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9081A -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 Google Patents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9081A
KR20040059081A KR1020020085611A KR20020085611A KR20040059081A KR 20040059081 A KR20040059081 A KR 20040059081A KR 1020020085611 A KR1020020085611 A KR 1020020085611A KR 20020085611 A KR20020085611 A KR 20020085611A KR 20040059081 A KR20040059081 A KR 2004005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titanium
steel
added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486B1 (ko
Inventor
박종주
송원용
정현석
윤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4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7/00Stirring devices for molten material
    • F27D2027/002Gas stir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용 소재등에 사용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로정련된 용강을 래들로 출강한 후 용강이 수강된 래들을 진공 탈개스 장치로 이송하여 진공 탈개스 처리를 실시한 다음, 엘에프(LF)에서 승온 및 티타늄(Ti)성분을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출강 초기에 용강 탈산제로 알루미늄(Al)을 용강 1 톤당 0.5~1 kg 투입하고 출강완료 후 알루미늄 합금철을 용강 톤당 1~3kg 투입하고,
상기 진공 탈개스 처리는 진공도 2 torr 이하에서 15분~25분동안 행하여 지고,
상기 LF에서의 티타늄(Ti)성분 조정은 승온완료 후 아르곤(Ar) 가스를 0.005~0.010 Nm3/분 의 유량으로 취입하여 용강을 교반하면서 티타늄계 합금철을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의 정련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티타늄 첨가 미탈산 용강을 정련함에 있어서, 강중 티타늄 성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티타늄 개재물을 미세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Method for Refining Molten Steel of Titanium Added Partially Killed Steel}
본 발명은 건축구조용 소재(Structural Steel)등에 사용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공정에서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은 통상적으로 탄소(C): 0.04~0.20중량%, 실리콘(Si): 0.05~0.25중량%, 망간(Mn): 1.30~1.70중량%, 티타늄: 0.010~0.020 중량%, 알루미늄(Al): 0.003 중량%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미탈산강(unkilled steel)(용강) 이란 용존산소가 일부만 제거된 강(용강) 을 의미하며, 부분탈산강 (partially killed steel)(용강) 이라고도 하고 통상적으로 용존산소가 50ppm 이상함유시 탈산강 또는 부분탈산강으로 칭한다.
상기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은 건축구조용 소재(Structural Steel)등에 사용되며특히 최근의 건축경향이 한정된 토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건축 구조물의 대형화 및 초고층화, 건축 구조물의 안정성 및 고작업 능률을 추구하는 건축업계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소재의 고항복강도, 고인성 및 고용접성에 대한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강공정에서부터 엄격한 성분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상기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은 용강내에 미세한 티타늄 산화물 ( TiO2, Ti-oxide )을 분포시켜 슬래브(slab) 제조 및 압연 도중 조직 상변태의 시발점(initiation site)을 제공하여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을 미세화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에서의 고강도 및 고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바, 제강공정에서부터 용강중의 티타늄 성분을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방법에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전로 또는 전기로에서 산소 정련 작업이 완료된 탄소 함량이 0.03~0.08 중량% 인 용강을 래이들(ladle)로 출강한다.
출강과정에서 용강 중에 약 0.0300~0.1200 중량% 함유된 용존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용강 탈산제(deoxidizer)로서 알루미늄(Al)을 첨가하여야 하지만,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경우에는 슬래브(slab)에서의 용존 알루미늄 함량을 0.003중량%이하로 제한하기 때문에, Al 탈산제를 첨가하지 않으며, 용강의 탄소함량을 요구되는 0.05~0.25 중량%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탄제, 실리콘 및 망간을 첨가한다.
다음에, 용강을 담은 레이들을 용강 승온설비인 엘에프(Ladle Furnace, 이하 LF라 한다)로 이송하여 용강중에 티타늄(Ti) 성분을 추가하고, 아크(Arc) 가열을 실시하여 용강온도를 적정범위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성분 및 온도조정이 완료되면, 레이들을 알에이치 또는 브이티디(VTD, Vacuum Tank Degasser) 등 진공 탈가스 장치로 이송하여, 용강을 수 토르(torr) 정도의 감압상태로 용강 중 수소(H2) 가스등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진공정련이 종료되면, 용강을 턴디쉬 및 몰드로 배출하여 슬래브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련 방법에서는 용강중 티타늄(Ti) 농도를 소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로에서 산소정련된 용강중에는 용존산소(Free Oxygen)가 0.0300~0.1200 중량% 존재하게 되는데,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경우에는 용강중의 알루미늄 및 실리콘의 규제로 인하여 출강중에 투입되는 알루미늄과 실리콘계 합금철의 투입량의 제한에 따라 용존산소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게 된다.
용존산소가 일부만 제거된 강(용강)을 부분탈산강(partially killed steel)(용강) 혹은 미탈산강(unkilled steel)(용강)이라 하며, 상기 용강은 통상적으로 용존산소를 0.0050 ~ 0.0500 중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부분탈산강 혹은 미탈산강에 용존산소와의 친화성이 큰 합금원소를 첨가시에는 용강중의 용존산소와 다음과 같은 반응식 (1) ~ 식 (4) 등에 의해 산화반응을일으키며, 산화가 되기 쉬운 합금원소의 경우에는 실수율의 편차가 심하게 되어 용강중에서의 그 함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성분조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Ti] + 2[O] ⇔ (TiO2)
[Zr] + 2[O] ⇔ (ZrO2)
[Ca] + [O] ⇔ (CaO)
2[V] + 5[O] ⇔ (V2O5)
또한, 전로에서 취련이 완료된 후 용강을 출강하는 과정에서 전로 슬래그가 통상 용강 1톤당 5~10 kg 씩 래이들로 유출되는데, 이 전로 슬래그는 15~25 중량% 의 산화철 ( FeO, Fe2O3, Fe3O4, 이하,FeO라 한다) 과 망간 산화물(MnO)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전로 슬래그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철 (FeO)는 산소와의 결합력이 낮아 용강중에 첨가된 상기 반을식 (1) ∼(4)의 원소들과 반응하여 더욱 더 산화성 합금원소의 실수율 예측을 곤란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정밀한 성분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래이들 슬래그에 잔존하는 산화철 (FeO)과 망간 산화물(MnO)는 용강에 티타늄(titanium) 함량을 조정하기 위해 Ti 합금철을 첨가시에 용강중의 티타늄과 반응하여 티타늄 실수율의 편차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티타늄 첨가 미탈산 용강을 정련함에 있어서, 용강중 티타늄 성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티타늄 개재물을 미세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의 정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진공 탈개스 처리시간에 따른 강중 탄소와 용존산소 함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소: 0.04~0.20중량%, 실리콘: 0.05~0.25중량%, 망간(Mn): 1.30~1.70중량%, 티타늄: 0.010~0.020중량%, 알루미늄: 0.003중량%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로정련된 용강을 래들로 출강한 후 용강이 수강된 래들을 진공 탈개스 장치로 이송하여 진공 탈개스 처리를 실시한 다음, 엘에프(LF)에서 승온 및 티타늄(Ti)성분을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출강 초기에 용강 탈산제로 알루미늄(Al)을 용강 1 톤당 0.5~1 kg 투입하고 출강완료 후 알루미늄 합금철을 용강 톤당 1~3kg 투입하고,
상기 진공 탈개스 처리는 진공도 2 torr 이하에서 15분~25분동안 행하여 지고,
상기 LF에서의 티타늄(Ti)성분 조정은 승온완료 후 아르곤(Ar) 가스를 0.005~0.010 N㎥/분 의 유량으로 취입하여 용강을 교반하면서 티타늄계 합금철을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로정련공정에서 용강을 정련한 후, 진공탈개스공정에서 진공탈개스처리한 다음, 엘에프 공정에서 승온 및 티타늄 성분을 조정하여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이다.
한편, 종래방법은 전로정련공정에서 용강을 정련한 후, 엘에프 공정에서 승온 및 티타늄 성분을 조정한 다음, 진공탈개스공정에서 진공탈개스처리하여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탄소: 0.04~0.20중량%, 실리콘: 0.05~0.25중량%, 망간(Mn): 1.30~1.70중량%, 티타늄: 0.010~0.020중량%, 알루미늄: 0.003중량%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의 정련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상기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경우에는 용강중의 알루미늄 제한으로 인하여 알루미늄 투입에 의하여 용강중의 용존산소를 충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전로 취련 완료후 출강 초기에 알루미늄을 전로 취련완료 시점의 용존산소량에 따라 용강 1톤당 0.5~1 kg 투입하고 알루미늄(Al)을 투입한 후에 통상의 방법으로 실리콘(Si)과 망간(Mn)을 첨가한다.
통상적으로 전로취련 완료시점의 용존산소의 함량은 300∼1200ppm정도이다.
용강중에 용존산소가 없는 경우에 알루미늄을 용강 1톤당 0.5~1kg 첨가시에는 0.050~0.100 중량%의 알루미늄이 첨가되게 되지만, 용강중에 용존산소가 있는 경우에는 하기 반응식 (5)의 반응에 의해 용강중에 알루미늄이 첨가되지 않고 알루미나 형성후에 슬래그 중으로 떠 오르게 된다.
2[Al]steel+ 3[O]steel⇔ (Al2O3)slag
슬래그 중으로 떠 오르지 않은 알루미나는 용강중의 알루미늄으로 분석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로출강중에 투입되는 알루미늄의 투입량을 용강 1톤당 0.5~1kg 로 제한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용강 1톤당 알루미늄 첨가량이 1k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리콘(Si) 및 망간(Mn) 에 의한 용존 산소의 추가 탈산 현상으로 용강중 알루미늄 요구 상한치인 0.003중량%를 초과하게 되고, 용강 1톤당 알루미늄 첨가량이 0.5 kg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늄에 의한 용강중 용존산소 제거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통상, 상기 실리콘은 페로 실리콘(Fe-Si)형태로 용강 1톤당 2-4kg정도, 망간의 경우에는 용강 1톤당 12-16kg정도 첨가된다.
상기 실리콘(Si) 및 망간(Mn) 성분은 용강중에 용존산소가 존재시에 하기 반응식(6) 및 (7)의 반응에 의해 산화되어 슬래그 중으로 부상분리되지만 슬래그중 망간 산화물(MnO)이 다량 존재시에는 용강중 티타늄 첨가시에 티타늄에 의해 환원되면서 용강중 티타늄 성분 정밀제어가 곤란해지게 된다.
[Si]steel+ 2[O]steel⇔ (SiO2)slag
[Mn]steel+ [O]steel⇔ (MnO)slag
상기 식 (6) 및 식(7)과 같이 전로 출강 초기 알루미늄을 용강 톤당 0.5~1kg 첨가 후에 실리콘과 망간을 투입하더라도 용강 중의 용존산소는 0.0100~0.0300 중량 % 존재하게 되어 실리콘과 망간 성분이 용존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한다.
상기 식 (6)에 의하여 생성된 실리콘 산화물(SiO2), 특히 상기 식 (7)에 의하여 생성된 망간 산화물(MnO)은 용강중에 티타늄 첨가시에 하기 반응식 (8) 및 (9)의 반응에 의해 환원되면서 티타늄 성분의 정밀제어가 곤란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출강완료 후 알루미늄 합금철을 투입한다.
[Ti]steel+ 2(MnO)slag⇔ 2[Mn]steel+ (TiO2)slag
[Ti]steel+ (SiO2)slag⇔ [Si]steel+ (TiO2)slag
본 발명자들은 출강후 알루미늄을 투입하는 경우 알루미늄을 투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래들 슬래그중의 망간산화물(Mn) 함량 및 철산화물 함량이 저감됨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출강후 알루미늄 투입량이 용강 톤 당 3kg이 초과되는 경우에는 일부 알루미늄이 용강에 용해되어 용강중 알루미늄 함량을 증가시키고, 용강 톤 당 1kg미만인 경우에는 슬래그중 실리콘 산화물(SiO2) 및 망간 산화물(MnO) 저감량이 부족함에 따른 티타늄 실수율 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출강 후 알루미늄 투입량을 용강 톤 당 1∼3kg으로 제한한다.
상기 출강후 알루미늄 투입량의 하한값은 기존 용강에서의 티타늄 실수율 수준인 75% 와 동등한 수준까지의 실수율 확보를 차원에서 설정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래이들내 출강 및 슬래그 개질 작업이 완료된 용강은 진공탈개스 설비로 이송된다.
종래방법에서는 전로 출강이 완료된 용강을 진공탈개스 설비로 이송하기 앞서 LF 승온설비로 이송하여 티타늄(Ti)성분을 조정함에 따라 용강중에 존재하는 0.0100 ~ 0.0300중량%의 산소와 티타늄(Ti)성분이 반응하여 티타늄(Ti)성분의 실수율이 하락되고 성분의 정밀한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특히, 티타늄 첨가 미탈산 용강의 경우에는 용존 알루미늄 함량을 제한함에 따라 합금원소중 티타늄(Ti)성분이 가장 강한 탈산 원소가 되고 출강후 용존산소와 티타늄(Ti) 성분이 반응하여 티타늄(Ti) 성분의 실수율 변동에 따른 성분의 정밀한 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출강이 완료된 래들을 LF 승온설비로 이송하기 전에 탈개스 설비로 이송하여 탈개스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티타늄(Ti) 성분 조정전에 용존 산소를 탈개스 처리에 의하여 저감시키고 용강의 용존산소 함량을 저감시킨 후, LF 승온설비로 이송하여 용강을 승온시키고 티타늄(Ti) 성분을 조정하는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탈개스 처리시의 처리 기구(mechanism)에 대하여 설명한다.
탈개스 설비에서 용강을 2 torr 이하 고진공 처리하는 경우 용강 내부 및 표면에서는 하기 반응식(10)과 같은 탈개스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C]steel+ [O]steel⇔ [CO]gas
일반적으로, 전로 출강이후에 용강중에 존재하는 탄소 함량은 0.03~0.08 중량% 정도 존재하며 기타 합금철이나 래들내 지금등에 의해 탄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약 0.04~0.10 중량% 정도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탈개스 설비 처리 개시전의 용강중의 산소는 0.0100~0.0200 중량% 정도 존재하게 되고, 상기 식(10)에 의한 용강중 산소와 탄소 반응은 고진공에서 더욱 촉진되게 된다.
티타늄 첨가 미탈산 용강을 2torr 이하에서 진공 탈개스처리하는 경우 진공탈개스처리시간에 따른 용강중 산소와 탄소 거동의 일례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상기 식(10)을 보면 용강중에 함유된 탄소와 산소의 반응은 일대일이 되어야 하지만, 도 1에서 고진공 20분 탈개스 처리시에 탈탄량은 약 200ppm 수준인데 반해, 용강 중의 용존산소량은 약 150ppm 수준인데, 이는 탈탄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원이 용존산소 이외에 슬래그 중의 산소가 기여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탈개스 처리반응에 의하여 용존산소량을 0.0050 중량% 수준까지, 바람직하게는 0.0020 중량% 수준까지 저감시킬 수 있으며, LF 공정에서의 용강 티타늄 첨가시에 티타늄 성분 제어를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출강후에 래이들을 진공 탈개스 장치로 이송하고 진공도 2 torr 이하에서 15∼25분 고진공 감압정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탈개스 장치에서 탈개스처리시간이 15분미만인 경우에는 용존 산소량이 0.0050 중량% 이상이 되어 용강중 티타늄 성분 조정이 곤란해지고, 25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처리시간 연장에 따른 용강 온도가 7~10℃이상 하락되게 되고 도 1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탈개스 반응이 일어나지않기 때문에, 진공탈개스처리시간은 15∼25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진공 탈개스 처리가 완료된 래이들을 주조에 필요한 온도를 확보하고 최종적인 티타늄 성분 조정을 위해 승온설비인 LF로 이송한다.
LF 처리개시 시점에 측온을 실시한 후 필요한 온도에 따라 전기 아크(arc)를 이용하여 용강온도 승온을 실시한다.
승온이 완료된후 레이들 바닥에 사전에 장착된 저취노즐을 통해 아르곤 개스를 용강 1 톤당 0.005~0.010 N㎥/분의 유량으로 취입하여 용강을 교반하면서 용강 상부에서 티타늄을 첨가한다.
아르곤 개스의 유량이 0.005 N㎥/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강에 대한 교반력이 약하여 비금속 개재물을 효과적으로 부상분리시키기 어려우며 티타늄 합금철이 용강에 용해되기가 어렵다.
한편, 아르곤 개스 유량이 0.010 N㎥/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교반력이 충분한 반면에 슬래그 층에서 나탕, 즉 용강이 대기와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식(5)의 반응에 의해 대기중의 산소에 의한 재산화 반응이 발생되므로 불리해지고, 또 상기 식(1)의 반응에 의해 용강중에 첨가된 티타늄이 재산화 되어 티타늄 성분에 대한 정밀제어가 곤란해 진다.
따라서, 승온설비인 LF에서의 티타늄 첨가시 아르곤 개스의 유량은 용강 1톤당 0.005~0.010 N㎥/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탄소(C) 0.04~0.20중량%, 실리콘(Si)과 망간(Mn)을 각각 0.05~0.25중량%, 1.30~1.70중량%, 티타늄을 0.010~0.020 중량% 함유하고 용강중의 알루미늄(Al) 량을 0.003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용강을 제조하기 위하여 100톤 전로에서 정련을 종료하고, 용강 성분 확인 후, 레이들로 출강하였다.
전로 종점산소량, 출강 초기 Al 투입량 및 출강 후 Al 투입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하기 표 1의 발명예(1-3) 및 비교예(1-6)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출강된 용강을 RH 탈개스공정으로 이송하여 2 토르이하의 진공도에서 20분동안 진공탈가스 처리한 다음, LF공정으로 이송하여 먼저 아크(arc)에 의한 용강 승온을 실시하여 주조에필요한 용강온도를 확보한 후, 래이들 바닥에 가스취입 노즐을 장착하고, 아르곤 (Ar)가스를 0.007N㎥/분의 유량으로 취입하여 용강을 교반하면서 용강에 티타늄 합금을 첨가하여 티타늄 성분을 조정하였다.
한편, 하기 표 1의 종래예(1-3)의 경우에는 LF공정에서 승온 및 티타늄 합금첨가에 의한 티타늄 성분조정을 한 다음, RH 탈개스공정을 실시한 것이며, 상기 LF공정에서의 아르곤 가스 취입유량은 0.020N㎥/분이었다.
실시예No. 전로종점산소량(ppm) 출강초기Al 투입량(kg/톤-용강 출강후Al투입량(kg/톤-용강 슬래그산화도 슬래브중S.Al 함량(%) Ti 실수율(%)
종래예1 480 0 0 17 0.001 45
종래예2 455 0 0 15 0.002 72
종래예3 630 0 0 16 0.001 65
비교예1 650 0.5 0.5 12 0.002 66
발명에1 480 0.5 1.0 8.1 0.001 75
발명예2 580 1.0 1.5 6.4 0.001 86
발명예3 660 0.7 3.0 7.9 0.002 89
비교예2 520 5.0 0 0.1 0.007 83
비교예3 640 0 0.1 11 0.001 65
비교예4 610 0 0.3 12 0.001 57
비교예5 520 0 0.5 8.0 0.002 78
비교예6 780 0 5.0 8.4 0.005 8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부합되는 발명예(1-3)의 경우에는 종래방법을 따르는 종래예(1-3) 및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1-6)에 비하여 슬래브중의 Al함량이 낮고 동시에 75%이상의 티타늄 실수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티타늄 첨가 미탈산 용강을 정련함에 있어서, 출강이완료된 용강을 탈개스 처리함으로서 용존 산소량을 저감시킨 후에 용강중에 티타늄 합금철을 첨가하고, 출강중에 알루미늄을 용강에 잔류하지 않는 량으로 투입하고 알루미늄 합금철을 출강 완료 후에 투입하여 슬래그 중의 약산화성 산화물을 감소시키고, 적정 수준의 탈개스 처리를 통해 용존산소를 감소시키고, 티타늄 첨가시의 용강 교반을 적절한 범위로 수행 함으로써, 강중 티타늄 성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티타늄 개재물을 미세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탄소: 0.04~0.20중량%, 실리콘: 0.05~0.25중량%, 망간(Mn): 1.30~1.70중량%, 티타늄: 0.010~0.020중량%, 알루미늄: 0.003중량%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로정련된 용강을 래들로 출강한 후 용강이 수강된 래들을 진공 탈개스 장치로 이송하여 진공 탈개스 처리를 실시한 다음, 엘에프(LF)에서 승온 및 티타늄(Ti)성분을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출강 초기에 용강 탈산제로 알루미늄(Al)을 용강 1 톤당 0.5~1 kg 투입하고 출강완료 후 알루미늄 합금철을 용강 톤당 1~3kg 투입하고,
    상기 진공 탈개스 처리는 진공도 2 torr 이하에서 15분~25분동안 행하여 지고,
    상기 LF에서의 티타늄(Ti)성분 조정은 승온완료 후 아르곤(Ar) 가스를 0.005~0.010 N㎥/분의 유량으로 취입하여 용강을 교반하면서 티타늄계 합금철을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KR1020020085611A 2002-12-27 2002-12-27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KR10091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611A KR100916486B1 (ko) 2002-12-27 2002-12-27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611A KR100916486B1 (ko) 2002-12-27 2002-12-27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081A true KR20040059081A (ko) 2004-07-05
KR100916486B1 KR100916486B1 (ko) 2009-09-08

Family

ID=3735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611A KR100916486B1 (ko) 2002-12-27 2002-12-27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799B1 (ko) * 2004-09-30 2012-0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 티타늄 고 질소를 함유한 법랑강의 정련 방법
CN110144433A (zh) * 2019-07-03 2019-08-2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碳铝镇静钢的脱氧造渣方法
CN116770017A (zh) * 2023-08-03 2023-09-19 昆明理工大学 一种改性Ti微合金化高强钢中夹杂物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5745B (zh) * 2016-11-22 2018-10-23 攀钢集团攀枝花钢钒有限公司 海绵钛对钢水钛合金化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112B2 (ja) * 1993-08-04 2001-1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低酸素鋼溶製方法
JPH10219336A (ja) 1997-02-04 1998-08-18 Nippon Steel Corp 溶鋼の脱酸方法
JP2001355018A (ja) 2000-06-14 2001-12-25 Kawasaki Steel Corp Ti含有鋼の溶製方法
KR100426819B1 (ko) * 2000-12-06 2004-04-13 주식회사 포스코 인,질소,티탄을 함유한 극저탄소강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799B1 (ko) * 2004-09-30 2012-0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 티타늄 고 질소를 함유한 법랑강의 정련 방법
CN110144433A (zh) * 2019-07-03 2019-08-2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碳铝镇静钢的脱氧造渣方法
CN110144433B (zh) * 2019-07-03 2021-03-19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碳铝镇静钢的脱氧造渣方法
CN116770017A (zh) * 2023-08-03 2023-09-19 昆明理工大学 一种改性Ti微合金化高强钢中夹杂物的方法
CN116770017B (zh) * 2023-08-03 2024-01-23 昆明理工大学 一种改性Ti微合金化高强钢中夹杂物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486B1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9341B2 (ja) 超低炭素,極低Tiのアルミニウムシリコンキルド鋼の制御方法
CN108893682B (zh) 模具钢钢坯及其制备方法
CN101956044A (zh) 一种用于提高钢的洁净度的精炼方法
KR20100035825A (ko) 극저탄소강 제조용 용강의 정련방법
CN112981032B (zh) 高钛铁水冶炼低钛高碳铬轴承钢的方法
KR100860656B1 (ko) 용강의 정련방법 및 그 용강의 정련을 이용한 극저탄소강의제조방법
KR100916486B1 (ko) 티타늄 첨가 미탈산 강의 용강 정련방법
CN111961951B (zh) 一种含磷超低碳钢的冶炼方法
JP2000119732A (ja) 高清浄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JPH08260030A (ja) 極低炭素ステンレス鋼の真空精錬方法
KR100851804B1 (ko) 탈산 용강에 칼슘 투입시 실수율 향상 방법
JP3411220B2 (ja) 高窒素低酸素含クロム溶鋼の精錬方法
KR100992303B1 (ko) 극저 유황 스테인레스강의 정련방법
JP3577357B2 (ja) 表面性状に優れた極低炭素鋼の製造方法
KR101253816B1 (ko) Aod-lt 정련방법
KR20130034249A (ko) 극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진공 순환탈가스 정련방법
KR101008087B1 (ko) 진공 탈가스 장치에서의 용강 탈류방법
KR100448625B1 (ko) 초고가공성 고순도 극저탄소강의 제조방법
KR101018235B1 (ko) 용강내 바나듐 첨가방법
KR20040042540A (ko) 고청정 저인 저탄소강의 제조방법
KR100402005B1 (ko) 청정도가 우수한 극저탄소 알루미늄 탈산강의 정련방법
SU926028A1 (ru) Способ рафинировани малоуглеродистой стали
JPH0885815A (ja) 脱炭滓を用いた効率的な含クロム溶鋼の精錬方法
CN114807517A (zh) 一种提高含氮钢中氮含量的方法
JP2675432B2 (ja) 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