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387A -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387A
KR20040054387A KR1020020081420A KR20020081420A KR20040054387A KR 20040054387 A KR20040054387 A KR 20040054387A KR 1020020081420 A KR1020020081420 A KR 1020020081420A KR 20020081420 A KR20020081420 A KR 20020081420A KR 20040054387 A KR20040054387 A KR 20040054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mperature
battery
power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296B1 (ko
Inventor
최의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2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엔진의 워밍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의 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가 저속, 차량 수온의 온도가 라디에이터 팬의 작동 온도 이하의 기설정 온도 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온이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인젝터에 공급되도록 배터리 연결 릴레이(RELAY)를 연결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라디에이터 팬 및 에어컨 구동을 위한 콘덴서 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작동되는 상태이면 상기 배터리 연결 릴레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DRIV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터네이터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엔진 작동하다가 새로운 로드(라디에이터 팬 작동)가 발생시에, 그 로드(LOAD)를 배터리가 부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냉각팬이 2개가 있다, 하나는 라디에이터 팬이고 또하나는 콘덴서 팬이다.
콘덴서 팬은 열교환기의 일종인 에어컨의 증발기를 식혀주기 위한 것이다.
즉,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콘덴서 팬은 항상 작동된다.
그리고, 라디에이터 팬은 차량 수온에 따라 작동 온/오프를 반복한다. 통상 차량 수온 98℃에서 라디에이터 팬이 작동되며, 93℃에서 라디에이터 팬이 꺼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 팬 작동에도 불구하고 수온 98℃이상으로 계속올라가면 팬 속도가 더 빠르게 작동된다.
이러한 작동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차량의 시동시에는 배터리 전압으로 시동이 걸리지만, 시동후, 시동키를 이그니션 키(IG KEY)위치로 옮기면 그때부터는 알터네이터 발생 전압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아이들(IDLE) 상태에서 라디에이터 팬이 갑자기 작동하면 알터네이터의 전압으로는 그때의 모든 전기 부하를 담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약한 위치에 있는 인젝터(INJECTOR)등에는 전압을 보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콘덴서 팬이 자동으로 무조건 동작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아이들(IDLE) 상태에서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엔진 RPM이 부르르 뜨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이들(IDLE)에서 오래 있거나, 또는 급가속 후, 잠시후 급정거를 하면, 갑자기 라디에이터 팬이 작동되면서 RPM이 400~500RPM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엔진 시동이 꺼지는 것 같아 불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알터네이터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엔진 작동을 하다가 갑자기 새로운 로드(FAN 작동)이 발생하여 그 로드를 따라가기 위해 전력을 소모하느라 인젝터에 공급되는 전압이 모자라서 인젝션(INJECTION)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응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알터네이터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엔진 작동하다가 새로운 로드(라디에이터 팬 작동)가 발생시에, 그 로드(LOAD)를 배터리가 부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의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은, 차량 엔진의 워밍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의 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가 저속, 차량 수온의 온도가 라디에이터 팬의 작동 온도 이하의 기설정 온도 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온이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인젝터에 공급되도록 배터리 연결 릴레이(RELAY)를 연결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라디에이터 팬 및 에어컨 구동을 위한 콘덴서 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작동되는 상태이면 상기 배터리 연결 릴레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속도가 30km/h 이하일 경우, 대기온 및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가 에어컨의 작동 요구 온도일 경우에, 상기 배터리 연결 릴레이를 작동시켜, 차량 배터리 전원이 인젝터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작동 요구 온도는 대기온 30℃ 이상 및 차량 내부 온도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 엔진의 워밍업 여부를 판단한다.(S11) 상기 차량의 워밍업 여부는 차량 수온이 70℃ 이상인가의 여부를 통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상태의 저속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차량의 저속 여부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h 이하인 것을 말한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의 저속 여부의 판단은 차량의 중속 이상의 경우에는 주행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차량의 저속상태에서의 쇼크(SHOCK)보다 크므로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속시에 콘트롤을 위함이다.
다음,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가 저속, 차량 수온의 온도가 라디에이터 팬의 작동 온도 이하의 기설정 온도 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13) 상기 온도는 96℃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 온도는 라디에이터 팬의 작동온도인 98℃보다 낮은 온도이다. 이 온도의 설정여부는 96℃를 기준으로 후술하는 배터리와의 연결을 라디에이터 팬의 작동전에 미리 준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량 수온이 기설정 온도 이상 즉, 96℃ 이상일 경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인젝터에 공급되도록 배터리 연결 릴레이(RELAY)를 연결 작동시킨다.(S16) 이에 따라 릴레이 작동으로 타이머의 역할을 하여 일정시간동안 전원을 인젝터에 공급하여 인젝터의 전원 공급부족에 의한 작동 불량을 보완한다.
또한, 대기온도를 측정하여 30℃이상(S14) 또는 차량의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20℃ 이상(S15)일 경우에도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인젝터에 공급되도록 배터리 연결 릴레이(RELAY)를 연결 작동시킨다.(S16)
그리고, 에어컨 구동을 위한 콘덴서팬의 작동시에도 상기 릴레이를 작동시켜 릴레이에 의한 타이머 제어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7,S18)
이러한 배터리의 전원을 라디에이터 팬에 공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차량에는 냉각팬이 2개가 구비되는데, 하나는 라디에이터 팬이고 또 하나는 콘덴서 팬이다. 이러한 콘덴서 팬은 열교환기의 일종인 에어컨의 증발기를 식혀주기 위함이다. 즉,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콘덴서 팬은 항상 작동된다. 그리고, 라디에이터 팬은 차량 수온에 따라 작동 온/오프를 반복한다. 통상은 수온 98℃에서 작동되며 93℃에서 라디에이터 팬이 꺼지도록 되어 있다. 차량의 시동시에는 배터리 전압으로 시동이 걸리지만 시동후 시동키를 이그니션 키 위치로 옮기면, 이 순간부터 알터네이터(ALTERNATOR) 발생 전압으로 돌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아이들(IDLE) 상태에서 라디에이터 팬이 갑자기 작동하면 알터네이터의 전압으로는 그때의 모든 전기부하를 담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한 위치에 있는 인젝터 쪽으로 전압을 보내주지 못한다. 그리고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콘덴서 팬이 자동으로 무조건 동작하게 되어 있는데, 아이들 상태에서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엔진 RPM이 부르르 뜨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아이들(IDLE)에서 오래 있거나, 또는 급가속 후, 잠시 후 급정거하면, 갑자기 라디에이터 팬이 작동되면서 RPM이 400~500rpm 정도로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알터네이터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엔진 작동을 하다가 갑자기 새로운 로드(LOAD)(FAN 작동)가 발생하여 그 로드(LOAD)를 따라가기 위해 전력을 소모하느라 인젝터에 공급되는 전압이 모자라서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팬이 작동되기 전에 미리 배터리를 릴레이를 이용하여 인젝터에 연결하여, 보조 전원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전압 부족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작동을 위한 콘덴서 팬의 작동시에도 상기 릴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차량의 저속 및 에어컨의 작동시에, 알터네이터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엔진 작동하다가 새로운 로드(라디에이터 팬 작동)가 발생시에, 그 로드(LOAD)를 배터리가 부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차량 작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차량 엔진의 워밍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의 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가 저속, 차량 수온의 온도가 라디에이터 팬의 작동 온도 이하의 기설정 온도 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온이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인젝터에 공급되도록 배터리 연결 릴레이(RELAY)를 연결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라디에이터 팬 및 에어컨 구동을 위한 콘덴서 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작동되는 상태이면 상기 배터리 연결 릴레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속도가 30km/h 이하일 경우, 대기온 및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가 에어컨의 작동 요구 온도일 경우에, 상기 배터리 연결 릴레이를 작동시켜, 차량 배터리 전원이 인젝터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작동 요구 온도는 대기온 30℃ 이상 및 차량 내부 온도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KR10-2002-0081420A 2002-12-18 2002-12-18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KR10047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420A KR100471296B1 (ko) 2002-12-18 2002-12-18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420A KR100471296B1 (ko) 2002-12-18 2002-12-18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387A true KR20040054387A (ko) 2004-06-25
KR100471296B1 KR100471296B1 (ko) 2005-03-09

Family

ID=3734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420A KR100471296B1 (ko) 2002-12-18 2002-12-18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37B1 (ko) * 2006-10-23 2008-04-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보조전원 급전장치 및 그의 급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37B1 (ko) * 2006-10-23 2008-04-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보조전원 급전장치 및 그의 급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296B1 (ko)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52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구동 제어 방법
US7552705B2 (en) Vehicle stop/start system with regenerative braking
JP492033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ラジエータファン制御装置
JP2001227374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暖機制御装置
JP200205811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7107390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076560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시동 안정화 방법
JP2006152877A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
KR101886079B1 (ko) 차량의 발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동차
KR10100043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KR100951980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722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동식 워터 펌프 제어방법
US7970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keyless machine operation
KR20070025396A (ko) 벨트 구동형 isg가 장착된 간헐 운전식 차량의 벨트장력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0204995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アンドスタ―ト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471296B1 (ko) 차량의 작동 전원 제어방법
JP2001263096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20180039195A (ko) 차량의 모터 통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7454469B2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4697199B2 (ja) エンジン停止始動車両
JP201502540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1341520A (ja) 車両用暖房装置
JP201607014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092401A (ja) 車両用冷却ファンモータの電力回生装置
KR19980053909A (ko) 다단계 쿨링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