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22Y1 - 농업용 물통소켓 - Google Patents

농업용 물통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22Y1
KR200489222Y1 KR2020170005002U KR20170005002U KR200489222Y1 KR 200489222 Y1 KR200489222 Y1 KR 200489222Y1 KR 2020170005002 U KR2020170005002 U KR 2020170005002U KR 20170005002 U KR20170005002 U KR 20170005002U KR 200489222 Y1 KR200489222 Y1 KR 200489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cket
water
so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808U (ko
Inventor
조경희
Original Assignee
조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희 filed Critical 조경희
Priority to KR2020170005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2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통에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한 연결관의 결합하기 위하여 물통에 장치되는 소켓을 물통의 외부에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물통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측에 테이퍼돌부(11)를 가지며 외주 둘레에 수나사(13)를 형성하고 축방향으로 회전방지홈(12)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통수공(14)을 가진 조정구(1)와, 중심부에 관통공(35)을 가지며 고정구플렌지(36)의 후측에 돌출하며 외주둘레에 축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32)을 형성하며 끝에 외향돌출하는 걸림턱(31)을 가지는 확장관(37)을 형성하고 관통공(35)의 내측에 내향하는 회전방지돌부(33)를 형성하는 고정구(3)와, 고정캡플렌지(55)의 일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회전바(54)를 마련하고 중심부에 통수공(53)을 형성하며 통수공의 일부를 조정구(1)의 수나사(13)와 나사결합하는 조임암나사(51)로 형성한 고정캡(5)으로, 구성하여 조정구(1)의 회전방지홈(12)의 내측으로 고정구(3)의 회전방지돌부(33)가 투입되게 조정구(1)의 수나사(13)를 관통공(35)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끝이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여 고정구(3)가 조정구(1)의 수나사(13)외주 및 회전방지홈(12)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게 결합하고 관통하여 돌출된 수나사(13)에 고정캡(5)의 조임암나사(51)를 결합하여서 되는 물통소켓(A)을 구성하고 고정구플렌지(36)의 양측에 패킹홈(34)을 패킹(2)을 개입시키고 테이퍼돌부(11) 및 확장관(37)을 물통(6)의 조립공(61) 내측으로 투입하고 고정캡(5)을 조임하여 물통(6)과 물통소켓(A)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물통의 외부에서 물통소켓을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인력을 줄이고 신속하게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물통소켓{Agricultural water pail sockets}
본 고안은 농업용 물통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통에 급수또는 배수를 위한 연결관을 결합하기 위하여 물통에 장치되는 소켓을 물통의 외부에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물통소켓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근래에는 유리온실 및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양액재배 등 시설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물과 함께 작물용 약재나 액비와 같은 영양성분을 급수시에 혼합하여 작물에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물을 저장하여 급수하고 약재 및 양액 등을 혼합하기 위하여 농업용 물통을 사용하게 되며 농업용 물통은 급수 및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물통소켓이 장치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농업용 물통은 급수 및 배수위치에 구멍을 뚫어서 소켓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소켓은 물통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플랜지를 가진 암,수나사결합형 소켓을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물통의 내측과 외측에서 플랜지가 물통의 구멍 외측에 밀착 조임되어 소켓이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에 소켓을 조립시에는 물통의 내측으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소켓의 수나사부재를 투입하여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물통의 외측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암나사부재를 수나사부재와 결합하여 조임하므로서 소켓을 물통에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통소켓 결합방법을 개선하여 근래에는 한 사람의 작업자가 물통에 소켓을 결합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물통에 소켓을 결합하는 구성의 일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314051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0314051호는 물통에 소켓을 결합시에 소켓의 수나사부재가 암나사부재와 나사결합하여 조임시에 수나사부재가 암나사부재를 따라 회전하므로서 체결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안한 것이며 이는 물통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작업자가 수나사부재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통의 외부에서 수나사부재와 암나사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소켓을 구성하는 수나사부재에 고정용각부를 형성하여 물통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물통의 외측에서 암나사부재를 결합시에 고정용각부를 잡고 암나사부재를 회전하여 수나사부재와 암나사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나사부재와 암나사부재가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두사람의 작업자가 필요없이 한사람의 작업자가 물통의 내부에서 수나사부재를 밀어 넣은 후, 물통의 외부에서 고정용 각부를 이용하여 암나사부재를 결합하여 고정하므로 물통의 내측에서 수나사부재를 잡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인력을 줄이면서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물통에 소켓을 결합하는 방식 또한 작업자가 물통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수나사부재를 물통의 구멍에 끼워넣고 물통의 외부에서 조임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물통의 내,외측을 오가며 소켓을 결합하여야 하여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1405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물통에 물통소켓을 결합시에 작업자가 물통의 외측에서 소켓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물통에 소켓형성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우수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농업용 물통소켓을 제안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측 중심부에 통수공을 가지며 외주에 축방향으로 회전방지홈과 외주둘레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후측에 테이퍼돌부를 가진 조정구와,
상기 조정구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전,후진 이송하고 후측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외주둘레가 확장 및 축소되는 걸림턱을 가진 고정구와,
고정구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조정구의 수나사에 결합하며 수나사의 나사결합하여 조정구와 결합하는 고정캡으로 구성되며 고정구의 양면에는 패킹을 개입시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은 고정구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수나사에 나사결합하여 고정캡의 회전에 의해 고정캡과 나사결합된 조정구가 당겨지게 되어 조정구의 테이퍼돌부가 고정구의 관통공 내측으로 투입되므로 걸림턱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물통에 형성되는 연결용 구멍의 둘레에 걸림턱이 걸려 물통에 물통소켓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물통의 외부에서 물통소켓을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인력을 줄이고 신속하게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물통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조정구의 테이퍼돌부와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의 (가)와 (나)는 물통에 물통소켓의 결합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물통소켓과 물통의 결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에 본 고안의 주요구성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후측에 테이퍼돌부(11)를 가지는 조정구(1)와, 조정구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가 이송되는 고정구(3), 및 조정구(1)와 나사결합하여 조임하므로서 고정구(3)를 축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조정구(1)를 당겨주는 고정캡(5)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구(1)는 후측에 테이퍼돌부(11)를 가지며 외주 둘레에 수나사(13)를 형성하고 축방향으로 회전방지홈(12)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통수공(1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3)는 중심부에 관통공(35)을 가지며 고정구플렌지(36)의 후측에 돌출하며 외주둘레에 축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32)을 형성하며 끝에 외향돌출하는 걸림턱(31)을 가지는 확장관(37)을 형성하고 관통공(35)의 내측에 내향하는 회전방지돌부(3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캡(5)은 고정캡플렌지(55)의 일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회전바(54)를 마련하고 중심부에 통수공(53)을 형성하되, 통수공의 일부를 조정구(1)의 수나사(13)와 나사결합하는 조임암나사(51)로 형성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조정구(1)의 회전방지홈(12)의 내측으로 고정구(3)의 회전방지돌부(33)가 투입되게 조정구(1)의 수나사(13)를 관통공(35)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끝이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여 고정구(3)가 조정구(1)의 수나사(13)외주 및 회전방지홈(12)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게 결합하고 관통하여 돌출된 수나사(13)에 고정캡(5)의 조임암나사(51)를 결합하므로서 본 고안의 물통소켓(A)이 조립된다.
한편 본 고안은 누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구플렌지(36)의 양면에 패킹홈(34)을 형성하여 패킹(2) 또는 오링(4)을 개입시켜 조립한다.
이상과 같이되는 본 고안의 물통소켓과 물통의 결합실시예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도5의 (가)에서와 같이 물통(6)의 물통소켓결합부에 조립공(61)을 형성하고 조정구(1)의 테이퍼돌부(11)가 고정구(3)의 확장관(37) 내측으로 투입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하여 테이퍼돌부(11) 및 확장관(37)을 물통(6)의 조립공(61) 내측으로 투입하고 고정캡(5)을 조임하면 도5의 (나)에서와 같이 조정구(1)의 테이퍼돌부(11)가 고정캡(5)의 나사조임에 의해 고정구(3)의 확장관(37)내로 투입되어 확장관(37)은 테이퍼돌부(11)에 의해 절개홈(32)이 벌어지며 외경이 확대되고 확장관(37)의 끝에 외향돌출하는 걸림턱(31)이 물통(6)의 내측에서 물통(6)의 조립공(61)보다 확대되어 물통(6)과 물통소켓(A)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본 고안은 패킹(2) 및 오링(4)을 물통(6)과 고정구(3) 사이 및 고정구(3)와 조임캡(5)사이에 개입시켜 결합하므로서 물통(6)과 고정구(3)사이 및 고정구(3)와 고정캡(5)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물통에 연결되는 배관(미도시)은 도4에서와 같이 고정캡(5)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조정구(1)의 수나사(13)와 결합하여 배관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관경을 가진 배관과 결합하기 위하여서는 도 6에서와 같이 고정캡(5)의 외측둘레에 배관고정용 결합나사(52)를 형성할 수도 있다.
1 : 조정구 11 : 테이퍼돌부
12 : 회전방지홈 13 : 수나사
14 : 통수공 2 : 패킹
21 : 통공 3 : 고정구
31 : 걸림턱 32 : 절개홈
33 : 회전방지돌부 34 : 패킹홈
35 : 관통공 36 : 고정구플렌지
37 : 확장관 4 : 오링
5 : 고정캡 51 : 조임암나사
52 : 결합나사 53 : 통수공
54 : 회전바 55 : 고정캡플렌지

Claims (2)

  1. 후측에 테이퍼돌부(11)를 가지며 외주 둘레에 수나사(13)를 형성하고 축방향으로 회전방지홈(12)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통수공(14)을 가진 조정구(1)와,
    중심부에 관통공(35)을 가지며 고정구플렌지(36)의 후측에 돌출하며 외주둘레에 축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32)을 형성하며 끝에 외향돌출하는 걸림턱(31)을 가지는 확장관(37)을 형성하고 관통공(35)의 내측에 내향하는 회전방지돌부(33)를 형성하는 고정구(3),와
    고정캡플렌지(55)의 일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회전바(54)를 마련하고 중심부에 통수공(53)을 형성하며 통수공의 일부를 조정구(1)의 수나사(13)와 나사결합하는 조임암나사(51)로 형성한 고정캡(5)으로, 구성하여 조정구(1)의 회전방지홈(12)의 내측으로 고정구(3)의 회전방지돌부(33)가 투입되게 조정구(1)의 수나사(13)를 관통공(35)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끝이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여 고정구(3)가 조정구(1)의 수나사(13)외주 및 회전방지홈(12)을 따라 좌,우로 이송되게 결합하고 관통하여 돌출된 수나사(13)에 고정캡(5)의 조임암나사(51)를 결합하여서 되는 물통소켓(A)을 구성하고 고정구플렌지(36)의 양측에 패킹홈(34)을 형성하여 패킹(2)을 개입시키고 테이퍼돌부(11) 및 확장관(37)을 물통(6)의 조립공(61) 내측으로 투입하고 고정캡(5)을 조임하여 물통(6)과 물통소켓(A)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물통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캡(5)의 외측둘레에 배관고정용 결합나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물통소켓.
KR2020170005002U 2017-09-22 2017-09-22 농업용 물통소켓 KR200489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02U KR200489222Y1 (ko) 2017-09-22 2017-09-22 농업용 물통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02U KR200489222Y1 (ko) 2017-09-22 2017-09-22 농업용 물통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08U KR20190000808U (ko) 2019-04-01
KR200489222Y1 true KR200489222Y1 (ko) 2019-05-20

Family

ID=6610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02U KR200489222Y1 (ko) 2017-09-22 2017-09-22 농업용 물통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739A (ja) 1998-06-03 2000-11-21 Inax Corp 浴槽用通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14051Y1 (ko) 2003-03-03 2003-05-22 권각수 물탱크용 연결관
KR101626968B1 (ko) 2015-07-30 2016-06-02 고득출 파이프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217U (ko) * 1975-07-15 1977-02-24
KR100314051B1 (ko) 1999-07-23 2001-11-17 이익재 치과용 핸드피스의 모터를 구성하는 회전자 코일권취방법
US6692036B2 (en) * 2000-08-04 2004-02-1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Universal interlocking fitting
KR100520108B1 (ko) * 2002-08-20 2005-10-11 (주)혜원전기 냉·온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KR100648599B1 (ko) * 2005-03-17 2006-11-24 임영순 소방용 연결소켓
KR20090033543A (ko) * 2007-10-01 2009-04-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공급관 연결장치
KR20110123980A (ko) * 2010-05-10 2011-11-16 김대현 슬리브의 배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739A (ja) 1998-06-03 2000-11-21 Inax Corp 浴槽用通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14051Y1 (ko) 2003-03-03 2003-05-22 권각수 물탱크용 연결관
KR101626968B1 (ko) 2015-07-30 2016-06-02 고득출 파이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08U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909B2 (en) Shower arm attachment assembly
KR101952517B1 (ko) 물안개 분무 장치
US20090294554A1 (en) Wrenchless manifold
KR200489222Y1 (ko) 농업용 물통소켓
KR101742264B1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US20190336989A1 (en) Low-flow emitter
US5595212A (en) Wall mount inlet stop system
KR102323543B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10167632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20070000842U (ko) 파이프 분기용 조인트
KR200282125Y1 (ko) 농업용 급수관 분기구
KR20190060277A (ko) 분수호스를 간편하게 삽설하기 위한 분수호스 밸브
KR200220906Y1 (ko) 연질비닐계 용수관의 분기 접속구
AU2016101409B4 (en) Water distribution fitting and assemblies
KR20170034575A (ko) 농업용 용수관 분기용 개량새들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US9781886B1 (en) Hand-securable sprinkler fitting
KR0120525Y1 (ko) 농업용 호스의 분기장치
KR102188307B1 (ko) 시공용이한 오배수용 플라스틱 사출이음관의 원터치 결합구조
KR102445590B1 (ko) 호스 꺾임 방지 및 재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꺾임 조절유닛을 구비한 농업용 점적호스밸브
KR200350791Y1 (ko) 약액분사대의 꼬임방지용 연결구
KR200227410Y1 (ko) 농업용 급수관
KR20170001002U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KR0138252Y1 (ko) 무인방제 시스템의 단속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