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905B1 -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905B1
KR101339905B1 KR1020070005907A KR20070005907A KR101339905B1 KR 101339905 B1 KR101339905 B1 KR 101339905B1 KR 1020070005907 A KR1020070005907 A KR 1020070005907A KR 20070005907 A KR20070005907 A KR 20070005907A KR 101339905 B1 KR101339905 B1 KR 10133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ouch screen
screen panel
height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314A (ko
Inventor
진흥석
이건빈
박진오
임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패널은 제1 기판, 제2 기판, 접착부재 및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한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제1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접착시킨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재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 접착부재, 보호부재, 제1 및 제2 절연기판, 제1 및 제2 박막층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1 기판을 가압한 경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1 기판을 가압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터치스크린 패널 110 : 제1 기판
120 : 제2 기판 130 : 접착부재
140 : 보호부재 500 : 표시장치
530 : 표시패널 510 : 수납용기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 및 상기 표시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층은 상기 절연 기판 상에 정의된 다수의 화소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컴퓨터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음극선관(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LCD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태와 함께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되었을 때,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아이콘 또는 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표시된 아이콘 또는 요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아날로그 저항형(analog resistive type), 디지털 저항형(digital resistive type), 커패시티브형(capacitive type), 소오형(saw type) 및 인프라레드형(infrared 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반적인 구조는 상부 전극이 형성된 상부 투명기판 및 하부 전극이 형성된 하부 투명기판이 일정 공간을 갖고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투명기판에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부 투명기판에 형성된 전극과 하부 투명기판에 형성된 하부 전극이 상호 통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상호 통전된 해당 위치의 저항 값 또는 커패시터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들인 후 제어 장치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위치 좌표를 찾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신호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부 투명기판을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터치(touch)하는 경우, 그 터치되는 지점의 내구성이 문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의 중심부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터치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가해진 응력이 분산되지만, 터치스크린 패널의 가장자리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가해진 응력이 분산되지 못해 터치스크린 패널을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접착부재 및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제1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접착시킨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제1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영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의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의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제1 기판은 제1 절연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제1 절연기판의 제1 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성 제1 박막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절연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절연기판의 제2 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성 제2 박막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수납 용기 및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제1 기판, 제2 기판, 접착부재 및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접착부재 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제1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접착시킨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가진다.
상기 보호부재는 검정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따르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를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 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또는 막의 “위”,”상”,”상부” 또는 “아래”,”하부”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막을 개재한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첩”은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이 서로 공통된 중심을 갖고 겹쳐져 있는 형상을 나타내고,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 다른 구조물이 개재한 경우를 포함하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구조물은 다른 구조물에 완전히 겹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다른 정의가 없다면,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접착부재(130) 및 보호부재(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110)은 제1 절연 기판(111) 및 제1 박막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기판(111)은 투명한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 절연 기판(111)은 글라스(glass)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10)은 그 적용되는 표시패널(미도시)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 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패널이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기판(11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층(113)은 상기 제1 절연 기판(111)의 제1 면(111a)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박막층(113)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 박막층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 틴안티노미옥사이드(tin antinomy oxide : TAO), 틴옥사이드(tin oxide : TO) 또는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 ZnO)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120)은 상기 제1 기판(110)에 대향하며, 상기 제1 기판(1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 기판(120)은 제2 절연 기판(121) 및 제2 박막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기판(121)은 투명한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2 절연 기판(120)은 폴리 에틸렌 수지(polyethylen terephthalate:PET)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기판의 상기 제2 박막층(123)은 상기 제1 기판(110)과 마주보는 제2 절연기판(121)의 제2 면(121a)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박막층(123)은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재(130)는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서로 접착시킨다. 일례로, 상기 접착부재(13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30)는 제1 높이(h1)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은 상기 제1 높이(h1)만큼 상호 이격되어 접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재(130)는 상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에 제1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제1 높이(h1) 및 상기 접착부재(130)의 폭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기판(120)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0)의 제1면(111a)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접착부재(13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h1)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갖는다. 즉,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1 기판(110)의 제1 면에는 접하나, 상기 제2 기판(120)과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된다.
일례로,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1 기판(110)의 제1 면에만 접착하는 접착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재(130)가 상기 제1 기판(110)에 상기 제1 영역을 정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을 정의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형(resistive type) 터치스크린 패널, 커패시티브형(capacitive type) 터치스크린 패널, 소오형(SAW type)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인프라레드형(infrared type) 터치스크린 패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120)의 상부면에 터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2 절연기판(121) 상에 형성된 제2 박막층(123)과 상기 제1 절연기판(111) 상에 형성된 제1 박막층(113)이 터치 압력이 가해진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항형 터치스크린 패널은 X축 및 Y축의 저항값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터치된 위치의 정 보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 커패시티브형 터치스크린 패널은 X축 및 Y축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터치된 위치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소오형 터치스크린 패널은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가 차단되는 지점의 좌표를 인식함으로 터치된 위치의 정보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 인프라레드형 터치스크린 패널은 적외선이 차단되는 지점의 좌표를 인식함으로써 터치된 위치의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상기 저항형 터치스크린 패널, 커패시터형 터치스크린 패널, 소오형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인프라레드형 터치스크린 패널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1 기판을 가압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1 기판을 가압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제2 기판(220)의 중심부분인 A지점을 터치한 경우와 제2 기판(220)의 가장자리 부분인 B지점을 터치한 경우를 비교한다.
비교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제2 기판(220)의 A지점 또는 B지점이 터치된 경우, 그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기판(220)은 사방으로 휘어진다. 이때, A지점에 있어서 제2 기판(220)의 상부면에 대한 법선과 상기 제2 기판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를 제1 각도(θ1)이라 정의고, B지점에 있어서 제2 기판(220)의 상부면에 대한 법선과 상기 제2 기판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를 제2 각도(θ2) 라 정의한다.
상기 A지점이 터치된 경우 가해진 응력은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분산되나, 상기 B지점이 터치된 경우 가해진 응력은 비교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접착부재(230)가 형성된 방향으로는 분산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각도(θ1)는 상기 제2 각도(θ2)보다 크게 된다. 이 경우, 가해진 응력이 분산되지 못한 B지점에서는 상기 제2 각도(θ2)가 제2 기판(220)에 포함되는 제2 절연기판(221) 또는 제2 박막층(223)이 휠 수 있는 임계 각도보다 더 작아질 수 있어 제2 절연기판(221) 또는 제2 박막층(223)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제2 기판(120)의 중심부분인 C지점을 터치한 경우와 제2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인 D지점을 터치한 경우를 비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제2 기판(120)의 C지점 및 D지점이 터치된 경우, 그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기판(120)은 사방으로 휘어진다. 이때, C지점에 있어서 제2 기판(120)의 상부면에 대한 법선과 상기 제2 기판(1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를 제3 각도(θ3)이라 정의고, D지점에 있어서 제2 기판(120)의 상부면에 대한 법선과 상기 제2 기판(1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를 제4 각도(θ4)라 정의한다.
상기 C지점이 터치된 경우 비교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해진 응력은 평면상의 모든 방향으로 분산되나, 상기 D지점이 터치된 경우 가해진 응력은 접착부재(130)가 형성된 방향으로는 분산되지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제1 높이(h1)를 갖는 상기 접착부재(130)보다 그 높이가 작은 보호부재(1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1 높이(h1)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140)에 의하여 상기 제4 각도(θ4)가 상기 제2 절연기판(121) 또는 제2 박막층(123)이 휠 수 있는 임계각도보다 작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4 각도(θ4)가 임계각도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접착부재(130)보다 작은 높이를 가져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부재(130) 높이의 약 1/2배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0)는 표시패널(530), 수납용기(510) 및 터치스크린 패널(5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530)은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수납용기(510)는 상기 표시패널(530)을 수납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550)은 상기 표시패널(530)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551) 및 제2 기판(557), 접착부재(553) 및 보호부재(555)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550)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55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패널(530) 또한 액정의 배열에 의해 광이 투과될 수 있어 금속 재질로 형성된 상기 수납 용기(510)의 바닥부 또는 상기 표시패널(530)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550) 내부의 배선 구조물 등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500)의 디자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부재(555)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상기 보호부재(555)는 검정색의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보호부재(555)는 다양한 재질 또는 색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부재에 인접하게 상기 접착부재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보호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기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제1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접착시키는 접착부재;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제1 절연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제1 절연기판의 제1 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성 제1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절연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절연기판의 제2 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성 제2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박막층에 직접 접착하는 불투명한 재질의 접착테이프이며, 상기 접착부재의 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상기 접착부재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5. 삭제
  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게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제1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접착시키는 접착부재,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보호부재를 갖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제1 절연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제1 절연기판의 제1 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성 제1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절연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절연기판의 제2 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도전성 제2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의 제1 박막층에 직접 접착하는 불투명한 재질의 접착테이프이며, 상기 접착부재의 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제1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제1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검정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삭제
KR1020070005907A 2007-01-19 2007-01-19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3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907A KR101339905B1 (ko) 2007-01-19 2007-01-19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907A KR101339905B1 (ko) 2007-01-19 2007-01-19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314A KR20080068314A (ko) 2008-07-23
KR101339905B1 true KR101339905B1 (ko) 2013-12-11

Family

ID=3982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907A KR101339905B1 (ko) 2007-01-19 2007-01-19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54B1 (ko) * 2013-08-21 2014-09-03 전자부품연구원 네추럴 햅틱 피드백을 위한 터치스크린 레이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651A (ko) * 2001-02-27 2002-09-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030073165A (ko) * 2002-03-08 2003-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040056011A (ko) * 2002-12-23 2004-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651A (ko) * 2001-02-27 2002-09-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030073165A (ko) * 2002-03-08 2003-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040056011A (ko) * 2002-12-23 2004-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314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331B2 (en) Display device
US9207819B2 (en) Touch sensing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10845902B2 (en) Touch sensor for display
US9104254B2 (en) Touch screen panel
KR101564332B1 (ko) 액정 표시 장치에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터치 센싱 방법
US88788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sensing electrode for sensing a touch of a user
US8279361B2 (en) Touch-sensi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026107A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2793109A1 (en) Display apparatuses
KR102107576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20160283009A1 (en) In-cel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209841B2 (en) Position inpu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inputting function
US20170038904A1 (en) Input device
US20160342259A1 (en) In-cell capacitive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US20160188070A1 (en) Color filte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KR20070047956A (ko) 표시 기판의 제조방법
US10031600B2 (en) Array substrat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80046278A1 (en) Touch display panel
US725980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touch panel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98385B1 (ko) 터치 패널
KR100720446B1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패널
KR101339905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30081729A (ko)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62277B1 (ko)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
KR100525731B1 (ko)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