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599B1 - 소방용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소방용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599B1
KR100648599B1 KR1020050022352A KR20050022352A KR100648599B1 KR 100648599 B1 KR100648599 B1 KR 100648599B1 KR 1020050022352 A KR1020050022352 A KR 1020050022352A KR 20050022352 A KR20050022352 A KR 20050022352A KR 100648599 B1 KR100648599 B1 KR 10064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connection
hos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420A (ko
Inventor
임영순
Original Assignee
임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순 filed Critical 임영순
Priority to KR102005002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5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방재 시설 및 내부시설에 사용되는 배관에 연결되는 소켓을 얻기 위한 것인 바,
연결소켓본체와; 일측면에 파이프 또는 연결체에 체결 장착되도록 일측면에는 테이퍼진 면으로 나사산을 구성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외측면의 지름이 작은 구조로 형성하여 두께를 구성하여 연결호스와 결합시 맞닿는 부분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구성함으로서,
건축물의 내부에 설계되는 소화방제시스템 및 연결관에 적용되는 연결용 소켓으로 일측면에는 관, 저수통, 공급통, 연결관 등에 직접 연결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장착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서의 연결시 연결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효과가 있으며, 또 연결소켓의 제조시 주성분을 아연합금강으로 구성되며, 진동 또는 체결이 느슨해져 연결부위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안전 와이어 결합구가 형성되어 소화액, 유체, 기체가 누설되거나 연결부위가 빠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소화액, 연결호스, 소켓

Description

소방용 연결소켓{Connection a tube of fire-fight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소방용 연결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용 연결소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소방용 연결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소방용 연결소켓을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소방용 연결소켓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0 : 각형구조 20 : 구멍
30 : 체결너트 40 : 호스
50 : 와이어 80 : 고정구
90 : 브라켓 100 : 스크류
110 : 호스체결구 120 : 고무패킹
200 : 연결소켓본체
본 발명은 소방용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방재 시설 및 내부시설에 사용되는 배관에 연결되는 소켓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의 발달로 좀 더 높이를 추구하면서 초고층화 빌딩이 늘어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종래의 소화액 공급관에 여러개로 나누어지도록 다지관으로 구성하여 연결관을 통하여 배선되어 최종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도록 배열되었다.
소화연결관은 고압으로 공급되는 소화액의 진행방향과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공급관의 설치에 있어서, 연결관의 위치 또는 구성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짧은 거리 또는 다른 연결파이프와의 연결용 소켓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의 일측면에는 테이퍼진 나사산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연결호스와 결합되도록 평나사산을 형성한 소방용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면에는 연결호스 또는 플렉시블 호스를 구성하여 연결되도록 하되 단턱을 구성하여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와 밀폐되도록 구성한 소방용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재질로 다이케스팅하여 제 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용 연결소켓은 연결소켓본체와 일측면에 파이프 또는 연결체에 체결 장착되도록 일측면에는 테이퍼진 면으로 나사산을 구성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외측면의 지름이 작은 구조로 형성하여 두께를 구성하여 연결호스와 결합시 맞닿는 부분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또 연결소켓본체는 외측면에 각형 구조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또 연결소켓본체는 측면에 안전와이어가 장착되도록 안전 구멍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를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소방용 연결소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방용 연결소켓은 파이프 또는 배수통, 관 등에 연결시에 일측에는 밀폐와 동시에 결합 체결되도록 테이퍼진 상태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60)로 구성되에 체결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연결용 호스를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이 가능한 연결용 소켓을 요지로 하고 있는 것으로 연결소켓본체(200)와; 일측면에 파이프 또는 연결체에 체결 장착되도록 일측면에는 테이퍼진 면으로 나사산을 구성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외측면의 지름이 작은 구조(나사산이 없는부분)로 구성하여 연결호스(40)와 결합시 맞닿는 부분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소켓본체(200)의 일측면에는 연결관, 저수통, 관의 측면 등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밀폐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테이퍼(180)진 형태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60)이고, 다른 일측면에는 연결호스(40)가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위치와 방향을 설정한 상태에서 연결호스(40)의 체결너트(30)를 조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 호스(40)의 체결너트(30)는 호스의 체결구(110)가 연결소켓본체(200)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없는 끼움부(170)가 형성되고, 끼움부이후 부터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70)의 전방내측으로 삽입되고, 호스체결구(110)의 턱부분이 연결소켓의 끼움부(160)에 접촉되도록 하되 접촉면적을 넓게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호스의 체결너트(30)에는 고무패킹(120)이 내장되어 체결시에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용 연결소켓의 양측면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테이퍼진 구조로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60)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는 연결호스와 결합이 되도록 전방의 일부분에는 외부지름(160)도 작게 형성되며 외측면에 나사산이 없는 끼움부(170)가 형성되고, 끼움부이후 부터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70)로 구성하여 연결호스의 체결너트(30)가 결합시 쉽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은 외주면에 각형구조(10)를 형성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거나 공구를 끼워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이 있거나 호스의 체결너트(30)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체결너트(30)와 연결소켓본체(200)의 일측면에 안전 와이어(50)의 구멍(20)을 구성하여 와이어(50)로 서로 연결하여 체결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외부에 의한 충격 및 진동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아서 안전하게 소화액을 공급할 수 있는 연결소켓을 구성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계시에 벽면에 고정하거나 천정에 고정시에 특별한 시설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브라켓(90) 등을 스크류(100)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8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연결소켓본체는 Zn: 95.602~96.065중량%, Al:3.9~4.3중량%, Mg:0.03~0.06중량%, Fe:0.001~0.005중량%, Pb:0.001~0.003중량%, Cu:0.001~0.02 중량%, Cd:0.001~0.005중량% 및 Sn: 0.001~0.005중량%로 함유하여 다이케스팅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용 연결소켓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계되는 소화방제시스템 및 연결관에 적용되는 연결용 소켓으로 일측면에는 관, 저수통, 공급통, 연결관 등에 직접 연결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서의 연결시 연결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효과가 있다.
또 연결소켓의 제조시 주성분을 아연합금강으로 구성되며, 진동 또는 체결이 느슨해져 연결부위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안전 와이어 결합구가 형성되어 소화액이 누설되거나 연결부위가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파이프 또는 연결체에 체결 장착되도록 연결소켓본체의 일측면에는 테이퍼진 면에 나사산을 구성하고, 다른 일측면에는 외측면의 지름이 작은 구조로 나사산이 없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이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호스와 결합시 맞닿는 부분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구성한 연결소켓본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본체는 그 재질이 Zn: 95.602~96.065 중량%, Al: 3.9~4.3 중량%, Mg: 0.03~0.06중량%, Fe: 0.001~0.005중량%, Pb: 0.001~0.003중량%, Cu: 0.001~0.02 중량%, Cd: 0.001~0.005중량% 및 Sn: 0.001~0.005중량%의 재로 형성되며, 연결소켓본체의 측면에 안전 와이어가 장착되도록 안전 구멍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소켓.
KR1020050022352A 2005-03-17 2005-03-17 소방용 연결소켓 KR10064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352A KR100648599B1 (ko) 2005-03-17 2005-03-17 소방용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352A KR100648599B1 (ko) 2005-03-17 2005-03-17 소방용 연결소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73U Division KR200394036Y1 (ko) 2005-03-17 2005-03-17 소방용 연결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20A KR20050052420A (ko) 2005-06-02
KR100648599B1 true KR100648599B1 (ko) 2006-11-24

Family

ID=3724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352A KR100648599B1 (ko) 2005-03-17 2005-03-17 소방용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22Y1 (ko) * 2017-09-22 2019-05-20 조경희 농업용 물통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631A (ko) * 1983-06-30 1985-02-28 죤 알. 프로니 단일 클램프 작용 피팅
JPH1137361A (ja) * 1997-07-16 1999-02-12 Uetsukusu:Kk 管接手
KR20040054165A (ko) * 2002-12-18 2004-06-25 최선열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631A (ko) * 1983-06-30 1985-02-28 죤 알. 프로니 단일 클램프 작용 피팅
JPH1137361A (ja) * 1997-07-16 1999-02-12 Uetsukusu:Kk 管接手
KR20040054165A (ko) * 2002-12-18 2004-06-25 최선열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20A (ko)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502B1 (en) Firestop collar means with improved mounting means
US5803508A (en) Wall-attached plumbing connector
WO2017217479A1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JP3225421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KR20070016668A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0648599B1 (ko) 소방용 연결소켓
US8757672B2 (en) Pipe fitting with a solvent cement barrier
US20190162348A1 (en) Pipe coupling module
KR200394036Y1 (ko) 소방용 연결소켓
KR200447360Y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의 배관 연결구
JP6733096B2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及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5794853A (en) Institutional sprinkler head nipple
JPH06170008A (ja) 消火スプリンクラー配管構造
KR011717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KR101171949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KR20170025150A (ko) 관 이음쇠
KR200382708Y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JP2008011869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継手の構造
KR20070049269A (ko) 급수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간편하게 연결 할수 있는리듀싱 커플링
JPH076911Y2 (ja) 消化設備用配管構造
US20240042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rinkler systems with flexible hose and rapid seal adapter
KR20220022311A (ko) 소방 배관 연결구
KR200282224Y1 (ko) 앵글 가지관을 가진 스프링클러헤드 접속배관용삼방티(“t”)
KR20050052415A (ko) 소방용 스프링클러의 연결장치
JPH0535158U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