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011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011A
KR20040056011A KR1020020082520A KR20020082520A KR20040056011A KR 20040056011 A KR20040056011 A KR 20040056011A KR 1020020082520 A KR1020020082520 A KR 1020020082520A KR 20020082520 A KR20020082520 A KR 20020082520A KR 20040056011 A KR20040056011 A KR 2004005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space
adhesive
touch panel
substrat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357B1 (ko
Inventor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근처 액티브 영역의 누름 동작 시,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상부 기판의 투명전극 균열을 최소화하여 고 내구성을 갖도록 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유연성을 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비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고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계단형 또는 경사진 접착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널의 전극 근처 액티브 영역의 누름 동작 시,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상부 기판의 투명전극 균열을 최소화하여 고 내구성을 갖도록 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리모콘이나 별도의 입력 장치 없이 표시장치의 표시면에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전자 수첩과,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al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 등과 같은 화상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터치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패널은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아날로그 저항형(analog resistive type), 디지털 저항형(digital resistive type), 커패시티브형(capacitive type) 소오형(saw type) 및 인프라레드형(infrared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의 기본 구조는 상부 전극이 형성된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전극이 형성된 하부 투명 기판이 일정 공간을 갖고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에 펜 또는 손가락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부 기판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하부 기판에 형성된 하부 전극이 상호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값 또는 커패시터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들인 후 제어 장치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위치 좌표를 찾게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 평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의 상판 레이 아웃도이고, 도 2b는 종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의 하판 레이 아웃도이다.
도 3은 종래 터치패널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 계면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부 기판 평면도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해당되는 표시 영역(viewing area, 10)과,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표시 영역 주변부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영역(20)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상하 기판이 절연상 접착제에 의해 합착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상하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기판(1, 2)의 내측면에 각각 투명 전극(3, 4)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하 기판(1, 2)은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8)에 의해 일정 간격을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접착제(seal)(9)에 의해 합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기판(2)은, 터치 패널이 액정표시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유리 기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상기 상부 기판의 어느 한 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투명 전극(3, 4)이 상기 점에서 상호 접촉되어 그 위치의 저항치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되는 위치의 저항 값에 의해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임의의 접촉된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 값을 읽어내기 위한 신호선인 FPC(7)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신호선은 상기 데드 스페이스(20) 부분에서 투명 전극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T 와 같이 유연성을 갖고 투명한 상하 기판(1, 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기판(1)과 하부 기판(2)의 내측면에 각각 투명 전극(3, 4)이 형성된다.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 금속 전극(Ag paste)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도 2a와 같이, 상판에는 좌우측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투명 전극(3)과 연결되도록 금속 전극(5a, 5b)이 형성되고, 상측 또는 하측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도 금속 전극(5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전극(5a, 5b)은 상기 투명 전극(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금속 전극(5c)은 상기 금속전극(5b)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상기 투명 전극(3)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전극(3)과 상기 금속전극(5c)을 포함한 전극 사이에는 절연막(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 일측에서 상기 금속 전극(5c)을 통해 금속전극(5a, 5b)과 신호선인 FPC(Flexible Printed Cable)(7)가 도전성 접착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도 2b와 같이, 하판에는 상/하측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투명 전극(4)과 연결되도록 금속 전극(6a, 6b)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전극(6a, 6b)과 신호선인 FPC(7)를 연결하기 위한 금속 전극(6c)이 각각 데드 스페이스 좌측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전극(6c)은 상기 금속 전극(5c)과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 전극(4)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전극(4)과 상기 금속 전극(6c) 사이에는 절연막(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선인 FPC(7)가 상기 데드 스페이스(20) 상에서 상기 금속 전극(6c)을 통해 상기 금속 전극(6a, 6b)과 연결된다. 즉, 상기 FPC(7)는 상하부 면에 각각 2개의 신호선이 인쇄되어 있고, 도전성 접착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금속 전극(5a, 5c, 6c)에 본딩된다.
여기서, 상기 FPC(7)의 상부 및 하부에 인쇄된 각 2개의 신호선은 상기 투명 전극(3 또는 4)에 상기 금속 전극(5a, 5b, 5c 또는 6a, 6b, 6c)을 통해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거나 상기 상하부 투명 전극(3, 4)이 일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촉되었을 때 상기 투명전극(3 또는 4)으로 출력되는 전압을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FPC(7)와 금속 전극(5a, 5c, 6c)의 본딩은 도전성 접착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딩되고, 상기 FPC(7)가 본딩되지 않은 부분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는 절연성 접착제(9)에 의해 상하 기판이 합착된다. 물론, 도 3과 같이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의 금속 전극(5c, 6a)위에 별도로 보호막(11, 12)을 형성할 경우에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 기판을 합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패널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드 스페이스 영역(20)과 액티브 영역(10) 사이에는 데드 스페이스의 단차 때문에 터치패널을 눌러도 불감대가 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부분을 부동작 영역(15)이라 한다.
이와 같은 부동작 영역(15)에서는 누름 입력 조작 시에 불감대가 형성되어, 손가락 또는 펜(13)의 누름 입력 조작에도 정보의 오 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손가락 또는 펜(13)의 반복적 누름 입력 조작에 의해 상부기판(1)이 하 방향으로 크게 굴곡되어 마찰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상부 기판(1)이 마찰될 때 상부 기판(1)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의 에지 부분에 굴곡 응력이 집중하게 되고, 상기 굴곡 응력의 집중이 반복되는 결과 굴곡 응력 집중 부분에서 상기 투명전극(3)에 균열이 생기고 좌표검출의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상부 기판(1) 자체의 손상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반복 누름 입력 조작을 실행하여도 상기 투명 전극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좌표검출에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동작 영역(15)에 응력완화부재(14)를 설치하였다.
상기 응력완화부재(14)는 상기 부동작 영역(15)에 형성되고, 터치패널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액티브 영역(10)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감소하는 복수의 독립부재(14a)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력완화부재(14)를 구성하는 독립부재(14a) 사이의 간격은 누름입력수단인 손가락 또는 펜(13)의 끝의 넓이보다 작고 액티브 영역(10)에 형성된 도트 스페이서(8)와 동시에 형성된다.
즉, 도트 스페이서(8)를 형성하기 위한 인쇄 마스크에 지름이 다른 개구를 열어두고 열경화성 레지스트 혹은 자외선 경화성의 레지스트를 인쇄하고 경화시켜서 도트 스페이서(8)와 옹력완화부재(1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응력완화부재(14)는 적정 디스펜서(dispenser)를 이용하여 하부 기판(2)에 적정량을 토출시키는 방법 또는 감광성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도트 스페이서(8)와 응력완화부재(14)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동작 영역(15)에 응력완화부재(14)를 형성하므로, 손가락 또는 펜(13)과 같은 누름입력수단으로 상부 기판(1)을 누르면 상기 상부 기판(1)는 응력완화부재(14)의 정점부를 연결하는 선에 따라서 휘어진다. 그리고 각 응력완화부재(14)의 정점부와 접하는 점에 응력이 분산되고 상기 상부 기판(1)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전극(3)에 무리한 응력이 걸리지 않고 상기 투명전극(3)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상부 기판(1) 자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부동작 영역에 응력완화부재를 형성하므로 상기 응력완화부재로 인하여 부동작 영역의 시인성을 보장할 수 없다.
둘째, 터치패널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액티브 영역측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감소하는 복수의 독립부재로 응력완화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마스크를 이용해야 한다.
셋째, 한번의 공정으로 높이가 다른 복수의 독립부재를 형성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재현성이 곤란하여 수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계단형의 다층 접착제 또는 기울기를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굴곡부위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최소화하여 부동작 영역의 시인성을 보장하고 공정을 단순화한 터치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의 구조 평면도
도 2a는 종래 터치패널의 상판 레이 아웃도
도 2b는 종래 터치패널의 하판 레이 아웃도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상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 계면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하부 기판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판 레이 아웃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하판 레이 아웃도
도 6은 도 5a 및 5b의 Ⅱ-Ⅱ' 선상의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a 및 5b의 Ⅱ-Ⅱ' 선상의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티브 영역 20 : 데드 스페이스 영역
21 : 상부 기판 22 : 하부 기판
23, 24 : 투명 전극 25a, 25b, 25c, 26a, 26b, 26c : 금속 전극
27 : FPC 28 : 도트 스페이서
29 : 접착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연성을 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비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일측면이 계단형인 접착제를구비하여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의 계단형 부분이 상기 제 1 기판의 굴곡으로 인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액티브 영역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계단형으로 적층된 다층의 양면 테이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적층된 다층의 양면 테이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투명전극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본딩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의 신호를 상기 각 투명전극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 전극들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전극은, 상기 제 1 투명전극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제 2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제 2 금속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으로 인출되는 제 3, 제 4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하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5, 제 6 금속 전극과, 상기 제 5, 제 6 금속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으로 인출되는 제 7, 제 8 금속 전극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사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연성을 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비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는 접착제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의 기울기를 갖는 부분이 상기 제 1 기판의 굴곡으로 인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액티브 영역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기울기를 갖도록 적층된 다층의 양면 테이프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판 레이 아웃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하판 레이 아웃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5b의 Ⅱ-Ⅱ' 선상의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도 5a, 도 5b 및 도 6과 같이,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해당되는 액티브 영역(viewing area, active area 10)과,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표시 영역 주변부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영역(20)으로 구분된다.
즉,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와 같이 유연성을 갖고 투명한상하 기판(21, 12)의 내측면에 각각 투명 전극(23, 24)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하 기판(21, 22)은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28)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접착제(seal)(29)에 의해 합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기판(22)은, 터치 패널이 액정표시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유리 기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상기 상부 기판의 어느 한 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투명 전극(23, 24)이 상기 점에서 상호 접촉되어 그 위치의 저항치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되는 위치의 저항 값에 의해 변화된 전압 값을 읽기 위하여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임의의 접촉된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 값을 읽어내기 위한 신호선(27)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20) 부분에서 투명 전극(23, 24)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 금속 전극(Ag paste)이 각각 형성된다. 즉, 도 5a와 같이, 상판에는 좌우측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투명 전극(23)과 연결되도록 금속 전극(25a, 25b)이 형성되고, 상측 또는 하측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도 금속 전극(25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전극(25a, 25b)은 상기 투명 전극(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금속전극(25c)은 상기 금속전극(25b)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상기 투명 전극(23)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전극(23)과 상기 금속전극(25c)을 포함한 전극 사이에는 절연막(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 일측에서 상기 금속 전극(25c)을 통해 금속전극(25a, 25b)과 신호선인 FPC(27)가 도전성 접착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도 5b와 같이, 하판에는 상/하측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투명 전극(24)과 연결되도록 금속 전극(26a, 26b)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전극(26a, 26b)과 신호선인 FPC(27)를 연결하기 위한 금속 전극(26c)이 각각 데드 스페이스 좌측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전극(26c)은 상기 금속 전극(25c)과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 전극(24)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전극(24)과 상기 금속 전극(26c) 사이에는 절연막(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선인 FPC(27)가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 상에서 상기 금속 전극(26c)을 통해 상기 금속 전극(26a, 26b)과 연결된다. 즉, 상기 FPC(27)는 상하부 면에 각각 2개의 신호선이 인쇄되어 있고, 도전성 접착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금속 전극(25a, 25c, 26c)에 본딩된다.
여기서, 상기 FPC(27)의 상부 및 하부에 인쇄된 각 2개의 신호선은 상기 투명 전극(23 또는 24)에 상기 금속 전극(25a, 25b, 25c 또는 26a, 26b, 26c)을 통해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거나 상기 상하부 투명 전극(23, 24)이 일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촉되었을 때 상기 투명전극(23 또는 24)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FPC(27)와 금속 전극(25a, 25c, 26c)의 본딩은 도전성 접착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딩되고, 상기 FPC(27)가 본딩되지 않은 부분의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는 절연성 접착제(9)에 의해 상하 기판이 합착된다. 물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의 금속 전극(25c, 26a)위에 별도로 보호막(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경우에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 기판을 합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데드 스페이스 영역(20)과 액티브 영역(10) 사이의 부동작 영역(15)에서 반복적 누름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의 에지 부분에 굴곡 응력의 집중이 반복되어 상기 투명전극(23)에 균열이 생기고 좌표검출의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상부 기판(21) 자체의 손상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작 영역(15)에 응력완화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계단형의 다층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두 기판을 접착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은 투명전극위에 각 금속전극(25a, 25b, 25c, 26a, 26b, 26c)이 형성된 제 1 기판(21) 및 제 2 기판(22)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접착할 때, 상기 접착제(29)로d양면 테이프를 이용하고,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10)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계단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적층하여 상기 적층된 양면 테이프를이용하여 제 1 기판(21)과 제 2 기판(22)을 접착한 것이다. 즉,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10)으로 갈수록 양면 테이프의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다층의 양면 테이프를 적층하여 적층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두 기판을 접착한다.
이 때, 상기 적층된 양면 테이프의 계단형 부분이 부동작 영역(15)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두 기판을 접착한다. 따라서, 돌출된 테이프의 계단형 부분이 부동작 영역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최소화한다.
상기에서 상기와 같은 접착제(29)는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사방에 형성하여도 되고 마주보는 양측에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종래와 같은 구조의 접착제로 접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터치패널은 도 7과 같다.
도 7은 도 5a 및 5b의 Ⅱ-Ⅱ' 선상의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터치패널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29)인 양면 테이프의 일측면을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20)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10)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제 1 기판(21)과 제 2 기판(22)을 접착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양면 테이프는 두꺼운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양면 테이프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기울기를 갖는 부분이 부동작 영역(15)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두 기판을 접착한다.
마찬가지로, 상기에서 상기와 같은 접착제(29)는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사방에 형성하여도 되고 마주보는 양측에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종래와 같은 구조의 접착제로 접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응력완화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계단형 또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여 기판의 굴곡으로 인한 응력을 분산하므로 별도의 마스크가 필요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계단형 또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여 기판의 굴곡으로 인한 응력을 분산하므로 공정이 단순화된다.

Claims (14)

  1. 유연성을 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비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일측면이 계단형인 접착제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계단형 부분이 상기 제 1 기판의 굴곡으로 인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액티브 영역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계단형으로 적층된 다층의 양면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적층된 다층의 양면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투명전극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본딩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의 신호를 상기 각 투명전극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 전극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극은, 상기 제 1 투명전극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제 2 금속 전극과,
    상기 제 1, 제 2 금속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으로 인출되는 제 3, 제 4 금속 전극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하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5, 제 6 금속 전극과,
    상기 제 5, 제 6 금속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선으로 인출되는 제 7, 제 8 금속 전극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사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유연성을 갖고 데드 스페이스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비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제 2 투명 전극들과,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접착하고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일측면이 기울기를 갖는 접착제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기울기를 갖는 부분이 상기 제 1 기판의 굴곡으로 인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액티브 영역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일측면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쪽을 향하여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기울기를 갖도록 적층된 다층의 양면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투명전극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본딩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의 신호를 상기 각 투명전극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 전극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사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데드 스페이스 영역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02-0082520A 2002-12-23 2002-12-23 터치패널 KR10046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520A KR100469357B1 (ko) 2002-12-23 2002-12-23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520A KR100469357B1 (ko) 2002-12-23 2002-12-23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011A true KR20040056011A (ko) 2004-06-30
KR100469357B1 KR100469357B1 (ko) 2005-02-02

Family

ID=3734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520A KR100469357B1 (ko) 2002-12-23 2002-12-23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9743B2 (en) 2008-08-27 2012-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display
KR101339905B1 (ko) * 2007-01-19 2013-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05B1 (ko) * 2007-01-19 2013-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319743B2 (en) 2008-08-27 2012-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357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3564B2 (en)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74690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10633B (zh) 柔性印刷电路板、触摸板、显示面板和显示器
TWI428796B (zh)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216018A1 (en) Flat panel display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US8054738B2 (en) Touch panel, method for driving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20000979A1 (en) Touch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creen input type display unit using the same
WO2011081112A1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TWI386711B (zh) 結合有觸摸面板的平面顯示裝置
US11119616B2 (en) Trace transfer techniques for touch sensor panels with flex circuits
CN101610634A (zh) 柔性印刷电路板、触摸板、显示面板和显示器
CN102760010A (zh) 触控显示面板与触控液晶显示面板
JP2001249766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画面入力型液晶表示装置
JP2011081578A (ja) 表示装置
WO2010058495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208402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03241899A (ja) タッチパネル表示素子の信号ライン及びその形成方法
US7180505B2 (en)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KR20130119045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69357B1 (ko) 터치패널
KR100703542B1 (ko) 터치패널이 포함된 발광표시장치
KR100822187B1 (ko) 터치 패널과, 이를 채용한 평판표시장치
KR100476367B1 (ko) 액정표시장치에 일체된 터치패널의 신호선 형성방법
JP4310180B2 (ja) タッチパネル
KR20030055990A (ko)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