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714A - 단열 창유리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창유리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714A
KR20040054714A KR10-2004-7005443A KR20047005443A KR20040054714A KR 20040054714 A KR20040054714 A KR 20040054714A KR 20047005443 A KR20047005443 A KR 20047005443A KR 20040054714 A KR20040054714 A KR 2004005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unit
substantially flat
glazing unit
flat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브 드마르
장-삐에르 두쉬
장-크리스토프 엘뤼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4005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06B3/67321Covering spacer elements, e.g. with sea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39Working the edges of already assembled units
    • E06B3/67356Covering the edges with band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창유리에 관한 것으로, 이 단열 창유리는 가스 간격(12)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장의 유리판(10,11)과, 이 두 장의 유리판을 일정 간격 띄우는데 사용되고, 서로 마주한 가스 간격을 향한 내면과 이와 마주한 외면을 갖는 중간층(2)과, 창유리 내부를 밀봉하는 수단(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중간층(2)이, 창유리 둘레의 제 1부를 둘러싸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 {상기 중간층(2)의 내면(20)은 유리판의 가장자리(10a,11a)에 부착되고, 고정 수단(4)을 통해 제 자리에 유지됨}과, 창유리 둘레의 제 2부를 둘러싸는 다른 부분(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창유리와 그 제조 방법{INSULATING GLAZING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한 가지 잘 알려져 있는 유형의 단열 창유리는, 공기와 같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cavity)에 의해 간격이 떨어져 있고, 접히거나 코너 피스 (corner piece)에 의해 조립된 중공형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프레임을 이용해서 분리 및 결합된 두 장의 유리판을 포함한다. 스트립은 분자체(molecular sieve)를 구비하고, 이것의 기능은 특히, 창유리 유닛 제조 중 중간의 공기 공동에 갇히고 추운 날씨에 쉽게 응결되어 이슬 맺힘 (fogging)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물분자를 흡수하는 것이다.
창유리 유닛이 밀봉된 것을 보증하기 위해, 노즐을 통한 방출에 의해 스트립에 직접 도포된 부틸 고무 유형의 탄성중합체 비드에 의해 유리판에 스페이서 프레임이 접착 결합된다. 스페이서 프레임의 각 코너의 코너 피스에는 또한 부틸 고무가 제공된다. 창유리가 일단 조립되면, 탄성중합체 밀봉 비드는 유리판의 기계적인 유지를 일시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 있다. 마지막으로, 폴리설파이드 또는 폴리우레탄 유형의 교차 결합될 수 있는 밀봉 마스틱 수지 (sealing mastic)는 두 장의유리판과 스페이서 프레임으로 한정된 주변 그루브 안으로 주입되고, 이를 통해 유리판의 기계적인 조립을 완성한다. 부틸 고무의 주요 기능은 수증기에 대해 창유리 유닛의 내부를 밀봉하는 것인 반면, 마스틱 수지는 액체 상태의 물과 용매에 대해 밀봉한다.
이 창유리 유닛의 제조는 스트립, 코너 피스, 분자체 및 유기 밀봉제를 포함한 여러 가지 다른 물질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물질은 한 번의 동일 작업으로 조립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조 공정과 관련된 한 가지 단점은 물질의 저장에 관한 것이다. 단열 창유리 유닛에 대한 임의의 새로운 순서에 대해 기능성을 갖기 위해서, 각 물질의 많은 배치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점은 이들 물질의 위치 지정 및 저장에 관한 간단하고 신속한 관리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조립될 물질의 현재 개수는 여러 개의 설치 작업을 필요로 하고, 이 작업들은 자동화되더라도 차례로 수행되어, 제조 시간에 크게 불이익을 미친다. 이러한 작업 중 일부 작업은 또한 제조 라인의 중단을 요구하고, 이러한 단기간의 손실 시간은 생산성에 추가 불이익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스트립 안쪽에 제공된 분자 체의 재생성은 현재 알려진 단열 창유리 유닛으로는 불가능한데, 이는 분자체의 재생성이 분자체의 파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단열 창유리 유닛과 그 제조 방법이다.
도 1a는 중공형 부분이 나타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유리 유닛의 단면도.
도 1b는 유리판 가장자리에 중공형 스트립이 직접 접착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유리 유닛의 부분적인 개략 단면도.
도 1c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삽입을 통해 유리판 가장자리에 중공형 스트립이 접착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유리 유닛의 부분적인 개략 단면도.
도 1d는 유리판 사이에 중공형 스트립이 접착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유리 유닛의 부분적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유리판에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부착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수직 도면.
도 3은 제조 공정의 한 단계 중 도 2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창유리 유닛을 완전하게 둘러싼 후 본 발명에 따른 편평한 스트립의 두 개의 자유 끝단 사이의 결합을 도시한 확대도.
도 5의 (a) 내지 (c)는, 중공형 스트립이 유리판에 의해 한정된 공간 안에만 위치한 형태에서, 창유리 유닛을 둘러싸는 대안적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공기 공동의 두께의 함수로 주어진 힘에 대해, 본 발명의 창유리 유닛의 최대 편향에 대한 종래 기술의 표준 창유리 유닛의 최대 편향의 비를 나타낸 곡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의 선택이 물질의 제조 흐름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 작업을 단순화하며, 창유리 유닛을 파괴하지 않고 수리할 수 있는 단열 창유리 유닛을 제공하고, 특히 과립형 분자 체 및/또는 재 주입 가스를 대체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의해 간격이 떨어져 있는 적어도 두 장의 유리판과, 이 두 장의 유리판을 분리하고 가스로 채워진 공동을 향한 내면과 이와 마주한 외면을 갖는 삽입물과, 상기 창유리 유닛의 내부에 대한 밀봉 수단을 포함한 단열 창유리 유닛은, 삽입물이, 창유리 유닛 둘레의 제 1부를 둘러싸고,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그 내면이 압착되고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과, 창유리 유닛 둘레의 제 2부를 둘러싸는 다른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형의 스트립과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 위에서의 그 배열은, 특히,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만을 삽입물로 갖는 그 둘레 부분에서 창유리 유닛을 통한 가시성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삽입물의 종래의 간격을 띄우는 기능과 밀봉 기능이 완수될 경우, 창유리 유닛 둘레의 상기 제 1부와 제 2부의 부분적 또는 심지어 완전한 중첩이 있을 수 있다. 많은 경우, 상기 다른 스트립이 점유한 둘레의 제 2부는 전체 둘레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다른 스트립의 속이 비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 특히, 스트립이 포함한 건조용 분자 체를 대체하기 위해 중공형 스트립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결합과 분리의 최대 용이성을 이용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이제, 이러한 접근성은 중공형 스트립이 창유리 유닛둘레 전부가 아닌 일부, 예를 들어 하부 수평면 또는 수직면의 일부만을 점유할 때 최적이다. 분리된 후 편평한 스트립을 재결합하는 것은 표준 물질의 많은 선택에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다른 스트립"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예를 들어 가스로 채워진 공동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한 면을 갖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이보다 복잡한 단면의 실질적으로 편평하지 않고 속이 비거나 비어있지 않은 스트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창유리 유닛은 적어도 두 장, 주로 세 장 이상의 간격이 떨어진 유리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유리판은 단일층 유리판 또는 유리판과 플라스틱 판의 적층판 중 한 가지이다.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두 가지 실시예에 따라,
- 상기 다른 스트립은, 직접 또는 예를 들어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삽입으로, 유리판 가장자리에 그 내면을 통해 압착되고,
- 상기 다른 스트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판 사이에 놓인다.
이 두 가지 경우, 다른 스트립은 유리판의 가장자리 또는 내부 표면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압착되고, 편평한 스트립 자체로 완전히 덮이고 유리에 접착 결합된 다른 스트립과,
하부 수평면 위의 유리판 사이에 완전히 있고, 중력에 의해 편평한 스트립의 내면을 지지하거나,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서 고정되는 다른 스트립과 같은
형태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스트립은 유리판에 의해 한정된 공간 밖에 있는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고, 의도한 개구에 창유리 유닛을 끼워넣고/끼워넣거나 고정하는데 적합한 모양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다른 스트립의 이러한 바깥 부분이 스트립 전체 길이에 텅(tongue)을 형성하고, 이러한 텅이 개구의 프레임에 형성된 그루브에 꼭 끼워져서, 네일링 (nailing) 또는 이와 유사힌 방법에 의해, 창유리 유닛의 이 둘레부에 창유리 비드라 불리는 비딩(beading)의 이후 고정을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물은 가스와 먼지 및 액체 상태의 물을 밀봉하는 특성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밀봉 수단은 삽입물의 적어도 외면 또는 적어도 내면에 놓인다. 삽입물의 내면에 밀봉 수단이 놓인 경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외면은 의도한 개구에 창유리를 끼워넣고/끼워넣거나 중심에 맞추고/맞추거나 고정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불규칙적인 모양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불규칙적인 모양은 열가소성 물질의 압출 성형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을 통해 얻어진 것과 같은 길이 방향의 줄무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출원서 EP-0 745 750 A1을 참조할 수 있고, 이 출원서는 계단식 줄무늬로서 (도 7과 도 8), 한 면이 기울어지고 다른 면은 일직선이며, 경사진 경사로 (inclined ramp)를 따라 배열되고 창유리 유닛을 상기 계단식 줄무늬의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간단한 압착을 통해 동시에 중심이 잡히는 계단식 줄무늬 (stepped striation)를 기술한다. 이러한 유형의 줄무늬는 완전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 내에 들어간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밀봉 수단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고, 두께가 2 내지 50㎛인 코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금속으로만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립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 스트립은 앞에 나타낸 것처럼 가스와 수증기 밀봉 수단을 이루기 위해 금속 코팅을 구비한다.
이 코팅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 면의 외면 뿐만 아니라 내면에도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면에 코팅을 배열하는데 이점이 있는데, 즉 보다 얇은 두께가 필요하다. 이는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을 견딜 필요가 없고, 창유리 유닛의 둘레 주의의 열 다리 (thermal bridge)가 더 얇으며, 특히 이것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경우 유리에 대한 그 결합이 스트립에 사용된 플라스틱에 관계없이 완벽하게 조절되고, 마지막으로, 창유리 유닛 내부에 제공된 전기 부품에 전기적인 연결을 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특징에 따라, 삽입물의 선형 좌굴 강도(linear buckling strength)는 적어도 400 N/m이다. 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편평한 스트립은 스테인리스강으로만 이루어진 경우 적어도 0.1mm의 두께를 가져야만 하고, 알루미늄으로만 만들어진 경우에는 적어도 0.15mm의 두께를 가져야만 하며, 강화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적어도 0.25mm의 두께를 가져야만 한다.
창유리 유닛에 삽입물을 고정하는 수단은 물이 침투할 수 없고, 이 수단은 적어도 0.45 MPa의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갖는 접착제로 구성된다.
다른 특징에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자유 끝단은, 창유리 유닛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서 끝단 중 하나가 다른 것과 중첩되거나, 상기 다른 스트립의 한 끝단과 중첩되도록 함께 결합되고, 중첩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남겨진 측면부를 밀봉하기 위해 추가 밀봉 수단이 제공된다.
전체 창유리 유닛을 둘러싸는 한 가지 변형예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자유 끝단은 결합부(abutment)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호 결합에 적합한 상보적인 모양을 갖는다. 가스와 수증기가 침투할 수 없는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는 결합부 영역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열 창유리 유닛은 특히 곡면부를 갖는 복잡한 모양일 수 있고, 편평한 삽입물은 이것의 유연성에 의해 창유리 유닛의 곡선을 쉽게 따를 수 있기 때문에 그 복잡한 모양에 완벽하게 적합하다.
다른 특징에 따라, 삽입물의 면 중 한 면 또는 양면은, 성형에 의해 일정 구조를 이루거나 물질적으로 부착된 기능적인 부품을 갖는다.
따라서, 스트립은 매우 정확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을 끼워 넣기 전, 스트립은 롤링이나 기능적인 목적의 여러 부품을 결합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로, 불연속적인 점으로 위치하거나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예를 들어 두 개의 평행한 밴드로 배열되거나, 엇갈린 방식으로 배열된 스터드(stud), 딤플(dimple) 또는 범프(bump)를 이용하거나, 또는 코너에 펀치(punch), 세레이션(serration) 또는 프리스코어링(prescoring)과 같은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스트립의 면에 일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스터드는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설치된 크로스 부재 (cross member)를 고정하는 유지 부품으로 특히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크로스 부재는 장식적인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스터드가 창유리 유닛의 안쪽을 향해 위치하고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밴드로 위치한 경우, 이러한 스터드는 삼중, 또는 심지어 사중 창유리 유닛을 제조하기 위해 적어도 한 장의 추가 유리판을 안내 및 끼워 넣기 위한 부품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터드는 한 장의 유리판을 제 자리에 고정시키는 부품으로도 작용할 수 있고, 유리판은 이러한 부품 위에 놓이게 함으로써, 창유리 유닛의 여러 개의 공기로 채워진 공동 사이에 통로(communication)를 허용한다. 이러한 부품은, 이들 부품의 기능성이 창유리 유닛의 바깥쪽을 향한 경우, 창유리 유닛을 창문의 리베이트(rebate)에, 또는 인접한 벽면이나 창유리 유닛과 삽입을 통해 장착, 끼워넣기, 잠금 또는 설치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이러한 부품은 슬라이딩 도어용 레일(rail)과 협동하기 위한 경로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스트립이 변형될 경우 복구될 수 있을지라도, 스트립의 완결성이 변하지 않으면서, 스트립에 대한 물질의 성질에 따라, 접착 결합, 납땜, 용접 또는 리벳 고정을 통해, 다른 수단에 의해 스트립에 추가 부품을 추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부품을 고정함으로써, 창유리를 조립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창유리를 설치하는데 기여하는, 특히 이를 리베이트에 장착하는데 기여하는 스트립의 관성(inertia)과, 강성을 더 향상시키는 삽입물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밀봉 또는 장식용 그루브 또는 프로파일 립(profiled lip)을 압출하거나, 플라스틱 스터드에 의해 추가 물질의 추가가 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외에, 스트립에 부식 방지 처리 또는 페인트 또는 장식용 라커를 미리 도포하고, 또한 예를 들어, 제조된 창유리 유닛의 추적 가능성 (traceability)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표시 또는 정보를 미리 새기거나 인쇄하는 것을 확실하게 생각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모양의 삽입물은, 기능이 있는 것, 예를 들어 브리딩 튜브 (breathing tube) (즉, 창유리 유닛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이 대류 없이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하는 튜브)를 이루거나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 (recess) 또는 이중 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물은 하나 이상의 다음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삽입물은, 특히 삽입물의 모양과 결합되거나 또는 삽입물에 부착된 리세스에 건조제를 함유한다.
삽입물은, 제어, 기계적인 전달 또는 전기적인 연결 수단 (전선,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를 가열시키는 전도성 부품, 인쇄 배선 회로)을 포함하고, 전도체는 예를 들어 결합부 영역 (abutment region)에서 밖으로 안내된다.
삽입물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설치된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를 결합시킨다.
삽입물은, 창유리 유닛을 분리, 세척 및 다시 끼워 넣고 건조제를 재생성함으로써, 창유리 유닛 수리가 필요한 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서 수분 함량을 예측하는 수단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창유리 유닛의 네 면 중 세 면과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결합하고, 창유리 유닛의 자유 면을 통해 앞에서 명시한 기능성 중 한 가지 기능성을 설치한 후, 후자에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접착 결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물은, 예를 들어 유리판 사이의 공간을 가스로 채우기 위해 건조 카트리지 (desiccant cartridge), 또는 가스 카트리지를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대기압이 납품 지점(point of delivery)의 기압과 다른 위치에서 창유리 유닛이 제조된 경우 압력의 균형을 맡을 수 있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구멍 또는 구멍들은, 예를 들어 오븐의 문에 매우 유용한 브리딩 창유리 (breathing glazing)를 형성하기 위해 유리판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구멍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 또는 이와 달리 다른 스트립, 또는 이 두 가지 모두에 생길 수 있고, 두 개의 구멍은 후자의 경우 서로 마주하는 것이 유리하다. 구멍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과 직접 통하거나 통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형 스트립의 끝단 부분이 있는 경우로, 이 경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과 겹침으로써 밀봉이 제공된다). 구멍은 관통 구멍이거나 관통 구멍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가스가 침투할 수 있는 하부층이 아닌, 알루미늄이나 이와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침투층의 부분적인 부재로부터만 생길 수 있다.
이 구멍은, 스트립의 표시된 지점을 뚫거나, 예를 들어 스트립 위의 미리 형성된 자국을 통해, 또는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스트립 위에 미리 형성된 범프의 위치를 정함으로써 부착된 부품의 위치를 정확히 지정함으로써, 적절한 다른 천공 수단이나, 펀치를 구비한 스트립에 부착된 부품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천공 자국은, 예를 들어 상업용 알루미늄 음료 캔에 제공된 유형일 수 있다. 일단 천공이 일어나면, 뒤로 들어간 물질의 부분은 스트립에 부착되어 있다.
가스 주입을 위해 구멍이 생성되었다면, 예를 들어 가스가 침투할 수 없는 호일(적절한 밀봉 접착제의 사용과 같은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스트립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음)로 이를 다시 밀봉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테이프는, 구멍이 뚫려 있는 스트립에 도포하고자 하는 호일 면에 그 면 중 한 면이 접착 결합될 수 있다. 테이프는 그 반대면이 비 접착성 보호 필름으로, 이는 스트립에 호일을 도포하는 동안, 상기 호일을 원하는 위치에 놓기 위해 상기 호일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스트립의 측면에 텅(tongue)이 제공되고, 스트립에 호일이 결합되었음을 보장하는 접착제를 노출시키기 위해 보호용 필름을 제거하기 위해 당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두 장의 유리판의 가장자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특별한 창유리 유닛을 포함한다. 두 장의 유리판 중 하나의 한 면만이 두 장의 유리판 중 다른 하나의 해당 면 위로 뻗어있고, 오프셋 공간은 면 전체 길이에서 상기 다른 스트립에 의해 점유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장의 유리판 중 한 장은 적층판(laminate)일 수 있고, 창유리 유닛의 바깥쪽을 향한 그 판은 적층판의 다른 구성물보다 치수가 더 크며,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한편 구성물의 가장자리에 접착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두 장의 유리판 중 다른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접착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별한 단열 창유리 유닛은, 상기 두 장의 유리판 중 적어도 한 장의 유리판에 관통 구멍이 있고, 이 구멍의 가장자리는 창유리 유닛 둘레 중 상기 제 1부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구분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이러한 가장자리에 눌리고 밀착 방식으로 접착 결합된다. 관통 구멍이 평원반(disc)인 경우, 편평한 스트립은, 경우에 따라 이 창유리 유닛을 건물 구조물 등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제공된 튜브 형태의 모양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삽입물이 유리판 가장자리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가장자리에 인접한 유리판의 내부 둘레 표면은 자유롭게 남겨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종래 기술에서 이 표면은 삽입물에 의해 점유된다. 따라서, 장식용 크로스 부재와 같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접착 결합을 통해 이러한 자유 표면을 이용할 수 있다. 창유리 유닛이 창문 프레임으로 결합된 경우, 창유리 유닛은 일광으로부터 벗어나 창문의 리베이트 내에 놓이기 때문에, 고정장치가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제조 공정은,
경우에 따라 창유리 유닛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다른 스트립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떨어진 두 장의 유리판을 조립하는 단계와,
고정 수단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내면을 유리판 가장자리에 놓고, 경우에 따라 다른 스트립의 외면에 놓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 중,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이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경우에 따라 다른 스트립에 부착되도록, 거의 동시에 스트립의 외면에 압력 수단이 가해지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두 끝단은, 한 끝단이 다른 끝단에, 또는 끝단 각각이 다른 스트립의 한 끝단에 단단하게 결합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특징에 따라, 제 위치에 배치되기 전,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풀고 잡아 당겨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자 하는 감겨있는 테이프 형태인 반면, 접착제 유형의 고정 수단은 잡아 당겨진 테이프 위에 주입 수단을 통해 부착된다.
고정 수단을 부착하는 동안, 잡아 당겨진 테이프 위에 건조제가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특징에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창유리 유닛의 제 1면의 가장자리에 출발 위치에서 스트립을 압착함으로써 제 위치에 부착되고, 둘러싸는 작업은 이 출발 지점으로부터 시작되며, 테이프는, 열가소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경우, 스트립이 코너 둘레로 휘어서 코너의 윤곽과 완전하게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외면을 미리 가열함으로써 창유리 유닛의 코너 위에 놓인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동시에 두 가지 반대 방향으로 붙이고 압착함으로써, 제조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출발 지점은 창유리 유닛의 한 면을 따라 중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가지 변형예로서, 출발 지점은 대신 창유리 유닛의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창유리 유닛을 둘러싸는 대안적인 방법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두 개의 테이프를 부착하고 전달 및 압착 수단을 사용해서 출발 지점에 테이프를 압착함으로써 제 위치에 부착되고, 창유리 유닛 및/또는 전달 수단(delivery means)의 병진 운동을 통해 이러한 출발 지점으로부터 둘러싸는 작업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스트립과 결합된 이 변형예는, 매우 유리하게도, 복잡한 모양 (특히 곡선부가 있는)의 창유리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실제, 창유리 유닛을 제조하는 모든 작업은 창유리 안에 있어야만 하는 가스로 채워진 챔버 안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변형예로, 가스를 전달하기 위해,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삽입된 가스 공급 장치를 생각할 수 있는 반면, 창유리 유닛은 둘러싸는 작업을 거치고, 상기 장치는 이러한 둘러싸는 작업이 종료되기 바로 전에 제거된다.
본 발명의 제 2 제조 공정은,
- 두 장의 유리판이 평행하게 간격이 떨어져서 유지되고,
- 유리판 가장자리에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내면은, 창유리 유닛의 전체 둘레 주위에 위치하며,
-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제 자리에 부착되지만, 스트립이 유리판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거의 동시에 압력 수단이 그 내면 위에 부착되고,
- 전체 창유리 유닛이 둘러싸인 후,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두 끝단이 단단하게 결합되며,
-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에 있는 구멍은 상기 다른 스트립에 의해서 밀봉되고, 이 구멍은, 자체 천공 수단(self-boring means)을 이용해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과 상기 목적으로 성형된 다른 스트립을 부딪히게 함으로써 뚫릴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접착 테이프 (선택적으로 주입 접착제가 결합된)와 같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에 상기 다른 스트립을 부착하는 수단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에 대해 아래 기술될 제조 공정을 통해 얻어진 간단한 단열 창유리 유닛(1)을 도시한다.
창유리 유닛(1)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12)에 의해 간격이 떨어져 있는 두 장의 유리판(10과 11)과, 이 두 장의 유리판을 서로 떨어뜨리고 전체 창유리 유닛의 기계적인 유지를 보장하는 기능이 있는 삽입물(2)과, 액체 상태의 물, 용매 및 수증기에 대해 창유리 유닛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3)을 포함한다.
삽입물(2)은 두께가 약 1mm이고 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인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 형태이다. 이 스트립은 낮은 기계 관성을 갖는 것이 유리한데, 즉, 예를 들어 10㎝의 작은 감기 반경 (winding radius)으로 쉽게 감길 수 있다.
스트립은 창유리 유닛의 둘레를 둘러싼다. 이 스트립은 테이프의 방식으로 유리판의 가장자리(10a와 11a)에 부착되고, 유리에 대한 전체적인 부착을 보장하는고정 수단(4)을 통해 창유리 유닛의 기계적인 조립을 보증한다.
스트립은 기계적으로 두 장의 유리판 간격을 서로 떨어뜨리는 기능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강하다. 이 강도는 구성 물질의 그 성질에 의해 한정되고, 구성 물질의 선형 좌굴 강도는 적어도 400 N/m가 되어야만 한다.
게다가, 상기 스트립 물질의 성질은, 창유리 유닛의 제조 공정 중, 특히 코너의 테를 두를 때, 유리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작업이 실행되도록 스트립이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또한 선택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삽입물은 금속으로만 제조되고, 선택된 물질은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중, 코너는 금속 물질의 변환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계를 사용해서 굽힘으로써 테가 둘러진다.
400 N/m의 최소 선형 좌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삽입물의 두께는 스테인리스강인 경우 적어도 0.1mm이고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0.15mm가 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물(2)은 플라스틱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 플라스틱은 잘게 절단되거나 연속적인 강화 섬유로 강화되거나 강화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한 가지 물질은 잘게 절단된 유리 섬유와 결합된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SAN)일 수 있고 {이 제품은 예를 들어 BASF사에 의해 LURAN(등록상표)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됨}, 또는 이와 달리 연속적인 유리 섬유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이 제품은 Vetrotex 사에 의해 TWINTEX(등록상표)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됨}.
또한, 예를 들어, 일정 두께의 금속과 단단하게 결합된 일정 두께의 플라스틱을 갖는 삽입물을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과 금속과 같은 물질을 결합해서 삽입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인 플라스틱의 경우, 물질이 연화된 후 이를 굽힘으로써, 창유리 유닛의 코너의 테를 두르는 작업은 금속 물질만을 갖는 것보다 더 쉽게 실행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스트립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건조제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리할 수 있고, 이는 금속의 경우에 불가능하다. 건조제는 분말화된 제올라이트와 같은 분자 체 (molecular sieve)일 수 있고, 그 비율은 최대 20 중량% 또는 약 10 부피%일 수 있다. 건조제의 양은 창유리 유닛에 부여하고자 하는 수명에 좌우된다.
마지막으로, 플라스틱은 금속보다 열 전도성이 작기 때문에, 전체 창유리 유닛의 단열은, 창유리 유닛이 노출된 경우 (예를 들어, 강한 태양광선에) 더욱 양호하다.
플라스틱에 유리 섬유를 첨가하는 경우, 이는 순수한 플라스틱보다 훨씬 작고, 유리의 열 팽창 계수에 근접하게 되는 물질의 열 팽창 계수가 되게 한다. 이는 가스로 채워진 공동이 열적으로 변화하는 도중, 고정 수단(4)에 더 작은 전단력을 일으킨다.
400 N/m의 선형 강도를 보증하기 위해, 삽입물(2)은, 열가소성 섬유와 강화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적어도 0.2mm의 두께를 갖는다.
삽입물(2)의 너비는 창유리 유닛의 전체 두께에 맞게 조절되고, 이 창유리유닛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의해 간격이 떨어진 여러 장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다중 창유리 유닛일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삽입물의 경우, 유리판의 떨어진 거리가 아니라 창유리 유닛의 전체 너비만을 알 필요가 있다. 이는 다중 창유리 유닛에 대한 분리 거리가 변할 수 있기 때문으로,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삽입물을 사용할 경우, 창유리 유닛을 제조하기 위해, 분리 거리에 따라 삽입물의 서로 다른 분리 및 서로 다른 너비에 대해 사용 가능한 여러 개의 삽입물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필연적으로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창유리 유닛에 대해, 이러한 간격의 유닛(spacing unit)의 내부 분리 간격 (internal isolating separation)의 수와 분리의 너비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라, 단순히 창유리 유닛의 전체 너비에 해당하는 단일 너비를 갖는 하나의 삽입물 또는 스트립을 가질 필요가 있다.
유리판 가장자리에 삽입물이 부착된 본 발명의 창유리 유닛은, 강도 면에서 손실이 없고, 이와 반대로, 이 강도는 유리판의 내면 사이에 삽입물이 부착된 종래 기술의 표준 창유리 유닛과 비교해서 더욱 향상된 것으로 증명되었다.
표준 창유리 유닛의 편향에 대한 본 발명의 창유리 유닛의 편향 비는, 동일 표면적, 동일한 유리 두께 및 동일한 공기 공동 두께를 갖는 유리판에 대해 공기 공동의 두께 함수로 계산되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창유리 유닛에 주어진 힘이 제공된 다음, 각 창유리 유닛의 최대 편향이 측정되고, 다음으로 편향 비가 계산된다. 본 발명의 창유리 유닛의 편향으로 나눈 표준 창유리 유닛의 편향과 동일한 이 비는, 본 발명의 창유리 유닛의 굽힘에 대해 더 큰 저항성과 이에 따라 더 큰 강도때문에 항상 1보다 크다.
도 6은 이 비를 공기 공동의 함수로 도시하고, 본 발명의 단열 창유리 유닛에 대한 해당 삽입물은 0.5mm의 알루미늄 스트립이다. 이 비는 항상 1보다 크고, 예를 들어 12mm의 공기 공동에 대해 1.5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삽입물 또는 스트립(2)은 내면(20) 및 이와 반대되는 외면(21)을 갖고, 내면(20)은, 하나의 단열 창유리 유닛인 경우, 그 가장자리를 통해 유리판 가장자리(10a와 11a)에 고정 수단(4)을 통해 제 위치에 압착 고정된다.
스트립의 내면(20)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12)을 향한 그 중심부(22)에 가스로 채워진 공동 안에 갇힐 수 있는 물분자를 흡수하는 것이 목적인 건조제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건조 특성은 분자체를 일체형으로 통합한 바로 그 조성물인 삽입물 재료의 성질로부터 나타날 수 있다. 한 가지 변형예로, 명세서 나머지 부분에서 볼 수 있듯이, 삽입물이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기 전, 분자체를 중심부(22)에 부착함으로써 건조 요소가 대신 얻어질 수 있다.
내면(20)의 가장자리는 접착제로 덮이고, 이는 고정 수단(4)을 구성한다.
접착제는 시멘트의 유형이다. 즉, 가스와 수증기가 침투할 수 없다. 두께가 1.5mm인 접착제 시험편에 미국 규격 ASTM 96-63T에 따라 실행된 시험에 의하면, 규소와 같이 수증기 침투성 계수가 35 g/24 h.m2인 접착제가 적합하다. 물론, 폴리우레탄과 같이 침투성 계수가 4 g/24 h.m2이거나 이보다 더 작은 접착제가 더 적합한데, 이는 밀봉이 더 향상된 다음, 더 소량의 건조제가 제공되어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접착제는 또한 액체 상태의 물과, 자외선과, 창유리 유닛의 면에 수직으로 가해질 수 있는, 일반적으로 전단 응력이라 불리는 당기는 힘과, 창유리 유닛의 중량의 힘에 평행하게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한 분리(debonding)를 견뎌야만 한다. 만족할만한 접착제는 0.45 MPa의 인열 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창유리 유닛의 작동 환경에 접착제의 성질을 맞게 조절하는 것이 또한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접착제는, 예를 들어 가정용 전기 오븐의 문에 창유리 유닛을 적용하는데 충분한 온도 저항 능력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접착제는 약 몇 초 내에 결합되는 빠른 결합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제는, 화학 반응에 의해 경화가 일어나거나 (열 또는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또는 이와 달리 접착제가 고온 용융 물질,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수분과 접촉해서 교차 결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한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냉각을 통해 경화가 일어나는 접착제이다.
강화 플라스틱 삽입물의 외면(21)은 두께가 예를 들어 2 내지 50㎛인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호일 유형의 금속성 보호 코팅(21a)으로 덮이고, 이러한 코팅은 밀봉 수단(3)을 구성한다. 밀봉 역할은 별개로 하고, 특히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경우, 호일은, 예를 들어 스트립을 다루거나 운반할 때 스트립에 효과적인 내마모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제조 공정이 열가소성 물질의 연화 단계를 필요로 할 경우, 스트립은 열가소성 물질과의 열 교환을 선호한다.
한 가지 변형예로, 금속 코팅(21a)은 외면(21)을 덮고 내면(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힐 만큼 충분히 넓을 수 있다.
삽입물의 두께에 관해 앞에서 주어진 수는, 사용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성질에 따라, 400 N/m의 선형 좌굴 강도에 대해 제공되고, 이는 가장 표준 크기, 즉 1.20m ×0.50m인 창유리 유닛의 일반적인 값이다. 그러나, 보다 큰 치수의 창유리 유닛 및/또는 극한의 응력 조건에 노출된 창유리 유닛에 대한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삽입물이 1 선형 미터 당 5700 N의 힘을 견딜 수 있는 창유리 유닛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좌굴 강도를 얻기 위해, 물질의 유형에 따라 본 발명의 삽입물에 부여될 해당 두께의 함수로 5700 N/m 기준에 대해 계산된 안전 인자를 나타내는 표를 아래에 제공한다.
안전 인자 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SAN)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1 0.50mm 0.25mm 0.20mm
3 0.75mm 0.40mm 0.30mm
4.5 0.90mm 0.45mm 0.35mm
본 발명의 단열 창유리 유닛에 중공형 스트립을 결합하는 것이 도 1b 내지 1d에 도시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중공형 스트립(30)은 고정 수단(5)을 통해 유리판(10과 11)의 가장자리에 접착 결합된다. 따라서, 삽입물의 내면(20)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12)의 경계로, 이러한 중공형 프로파일에 포함된 건조용 분자체 (미도시됨)는, 내면(20)에 생긴 통로(31) (구멍, 공극 등)를 통해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대해 작용한다. 필요할 경우, 가스로 채워진 공동과의 이러한 통로는 스트립(30)이 구비할, 가능한 밀봉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노출된다. 통로(31)의 치수는, 흔히 과립의 형태를 갖는 건조제를 중공형 스트립(30)에 유지하기 위해 건조제의 치수보다 더 작다.
고정 수단(5)는 가스로 채워진 공동(12)과 외부 압력 사이에 필요한 밀봉을 보장한다.
중공형 스트립은, 예를 들어 길이가 10 내지 15㎝인 하나의 단면 또는 여러 개의 단면에서, 단열 창유리 유닛의 곧은 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중공형 스트립은 폴리우레탄처럼 낮은 수분 투과율을 갖는 고온 용융 물질로 차단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단면 (도 1b에 도시되지 않음)은 중공형 스트립(30)의 두 개의 끝단 단면 각각에 접착 결합됨으로써, 밀봉 방식으로, 앞에서 명시한 낮은 수분 투과율을 갖는 고온 용융 물질과 함께 차단된다.
편평한 스트립(2)(도 1a 참조)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호일(3)로 구성된 밀봉 수단을 포함하고, 이 밀봉 수단은 창유리 유닛의 내부를 향할 수 있으며, 접착제(4)는 중공형 프로파일(30)과 또한 유리판 가장자리에 알루미늄을 결합하도록 선택된다. 밀봉 수단(3)의 이러한 배향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편평한 스트립(2)의 외면이 출원서 EP-745 750 A1에 기술된 창유리 유닛을, 특히 압출을 통해 고정하기 위해, 줄무늬(striation)로 형성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판에 의해 한정된 공간의 외부에 대한 중공형스트립(30)의 상황은, 덮개 스트립을 고정할 추가 단계가 필요 없이, 개구(opening)의 프레임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함으로써 창유리 유닛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점은 또한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이점으로, 이제 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라, 밖으로 향한 밀봉 수단(3)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2)은,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접착제(4)에 의해 유리판 가장자리에 접착된다. 편평한 스트립(2)은 하나의 구멍(6)이 있는데, 이 구멍은 예를 들어 편평한 스트립이 유리판에 결합되고, 아마도 이로부터 제조된 창유리 유닛을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후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중공형 스트립(30)은 접착제(5)를 통해 편평한 스트립(2)에 이후 결합되었다. 스트립(30)의 중공에 포함된 분자체는 가스로 채워진 공동(12)에 대해 작용하고, 이 공동으로 분자체는 스트립(30)의 내벽(20)에 생긴 공극이나 구멍(31) 및 구멍(6)을 통해 서로 통해있다.
이 경우 중공형 스트립(30)은 또한 수분 투과율이 낮은 열가소성 물질로 그 끝단이 차단될 수 있다. 추가 밀봉 수단 (미도시됨), 즉 측면의 개방된 중첩 단면 (앞부분 참조)을 밀봉하기 위한 적절한 물질의 주입 또는 접착 테이프가, 편평한 스트립(2)과 중공형 스트립(30) 사이에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추가 수단은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해 동안 오래 사용한 후 가능한 스트립(30)의 분자체의 재생성은, 본 발명의 배열에 의해 특히 단순해진다.
도 1d는 한 가지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이 예에서 중공형 스트립(30)은, 가스로 채워진 공동과 외부 기압 사이에, 그러나 창유리 유닛 둘레의 일부분에만, 바람직하게는 창유리 유닛의 곧은 면의 일부 또는 전체 위에, 필요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5')을 이용하는 접착 결합을 통해, 단열 창유리 유닛의 두 장의 유리판(10과 11)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꼭 끼워진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 (미도시됨)은 중첩되고, 중공형 스트립(30)의 리세스(recess)와 외부 기압 사이의 필요한 밀봉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이에 기여하기 위해서, 적어도 중공형 스트립(30)의 두 개의 끝단 단면 각각에 접착 결합된다. 따라서, 필요한 모든 것은, 스트립이 함유한 사용된 건조제를 대체한 다음 스트립을 재결합하기 위해 중공형 스트립(30)의 한 끝단을 노출하도록, 편평한 스트립(2)의 충분한 부분을 분리하는 것이다.
제조 공정은 이제 강화된 열가소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해서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중공형 스트립의 단열 창유리 유닛으로의 결합을 배제하는데 (상기 결합은 앞에 기술되어 있음), 이러한 결합은 편평한 스트립 조립 전 (도 1b와 도 1d에 도시된 실시예) 또는 조립 후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 실행된다.
유리판(10과 11)은 표준 수단을 통해 가장자리가 이동되어, 창유리 유닛에 주입될 가스를 함유할 수 있는 챔버 안으로 들어간다.
유리판(10과 11)은 원하는 간격으로, 창유리 유닛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에 의해 조절되는 흡관(sucker)에 의해 고정된다.
도 2는 챔버(C) 안에 포함된 창유리 유닛을 제조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릴(reel)(50)은, 신장 장치(미도시됨)를 이용해서, 창유리 유닛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 형태로 풀려 신장된 스트립(2)의 매거진을 구성하고, 이 테이프의 너비는 창유리 유닛의 전체 두께와 동일하다.
일단 스트립이 편평해지면, 접착제(4)는 노즐과 같은 주입 수단(51)을 이용해서,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에 부착하고자 하는 테이프의 내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 테이프는 그 내면에 본래 있는 건조제를 포함하고, 건조제는 스트립 제조 중 분말 또는 과립의 형태로 강화 플라스틱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스트립 제조 후 건조제가 추가될 경우,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와 마주하도록 접착제를 부착시키기 위해 테이프 가장자리를 향한 세 개의 주입 노즐 (즉, 두 측면 노즐)을 이용하고, 가스로 채워진 공동과 마주하도록 테이프의 중심부(22)에 건조제를 주입하는 하나의 중심 노즐을 이용해서, 한 가지 동일 작업 중에 건조제와 접착제를 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트립 제조 중 부착되었고 사용시까지 (이 경우 창유리 유닛에 스트립이 부착되는 시기에 해당) 보호된 접착제를 생각할 수도 있다.
관절형 암(articulated arm)(미도시됨)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스 롤러(54)는 그 전체 둘레 위에서 창유리 유닛(1)의 가장자리에 테이프(2)를 부착하고 이를 압착한다. 둘러싸는 작업에서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 둘레의 두 개의 절반의 테를 두르는 두 개의 롤(54)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트립이 휘어지고 창유리 유닛의 코너에 부착되기 전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해, 열선 저항기 (hot-wire resistor)와 같은 가열 수단(55)이 제공된다.
이 장치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두 장의 유리판(10,11)은 챔버(C) 중심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창유리 유닛 아래에서, 건조제와 밀봉 수단(4)을 포함한 스트립 또는 테이프(2)는 풀리고 신장되어 절단된다.
창유리 유닛의 하부 수평면의 중심점에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해, 두 개의 프레스 롤러(54)가 테이프와 접하게 한다.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에 테이프가 부착되면, 중심점에서 테를 두르는 작업 (bordering operation)이 시작되고, 이는 테이프가 인장력을 받고 있음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롤(54)은 창유리 유닛 바닥의 왼쪽 코너(13)와 오른쪽 코너(14)를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프레스 롤러(54)가 두 개의 코너(13과 14)를 돌기 시작하기 전, 이 프레스 롤러는 잠깐 멈추고 이 동안 열선(55)은 코너에 도포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해, 스트립의 금속 호일(21a)에 인접하고 이를 향한 롤러의 아래 방향으로 제 자리에 부착된다 (도 3).
스트립이 연화된 후, 스트립을 구부리고 창유리 유닛의 코너(13과 14)에 바르게 테를 두르기 위해 프레스 롤러(54)가 다시 작동한다. 롤러는 다음으로 창유리 유닛의 상부 코너(15와 16)까지 창유리 유닛의 둘레를 따라 계속 이동하고, 이 때스트립을 가열하는 작업은 열선(55)을 통해 반복된다.
창유리 유닛의 상부 코너가 둘러싸이면, 프레스 롤러(54)는 창유리 유닛 마지막 면의 테를 두름으로써 멈춘다. 이 마지막 면의 중심에 도달하면, 롤러 중 하나가 멈추고, 이 동안 다른 롤러는 스트립을 계속 압축시켜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롤러와 결합된 스트립의 자유 끝단(23)이, 제 자리에 부착된 스트립의 다른 끝단과 중첩되게 한다 (도 4). 다음으로 이러한 둘러싸기 작업이 완료되고, 프레스 롤러(54)가 창유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된다.
테이프의 두 개의 끝단(23과 24)의 고정을 강화하고, 무엇보다 끝단의 중첩 때문에 일어나는 테이프의 두 개의 개방된 측면부(25)를 밀봉하기 위해, 접착제와 같은 추가 밀봉 수단이 주입되어 이러한 상기 측면부(25)를 막는다.
테이프의 두 개의 끝단을 결합하는 대안적인 방법(미도시됨)은 끝단을 서로 중첩시키지 않고 서로 접합되게 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 때 이 두 개의 끝단은 장부(tenon)와 장붓구멍(mortice)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설계된 상보적인 모양을 갖는다. 완전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스테인리스강 접착 테이프와 같이 가스와 수증기가 침투할 수 없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가 접합부 영역에 더해질 것이다.
테이프의 두 개의 끝단은 중첩이나 접합을 통해 창유리 유닛의 면 중 한 면 위에 결합될 수 있지만, 한 가지 변형예로서 창유리 유닛의 코너에서 이러한 접합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공정을 수행하는 대안적인 방법에서, 테이프(2)를 전달하는 두 개의 헤드(56a,56b)(각각, 정지 헤드와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헤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각각의 헤드는 프레스 롤러(54)와 결합되어 있고, 창유리 유닛은 수평 병진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챔버(C)(미도시됨)에 들어간 창유리 유닛은 창유리 유닛의 전면에 해당하는 위치 ①과, 창유리 유닛의 후면에 해당하는 위치 ② 사이에 위치한다. 출발시, 움직일 수 있는 헤드(56b)는, 위치 ①에 해당하는 창유리 유닛의 바닥 코너로부터 시작하고, 창유리 유닛의 전면 수직면을 따르기 위해 위쪽으로 움직인다. 헤드(56b)가 상부 코너에 도달하면, 90°선회하고 멈춘 다음, 두 개의 헤드가 서로 마주한다. 다음으로, 창유리 유닛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병진 이동하는데, 즉, 창유리 유닛의 후면은 위치 ②에서 위치 ①로 움직여서, 창유리 유닛의 수평면은 개별적으로 헤드 각각에 의해 동시에 둘러싸인다 {도 5의 (b)}. 마지막으로, 창유리 유닛의 후면은 위치 ①에서 멈추고, 수직면은, 바닥 코너로 내려가기 위해 창유리 유닛의 상부 코너에서 90°만큼 선회한 움직일 수 있는 헤드에 의해 둘러싸인다. 다음으로, 두 개의 테이프는 중첩이나 접합을 통해 창유리 유닛의 바닥 코너에 고정된다.
창유리 유닛의 병진 운동과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전달 헤드의 병진 운동의 결합은, 창유리 유닛을 둘러싸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운동의 결합과, 주입 스트립의 사용은, 예를 들어 오목한 모양 및/또는 볼록한 모양의 휘어진 가장자리를 갖는 복잡한 모양의 창유리 유닛을 둘러쌀 수 있게 한다.
창유리 유닛에 있어야 할 가스로 충전시키는 대안적인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가스 충전 챔버를 갖추어야 할 대신,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삽입되고,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가 둘러싸이고 밀봉될 때 가스를 전달하는 호스(hose)와 같은 가스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창유리 유닛의 최종 면이 막히기 바로 전에 분리된다.
본 발명의 스트립은 편평하고 평행 육면의 전체 모양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금속 코팅 면 맞은편 면 위의, 스트립 내면(20)에, 적절하게 스트립이 안내되고 창유리 유닛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두 장의 유리판 간격과 동일한 너비로 분리된 두 개의 길이방향 선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길이방향 돌출부 또는 러그(lug)와 같은 중심 및 위치지정 수단 (centering and positioning means)을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 또는 러그는 창유리 유닛에 삽입되고 내부 벽면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질의 제조 흐름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 작업을 단순화하며, 창유리 유닛을 파괴하지 않고 수리할 수 있는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분야에 사용된다.

Claims (32)

  1. 가스로 채워진 공동(cavity)(12)에 의해 간격이 떨어져 있는 두 장의 유리판(10,11)과, 상기 두 장의 유리판을 분리하고 상기 가스로 채워진 공동을 향한 내면(20)과 이와 마주한 외면(21)을 갖는 삽입물(2)과, 상기 창유리 유닛의 내부에 대한 밀봉 수단(3)을 포함한 단열 창유리 유닛(insulating glazing unit)으로서,
    상기 삽입물(2)은, 상기 창유리 유닛 둘레의 제 1부를 둘러싸고,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10a,11a)에 그 내면(20)이 압착되고 고정 수단(4)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과, 상기 창유리 유닛 둘레의 제 2부를 둘러싸는 다른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열 창유리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스트립은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10a,11a)에 그 내면(20)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스트립은 상기 유리판(10,11)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스트립은, 상기 유리판(10,11)에 의해 한정된 공간 밖에 있고 의도한 개구(opening)에 상기 창유리유닛을 끼워 넣고/ 끼워 넣거나 고정하는데 특히 적합한 모양을 갖는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2)은 가스와 먼지 및 액체 상태의 물을 차단하는 특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밀봉 수단(3)은 상기 삽입물의 적어도 외면(2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밀봉 수단(3)은 상기 삽입물의 적어도 내면(2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상기 외면(21)은 의도한 상기 개구에 상기 창유리 유닛을 설치하고/설치하거나 중심을 맞추고/중심을 맞추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불규칙적인 모양 (irregularitie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적인 모양은, 열가소성 물질의 압출(extrusion)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을 통해 얻어진 것과 같은 길이방향의 줄무늬(longitudinal striation)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이 면(20,21)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은, 성형(forming)을 통해 일정 구조를 이루거나 단단히 부착된 길이방향 요소(longitudinal elemen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 부분은 페인트칠 또는 라커칠 부식 방지 처리를 거치거나, 페인트칠 위주의 마킹 처리(marking treatment)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상기 밀봉 수단(3)은 금속 코팅(21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3.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금속, 특히 두께가 적어도 0.10mm인 스테인리스강, 또는 두께가 적어도 0.15mm인 알루미늄으로만 제조되거나, 필요할 경우 강화 섬유, 특히 연속되거나 잘게 절단된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그 두께가 이 경우 적어도 0.2mm인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선형 좌굴 강도 (linear buckling strength)는 적어도 4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수증기와 가스가 침투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접착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인열 강도 (tear strength)는 적어도 0.45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두 개의 자유 끝단(23,24)을 갖고, 상기 자유 끝단은 상기 창유리 유닛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서 상기 끝단 중 하나가 다른 끝단과 중첩되거나, 상기 다른 스트립의 한 끝단과 중첩되도록 함께 결합되고, 상기 중첩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남겨진 측면부(25)를 밀봉하기 위해 추가 밀봉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19.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상기 전체 창유리 유닛을 둘러싸도록 접합시키기 위해 상호 결합에 적합한 상보적인 모양의 두 개의 자유 끝단(23,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0. 제 19항에 있어서, 가스와 수증기가 침투할 수 없는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는, 상기 접합 영역 (abutment region)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곡선 부분의 복잡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2)은 건조제를 함유하고/함유하거나 제어, 전기적인 연결 및 기계적인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포함하거나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설치된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 및/또는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수단을 결합하고/결합하거나 가스로 채워진 공동에 설치된 크로스 부재(cross member)를 고정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2)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장의 유리판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장의 유리판 중 적어도 한 장은 관통 구멍(through-hole)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는 상기 창유리 유닛 둘레 중 상기 제 1부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밀폐 방식으로 이러한 가장자리에 압착 및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
  26.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경우에 따라 창유리 유닛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5,5')을 구비한 상기 다른 스트립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떨어진 두 장의 유리판(10,11)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수단(4)을 구비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내면(20)을상기 유리판 가장자리(10a,11a)에 놓고, 경우에 따라 상기 다른 스트립의 외면(21)에 놓는 단계와,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배치하는 단계 중,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이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경우에 따라 상기 다른 스트립에 부착되도록, 거의 순간적으로 상기 스트립의 외면(21)에 압력 수단(54)이 가해지는 단계와,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두 끝단(23,24)은, 한 끝단이 다른 끝단에, 또는 상기 끝단 각각이 상기 다른 스트립의 한 끝단에 단단하게 결합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제 자리에 부착되기 전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은 풀리고, 신장되어 원하는 길이로 절단되기 위한 감긴 테이프(50) 형태인 반면, 상기 접착 테이프 고정 수단(4)은 신장되는 상기 테이프에 주입 수단을 통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건조제는 상기 고정 수단(4)을 가하는 동안, 신장되는 상기 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29. 제 26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공급 장치는 가스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삽입 제공된 반면, 상기 칭유리 유닛은 둘러싸기 작업(surrounding operation)을 거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둘러싸기 작업이 완료되기 바로 전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30.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두 장의 유리판을 평행하게 일정 간격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판 가장자리(10a,11a)에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고정시키는 수단(4)을 구비한,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내면(20)을 상기 창유리 유닛의 전체 둘레 주위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을 제 자리에 부착시킨 동안, 상기 스트립이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도록 거의 순간적으로 그 외면(21)에 압력 수단(54)이 가해지는 단계와,
    상기 전체 창유리 유닛이 둘러싸인 후,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두 개의 끝단(23,24)이 단단하게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의 구멍(6)이 상기 다른 스트립(30)으로 차단되고, 상기 구멍(6)은 상기 실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과 상기 목적으로 성형된 다른 스트립을 부딪히게 함으로써 (coming-together) 뚫릴 수 있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31. 단열 창유리 유닛의 삽입물을 형성하기 위한 스트립으로서,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대략 평행 육면형 모양을 가지며, 성형을 통해 일정 구조를 이루거나 단단하게 부착된 기능성 요소를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32. 제 31항에 있어서, 주요 면 중 한 면(20) 위에서. 창유리 유닛 위에 상기 삽입물의 중심을 잡고 위치를 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KR10-2004-7005443A 2001-10-17 2002-10-16 단열 창유리와 그 제조 방법 KR20040054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3354A FR2830897B1 (fr) 2001-10-17 2001-10-17 Vitrage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01/13354 2001-10-17
PCT/FR2002/003533 WO2003040507A1 (fr) 2001-10-17 2002-10-16 Vitrage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714A true KR20040054714A (ko) 2004-06-25

Family

ID=886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43A KR20040054714A (ko) 2001-10-17 2002-10-16 단열 창유리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332202B2 (ko)
EP (1) EP1436481B1 (ko)
JP (1) JP4515764B2 (ko)
KR (1) KR20040054714A (ko)
CN (1) CN1312374C (ko)
AT (1) ATE384188T1 (ko)
BR (1) BR0212563B1 (ko)
CA (1) CA2463728C (ko)
DE (1) DE60224695T2 (ko)
DK (1) DK1436481T3 (ko)
ES (1) ES2300495T3 (ko)
FR (1) FR2830897B1 (ko)
HU (1) HU228041B1 (ko)
NO (1) NO327704B1 (ko)
PL (1) PL209355B1 (ko)
PT (1) PT1436481E (ko)
RU (1) RU2293168C2 (ko)
WO (1) WO2003040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6029B1 (fr) * 2002-10-17 2005-07-01 Saint Gobain Vitrage isolant
FR2849795B1 (fr) * 2003-01-15 2006-01-13 Saint Gobain Dispositif porte-outil pour cooperer avec du verre
FR2868988A1 (fr) * 2004-04-14 2005-10-21 Saint Gobain Vitrage avec element de marquage, procede d'identification du vitrage et son systeme d'identification
FR2878885B1 (fr) * 2004-12-03 2008-08-22 Saint Gobain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gaz d'un vitrage isolant
FR2895427B1 (fr) * 2005-12-23 2009-06-12 Saint Gobain Paroi en verre
FR2898150B1 (fr) * 2006-03-03 2009-10-23 Saint Gobain Ensemble constitue d'un vitrage multiple et d'un profile, et profile destine a un vitrage
US8949769B2 (en) * 2007-02-23 2015-02-03 Microsoft Corporation Spatial layout of hierarchical shared resources
FR2933438B1 (fr) * 2008-07-03 2010-09-10 Saint Gobain Paroi coulissante
US20100285277A1 (en) * 2009-05-11 2010-11-11 Victoria Ann Edwards Method for protecting a glass edge using a machinable metal armor
US8782971B2 (en) 2010-07-22 2014-07-22 Advanced Glazing Technologies Ltd. (Agtl) System for pressure equalizing and drying sealed translucent glass glazing units
KR200467074Y1 (ko) * 2010-10-12 2013-05-23 (주)엘지하우시스 프로파일 랩핑장치
BE1020124A3 (fr) * 2011-07-20 2013-05-07 Agc Glass Europe Panneau de vitrage isolant comprenant au moins un espace interne comprenant un lame d'un gaz isolant.
RU2473765C1 (ru) * 2011-12-19 2013-0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ФК-Экструзия" Дистанционная рамка для стеклопакетов
FR2985538B1 (fr) * 2012-01-06 2014-03-07 Saint Gobain Vitrage dote de moyens peripheriques d'etanchei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991370B1 (fr) 2012-06-04 2014-05-16 Saint Gobain Joint de liaison pour paroi vitree et paroi vitree
US9364101B1 (en) 2015-05-29 2016-06-14 Structural Concepts Corporation Glass door for display case
MX2018007537A (es) 2015-12-21 2018-09-07 Saint Gobain Elemento aislante de vidrio para un gabinete de refrigeracion.
FR3046415A1 (fr) * 2015-12-31 2017-07-07 Saint Gobain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 vitrage isolant
PL3440299T3 (pl) 2016-04-05 2021-09-27 Saint-Gobain Glass France Szyba zespolona do mebla chłodniczego
US20170298679A1 (en) * 2016-04-17 2017-10-19 Kyun Jang Chin Vacuum Insulated Glass Units with Ring Shaped Pillars
WO2018064522A1 (en) * 2016-09-30 2018-04-05 Ged Integrated Solutions, Inc. Tactile spacer frame assembly and locking member
DE102016224757A1 (de) * 2016-12-12 2018-06-1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argerät
EP3477035B1 (en) 2017-10-30 2020-07-22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3468A (en) * 1935-12-26 1940-09-03 Libbey Owens Ford Glass Co Multiple glass sheet glazing unit
US2235680A (en) * 1937-07-14 1941-03-18 Libbey Owens Ford Glass Co Multiple glass sheet glazing un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173649A (en) * 1937-08-26 1939-09-19 Gen Motors Corp Multiple windowpane construction
US2618819A (en) * 1947-05-02 1952-11-25 Libbey Owens Ford Glass Co Edging strip
US2741809A (en) * 1952-03-28 1956-04-17 Pittsburgh Plate Glass Co Multiple glazed unit for test chambers
LU62150A1 (ko) * 1970-11-27 1972-08-03
US3772843A (en) * 1971-02-25 1973-11-20 Usm Corp Multipane structure
US3758996A (en) * 1972-05-05 1973-09-18 Ppg Industries Inc Multiple glazed unit
US3832254A (en) * 1972-12-14 1974-08-27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making a multiple glazed unit having a thermoplastic,spacer-dehydrator element
US4222213A (en) * 1978-11-14 1980-09-16 Gerald Kessler Insulating spacer for double insulated glass
US4422280A (en) * 1981-04-21 1983-12-27 Bfg Glassgroup Insulating glass unit
JPS5965912U (ja) * 1982-10-26 1984-05-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潤滑オイルの冷却装置
JP2882694B2 (ja) * 1991-03-04 1999-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ドア窓用複層ガラス
CN2144171Y (zh) * 1992-09-07 1993-10-20 王广武 一种双层玻璃结构
CN1094475A (zh) * 1993-04-29 1994-11-02 王民智 真空绝热玻璃
DE69611396T2 (de) 1995-06-02 2001-09-06 Saint Gobain Glaspaneel
US6055783A (en) * 1997-09-15 2000-05-02 Andersen Corporation Unitary insulated glass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096391B2 (ja) * 1998-01-27 2008-06-04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0507A1 (fr) 2003-05-15
RU2293168C2 (ru) 2007-02-10
ES2300495T3 (es) 2008-06-16
BR0212563A (pt) 2004-12-28
PL209355B1 (pl) 2011-08-31
CA2463728C (fr) 2010-04-13
RU2004114854A (ru) 2005-10-27
HUP0401852A2 (hu) 2005-01-28
PT1436481E (pt) 2008-04-22
DE60224695T2 (de) 2009-01-15
NO20041967L (no) 2004-05-11
JP4515764B2 (ja) 2010-08-04
JP2005508280A (ja) 2005-03-31
NO327704B1 (no) 2009-09-14
US20050003116A1 (en) 2005-01-06
FR2830897A1 (fr) 2003-04-18
US7332202B2 (en) 2008-02-19
EP1436481B1 (fr) 2008-01-16
BR0212563B1 (pt) 2012-06-26
DE60224695D1 (de) 2008-03-06
CN1312374C (zh) 2007-04-25
CA2463728A1 (fr) 2003-05-15
ATE384188T1 (de) 2008-02-15
CN1571876A (zh) 2005-01-26
DK1436481T3 (da) 2008-07-07
PL368239A1 (en) 2005-03-21
EP1436481A1 (fr) 2004-07-14
HU228041B1 (en) 2012-09-28
FR2830897B1 (fr)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4714A (ko) 단열 창유리와 그 제조 방법
KR100768503B1 (ko) 단열 창유리 유닛, 상기 유닛의 제조방법 및 프로파일을 갖는 스트립
US6889480B2 (en) Unitary insulated glass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971178A (en) Add-on multiple glazing with hygroscopic material
US5094055A (en) Window glass seal
US20090301637A1 (en) Spacer assembly for insulating glaz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insulating glazing unit
WO2003040504A2 (en) Components for multipane window unit sash assemblies
US8769889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ss panes
US7922846B2 (en) Methods of making an insulated, impact resistant glass product
US20210140228A1 (en) Thermally efficient window frame
KR101157111B1 (ko) 단열 글레이징 패널
US20220259916A1 (en) Heat-insulating glass panel
US20170089123A1 (en) Insulating Glass Unit Compression-Injection Coated Patch and Method
SK130895A3 (en) Sash with a panel, especially window sash or door leaf,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U2002353944A1 (en) Components for multipane window unit sash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