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460A -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460A
KR20040061460A KR1020020087727A KR20020087727A KR20040061460A KR 20040061460 A KR20040061460 A KR 20040061460A KR 1020020087727 A KR1020020087727 A KR 1020020087727A KR 20020087727 A KR20020087727 A KR 20020087727A KR 20040061460 A KR20040061460 A KR 20040061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circuit board
fixed
magnetic conta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0837B1 (ko
Inventor
김견묵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8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를 전원과 부하간을 연결하는 회로기판에 접속시켜주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접촉기를 거꾸로가 아닌 바른 상태로 회로기판의 상위에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과정에서 전자접촉기의 각 구성요소가 작동할 때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전자접촉기를 기판 고정형이 아닌 도선 연결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과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로기판에 복수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갖는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고정접촉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핀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편과; 상기 단자편을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전자접촉기의 하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접속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connection device of electronic contactor and PCB}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원과 부하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기판에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원과 부하간의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거나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로서, 통상 모터와 같은 전기적 부하기기의 과전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여 사용된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함에 따라 상기 전기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접점부와 전자석부 등의 구성요소가 설치되도록 하면서 외형을 유지하는 본체부로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부에 코일을 여자(勵磁)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고, 소자(消磁)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폐로하여 전기회로의 개폐를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전자접촉기는 사용시 전원측과 부하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회로기판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도선(conducting wire)을 사용하는데, 상기 회로기판을 사용하는 전자접촉기를 기판 고정형 전자접촉기라 하고, 도선을 사용하는 전자접촉기를 도선 연결형 전자접촉기라 한다.
그럼 먼저 기판 고정형 전자접촉기(이하 "전기접촉기"라 한다)와 종래의 접속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로서 나타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접촉기는 크게 절연재질로 제작되는 상부 프레임(1)과 역시 절연재질로 제작되는 하부 프레임(3)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부 프레임(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2)로 구성된다. 커버(2)에는 5개의 통공(13)이 그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관통하게 천공되며, 종래의 접속장치로서 단자편(12)이 통공(13)에 대응하게 마련되며, 통공(13)을 관통하여 커버(2)의 상부로 돌출하게 연장한다.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를 분해사시도로서 제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정코아(5)는 하부 프레임(3)의 내측 저면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산형(山形)의 적층철심중 중앙부분을 둘러싸게 보빈코일(4)이 설치된다. 보빈코일(4)은 상부에 구비된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자화(磁化)되어 수직방향의 흡인력을 제공한다.
보빈코일(4)의 상부에는 가동코아(6)가 설치되며, 보빈코일(4)이 자화되면상부의 가동코아(6)를 고정코아(5)에 접촉하도록 흡인한다. 고정코아(5)와 가동 코아(6)의 사이에 스프링(7)이 설치되어 가동코아(6)를 상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가동코아(6)의 상부에는 복수의 가동접촉자(1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크로스바(8)가 가동코아(6)와 일체로 가동되도록 결합된다. 크로스바(8)에는 4개의 가동접촉자(11)가 크로스바(8)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관통하면서 스프링으로 탄지되게 각각 설치되어, 가동코아(6) 및 크로스바(8)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기동된다. 각각의 가동접촉자(11)는 일자형의 전기적 도체로 이루어지는 편재(片材)로서, 양단부의 하면에 접점이 각각 부착된다.
하부 프레임(3)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1)이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격벽사이 마다에 각각 고정접촉자(10)가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0)는 일자형의 전기적 도체로 이루어진 편재(片材)의 일단을 직각 절곡한 형태로서, 선단부상에 접점이 부착되고 상부 프레임(1)상에 고정을 위해 스크류 가 삽입될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접촉자(10)의 접점들은 각각 상기 가동접촉자(11)의 접점들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가동접촉자(11)의 수직이동에 따라 고정접촉자(10)의 접점들과 가동접촉자(11)의 접점들은 서로 접촉하거나 분리된다.
각각의 고정접촉자(10)의 상부면에는 종래의 접속장치로서 도체로 된 단자편(12)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단자편(12)은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연장하는 접속핀부로 구성된다. 각각의 고정접촉자(10)와 단자편(12)은 스크류(9)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1)의 격벽사이에 서로 밀착되게 고정된다.
상부 프레임(1)의 상부면상에는 커버(2)가 덮히는데, 커버(13)에는단자편(12)의 갯수에 대응되게 다수의 통공(13)이 천공되어, 단자편(12)들이 통공(13)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회로기판과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가 접속된 사용상태를 요부 종단면도로 나타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3)이 상위로 그리구 상부 프레임(1) 및 커버92)가 하위로 한 즉, 전자접촉기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스크류(9)에 의해서 고정접촉자(10)과 함께 상부 프레임(1)에 고정된 단자편(12)의 접속핀부는 커버(2)의 외부 하방으로 돌출한다. 도 3에서 커버(2)의 하부면에 밀착하여 전원과 부하간의 전기적 통로를 제공하는 회로기판을 설치한다.
그리구 단자편(12)중 돌출한 접속핀부 끝을 회로기판의 회로선로인 동박(銅箔)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납땜(soldering)하므로서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이 접속된다.
도 3에는 단자편(12)중 하나와 회로기판의 접속을 예를 들어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상태가 예컨대 도 2의 전자접촉기에서 좌측 단자편(12)을 회로 기판중 전원측에 연결한 상태라면, 도 2의 전자접촉기에서 좌측 단자편(12)에 대향하는 우측 단자편(13)은 회로 기판중 부하측에 접속되어, 전원과 부하가 전자접촉기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한편 종래 기판 고정형 전자접촉기가 거꾸로의 상태로 회로기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의 작용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과 부하간의 통전을 차단하고자 할 때는 코일보빈(4)에 전류를 인가하지않으며, 이때에는 코일보빈(4)의 코일이 소자(掃滋)되어 가동코아(5)를 흡인하는 힘이 없어지므로,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코아(6)가 고정코아(5)와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되고 가동코아(6)와 함께 크로스바(8)도 고정코아(5)와 멀어지는 쪽인 도2의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8)에 탄력설치된 각 가동접촉자(11)와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스크류(9)로서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가 분리된다. 따라서, 회로기판의 전원측과 부하측이 연결되지 않으므로 결국 전원과 부하간의 통전은 차단된다.
전원과 부하간을 통전시키고자 보빈코일(4)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보빈코일(4)이 여자됨에 따라 고정코아(5)가 자화되면서 가동코아(6)을 끌어당기는 자력을 방생시키게 되므로 가동코아(6)가 고정코아(5) 쪽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도2상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가동코아(6)와 결합된 크로스바(8)도 스프링(7)을 압축시키면서 고정코아(5) 쪽인 도면상 하방으로 함께 이동되므로 어느 순간부터 상기 크로스바(8)에 탄력설치된 각 가동접촉자(11)가 상부 프레임(1) 양측에 스크류(9)로서 고정되어 있는 각 고정접촉자(10)에 접촉되면서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11)가 접속된 폐로상태가 되고, 따라서 고정접촉자(10)와 단자편(12)을 통해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결국 회로기판의 전원측과 부하측이 접속되고, 결국 부하가 접속되는 회로 폐로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판 고정형 전자접촉기는 회로기판의 동박과 접촉된 상태에서 솔더링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편(12)의 끝단부가 상부프레임(1)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2)를 통해 상부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 전자접촉기가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상태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편(12)의 끝단이 회로기판을 향하고 있는 거꾸로의 상태일 수 밖에 없고, 상기 거꾸로의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동작된다면 전자접촉기의 구성부품에 중력이 본래 의도와 달리 거꾸로 작용하므로 신속 원활한 정상적인 동작이 행하여지는데는 여러 가지로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오동작 및 고장이 자주 일어남은 물론 부품의 조기 소손에 의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판 고정형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폭이 제한되므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기판 고정형 이외에 도선 연결형을 별도로 소지 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여러가지로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여기서 도선연결형이 라함은 고정접점에 전원으로부터의 도선과 부하로부터의 도선을 각각 직접연결하여 전원과 부하간 회로를 전자접촉기로 개페하는 방식의 전자접촉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접촉기를 거꾸로가 아닌 바른 상태로 기판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가 작동할 때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지 않음으로서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접촉기를 기판 고정형으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언제든지 도선 연결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한 종류의 전자접촉기만을 가지고도 작업현장 상황에 맞게 여러가지 형태로 선택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2는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회로기판과 전자접촉기와 종래의 접속장치가 접속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와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회로기판과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가 접속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 프레임 2. 커버
3. 하부 프레임 4. 보빈코일
5. 고정코아 6. 가동코아
8. 크로스바 9. 스크류
10. 고정접촉자 11. 가동접촉자
14. 통공 15. 누름판
16. 단자편 17. 보호캡
18. 피난홈 19. 받침턱
20. 끼움공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과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로기판에 복수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갖는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고정접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핀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편과; 상기 단자편을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전자접촉기의 하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접속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를 전자접촉기와 회로 기판으로 부터 분리하여 고정접촉자를 도선으로 전원과 부하에 접속하므로서 달성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와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 이며, 도 6은 회로기판과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가 접속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있어서, 부호 1은 상부 프레임이고, 부호 3은 하부 프레임, 부호 2는 커버, 부호 14는 고정접촉자를 상부 프레임(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를 조이거나 풀기위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통공으로서 커버(2)에 관통 형성된다. 부호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간의 접속장치중 단자편의 상단부이고, 부호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간의 접속 장치중 커버이다. 부호 19는 전자접촉기를 지지하는 다리와 같은 부분으로서, 하부 프레임(3)에 일체로 구비되는 받침턱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접촉기의 구성중 상부 프레임(1), 커버(2), 하부 프레임(3), 보빈코일(4), 고정코아(5), 가동코아(6), 스프링(7), 크로스바(8), 스크류(9), 고정접촉자(10), 가동접촉자(11)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프레임(1)에 결합된 커버(2)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통공(14)이 수직방향 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의 양측으로 복수개의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는 있는 스크류(9)를 별도의 도구로서 각각 조이거나 풀수 있도록 상기 통공(14)이 통로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각 고정접촉자(10)를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시켜 주고 있는 스크류(9)에는 누름판(15)이 끼워져 상기 스크류(9)의 조임시 누름판(15)이 고정접촉자(10)를 향해 중력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며,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3)이 결합된 본체부의 양쪽 외측면에는 대략 직각되게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로서 복수개의 단자편(16)이 구비된다. 각각의 단자편(16)은 고정접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핀부로 구성된다. 각각의 단자편(16)을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덮도록 커버(17)가 구비된다. 각각의 단자편(16)에는 부호 미정한 요홈부가 구비되어, 커버(17)에 상대적으로 구비되는 돌기부를 상기 요입부에 삽입하므로서 커버(17)에 고정되고 지지된다. 커버(17)는 각각의 단자편(16)별로 별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의 간편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기로 전자접촉기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단자편의 갯수 즉, 측면당 5개를 수용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단자편(16)의 상단부(16a)는 스크류(9)에 의한 고정접촉자(10)와의 접속을 위해서 몸체부(16b)로부터 절곡되어 양갈래진 형상을 가진다. 단자편(16)의 몸체부(16b)는 커버(17)에 의해서 가려져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단자편(16)의 핀부(16c)는 회로기판과의 접속을 위해서 커버(17)하부로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상 전자접촉기의 하부 프레임(3)의 양측 외측면 하단에는 받침턱(19)이 형성되어 커버(17)에 의해 덮혀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각각의 단자편(16)의 상단부(16a)를 상부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각각의 고정접촉자(10)상면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보호캡(17)이 받침턱(19)에 받쳐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턱이 없는 도 1과 같은 전자접촉기의 경우, 단자편(16)의 몸체부(16b)는 도 5의 실시예 보다 받침턱(19)의 높이 만큼 더 길게 연장되어야 할 것이고, 그 만큼 커버(17)의 길이 또한 연장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3)에 형성된 양측 받침턱(19)에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되게 복수개의 끼움공(20)이 형성되어 커버(17)가 상기 받침턱(19)에 받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17)에 의해 덮인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각 단자편(16)의 핀부(16c)는 상기 끼움공(20)을 통해 하부 프레임(3)의 바닥면 아래로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17)의 안쪽면에 지지된 상태로 있는 각 단자편(16)을 사용하여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을 접속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2)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각 통공(14)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집어 넣어 고정접촉자(10)를 상부 프레임(1)에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9)를 상기 공구로서 어느정도 풀어 상기 스크류에 끼워져 있는 누름판(15)의 하부 가압력이 일단 해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17)의 안쪽면에 지지된 상태로 있는 복수개의 단자편(16)핀부(16c)를 하부 프레임(3)에 형성된 받침턱(19)의 각 끼움공(20)으로 일단 끼워 넣으면 상기 각 단자편(16)은 하부 프레임(3)의 바닥면 외부로 약간 비스듬하게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각 단자편(16)을 일페 지지한 상태에서 보호하고 있는 커버(17)의 하단은 하부 프레임(3에 형성된 상기 받침턱(19)에 접촉되면서 받쳐지는데, 이 상태가 첨부된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이다.
상기 도 6의 일점쇄선 상태에서 커버(17)을 하부 프레임(3)를 향해 밀면 어느 순간 상기 커버(17)은 도 6의 실선과 같이 하부프레인(3)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17)의 안쪽면에 지지된 상태로 있는 각 단자편(16)의 상단부(16a)는 상부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각 고정접촉자(10)의 상부로 끼워져 들어가면서 상기 접촉자(10)와 접촉된다.
한편 각 단자편(16)의 상단부가 각 고정접촉자(10)의 상부로 끼워져 들어가서 상기 고정접촉자(10)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각 단자편(16)중 상단부(16a)가 양갈래져 있어 그 갈래사이에 요홈(18)이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고정접촉자(10)를 상부프레임(1)에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나사조임이 약간 풀려있는 스크류(9)가 상기 요홈(18)으로 끼워져 들어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상기 각 단자편(16)의 상단부(16a)는 스크류(9)를 감싼상태에서 각 고정접촉자(10)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안정적 상태가 된다.
이후 풀려져 있던 스크류(9)를 공구로서 다시 조이면, 상기 스크류(9)에 끼워져 있던 누름판(15)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단자편(16)중 고정접촉자(10)에 접촉된 상단부를 강한 힘으로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각 단자편(16)이 고정접촉자(10)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회로기판상에 전자접촉기를 설치하고, 하부 프레임(3)의 바닥면 아래로 노출되어 있는 각 단자편(16)의 핀부(16c)를 회로기판의 동박에 천공된 접속구를 관통하게 끼운 다음 핀부(16c)와 동박을납땜으로 고정하면 전자접촉기와 회로 기판간의 접속이 완료된다.
도 6과 같이 접속한 예가 전자접촉기의 전원측 고정접촉자와 회로기판의 전원측을 접속한 것이라면, 전자접촉기의 부하측 고정접촉자와 회로기판의 부하측을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하면, 전원과 부하간의 전자접촉기를 매개로 한 회로접속이완료된다.
이와같이 전자접촉기가 회로기판에 고정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접촉기는 회로기판의 위쪽에서 하부 프레임(3)은 아랫부분에, 상부 프레임(1)은 윗부분에 위치되는 바른 상태가 될 수 밖에 없고,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자편(16)이 상부 프레임(1)에 고정된 고정접촉자(10)와 회로기판상의 동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전자접촉기의 회로 차단 또는 접속시의 동작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기판 고정형 전자접촉기는 필요에 따라 도선 연결형 전자접촉기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 도선 연결형으로 사용할 때에는 커버(17)에 일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에 고정된 고정접촉자(10)와 회로기판상의 동박으로부터 각 단자편(16)을 분리시킨 다음 전원측 도선을 스크류(9)에 끼워진 누름판(15)을 이용하여 각 고정접촉자(10)에 고정시키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를 사용하면, 전자접촉기가 거꾸로가 아닌 바른 자세에서 회로기판상에 설치될 수 있어 전자접촉기의 구성부품에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구성부품의 동작이 원활하여 고장이 자주 일어나는 일이 없음을 물론 부품의 손상 방지에 의해 제품의 전체적인 수명도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17)에 일체 지지된 상태로 있는 각 단자편(16)을 선택적으로 착탈하므서 전자접촉기를 기판 고정형으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도선 연결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폭의 확대로 인해 작업자는 여러가지 유형의 전자접촉기를 함께 소지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편리성이 확보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전원과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로기판에 복수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갖는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고정접촉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핀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편과;
    상기 단자편을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전자접촉기의 하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접속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편의 상기 상단부는 스크류에 의한 상기 고정접촉자와의 접속을 위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양갈래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KR10-2002-0087727A 2002-12-31 2002-12-31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KR10048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727A KR100480837B1 (ko) 2002-12-31 2002-12-31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727A KR100480837B1 (ko) 2002-12-31 2002-12-31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460A true KR20040061460A (ko) 2004-07-07
KR100480837B1 KR100480837B1 (ko) 2005-04-07

Family

ID=3735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727A KR100480837B1 (ko) 2002-12-31 2002-12-31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2087B2 (en) 2012-09-26 2016-04-12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Electronic contactor including separable upper bod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2087B2 (en) 2012-09-26 2016-04-12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Electronic contactor including separable upper 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0837B1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040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0210727A1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KR100480837B1 (ko)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KR200441990Y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연결장치
EP0488203B1 (en) Electrical equipment to be coupled to printed circuit board
JP3997664B2 (ja) 回路しゃ断器
US6750561B2 (en) Protecting device
KR100510712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00475070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01182007B1 (ko)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AU2004265697B2 (en) Test pushbutton module
JP3906568B2 (ja) 電磁接触器
CN218676953U (zh) 一种双路功率继电器
JP3296460B2 (ja) 回路遮断器
JP4521815B2 (ja) 電磁リレー
CN210578479U (zh) 中间固态继电器
KR200382136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전자차페기
JP4091012B2 (ja) 回路遮断器
JPH0147846B2 (ko)
KR20000001455U (ko)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JPH021787Y2 (ko)
KR100379688B1 (ko) 전자접촉기의 조작전원 연결장치
JP3802578B2 (ja) 回路遮断器
JPH0226327B2 (ko)
CN115621081A (zh) 一种双路功率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