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165A -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165A
KR20040054165A KR1020020080970A KR20020080970A KR20040054165A KR 20040054165 A KR20040054165 A KR 20040054165A KR 1020020080970 A KR1020020080970 A KR 1020020080970A KR 20020080970 A KR20020080970 A KR 20020080970A KR 20040054165 A KR20040054165 A KR 2004005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nut
air conditioner
pi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열
Original Assignee
최선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열 filed Critical 최선열
Priority to KR102002008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4165A/ko
Publication of KR2004005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의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헤드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또한 단조 작업시 헤드부 내의 공간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실내기의 다수의 열교환 파이프와 실외기의 연결배관을 결합하는 헤드부, 연결배관 상에 마련되고 연결배관을 헤드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헤드부와 체결부재의 결합시 누수를 방지하는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연결배관을 결합하는 측에 있어서 헤드부의 내측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너트부를 구비하고, 방지부재는 헤드부의 너트부 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부재와 연결배관의 일단의 원주방향에 마련된 원형 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 배관 작업시 공기조화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The pipe coupling of fan coi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의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외기나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응축 액화시키는 응축기, 응축액화된 냉매를 급속히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를 기본 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또, 공기조화기는 크게 나누어 일체형(윈드형)과 분리형(세퍼레이트형 또는 스플릿형)이 있다.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즉,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실내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로 구분되며, 실내기와 실외기는 냉매관(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관으로서, 액관과 가스관이 있고, 일반적으로 동관으로 이루어진다), 드레인관(실내기에서 열교환시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하기 위한 관으로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진다) 및 배선(전원선과 신호선 등이 포함된다)으로 상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 및 방출시키는 실내 블로워, 실내블로워에 흡입된 공기와 실외기를 통해 저온저압의 액상태가 된 냉매를 서로 열교환시켜 냉매를 저온저압의 증기상태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실외기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 및 방출시키는 실외 팬, 실내기를 통해 저온저압의 증기상태가 된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고압의 증기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 압축기를 통해 고온고압의 증기상태가 된 냉매와 실외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켜 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상태로 응축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에어컨을 설치할 결우, 실내기와 실외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벽체에 구멍을 뚫고 배선과 배관을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개략적 구조 및 배관의 접속구조를 도 1 및 도 2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1)의 내부에는 동파이프와 다수개의 열교환용 핀들을 갖는 열교환 파이프(2)가 절곡 구비되고, 열교환 파이프(2)의 하부에는 모터(3)가 설치되고, 모터(3)의 회전축에는 송풍팬(5)이 연결되어 있으며, 송풍팬(5)은 모터(3)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파이프(2)를 통과시키는 동안 냉, 난방에 따른 공조공기로 열교환시킨 후, 본체(1) 상단의 토출구(4)를 통하여 실내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본체(2)내의 일측에는 냉, 난방장치로부터 열교환된 공조공기를 순환배관(6)을 통하여 열교환 파이프(2)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배관(7)이 마련되고,이 연결 배관(7)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측에 나사부를 갖는 어댑터(8)에 의해 연결된다.
즉, 주름관체로 이루어지는 연결 배관(7)의 끝단 일부를 압착하여 별도의 체결너트(7a)와 결합함과 동시에 이 체결너트(7a)를 어댑터(8)의 일측 나사부와 나사결합하고, 또한 다수의 동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열교환 파이프(2)의 끝단은 연결용 헤드(9)와 용접 결합하여, 연결용 헤드(9)를 어댑터(8)의 타측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므로써 열교환 파이프(2)와 연결 배관(7)을 연결 조립하였던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수단에 있어서는 열교환 파이프(2)와 연결배관(7)을 연결 조립할 때, 별도로 제작된 어댑터(8) 및 연결헤드(9)가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증대되어 제작비의 상승과 더불어 조립 공정수가 증가된다는 문제점 및 결합부위에서의 불량률이 발생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1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00-5690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연결헤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연결헤드(10)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부측의 외주연(外周緣) 상에 연결 배관(7)의 연결 너트(7a)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1)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 개구부의 타측 폐쇄면(12)에는 열교환 파이프(2)의 끝단이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고, 연결헤드(10)의 전, 후면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공(13)이 각각 천공되어 구비되어 별도로 제작된 에어밸브가 나사결합되며, 연결헤드(10)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이를 공조기용 열교환기에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래킷(14)이 일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조에 있어서는 나사부(11)의 외경과 연결 배관(7)의 외관이 거의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배관의 밀폐를 위해 고무패킹을 장착하는 경우는 고무패킹이 연결배관(7) 또는 나사부(11)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어 조립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고무패킹을 연결배관(7)의 너트(7a)에 미리 삽입하고, 연결헤드(10)와 너트(7a)를 체결하는 경우, 고무패킹이 정위치에 삽입되지 않고 비틀어진 형상으로 장착되어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상기 공보에 기재된 일체형 연결헤드의 구조에 있어서는 연결헤드(10)와 나사부(11)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연결헤드(10)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소모가 크고, 또한 연결헤드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공정에 있어서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배관 구멍이 비교적 좁게 형성되므로, 연결 헤드의 단조를 위한 작업시 금형의 마모가 심하고, 금형내에 형성된 코어(core)의 형상이 변형되므로 이러한 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연결헤드는 불량률이 높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일체형 연결헤드의 구조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1)이 연결헤드(10)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므로서, 이 나사부(11)에 대응하는 길이 만큼 구조체의 부피가 크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이 넓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동과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결헤드는 그 단조를 위한 가열공정에서 온도가 높으면 단조후 금속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므로 크랙이 가거나, 기포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헤드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또한 단조 작업시 헤드부 내의 공간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배관의 밀폐를 위한 고무패킹 부재의 장착이 용이하여 공기조화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열교환 파이프와 연결 배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연결헤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헤드부 41 : 너트부
42 : 연결배관 43 : 금속 원형링
44 : 볼트부 45 : 6각형 두부
46 : 고무패킹 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다수의 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실외기의 연결배관을 결합하는 헤드부, 상기 연결배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헤드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시 누수를 방지하는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배관을 결합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너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너트부 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부재와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의 원주방향에 마련된 원형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의 원형 링측에 마련된 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를 상기 너트부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무패킹부재가 상기 너트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서 동과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봉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 상기 절단 공정에서 절단된 소재를 가열하는 공정, 상기 가열 공정에서 가열된 소재를 금형내에 삽입하여 다단의 압연 가공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헤드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헤드부를 상기 금형에서 분리하고 그 외부의 형상을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부 공간의 입구측에 너트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너트부와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연결 배관이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의 외경이 너트부의 내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은상기 소재를 750∼790℃의 열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너트부 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부재를 마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를 상기 너트부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무패킹부재가 상기 너트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40)은 실내기의 다수의 열교환 파이프와 실외기의 연결배관을 결합하는 헤드부이고, (41)은 실외기의 연결배관(42)을 결합하는 측에 있어서 헤드부(40)의 내측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너트부이다. 이 헤드부(40)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14), 헤드부(4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공(13) 및 열교환 파이프(2)의 끝단이 헤드부(4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는 도 3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해도 좋다.
또, (43)은 연결 배관(42)의 일단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금속제의 원형 링이고, (44)는 연결 배관(42)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볼트부이며, (45)는 볼트부(44)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형상이 6각형으로 이루어진 두부이다. 즉, 볼트부(44)와 6각형의 두부(45)는 헤드부(40)와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형성한다.
(46)은 헤드부(40)의 너트부(41) 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부재이며, 이 고무패킹부재(46)와 금속 원형링(43)에 의해 연결배관(42)과 헤드부(40)의 결합시 누수를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에 있어서는 볼트부(44)를 너트부(41)에 체결하기 전에 고무패킹부재(46)가 너트부(41)내에 삽입되며, 헤드부(40)의 내부 공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킹부재(46)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공간의 입구가 고무패킹부재(46)의 외주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의 볼트부(44)가 너트부(41)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 헤드부(40)와 연결배관(42)의 결합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연결 배관(42)의 일단에 마련된 금속 원형링(43)이 헤드부(40)의 너트부(4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무패킹부재(46)와 당접하는 구조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6(a)는 헤드부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체결부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헤드부(40)의 제조 방법을 도 6(a)에 따라 설명한다.
동과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봉재를 원형의 톱날로 형성된 커팅기로 도 4에 도시된 헤드부(40)의 길이만큼 절단 가공하여 소재를 준비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준비된 소재를 소재와 연료가 직접 접촉하는 직접식 가열로 또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간접식 가열로에 투입하여 750∼790℃의 열로 가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온도를 종래의 800∼1000℃보다 낮은 온도로 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0)내에 너트부(41)을 형성하므로서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보다 적은 소재의 재료를 사용하고, 또한 너트부(41)의 입구의 직경이 종래의 너트부 보다 충분히 크므로 헤드부(40)을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된 소재를 열간 단조용 프레스(Press)를 이용한 다단의 압연가공으로서 헤드부(40)의 외형을 제조한다.
이러한 단조공정은 1차, 2차 등 다단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열간 단조에 의해 가공되는 소재는 너트부(41)측이 개구되고 그 맞은편이 폐쇄되는 대략 원통형의 헤드부(40)로 형성된다. 또, 헤드부(40)의 상단의 중앙 부분에는 헤드부(40)를 열교환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브래킷(14)가 일체로 돌출되는 형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 비해 너트부(41)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측의 직경이 넓으므로, 단조 공정에 있어서 상부금형의 코어의 마모가 적고, 코어가 휘어지지 않게 되어 양질의 헤드부(4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수명이 연장되어 헤드부(41)의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게된다.
다음에 단조 공정에서 형성된 헤드부(40)을 금형에서 분리하여 트리밍(trimming) 공정을 실행한다. 이 트리밍 공정에서는 프레스 가공에서 생산된 헤드부(40)의 불필요한 테두리나 핀(fin) 등을 잘라내거나 따내서 제품을 깨끗하게 정형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그후 트리밍 공정에 의해 헤드부(40)의 전체적인 외형이 완성되면, 헤드부(40)의 외표면에 쇼트가공 및 도금가공을 실시하며, 이러한 쇼트 및 도금가공은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게 된다.
다음에 헤드부(40)의 너트부(41)의 내주에 따라 나사 형상을 가공함과 동시에 고정 브래킷(14)에 결착공을 천공하고 그의 내경을 나사 형상으로 가공하며, 헤드부(40)의 전, 후면에는 별도로 제작된 에어밸브가 체결 고정되는 체결공(13) 및 이의 내경을 나사 형상으로 가공한다.
고정 브래킷(14)의 가공 및 체결공(13)의 가공은 헤드부(40)를 다른 부품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실행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4의 우측 부분에 도시된 헤드부(40)이 완성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헤드부(40)의 폐쇄면측에 동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열교환 파이프(2)의 끝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을 천공함과 동시에 이 체결공에 열교환 파이프(2)의 끝단을 삽입 체결하여 용접한다. 이 용접공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하여도 관계없다.
다음에,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 6(b)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헤드부(40)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동과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 봉재를 원형의 톱날로 형성된 커팅기로 도 4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길이만큼 절단 가공하여 소재를 준비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준비된 소재를 소재와 연료가 직접 접촉하는 직접식 가열로 또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간접식 가열로에 투입하여 750∼790℃의 열로 가열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된 소재를 프레스(Press)를 이용한 다단의 압연가공으로서 볼트부(44)와 두부(45)의 외형을 제조한다.
이러한 단조공정은 다단의 공정으로 제조하며, 또 볼트부(44)의 외경이 너트부(41)의 내경과 일치하고, 볼트부(44)와 두부(45)의 관통구멍의 내경이 연결 배관(42)의 외경보다 다소 크지만 금속 원형링(43)의 외경보다는 크지 않게 형성한다.
다음에 단조 공정에서 형성된 체결부재를 금형에서 분리하여 트리밍 공정, 쇼트가공 및 도금가공을 실행한다.
다음에 볼트부(44)의 외주를 헤드부(40)의 너트부(41)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 형상과 맞물리게 나사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볼트부(44)와 두부(45)로 이루어진 체결부재가 완성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헤드부(40)와 체결부재의 조립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연결배관(42)에 있어서 금속 원형링(43)이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체결부재의 관통 구멍을 통해 체결부재를 연결배관(42)에 삽입한다.
다음에 별도로 마련된 고무패킹부재(46)를 헤드부(4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너트부(41)의 내부에 삽입하고, 너트부(41)과 볼트부(4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가 완성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부(45)의 형상을 6각형의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두부(45)의 형상을 8각형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헤드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절감하고, 단조 작업시 금형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되는 배관 구조체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조를 위한 가열공정에서 가열온도를 낮출 수 있어 단조 후 금속내부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며,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배관 작업시 연결배관의 밀폐를 위한 고무패킹 부재의 장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6)

  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다수의 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실외기의 연결 배관을 결합하는 헤드부,
    상기 연결 배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 배관을 상기 헤드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시 누수를 방지하는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 배관을 결합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너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너트부 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부재와 상기 연결 배관의 일단의 원주방향에 마련된 원형 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의 원형 링 측에 마련된 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를 상기 너트부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무패킹부재가 상기 너트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서 동과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봉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 상기 절단 공정에서 절단된 소재를 가열하는 공정, 상기 가열 공정에서 가열된 소재를 금형내에 삽입하여 다단의 압연 가공으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헤드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헤드부를 상기 금형에서 분리하고 그 외부의 형상을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부 공간의 입구측에 너트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너트부와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연결 배관이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의 외경이 너트부의 내경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은 상기 소재를 750∼790℃의 열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너트부 내에 삽입되는 고무패킹부재를 마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를 상기 너트부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무패킹부재가 상기 너트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020080970A 2002-12-18 2002-12-18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54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970A KR20040054165A (ko) 2002-12-18 2002-12-18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970A KR20040054165A (ko) 2002-12-18 2002-12-18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02U Division KR200307397Y1 (ko) 2002-12-18 2002-12-18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165A true KR20040054165A (ko) 2004-06-25

Family

ID=3734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970A KR20040054165A (ko) 2002-12-18 2002-12-18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41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99B1 (ko) * 2005-03-17 2006-11-24 임영순 소방용 연결소켓
KR100803774B1 (ko) * 2007-04-03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설치배관
KR20160003859U (ko) 2015-04-29 2016-11-09 송세운 발가락 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99B1 (ko) * 2005-03-17 2006-11-24 임영순 소방용 연결소켓
KR100803774B1 (ko) * 2007-04-03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설치배관
KR20160003859U (ko) 2015-04-29 2016-11-09 송세운 발가락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2632C (zh) 复合管及其生产方法
CN104011470B (zh) 制冷装置的室外单元
JP2001033121A (ja) 受液器一体型熱交換器、および受液器
KR20040082571A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
KR20040054165A (ko)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7397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US2835114A (en) Refrigeration apparatus
KR200394121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CN1255614A (zh) 电冰箱
KR100667692B1 (ko) 냉동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그 제조방법
JPH09210509A (ja) アキュムレータ
KR100558819B1 (ko) 열교환기의 리턴벤드 결합방법
KR100306789B1 (ko) 공조기용 열교환기의 일체형 연결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2025A (ko) 열교환기용 입출구 파이프의 고정구조
CN214083762U (zh) 汽车空调同轴管总成及汽车
KR100406046B1 (ko) 냉방능력이 향상된 에어컨
KR102013499B1 (ko) 여과기를 에어컨 배관에 설치하는 방법
KR200233866Y1 (ko) 공기조화기의팽창밸브
KR20110014353A (ko) 에어컨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와 냉매파이프의 결합구조
KR200208440Y1 (ko) 공기조화기
KR20080017582A (ko) 공기조화기의 분지관
KR100237700B1 (ko) 응축기
KR200184060Y1 (ko) 공기조화기의 모세관 구조
KR200215384Y1 (ko) 자동차 에어콘용 응축기
KR20010084586A (ko) 핀-관형 열교환기용 전열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