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007B1 -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 Google Patents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007B1
KR101182007B1 KR1020110012044A KR20110012044A KR101182007B1 KR 101182007 B1 KR101182007 B1 KR 101182007B1 KR 1020110012044 A KR1020110012044 A KR 1020110012044A KR 20110012044 A KR20110012044 A KR 20110012044A KR 101182007 B1 KR101182007 B1 KR 10118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conductive member
coi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928A (ko
Inventor
성 젠 우
Original Assignee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1001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0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는, 코일 조립체, 및 접촉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조립체는, 그 내부에 정의된 적어도 2 개의 슬롯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슬롯들에 각각 수령되는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을 포함한다. 각 브릿지 부재는 그 위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말단 부분들을 가진다. 각 말단 부분은 그 위에 장착되는 이동가능 접점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그 위에 장착되는 적어도 2 개의 고정 접점들을 가진다. 각 고정 접점은 상기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도 부재 및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코일 조립체와 상기 접촉 조립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전도 부재는 상기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접점을 가진다.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접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RELAY WITH MULTIPLE CONTACTS}
본 발명은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 개의 접점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아크를 억제하기 위해 그 위에 배치된 복수의 접점들을 가지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저전류를 적용함으로써,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이다.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의 릴레이들은 전자기계적 릴레이, 리드 릴레이, 및 고체 상태의 릴레이 등이다. 일반적으로, 전류가 상기 종래의 릴레이들을 관통하여 흐를 때, 전기적 아크는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의 2 개의 도입선들 사이에서 발생된다. 회로가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형성된 전기적 아크를 지속시키기에 충분한 전류와 전압을 가지고 있다면, 상기 전기적 아크는 컨덕터가 녹거나, 절연체가 파괴되거나 불이 나는 등의 피해를 전자 장치에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적 아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병렬의 커패시터들 및 저항, 직렬의 커패시터, 또는 상기 2 개의 접점들/도입선들의 거리의 증가가 아크 방지 회로에 적용된다.
최근, 종래의 소형 릴레이는 소형 전자 장치를 위해 설계된다. 상기 소형 장치에는 상기 전기적 아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2 개의 접점들/도입선들 사이의 거리의 증가를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상기 2 개의 접점들/도입선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면, 종래의 릴레이는 접촉 오류를 야기시킬 수 있고 릴레이의 전기 회로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의 릴레이들의 단점들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2 개의 접점을 가로지르는 전기적 아크를 억제하기 위한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개선된 릴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는, 코일 조립체, 접촉 조립체, 제1 전도 부재, 및 제2 전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조립체는 상기 코일 조립체, 상기 접촉 조립체, 상기 제1 전도 부재,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를 수령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령된 적어도 하나의 철 코어(iron cor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 코어 상에 슬리브되는(sleeving)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주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가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각각에 인접하는 2 개의 끝단(ends)을 가진다.
상기 접촉 조립체는 상기 코일 조립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의 상단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는 그 내부에서 정의되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슬롯들과 소통하는 적어도 2 개의 천공들(bores)을 가진다.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은 상기 적어도 2 개의 슬롯들에 각각 수령된다. 각 브릿지 부재는 2 개의 대향하는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대응하는 슬롯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말단 부분들(terminal portions)을 가진다.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의 각 말단 부분은 L 자 형태로 굴절되어 있고,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이동가능 접점을 가진다. 각 브릿지 부재는 그 내부에서 정의되고, 대응하는 천공과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through hole)을 가져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이 상기 베이스에 리벳 고정되거나 열 융착(heat staking)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은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의 상기 적어도 2 개의 슬롯들 내에서 각각 둘러싸인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적어도 2 개의 고정 접점들을 가진다. 각 고정 접점은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 중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2 개의 분로(shunt)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 상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분로는 각 브릿지 부재의 상기 적어도 2 개의 말단 부분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2 개의 끝단을 가져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분로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이 병렬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전도 부재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의 타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 조립체와 상기 접촉 조립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전도 부재는 대응하는 브릿지 부재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접점을 가진다.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대응하는 브릿지 부재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접점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자기장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분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은 회로를 개방하는 데 사용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접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접점,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고정 접점들에 대응하여 각각 움직인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를 복귀하게 만든다. 상기 자기 부재는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분로들을 후방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의 각 끝단은 그 위에 형성된 2 개의 말단 부분들을 가진다. 각 말단 부분은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이동가능 접점을 가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에 대응하여 그 위에 장착된 4 개의 고정 접점들을 가진다. 상기 제1 전도 부재는 상기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들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된 2 개의 제1 고정 접점들을 가진다.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대응하는 이동 접점들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된 2 개의 제2 고정 접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주의깊게 읽은 후에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는 전기적 아크의 효과적인 제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저항과 접촉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립 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시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제2 실시예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제3 실시예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제4 실시예의 분해 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는 코일 조립체(11), 접촉 조립체(2), 제1 전도 부재(12), 및 제2 전도 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조립체는 상기 코일 조립체(11), 상기 접촉 조립체(2), 상기 제1 전도 부재(12),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13)를 수령하기 위한 하우징(1)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조립체(11)은 상기 하우징(1) 내에 수령된 철 코어(112), 상기 철 코어(112) 상에 슬리브되는 코일(111), 상기 코일(111) 위에 배치되는 자기 부재(113), 및 상기 자기 부재(113)와 상기 코일(111)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114)을 가진다. 상기 자기 부재(113)는 판상 부분(참조부호 없음) 및 상기 판상 부분의 바닥에 축상으로 배치되는 막대 부분(참조부호 없음)을 가진다.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상기 자기 부재(113)의 상기 막대 부분에 슬리브되어 있고, 상기 판상 부분의 바닥과 상기 코일(111)의 상단 각각에 인접하는 2 개의 끝단을 가진다.
상기 접촉 조립체(2)는 상기 코일 조립체(1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자기 부재(113)의 상기 판상 부분의 상단에 장착되는 베이스(2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1)는 그 내부에서 정의되고, 관통하여 측면으로 연장된 2 개의 슬롯들(211)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21)는 그 상단에 정의된 4 개의 천공들(212)을 가진다. 상기 천공들(212) 중 2 개는 하나의 슬롯(211)과 소통하고 다른 2 개의 천공들(212)은 다른 슬롯(211)과 소통한다.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은 상기 2 개의 슬롯들(211)에 각각 수령된다. 각 브릿지 부재(22)는 2 개의 대향하는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대응하는 슬롯(211)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말단 부분들(223)을 가진다.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의 각 말단 부분(223)은 L 자 형태로 굴절되어 있고,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이동가능 접점(221)을 가진다. 각 브릿지 부재(22)는 그 내부에서 정의되고, 상기 2 개의 대응하는 천공들(212)과 소통하는 2 개의 관통공(222)을 가져서,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이 상기 베이스(21)에 리벳 고정되거나 열 융착(heat staking)에 의해 상기 베이스(21)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은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시 상기 베이스(21)의 상기 2 개의 슬롯들(211) 내에서 각각 둘러싸인다.
커넥터(23)는 상기 베이스(21)의 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21)의 동일 측에 위치하는 상기 2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1)에 대응하여 그 2개의 끝단들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2 개의 고정 접점들(231)을 가진다. 각 고정 접점(231)은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중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221)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2 개의 분로들(24)은 상기 베이스(21)의 상기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에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분로(24)는 각 브릿지 부재(22)의 상기 2 개의 말단 부분들(223)의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들(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 개의 끝단을 가져서, 상기 2 개의 분로들(24) 및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이 병렬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전도 부재(12)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13)는 상기 커넥터(23)에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21)의 타 측에 인접하게 둘 다 배치되고, 상기 코일 조립체(11)와 상기 접촉 조립체(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전도 부재(12)는 상기 대응하는 브릿지 부재(22)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221)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일 단에 장착되는 제1 고정 접점(121)을 가진다. 상기 제2 전도 부재(13)는 상기 대응하는 브릿지 부재(22)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221)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일 단에 장착되는 제2 고정 접점(131)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동작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1)이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자기장을 유도할 때, 상기 자기 부재(113)는 상기 코일(111)을 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진다. 상기 베이스(21),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및 상기 2 개의 분로들(24)은 상기 자기 부재(113)와 함께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상기 자기 부재(113)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221)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 접점(121), 상기 제2 고정 접점(131), 및 상기 2 개의 고정 접점들(231)에 대응하여 각각 움직인다.
상기 코일(111)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고 상기 자기장이 사라지면, 상기 코일 스프링(114)은 상기 자기 부재(113)를 복귀하게 만든다. 상기 자기 부재(113)는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1),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및 상기 2 개의 분로들(24)을 상기 코일(111)로부터 멀리 움직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제2 실시예의 요소들과 효과들은 설명을 하지 않고, 차이점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는 그 내부에 평행하게 정의되고, 관통하여 측면으로 연장된 3 개의 슬롯들(211)을 가진다. 상기 접촉 조립체(2)는 상기 3 개의 슬롯들(211) 내에 각각 수령되는 3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및 상기 베이스(21)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면들 옆에 각각 위치하는 2 개의 커넥터들(23)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21)의 동일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3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1)(도 1 참조)은 하나의 커넥터(23)의 상기 2 개의 고정 접점들(231)(도 1 참조)과 상기 제1 전도 부재(12)의 상기 제1 고정 접점(121)(도 1 참조)에 순차적이고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베이스(21)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는 다른 3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1)은 상기 제2 전도 부재(13)의 상기 제2 고정 접점(131)과 다른 커넥터(23)의 상기 2 개의 고정 접점들(231)에 순차적이고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전도 부재(12)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베이스(21)의 2 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도 부재(12), 상기 제2 전도 부재(13), 상기 3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및 상기 2 개의 커넥터들(23)은 단일 입력 및 단일 출력을 가지고 직렬로 정렬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제3 실시예의 요소들과 효과들은 설명을 하지 않고, 차이점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는 그 내부에 평행하게 정의되고, 관통하여 측면으로 연장된 4 개의 슬롯들(211)을 가진다. 상기 접촉 조립체(2)는 상기 4 개의 슬롯들(211) 내에 각각 수령되는 4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및 3 개의 커넥터들(23)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21)의 동일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4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1)(도 1 참조)은 상기 제1 고정 접점(121)(도 1 참조)과 하나의 커넥터(23)의 상기 2 개의 고정 접점들(231)(도 1 참조)과 상기 제2 고정 접점(131)(도 1 참조)에 순차적이고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베이스(21)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는 다른 4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1)은 다른 2 개의 커넥터들(23)의 상기 4 개의 고정 접점들(231)에 순차적이고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전도 부재(12)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베이스(21)의 동일 측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도 부재(12), 상기 제2 전도 부재(13), 상기 4 개의 브릿지 부재들(22), 및 상기 3 개의 커넥터들(23)은 단일 입력 및 단일 출력을 가지고 직렬로 정렬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의 제4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제4 실시예의 요소들과 효과들은 설명을 하지 않고, 차이점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브릿지 부재들(22)의 각 끝단은 그 위에 형성된 2 개의 말단 부분들(223)을 가진다. 각 말단 부분(223)은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이동가능 접점(224)을 가진다. 상기 커넥터(23)는 상기 베이스(21)의 동일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4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4)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된 4 개의 고정 접점들(231)을 가진다. 상기 제1 전도 부재(12)는 그 위에 장착된 2 개의 제1 고정 접점들(121, 122)을 가진다. 상기 제2 전도 부재(13)는 그 위에 장착된 2 개의 제2 고정 접점들(131, 132)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21)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는 다른 4 개의 이동가능 접점들(224)은 상기 2 개의 제1 고정 접점들(121, 122)과 상기 2 개의 제2 고정 접점들(131, 132)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는 전기적 아크의 효과적인 제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 부재(22)와 상기 분로(24)의 병렬 연결은 저항과 접촉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은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많은 가능한 변형물 및 변경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1 : 하우징 11 : 코일 조립체
111 : 코일 112 : 철 코어
113 : 자기 부재 114 : 코일 스프링
121 : 제1 고정 접점 131 : 제2 고정 접점
2 : 접촉 조립체 21 : 베이스
211 ; 슬롯 212 : 천공
22 : 브릿지 부재 221 : 이동가능 접점
222 : 관통공 223 : 말단 부분
23 : 커넥터 231 : 고정 접점
24 : 분로 12 : 제1 전도 부재
13 : 제2 전도 부재

Claims (3)

  1.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에 있어서,
    코일 조립체;
    상기 코일 조립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접촉 조립체;
    제1 전도 부재 및 제2 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조립체는 그 내부에 정의되고, 관통하여 측면으로 연장된 적어도 2 개의 슬롯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상기 적어도 2 개의 슬롯들을 각각 수령하는 적어도 2개의 브릿지 부재들, 및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적어도 2 개의 고정 접점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각 브릿지 부재는 2 개의 대향하는 끝단들에 각각 형성되고 대응하는 상기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2 개의 말단 부분들을 가지고, 각 말단 부분은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이동가능 접점을 가지고,
    각 고정 접점은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 중 상기 대응하는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전도 부재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와 반대로 상기 베이스의 타 측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코일 조립체와 상기 접촉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도 부재는 상기 대응하는 브릿지 부재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접점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대응하는 브릿지 부재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에 선택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그 위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접점을 가지고,
    상기 코일 조립체가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자기장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때,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져서 움직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은 상기 베이스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접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접점,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고정 접점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대응하여 각각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의 각 끝단은 그 위에 형성된 2 개의 말단 부분들을 가지고, 각 말단 부분은 그 위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이동가능 접점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에 대응하여 그 위에 장착되는 4 개의 고정 접점들을 가지고, 상기 제1 전도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에 대응하여 그 위에 장착되는 2 개의 제1 고정 접점들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도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에 대응하여 그 위에 장착되는 2 개의 제2 고정 접점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조립체, 상기 접촉 조립체, 상기 제1 전도 부재, 및 상기 제2 전도 부재를 수령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철 코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철 코어를 슬리브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각각에 인접하는 2 개의 끝단(ends)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자기장이 유도되는 데 사용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 쪽으로 움직이게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부재가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재 부재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2 개의 분로들을 포함하고, 각 분로는 각 브릿지 부재의 상기 적어도 2 개의 말단 부분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 개의 끝단을 가져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분로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브릿지 부재들은 병렬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접점들을 갖는 릴레이.
KR1020110012044A 2011-02-10 2011-02-10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KR10118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44A KR101182007B1 (ko) 2011-02-10 2011-02-10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44A KR101182007B1 (ko) 2011-02-10 2011-02-10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28A KR20120091928A (ko) 2012-08-20
KR101182007B1 true KR101182007B1 (ko) 2012-09-11

Family

ID=4688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44A KR101182007B1 (ko) 2011-02-10 2011-02-10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1490B (zh) * 2018-01-08 2024-04-19 行驱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换向开关式磁保持继电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275A (ja) * 2000-07-18 2002-04-05 Nagano Fujitsu Component Kk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275A (ja) * 2000-07-18 2002-04-05 Nagano Fujitsu Component Kk 電磁継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28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7283B2 (ja) 直列端子として具現化された雷電流および/またはサージ対策の多極の避雷器
US20160006187A1 (en) Double contact point switch and a magnetic connector having the double contact point switch
JP2002100275A (ja) 電磁継電器
US8294540B2 (en) Relay with multiple contacts
US8664553B2 (en) Switch device and connector
CA2518455C (en) Overvoltage protection magazine for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11361923B2 (en) Contactor
JP2005222946A (ja) 電磁リレー及びリセプタクル
KR910007193A (ko) 코넥터
KR101182007B1 (ko) 복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
US9793078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9148222B (zh) 一种集合插座功能的工控电磁继电器
EP2482295B1 (en) Relay with multiple contacts
JP2007059393A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と端子コネクタとの配置装置
JP4289301B2 (ja) 電磁継電器
CN209981116U (zh) 一种带按压接线端子的小型大功率继电器
JP3166989U (ja) 多接点継電器
US10468218B2 (en) Relay with SMA wire driven mechanism
US20090323301A1 (en) Automotive relay system
KR101160792B1 (ko) 열폭 방지 장치를 구비한 서지모듈
JP2016201289A (ja) 接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閉器システム
JP7085904B2 (ja) 回路遮断器
CN220121749U (zh) 辅助触头模块
KR101545894B1 (ko) 전자접촉기
CN220235071U (zh) 一种嵌套型印制电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