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11A - 소방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소방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311A
KR20220022311A KR1020200103336A KR20200103336A KR20220022311A KR 20220022311 A KR20220022311 A KR 20220022311A KR 1020200103336 A KR1020200103336 A KR 1020200103336A KR 20200103336 A KR20200103336 A KR 20200103336A KR 20220022311 A KR20220022311 A KR 20220022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diameter
pipe connector
fir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to KR102020010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311A/ko
Publication of KR2022002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03Adhesiv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의 도포가 과잉된 경우에도 접촉부 외부로 접착제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배관이 삽입되며, 배관의 외경과 측면의 일부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는 환형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외경을 형성하는 외경부와 상기 외경부에서 연장되어 연장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공간에는 상기 결합부에 배관이 삽입되는 경우 과잉 도포된 접착제가 적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 배관 연결구{Firefighting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소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PVC 재질의 소방 배관을 연결하는 CPVC 재질의 소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소화 작동을 하는 소방용 장치이다. 상기한 스프링클러 장치는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제3354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 내에 설치되는 주 배관에서 분지된 다수 개의 분지관에 스프링클러 헤드가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발명에서 주 배관과 배관 연결체 등을 금속 재질을 적용한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근래 개발된 CPVC(염소화 PVC, Chlorinated Polyvinyl Chlolide)는 PVC를 개량한 열가소성 수지로 자기소화성이 있어 화재 발생 시 불이 붙지 않으며 또한 내부식성과 낮은 열전도율 그리고 친환경성 특성이 있어, 건물용 소방배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CPVC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691021호에는 신축되는 신축부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일단에 고정되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관체의 일단이 사출금형에 끼움된 상태에서 사출성형되는 인서트 사출성형 공법을 통해 성형되되; 상기 소켓과 접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에는, 밀폐링이 결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소방용 배관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780894호에는, 방화수가 유입되는 CPVC 재질의 주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가 장착되는 레듀사엘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 배관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가해지는 응력을 상쇄하며 일단부에는 환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외향 확장된 격벽부가 형성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레듀사엘보와 신축관을 체결시키는 플레어너트; 상기 격벽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신축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관을 체결시키는 CPVC 재질의 소켓부; 상기 격벽부의 일측에 밀착된 형태로 상기 신축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부와 신축관 사이를 밀폐하는 제1패킹; 및 상기 격벽부의 타측에 밀착된 형태로 상기 신축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부와 신축관 사이를 밀폐하는 제2패킹;을 포함하는 신축배관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근래 건물의 소방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구는 모두 CPVC 재질을 이용하는 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이때 배관과 연결구의 결합은 통상 본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연결구 내면에 삽입되는 배관의 표면과 상기 연결구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배관을 연결구에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이때 적절한 접착제가 도포된 경우에는 연결구와 배관의 접촉부에만 접착제가 위치하나, 그 양이 많은 경우에는 접착제가 도포부 외부로 흘러 배관 또는 연결구 표면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관과 연결구 사이의 본딩 시 발생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착제의 도포가 과잉된 경우에도 접촉부 외부로 접착제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배관이 삽입되며, 배관의 외경과 측면의 일부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는 환형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외경을 형성하는 외경부와 상기 외경부에서 연장되어 연장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공간에는 상기 결합부에 배관이 삽입되는 경우 과잉 도포된 접착제가 적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두께를 형성하는 연장측면부;
상기 연장부의 내경 부분에 형성되는 연장내경부; 및 상기 연장내경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공간은 상기 연장내경부와 상기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배관의 외경부와 접촉하는 내경부; 상기 내경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배관의 측면부와 접촉하는 접촉면부; 및 상기 내경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는 접촉내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경부와 상기 접촉면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배관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1.5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측면부의 폭은 1.5mm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면부의 폭은 1.5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면부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경부 입구측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는 삽입되는 배관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끝단에 배관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연장형성되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과도하게 도포된 접착제가 배관의 삽입에 따라 연결구 바깥쪽으로 배출되더라도 상기 연장부과 배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체되어 외부로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가 작용되는 소방 배관의 일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의 일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의 다른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의 결합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와 배관의 결합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4의 길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방용 배관(2)에 적용되는 구성으로, CPVC 재질의 배관(1)을 분기하고, 서로 수직으로 두 배관(1)을 연결하고, 두개의 배관(1)을 일직선으로 연결하고 또는 배관(1)의 일끝단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위한 구성으로 배관(1)과 동일한 CPVC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배관(1)을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고, 두개의 결합부(20)를 갖는 엘보(11)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20)는 배관(1)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배관(1) 결합시 결합구(20)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배관(1)의 일부 외면과 본딩되어 배관(1)과 결합구(10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통상의 엘보(11)는 동일한 직경의 배관(1)이 각각의 결합부(20)에 결합하는 형태이나, 필요한 경우 다른 직경의 배관(1)이 결합되는 이경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보(11)는 수직으로 결합하는 것이 기본이나, 필요한 경우 다른 교차 각도(60도, 45도 등)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100)는 수직으로 별도의 배관(1)이 분기되고, 3개의 결합부(20)를 갖는 티(12)를 포함한다.
상기 티(12)는 3개의 배관(1) 모두 동일한 직경인 정티와 분기 배관(1)의 직경만 다른 이경티, 그리고 모든 배관(1)의 직경이 다른 삼경티로 구분되며, 결합부(20)는 배관(1)의 직경에 관계없이 3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100)는 2개의 배관(1)을 일직선으로 연결하고 2개의 결합부(20)를 갖는 소켓(13)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13)은 동일한 직경의 배관(1)을 연결하는 정 소켓과 다른 직경의 배관(1)을 연결하는 이경 소켓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100)의 배관(1)의 끝단을 밀폐하고 하나의 결합부(20)를 갖는 캡(14)을 포함한다.
상기 캡(14)은 단일 배관(1)에 결합하는 것으로 배관(1)의 직경별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된 금속부(3)를 포함하는 밸브 소켓(15), 나사가 형성된 금속부(3)를 포함하는 급수전 엘보(16), 나사가 형성된 금속부(3)를 포함하는 급수전 소켓(17), 나사가 형성된 금속부(3)를 포함하는 급수전 티(18) 및 플랜지(19) 등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가 형성된 금속부(3)는 금속 배관 또는 수전구 등과 연결을 위한 구성이며, 상기 금속부(3)를 제외하고는 CPVC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19)는 결합되는 배관(1)의 연결구성을 위한 것으로 단일 결합부(2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나,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부(21), 연장부(22), 연장측면부(23), 연장내경부(24), 측면부(25), 내경부(26), 접촉면부(27) 및 접촉내경부(28)을 포함한다.
상기 외경부(21)는 연결구(100)의 외경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상기 연장부(22)는 외경부(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환형의 측벽이다.
또한 상기 연장측면부(23)는 측벽 두께를 나타내는 부분이며, 측면부(25)는 연결구(100)의 측면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내경부(26)는 배관(1)의 외경부가 접촉하는 부분이며, 상기 접촉면부(27)는 배관(1)의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내경부(28)는 상기 접촉면부(27) 형성을 위한 구성이다.
한편, 배관(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부(26)에 배관(1)의 외경부가 접촉하고, 접촉면부(27)에는 배관(1)의 측면부가 접촉한다.
또한 접착제는 내경부(26)와 접촉면부(27)에 걸쳐서 도포되며, 따라서 상기 내경부(26)와 접촉면부(27)가 배관(1)과 본딩된다.
이때 과하게 도포된 접착제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내경부(24)와 측면부(25)와 배관(1) 외면 사이의 형성되는 연장공간(5)에 적체된다. 물론 상기 접착제는 적절한 점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장공간(5)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연장공간(5)을 넘어 배관(1)의 외면으로 넘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촉면부(17)의 폭 역시 배관(1)과 결합부(20)의 결합력을 결정하는 요소이므로, 적절한 크기의 선정이 필요하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100)는 배관(1)의 직경이 25mm 내지100mm 사이인 제품에 적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결합부(20) 중, 상기 연장부(22)의 길이를 a, 연장측면부(23)의 폭을 t 그리고 접촉면부(27)의 폭을 b라 할 경우, 먼저 상기 a는 1.5mm 내지 5mm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a가 1.5mm 미만인 경우에는 과잉 접착제가 적체되는 연장공간(5)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접착제 적체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고, 상기 a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 배관(1) 결합 시 연장부(22)와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연장부(22)가 비교적 긴 길이의 외팔보 형태이므로 강도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부적절하다.
또한 상기 t는 1.5mm 내지 3mm가 바람직하다. 상기 t가 1.5mm 미만인 경우에는 연장부(22)의 강도가 약해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로 연장공간(5)의 부피가 줄어들어 불리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b는 1.5mm 내지 3mm가 바람직하다. 상기 b가 1.5mm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접착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고,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관(1) 내경과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부적절하다.
한편, 상기 결합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부(27)에 홈(4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41)은 접착제의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여 과잉 접착제 오염을 일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측면부(25)에도 홈(4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42) 역시 접착제가 적체될 수 있는 연장공간(5)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내경부(26)의 입구측에는 모따기(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따기(43)는 배관(1)의 결합을 용이하게 안내하고, 또한 배관(1) 표면에 과잉 도포된 접착제를 균일하게 긁어내어 상기 연장공간(5)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배관 연결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배관 2: 소방용 배관
3: 금속부 5: 연장공간
11: 엘보 12: 티
13: 소켓 14: 캡
15: 밸브 소켓 16: 급수전 엘보
17: 급수전 소켁 18: 금수전 티
19: 플랜지 20: 결합부
21: 외경부 22: 연장부
23: 연장측면부 24: 연장내경부
25: 측면부 26: 내경부
27: 접촉면부 28: 접촉내경부
41: 홈 42: 홈
43: 모따기 100: 소방 배관 연결구

Claims (11)

  1. 다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배관이 삽입되며, 배관의 외경과 측면의 일부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는 환형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외경을 형성하는 외경부와 상기 외경부에서 연장되어 연장공간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공간에는 상기 결합부에 배관이 삽입되는 경우 과잉 도포된 접착제가 적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두께를 형성하는 연장측면부;
    상기 연장부의 내경 부분에 형성되는 연장내경부; 및
    상기 연장내경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공간은 상기 연장내경부와 상기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배관의 외경부와 접촉하는 내경부;
    상기 내경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배관의 측면부와 접촉하는 접촉면부; 및
    상기 내경부의 일끝단에 형성되는 접촉내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경부와 상기 접촉면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배관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1.5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장측면부의 폭은 1.5mm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부의 폭은 1.5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부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경부 입구측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배관 연결구.
KR1020200103336A 2020-08-18 2020-08-18 소방 배관 연결구 KR20220022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36A KR20220022311A (ko) 2020-08-18 2020-08-18 소방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36A KR20220022311A (ko) 2020-08-18 2020-08-18 소방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11A true KR20220022311A (ko) 2022-02-25

Family

ID=8049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36A KR20220022311A (ko) 2020-08-18 2020-08-18 소방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3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6950A (en) Corrosion resistant pipe joint
US11002397B2 (en) Pipe coupling module
US8931571B2 (en) Fire sprinkler extension and head adaptor
JP4819579B2 (ja) 継手への二重管の接続構造
CA2712760C (en) Pipe fitting with a solvent cement barrier
JP3682666B2 (ja)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管体構造
KR20220022311A (ko) 소방 배관 연결구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CN210462069U (zh) 一种自密封燃气管接头
KR101691021B1 (ko) 소방용 배관
US1299371A (en) Pipe-coupling.
KR101716476B1 (ko) 관 이음쇠
US20070029798A1 (en) An end fitting for piping systems
JP201707728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構造
KR101797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JP3666787B2 (ja) ガスメータ接続用ライザー管継手
CN213555080U (zh) 消防水管
KR20210002784A (ko) 티조인트를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JP6936106B2 (ja) 分岐ヘッダー
KR100648599B1 (ko) 소방용 연결소켓
KR200282224Y1 (ko) 앵글 가지관을 가진 스프링클러헤드 접속배관용삼방티(“t”)
CN210440771U (zh) 一种弯道连接的防渗水式金属波纹管件
CN213839996U (zh) 一种变径弯头
CN209679365U (zh) 消防喷淋管路
CN212973976U (zh) 一种新型消防栓组件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