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333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333A
KR20040063333A KR1020030000712A KR20030000712A KR20040063333A KR 20040063333 A KR20040063333 A KR 20040063333A KR 1020030000712 A KR1020030000712 A KR 1020030000712A KR 20030000712 A KR20030000712 A KR 20030000712A KR 20040063333 A KR20040063333 A KR 20040063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lm
layer
nitride
ox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두열
차한섭
박정구
이종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0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3333A/ko
Publication of KR2004006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01L21/82345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gate conductors with different gate conductor materials or different gate conductor implants, e.g. dual gat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01L21/823456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gate conductors with different shapes, lengths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질화 산화막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듀얼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여 도판트가 게이트 절연막 및 채널 영역으로 침투하는 현상과 핫 캐리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고전압용 트랜지스터(High voltage transistor)가 형성되는 'HV(High Voltage)' 영역과, 저전압용 트랜지스터(Low voltage transistor)가 형성되는 'LV(Low Voltage)' 영역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은 각 영역의 특성에 따라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예컨대, 트랜지스터의 동작전압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영역과 두께가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종래에는, 전체 구조 상부에 고전압 소자용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먼저 성장시킨다. 저전압 소자용 제 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영역을 개방하는 마스크 공정과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영역의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완전히 식각하여 두께가 얇은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였다.
상술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두께가 두꺼운 제 1 게이트 절연막은 열산화막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소자간의 분리를 위한 소자 분리막과의 경계 부위에서 산화막의 얇음 현상(Thing Effect, Kooi Effect)이 발생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신뢰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마스크 공정과 식각공정에 의해 제 2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유기물질이 잔존하게 되어 게이트 절연막의 신뢰성을 열화 시키고, 제 1 게이트 절연막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인해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누설 전류가 크게 발생되어 소자의 구동 능력 저하와 소자의 신뢰성 열화가 발생된다.
또한, 얇은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은 후속 공정인 LDD 와 소스/드레인 이온주입공정 중에 주입되는 이온이 게이트 절연막을 통과하여 채널 영역으로 침투해 채널영역의 도핑농도를 변화시켜 문턱 전압을 변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게 되지만, 저온에서는 게이트 전극내에 주입된 이온들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여 게이트 전극내의 불순물 농도가 감소되는 절연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전기적 게이트 산화막 두께가 증가되어 문턱전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소오스에서 드레인으로 이동하는 전자/정공이 주위 온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운동 에너지보다 게이트에 가해지는 높은 전계에 의해 반도체 기판과 게이트 산화막 계면의 에너지 장벽보다 높은 에너지를 얻어 게이트 산화막 내로 유입되는 핫 캐리어 이펙트(Hot Carrier Effect)에 의해 문턱 전압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구성된 고전압용 제 1 게이트 절연막과 산화막과 질화 산화막으로 구성된 저전압용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여 소자 분리막 주변의 게이트 절연막이 얇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도판트가 게이트 절연막 및 채널 영역으로 침투하는 현상과 핫 캐리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2 : 소자 분리막
14, 22 : 산화막 16 : 질화막
18 : 감광막 패턴 20 : 질화 산화막
24, 26 : 게이트 절연막 28 : 폴리 실리콘막
30 : 게이트 전극 32 : 저농도 불순물 영역
34, 36 : 절연막 38 : 스페이서
40 : 고농도 불순물 영역 42 : 소스/드레인
44 : 실리사이드막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소자가 형성될 제 1 영역과 저전압 소자가 형성될 제 2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산화막과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차폐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된 상기 질화막과 상기 제 1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스트립하는 단계 및 질화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질화 산화막과 제 2 산화막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제 1 산화막과 상기 질화막이 적층된 제 1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질화 산화막과 상기 제 2 산화막이 적층된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두께가 두꺼운 제 1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제 1 영역(고전압 소자 영역; A)과 두께가 얇은 제 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제 2 영역(저전압 소자 또는 메모리 셀; B)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10)의 소자 분리 영역에 소자 분리막(12)을 형성한 후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0)에는 웰(미도시)을 형성한다. 두께가 두꺼운 제 1 게이트 절연막은 제 2 게이트 절연막보다 두께가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고전압 소자용 제 1 게이트 절연막은 200 내지 1100Å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을 지칭하고, 저전압 소자용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30 내지 50Å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0) 상에 패드 산화막(미도시)과 패드 질화막(미도시)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전체 구조 상부에 감광막(Photoresist)을 증착한 후 감광막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막 패턴과 패드 질화막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STI(Sallow Trench Isolation)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트렌치(미도시)를 형성하고 이를 절연막을 이용하여 매립함으로서 소자 분리막(12)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10)은 소자 분리막(12)에 의해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즉, 소자 분리막 영역)으로 분리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공정을 통해 소자 분리막(12)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증착하지 않고 감광막 패턴만을 이용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할 수 있고, 반도체 기판에 웰을 먼저 형성한 다음 소자 분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반도체 기판(10) 상에 형성된 패드 질화막과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되, 상기 패드 산화막을 완전히 식각하지 않고, 일부를 잔류시켜 후속 웰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시 버퍼층 역활을 하는 스크린 산화막으로 사용한다. 반도체 소자가 형성될 영역을 개방시키는 이온 주입 마스크(미도시)를 형성한 후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10)의 노출된 영역에 웰을 형성한다. 이때,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n웰과 p웰을 각각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2번의 이온 주입 마스크 형성 공정과 2번의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n웰과 p웰을 각각 형성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p웰 영역을 개방시키는 이온 주입 마스크를 형성한 후 붕소(Boron)를 주입하여 p웰을 형성하고, 다시 n웰 영역을 개방시키는 이온 주입 마스크를 형성한 후 인(Phosphorus)이나 비소(Arsenic)를 주입하여 n웰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10) 상에 잔류하는 패드 산화막을 완전히 제거한다.
상술한 이온 주입공정의 조건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기판(10) 표면에 정션이 형성되어 다른 누설 전류의 원인이 되지 않고, 웰과 정션간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조건으로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또한, 감광막패턴을 형성하여 일정 영역에만 이온주입을 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기판(10)상에 기판 표면의 결정결함 억제 또는 표면처리 및 이온주입시 버퍼층 역활을 하는 스크린 산화막(미도시)을 증착한 다음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세정 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10) 상에 잔류하는 산화막을 제거한다. 제 1 및 제 2 영역(A 및 B)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0) 상에 제 1 산화막(14)과 질화막(Si3N4; 1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제 2 영역(B)의 질화막(16)과 제 1 산화막(14)을 식각한다.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제 2 산화막(22)과 질화 산화막(20)을 형성한다. 이로써, 제 1 영역(A)에는 제 1 산화막(14)과 질화막(16)이 적층된 제 1 게이트 절연막(24)이 형성되고, 제 2 영역(B)에는 질화 산화막(20)과 제 2 산화막(22)이 적층된 제 2 게이트 절연막(2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NH4OH: H2O2; H2O가 1: 1: 5의 비율로 희석된 수용액 및 불산 용액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0)을 세정하여 반도체 기판(10)내에 잔존하는 자연 산화막과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H2와 O2가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역(A 및 B)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 상에 50 내지 100Å 두께의 제 1 산화막(14)을 형성한다. 습식 산화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산화막(14)을 형성할 수도 있다.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er Deposition; CVD), 저압 화학 기상 증착법(Low Pressure CVD; LP-CVD), 플라즈마 인핸스드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d CVD; PE-CVD) 또는 대기압 화학 기상 증착법(Atmospheric Pressure CVD; AP-CVD)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산화막(14) 상에 질화막(16)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DCS(Dichloro Silane;SiH2Cl2)와 NH3가스를 이용하여 50 내지 800mtorr의 낮은 압력과 700 내지 900℃정도의 온도 하에서 200 내지 1000Å의 두께로 LP-CVD방법으로 증착한다.
전체 구조상에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제 2 영역(B)을 개방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제 2 영역(B)을 개방하고 제 1 영역(A)을 차폐하는 감광막 패턴(18)을 형성한다. 감광막 패턴(18)을 식각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형성된 질화막(16)을 제거한다. 질화막(16)은 일반적인 스트립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예를 들어, 인산 수용액을 이용하거나 건식식각법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오존수(O3+ H2O)이용한 감광막 스트립 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18)을 제거한다. 또한, 감광막 패턴(18)을 제거하지 않고, 제 2 영역(B)에 형성된 제 1 산화막(14)을 제거한 다음 감광막 패턴(18)을 제거할 수 있다. 제 1 영역(A)에 잔류하는 질화막(16)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영역(B)에 형성된 제 1 산화막(14)을 제거한다. 불산 용액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상에 형성된 제 1 산화막(14)을 식각한다.
암모니아(NH4OH)수용액을 이용한 세정공정을 실시하여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잔류하는 산화막을 제거한다. 질화산소(N2O 또는 NO)를 이용하여 제 2 산화막(22)과 질화 산화막(20)을 제 2 영역(A)의 노출된 반도체 기판(10)에 형성한다. N2O 가스 또는 NO 가스를 이용한 질화 공정은 750 내지 950℃ 온도 하에서 300 내지 900sccm의 NO가스와 5 내지 10slm의 N2가스를 주입하여 실시한다. 이때, 제 1 영역(A)의 노출된 질화막(16)은 질화산소에 의해 어닐링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제 1 영역(A)에는 제 1 산화막(14)과 질화막(16)이 적층된 구조의 제 1 게이트 절연막(16)이 형성되고, 제 2 영역(B)에는 질화 산화막(20)과 제 2 산화막(22)이 적층된 28 내지 55Å 두께의 제 2 게이트 절연막(26)이 형성된다.
도 1d 및 1e를 참조하면,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 상에 각기 형성된 제 1 및 제 2 게이트 절연막(24 및 26) 상에 도전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막으로 폴리 실리콘막(28)을 사용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도전성 막을 이용하여 도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마스크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을 통해 폴리 실리콘막(28), 제 1 및 제 2 게이트 절연막(24 및 26)을 패터닝 하여 게이트 전극(30)을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에 각각 형성한다. LDD 구조의 소스/드레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30) 양 가장자리의 반도체 기판(10)에 저농도 이온 주입 공정으로 저농도 불순물 영역(32)을 각각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폴리 실리콘막(28)상에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게이트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제 1 영역(A)에는 폴리 실리콘막(28), 질화막(16) 및 제 1 산화막(14)을 순차적으로 식각하고, 제 2 영역(B)에는 폴리 실리콘막(28), 제 2 산화막(22) 및 질화 산화막(22)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30)을 형성한다.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의 게이트 전극(30)은 한번의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고, 각기 서로 다른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HBr 가스가 포함된 식각 가스를 이용한 비등방성 건식 식각 방법으로 폴리 실리콘막(28)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30)을 형성하며, 게이트 전극(30)을 형성한 후에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패터닝 공정 시 발생된 플라즈마 손상 등을 제거한다.
이후, LDD 구조의 정션영역(소스/드레인)을 형성하기 위해 n타입 불순물 또는 p타입 불순물을 주입하여 저농도 불순물 영역(32)을 형성한다.
도 1f를 참조하면,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30)의 양 측면에 절연막 스페이서(38)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절연막(34) 및 제 2 절연막(36)을 전체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후, 전면 식각 공정으로 제 1 및 제 2 절연막(34 및 36)을 게이트 전극(30)의 양 측면에만 잔류시켜 제 1 및 제 2 절연막(34 및 36)으로 이루어진 절연막 스페이서(38)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절연막(34)은 저압 실리콘 산화물(LP-TEOS)로 형성하며, 제 2 절연막(36)은 실리콘 질화물(Si3N4)로 형성한다. 이때, 제 1 절연막(34)은 폴리 실리콘막(28)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30)과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진 제 2 절연막(36)이 직접 접촉할 경우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버퍼 산화막의 역할을 한다.
이후, 소스/드레인(42)을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 전극(3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절연막 스페이서(38) 가장자리의 반도체 기판(10)에 고농도 이온 주입 공정으로 고농도 불순물 영역(40)을 저농도 불순물 영역(32)보다 깊게 형성한다. 여기서,nMOS 영역에는 n타입 불순물을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 영역(40)을 형성하고, pMOS 영역에는 p타입 불순물을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 영역(40)을 각각 형성한다. 이로써, 저농도 불순물 영역(32)과 고농도 불순물 영역(40)으로 이루어진 LDD 구조의 소스/드레인(42)이 형성된다. 또한, 고농도 불순물 이온주입 후 주입된 불순물의 활성화를 위한 급속 열처리 공정을 진행한다.
한편, 게이트 전극(30) 및 소스/드레인(42)과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콘택 플러그의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게이트 전극(30) 및 소스/드레인(42)의 상부 표면에 실리사이드막(44)을 형성한다.
실리사이드막(44)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 전극(30) 및 소스/드레인(42) 표면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고 전체 상부에 금속막(도시되지 않음) 및 캡핑막(도시되지 않음)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1차 열처리 공정으로 게이트 전극(30) 및 소스/드레인(42)의 실리콘 성분과 금속막의 금속 성분을 반응시켜 실리사이드막(44)을 형성한다. 이후, 캡핑막과 미반응 금속막을 제거한 후 2차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실리사이드막(44)의 막질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질화막 증착과 질화 산화막 어닐링 공정을 통해 활성영역과 소자 분리 영역의 경계 부위에서 게이트 절연막이 얇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절연막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용과, 저전압용 게이트 절연막을 동시에 형성시 고전압용 게이트 절연막으로 산화막과의 높은 식각선택비를 갖는 질화막을 포함하여 소자 분리 영역의 고전압용 게이트 절연막이 과도 식각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소자간 누설 전류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의 핫 캐리어 면역 특성을 증가시켜 소자의 문턱 전압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에서 붕소 이온이 채널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문턱 전압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존수를 이용하여 감광막을 제거함으로써, O2 플라즈마에 의한 식각시 밀도가 낮은 산화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a) 고전압 소자가 형성될 제 1 영역과 저전압 소자가 형성될 제 2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산화막과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2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제 1 영역을 차폐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된 상기 질화막과 상기 제 1 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감광막 패턴을 스트립하는 단계; 및
    (e) 질화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질화 산화막과 제 2 산화막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제 1 산화막과 상기 질화막이 적층된 제 1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질화 산화막과 상기 제 2 산화막이 적층된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750 내지 950℃ 온도하에서 NO가스 또는 N2O가스를 주입하여 28 내지 55 두께의 제 2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DCS(Dichloro Silane; SiH2Cl2)와 NH3가스를 이용하여 50 내지 800mtorr의 압력과 700 내지 900℃의 온도 하에서 200 내지 1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30000712A 2003-01-07 2003-01-0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63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712A KR20040063333A (ko) 2003-01-07 2003-01-0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712A KR20040063333A (ko) 2003-01-07 2003-01-0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333A true KR20040063333A (ko) 2004-07-14

Family

ID=3735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712A KR20040063333A (ko) 2003-01-07 2003-01-0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33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24B1 (ko) * 2005-02-19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324B1 (ko) * 2005-02-19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263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4093855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94044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073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8682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0786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6333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09482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52632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3003495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45648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7818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48139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39159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07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12141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69193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59753A (ko) 텅스텐막을 포함하는 게이트전극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의제조 방법
KR100579854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557631B1 (ko)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70040576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방법
KR20020041191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948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9457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20050067822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