탄의 함량은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3.0중량%, 및
상기 세륨 옥사이드의 함량은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이다.
여기서, 상기 실리카는 1차 입자 크기가 5nm 내지 20nm의 범위 이내인 소입자 실리카의 함량이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이고, 1차 입자 크기가 30nm 내지 200nm의 범위 이내인 대입자 실리카의 함량이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이다.
상기 칼슘계 산화티탄은 1차 입자 크기가 500nm 내지 1000nm의 범위 이내이다.
상기 세륨 옥사이드는 1차 입자 크기가 1000nm 내지 1500nm의 범위 이내이 다.
상기 실리카는 부대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은 착색제, 결합제, 대전 제어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와 외첨제를 포함한다.
착색제는 염료계 착색제와 안료계 착색제가 있으며, 흔히 공지되어 있는 토너용 착색제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열안정성 및 내광성에서 우수성을 보이는 안료계 착색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안료계 착색제는 예를 들면,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염기성 염료계 안료, 퀴나트리돈계 안료, 디옥사신계 안료 및 축합 아조계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 유기 안료와, 크롬산염, 페로시안화물, 산화물, 황화물 셀렌화물, 황산염, 규산염, 탄산염, 인산염 및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유색 무기 안료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흑색 무기 안료가 있으며 이들 안료 중에서 선택하여 단일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토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안료계 착색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착색제의 함량은 토너 입자 전체의 100중량% 에 대해서 1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이다.
본 발명의 토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결합제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및 폴리비닐톨루엔과 같은 스티렌 및 그의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와 같은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계 수 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것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결합제 수지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결합제 수지는 토너 입자 전체의 100중량%에 대해서 80중량% 내지 98중량%의 범위 이내이다.
대전 제어제는 토너 입자에 대전되는 전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물질로서 전하 조절제, 대전 조절제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며, 토너 입자의 전하가 양(+)인지 음(-)인지에 따라서 첨가되는 대전 제어제의 종류도 달라진다.
음극성의 대전 제어제로는 크롬을 함유하는 아조계 염료, 크롬, 철, 아연과 같은 금속을 함유하는 살리실산 화합물 등이 있다. 양극성의 대전 제어제로는 니그로신, 4급 암모늄염, 트리페닐메탄 유도체 등이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대전 제어제의 예를 들면, 니그로신 NO1(오리엔트 케미컬사제), 니그로신 EX(오리엔트 케미컬사제), Aizen Spilon black TRH(호도가야 케미컬사제), T-77(호도가야 케미컬사제), Bontron S-34(오리엔트 케미컬사제), 및 Bontron E-84(오리엔트 케미컬사제) 등이 있다.
토너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전 제어제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토너 입자 전체의 100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이다.
토너에 첨가되는 이형제는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로 전사되어 정착될 때 롤러와 토너 사이의 이형성을 향상시켜서 토너 오프셋(toner offset)을 방지하고, 토 너로 인하여 기록 매체가 롤러에 들러 붙어서 기록 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형제로는 저분자량 폴리올레핀류, 가열에 의해 연화점을 갖는 실리콘류, 지방산 아미드류 및 왁스 등이 있으며,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왁스가 흔히 사용된다.
본 발명의 토너 조성물의 이형제로 사용될 수 왁스는 예를 들면,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를 포함하는 식물성 천연왁스 및 비즈왁스, 쉘락 왁스, 및 슈페르마세티 왁스를 포함하는 동물성 천연왁스를 포함하는 천연왁스; 몬탄 오가스, 오조케라이트 왁스, 세레신 왁스를 포함하는 미네랄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아크릴레이트 왁스, 지방산 아미드 왁스, 실리콘 왁스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합성 왁스;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왁스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왁스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토너 입자 전체의 100중량%에 대해서 1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은 상술한 토너 입자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성 외에 토너의 대전량 및 대전량 분포를 유지하고 필르밍 현상의 발생과 포그 발생을 억제하며 일정한 현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일정 조성비의 외첨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에 함유되는 외첨제는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세륨 옥사이드를 일정한 비율로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외첨제에 포함되는 실리카는 그 함량이 토너 입자 100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흔히 제습제로 사용되는 물질이지만, 그 입자 크기에 따라서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실리카는 1차 입자의 크기가 대략 30nm이상인 경우 대입자 실리카, 1차 입자의 크기가 30nm 미만인 경우를 소입자 실리카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1차 입자(primary paprticle)"는 중합, 결합 등이 일어나지 않은 화합물의 단위 입자를 의미한다.
소입자 실리카는 주로 토너 입자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되며, 대입자 실리카는 토너 입자에 대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첨제에 포함되는 실리카는 소입자 실리카와 대입자 실리카가 일정한 성분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차 입경이 5nm 내지 20nm의 범위 이내인 소입자 실리카는 그 함량이 0.1중량% 내지 4.0중량%이고, 1차 입경이 30nm 내지 200nm의 범위 이내인 대입자 실리카는 그 함량이 0.1중량% 내지 4.0중량%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조성물의 외첨제에 포함되는 소입자 실리카 및 대입자 실리카의 1차 입자의 크기는 토너 입자와의 상용성 및 토너 입자 자체의 크기를 고려해서 결정된다.
전체 실리카의 함량이 0.1중량% 보다 작으면 외첨제로서 기대되는 유동성과 대전성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하고, 전체 실리카의 함량이 8.0중량% 보다 많으면 대전성이 과다하여 토너 입자에 부여되는 대전량의 조절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함량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의 외첨제는 칼슘계 산화티탄을 포함한다. 칼슘계 산화티탄의 함량은 토너 입자 100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은 TiO2 외에 여러가지 산가를 가진 형태가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TiO2 의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다. 알칼리와 용해하여 티탄산알칼리로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외첨제는 칼슘계 산화티탄을 사용한다. 산화티탄은 은폐력이 큰 백색안료(티탄화이트)로 다량 쓰여지며 그 용도로는 자기 원료, 연마제, 의약품, 화장품 등으로도 많이 쓰인다.
본 발명에 따른 외첨제에서 산화티탄은 실리카만 함유했을 경우 발생하는 과다한 대전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칼슘계 산화티탄은 그 1차 입자의 크기가 500nm 내지 1000nm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의 입경은 실리카와 마찬가지로 토너입자의 사이즈 및 토너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첨제는 세륨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세륨 옥사이드는 토너 입자 100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로 외첨제에 포함된다. 세륨 옥사이드의 1차 입자 크기 역시 토너 입자의 사이즈 및 토너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그 1차 입자의 크기가 1000nm 내지 1500nm의 범위 이내인것이 바람직하다.
세륨 옥사이드는 마찰제로서 흔히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외첨제 중의 세륨 옥사이드는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의 클리닝을 위한 클리닝제로서, 토너 입자에 하전되는 대전량을 제어하는 대전량 제어제로서, 및 현상 롤러나 감광체 상에 발생하는 필르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필르밍 방지제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외첨제는 상술한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및 세륨 옥사이드를 상술한 일정 비율로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중 하나라도 없는 경우에는 외첨제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상술한 바 외에도 본 발명에 다른 토너 조성물은 기능성의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V 안정제, 방미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대전 방지제, 광택 개질제, 산화방지제, 실린 또는 실리콘-개질 실리카 입자와 같은 응결 방지제 등을 내첨제 또는 외첨제로서 토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한다.
{실시예}
실시예
토너 입자의 제조(분쇄 방식 음극성 토너)
폴리에스테르 90.5중량%
카본 블랙 5중량%
대전 제어제(철착물, 호도가야사제) 2.5중량%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왁스 2중량%
상기 조성의 성분들을 헨셀(henschel) 타입의 믹서를 이용해서 균일하게 예비 혼합한 후에 이축 압출기에 투입해서 130℃에서 용융 혼합물을 압출하고 냉각 응고시켰다. 그 다음, 분쇄 분급기를 이용해서 평균 입경 약 8㎛인 외첨처리 전단계의 미처리 토너 입자를 얻었다.
토너 조성물의 제조
상기 미처리된 토너 입자를 사용하고 다음 조성 및 함량의 외첨제를 외첨 처리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5nm 내지 20nm) 1.0중량%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30nm 내지 200nm) 1.2중량%
칼슘계 산화티탄(1차 입자 크기 500nm 내지 1000nm) 1.0중량%
세륨옥사이드(1차 입자 크기 1000nm 내지 1500nm) 0.5중량%
비교예 1
토너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처리된 토너 입자를 사용하고 다음 조성 및 함량의 외첨제를 외첨 처리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5nm 내지 20nm) 1.0중량%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30nm 내지 200nm) 1.2중량%
비교예 2
토너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처리된 토너 입자를 사용하고 다음 조성 및 함량의 외첨제를 외첨 처리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5nm 내지 20nm) 1.0중량%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30nm 내지 200nm) 1.2중량%
칼슘계 산화티탄(1차 입자 크기 500nm 내지 1000nm) 1.0중량%
비교예 3
토너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처리된 토너 입자를 사용하고 다음 조성 및 함량의 외첨제를 외첨 처리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5nm 내지 20nm) 1.0중량%
부대전성 실리카(1차 입자 크기 30nm 내지 200nm) 1.2중량%
세륨옥사이드(1차 입자 크기 1000nm 내지 1500nm) 0.5중량%
{테스트}
상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토너 조성물을 다음의 현상 조건하에서 현상하여 비교하였다.
현상 조건
표면 전위(V0) : -700V
잠삼 전위(VL) : -100V
현상 롤러 인가 전압 : VP-P = 1.8KV, 주파수 = 2.0kHz
Vdc = -500V, 주기 비율 = 35% (구형파)
현상 갭(gap) : 150㎛ 내지 400㎛
현상 롤러
(1) 알루미늄의 경우
조도 : Rz = 1 내지 2.5(니켈 도금 후)
(2) 고무롤러의 경우(니트릴 부타디엔계 탄성 고무 롤러)
저항 : 1 × 105 Ω 내지 5 × 105
경도 : 50
토너 : 대전량(Q/M) = -5 내지 -30μC/g (토너층 규제장치를 통과한 후 현상
롤러 상에서)
토너 중량 = 0.3㎎/㎠ 내지 1.0㎎/㎠
테스트 결과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토너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 조건으로 20ppm급 LBP프린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평가하였다.
각 화상들에 대해서 화상 농도(image density), 포그(백그라운드, 비화상 영역의 오염), 공급성 및 감광체의 필르밍 현상을 측정하여 각 토너 조성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때, 화상 농도는 용지 위의 흑색 패턴(solid pattern)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포그는 감광 매체 상의 비화상 영역에서의 농도를 농도계(spectroEye, GretagMacteth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공급성 및 필르밍 현상은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화상 농도
다음 표 1에서 화상 농도가 1.3 초과인 경우는 ○, 1.1 내지 1.3인 경우는 △, 1.1 미만인 경우는 ×로 평가하였다.
매수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토너 조성물 및 외첨제 중에서 일부만 포함하는 토너 조성물의 경우에도 모두 화상 농도는 양호하였다. 따라서, 외첨제 중에 실리카만 함유되어 있어도 어느 정도의 장기간 사용시에 화상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포그
다음 표 2에서 포그가 0.14 미만인 경우는 ○, 1.15 내지 1.16인 경우는 △, 0.17 초과인 경우는 ×로 평가하였다.
매수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에 1 × ×
비교예 2 × ×
비교예 3 ×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외첨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토너 조성물은 어느 정도의 매수가 될 때까지는 포그 현상이 억제되어 선명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었다. 반면, 실리카만 함유하는 비교예 1의 토너 조성물과 실리카 및 세륨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비교예 3은 2000매부터 포그로 인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없었고, 실리카와 칼슘계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는 3000매부터 포그로 인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및 세륨 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에 따른 토너 조성물이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화상의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급성
다음 표 3에서 공급성이 우수한 경우는 ○, 보통인 경우는 △, 공급성이 나쁜 경우는 ×로 나타내었다.
매수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세 륨 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에 따른 토너 조성물이 공급성이 가장 오래 유지되었다.
필르밍 현상
다음 표 4에서 필르밍 현상이 많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 필르밍 현상이 발생하지만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인 경우는 △, 필르밍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는 ×로 나타내었다.
매수 초기 1000 2000 3000 4000 5000
실시예 1
비교예 1 × × ×
비교예 2 × × ×
비교예 3 ×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및 세륨 옥사이드를 모두 함유하는 토너 조성물의 경우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도 필르밍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조성물에 소입자 실리카, 대입자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세륨 옥사이드를 일정 성분비로 함유하는 외첨제를 첨가함으로써 화상 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포그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공급성이 우수하고, 필르밍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 토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착색제, 결합제, 대전 제어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토너 입자와 외첨제를 포함하며,
    상기 외첨제는 실리카, 칼슘계 산화티탄, 및 세륨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는 1차 입자 크기가 5nm 내지 20nm의 범위 이내인 소입자 실리카의 함량이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이고, 1차 입자 크기가 30nm 내지 200nm의 범위 이내인 대입자 실리카의 함량이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2중량% 내지 8.0중량%,
    상기 칼슘계 산화티탄의 함량은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3.0중량%, 및
    상기 세륨 옥사이드의 함량은 상기 토너 입자 100 중량%에 대해서 0.1중량%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계 산화티탄은 1차 입자 크기가 500nm 내지 1000nm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계 산화티탄은 1차 입자 크기가 500nm 내지 1000nm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륨 옥사이드는 1차 입자 크기가 1000nm 내지 1500nm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륨 옥사이드는 1차 입자 크기가 1000nm 내지 1500nm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부대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부대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조성물.
KR1020040074928A 2004-09-20 2004-09-20 토너 조성물 KR10067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28A KR100675388B1 (ko) 2004-09-20 2004-09-20 토너 조성물
JP2005272941A JP3874362B2 (ja) 2004-09-20 2005-09-20 トナー組成物
US11/229,499 US20060063083A1 (en) 2004-09-20 2005-09-20 Ton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28A KR100675388B1 (ko) 2004-09-20 2004-09-20 토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51A KR20060026151A (ko) 2006-03-23
KR100675388B1 true KR100675388B1 (ko) 2007-01-29

Family

ID=3607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28A KR100675388B1 (ko) 2004-09-20 2004-09-20 토너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63083A1 (ko)
JP (1) JP3874362B2 (ko)
KR (1) KR1006753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007A (ja) * 1999-07-21 2001-02-09 Kao Corp フルカラートナー
KR20020061514A (ko) * 2001-01-17 2002-07-2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용 토너, 전자사진용 현상제, 및 화상형성방법
KR20040064115A (ko) * 2003-01-09 2004-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JP2004258170A (ja) 2003-02-25 2004-09-16 Ricoh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及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4511B1 (en) * 1999-05-19 2001-04-10 Sharp Kabushiki Kaisha T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814489B2 (ja) * 2001-03-28 2006-08-3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非磁性一成分現像用トナー
US7135263B2 (en) * 2003-09-12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007A (ja) * 1999-07-21 2001-02-09 Kao Corp フルカラートナー
KR20020061514A (ko) * 2001-01-17 2002-07-2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용 토너, 전자사진용 현상제, 및 화상형성방법
KR20040064115A (ko) * 2003-01-09 2004-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자성 일성분계 토너 조성물
JP2004258170A (ja) 2003-02-25 2004-09-16 Ricoh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及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4362B2 (ja) 2007-01-31
KR20060026151A (ko) 2006-03-23
US20060063083A1 (en) 2006-03-23
JP2006091881A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0205B2 (ja) トナー組成物
KR101399355B1 (ko) 전자사진용 토너
KR100716979B1 (ko) 전자사진용 현상제
JP4026692B2 (ja) トナー組成物
JP2004341537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用の非磁性1成分トナー
JP2005078095A (ja) 電子写真用現像剤
KR100675388B1 (ko) 토너 조성물
JP4047823B2 (ja) トナー
KR100503362B1 (ko) 대전균일성이 우수한 자성 토너 조성물
JP2010122442A (ja) 画像形成装置
KR20100070030A (ko) 정전하 현상용 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
JPS58211763A (ja) 電子写真用トナ−
KR20080065500A (ko) 전자사진 현상제
KR20060122558A (ko) 토너 조성물
JP4219504B2 (ja) 現像剤用トナー及び現像剤
JPH11231571A (ja) 非磁性1成分現像用トナー
US7070895B2 (en) Magnetic toner composition having superior electrification homogeneity
KR100636134B1 (ko) 균일한 대전분포 및 향상된 내오프셋 특성을 갖는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용 토너
KR100750475B1 (ko) 균일한 대전특성으로 장기 신뢰성이 우수한 정대전성 프린터용 자성 토너 조성물
JP4117812B2 (ja) 静電潜像用トナー
EP1035448A1 (en)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employing a metal complex
JP2005173600A (ja) ストリーク及びフィルム化現像防止特性を有する電子写真の画像形成装置用トナー
KR20140044844A (ko) 전자사진 현상제
JP2004294534A (ja) 電子写真用非磁性ト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現像方法
JP2001125303A (ja) 現像剤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