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963A -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 Google Patents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963A
KR20040051963A KR1020020079671A KR20020079671A KR20040051963A KR 20040051963 A KR20040051963 A KR 20040051963A KR 1020020079671 A KR1020020079671 A KR 1020020079671A KR 20020079671 A KR20020079671 A KR 20020079671A KR 20040051963 A KR20040051963 A KR 2004005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reactor
hcr
aerobic microbial
high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학
박종상
연경민
Original Assignee
(주)멤브레인워터
삼보이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멤브레인워터, 삼보이엔텍(주) filed Critical (주)멤브레인워터
Priority to KR102002007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963A/ko
Publication of KR2004005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2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42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 C02F3/1247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comprising circular tanks with elements, e.g. decanters, aeration basins, in the form of segments, crowns or s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는, 플록의 해체 및 처리수의 수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시킨 고농도 유기물의 처리장치로서, 상기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는 유도관 및 이중노즐을 포함하는 제트 순환형 반응기이고,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내에 침지되는 분리막은 반응기 중의 유도관 내부, 유도관 외부 또는 탈기조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중공사형태의 정밀여과막 또는 중공사형태의 한외여과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중공사막 세공크기는 0.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Membrane coupled High-performance Compact Reactor System}
본 발명은 고농도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High Performance Compact Reactor; 이하 HCR) 내부에 침지형 막분리 모듈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분리막에 의하여 미생물과 처리수를 거의 완벽하게 분리하여 종래 HCR 공정에서의 플록 해체 및 이로 인한 처리수 수질 저하를 방지하고,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며, HCR의 공기방울 및 유체전단력에 의하여 분리막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막 수명 및 막세척 주기를 확장시킨,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HCR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는 호기성 생물학적 처리 공정이다. HCR은 유도관(draft tube)과 이중노즐(two-phase nozzle)을 갖는 제트 순환형(jet-loop type) 반응기로서, 그 작동원리는 가운데 관을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유입되고 바깥관으로는 유입폐수와 순환수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폐수 및 순환수의 순환은 펌프의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지만 가운데 관의 공기는 별도의 동력없이 벤츄리 이젝터(Venturi Ejector) 원리로 작용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유도관에서 폐수와 충돌하여 1차 확산되고, 다시 유도관 밖에 위치한 유로를 통해 상승하면서 2차 확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공정은 높은 혼합강도 및 강한 난류가 반응기 내에 형성되고 높은 산소전달율을 갖기때문에 매우 높은 유기물 부하에서도 운전가능한 장점이 있다.
HCR의 향상된 성능을 갖는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들 수 있다. 첫째, 이중 노즐에서 분출되는 제트 수류에 의해 유도관 안쪽에서는 강한 난류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강한 난류로 인해서 반응기 내에서 순환되는 공기방울이 매우 미세하게 분쇄된다. 둘째, 이중 노즐에서 발생된 제트 수류에 의해 반응기 내에서 순환되는 미생물 플록도 매우 작은 입자로 분쇄된다. 미세하게 분쇄된 공기방울과 작은 입자로 분산된 미생물 플록은 표면의 면적이 증가되어 산소 전달율과 기질(substrate)의 흡수가 향상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HCR은 높은 유기물부하에서 폐수 처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Vogelpohl A., Wastewater treatment by the HCR process ,Acta Biotechnol., 20 (2000) 119-128 ; Yenkie M.K.N., Geissen .S.U and Vogelpohl. (1992) A, Biokinetics of wastewater treatment in the high performance compact reactor(HCR),The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9, B1-B12 ; Naundorf E.A., Subramanian .D, Rabiger.N and Vogelpohl.A. (1985)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in the compact reactor,Chem.Eng.Process, 19, pp.229-23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CR은 반응기내에 다량의 공기방울을 함유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반응기 내부에 강한 난류가 존재하게 된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HCR의 고유한 특징인 공기방울과 강한 난류는 분리막의 오염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다(Um M., Yoon S.H., Lee C.H., Chung K.Y., Kim J.J. (2001) Flux enhancement with gas injection in crossflow ultrafiltration of oily wastewater,Wat.Res., 35(17), 4095-4101 ; Ueda T., Hata K., Kikuoka Y. andSeino O. (1997) Effects of aeration on suction pressure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Wat. Res., 31(3), 489-494).
HCR로 처리한 후에는 처리수와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침전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HCR과 침전조가 결합된 시스템에서는 플록의 해체가 종종 발생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분리막(Membrane)은 분자크기에 따라 물질을 분리하는 도구로서, 분리막을 공정상에 이용하였을 경우에 에너지 소비가 적고, 상변화와 고온처리 등이 수반되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환경처리와 많은 화학공업의 분리공정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히 있는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막분리는 분리막이 가진 미세공의 형태 및 크기와 막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그리고 막분리 대상물질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압력, 농도 그리고 전위차 등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 분리막의 종류에는 역삼투막, 나노여과막, 한외여과막, 정밀여과막, 이온교환막, 기체분리막, 투과증발막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막의 수명은 막오염(fouling) 현상으로 단축되게 된다. 따라서,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분리막의 표면을 세척하거나, 분리막 세공으로의 역세척(backwashing)을 통해 플럭스를 복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세척은 여과수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여과수에 산, 알카리 또는 무기 및 유기세제의 제제의 세척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HCR 내부에 침지형 막분리 모듈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미생물과 처리수를 거의 완벽하게 분리하고, 또한 HCR 내부에 존재하는,대기로부터 자연적으로 흡입된 공기방울 및 유체의 흐름에 의한 높은 전단력으로 분리막의 오염을 감소시켜, 두 여과 방식의 단점은 최소화하고, 고유의 장점은 극대화시킨 새로운 고농도 유기물의 처리 공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HCR) 내부에 침지형 막분리 모듈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분리막에 의하여 미생물과 처리수를 거의 완벽하게 분리하여 종래 HCR 공정에서의 플록 해체 및 이로 인한 처리수 수질 저하를 방지하고,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며, HCR의 공기방울 및 유체전단력에 의하여 분리막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막 수명 및 막세척 주기를 확장시킨,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MHCR)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의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중노즐 부근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서, 각기 다른 위치에 분리막을 배치한 후, 그 오염속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의 구조와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외부에 기존의 침지형 막분리 모듈을 단순 결합시킨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와 도 4의 기존의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외부에 기존의 침지형 막분리 모듈을 단순 결합시킨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는, 플록의 해체 및 처리수의 수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시킨 고농도 유기물의 처리장치로서, 상기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는 유도관 및 이중노즐을 포함하는 제트 순환형 반응기이고,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내에 침지되는 분리막은 반응기 중의 유도관 내부, 유도관 외부 또는 탈기조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중공사형태의 정밀여과막 또는 중공사형태의 한외여과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중공사막 세공크기는 0.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MHCR)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CR 및 침지형 막분리 시스템의 두가지 시스템을 결합한 혼성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두 시스템의 단순 조합이 아니라, 최적의 시스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침지형 분리막을 HCR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침지시킴으로써 긴밀하게 결합된 것이다.
HCR은 실린더 형태의 반응기 안쪽에 실린더 형태의 유도관이 중심축이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응기 내의 활성슬러지 용액(mixed liquor)은 순환펌프를 통하여 반응기 내부를 연속적으로 순환한다. 순환펌프를 통과한 활성슬러지 용액은 반응기 상부에 설치된 이중 노즐을 통과하여 반응기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이중 노즐에서 토출되는 활성슬러지 용액의 평균 토출 유속은 작게는 6 m/sec에서 높게는 16 m/sec에 이른다. 이렇게 이중노즐에서 빠른 속도로 분출된 활성슬러지 액체로 인하여 이중 노즐 안쪽에 있는 공기관을 통해서 대기중에 있는 공기가 자연적으로 반응기 내부로 흡입되어 들어오면서, 반응기 내부의 유도관 상부에 강한 난류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서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침지된 분리막으로부터 처리수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흡입하여 빼낸다.
분리막으로부터 처리수를 흡인할 때, 투과유속은 5 ∼ 50 L/m2/hr 인 것이 적합하다.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내에서, 침지형 분리막은 유도관 내부, 유도관 외부, 탈기조 등의 3곳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중노즐로부터 자연적으로 유입된 공기방울은 유도관 내부와 유도관 외부에 동시에 존재하게 되며, 탈기조에는 공기방울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방울에 의한 막표면의 세척 효과(scouring effect)를 고려하면 탈기조는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가 된다. 또한, 평균 유속의 크기를 보면, 유도관 내부는 난류흐름이 가장 크며, 탈기조가 가장 작다. 따라서, 공기방울에 의한 분리막 표면의 막오염 완화 측면 및 난류에 의한 막오염 완화 측면에서 볼 때, 유도관 내부에 침지형 분리막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유도관 내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침지되는 분리막의 종류에는 하우징이 없는 중공사형태의 분리막이 적합하다. 중공사의 직경은 0.1mm ~ 5 mm , 중공사막의 종류로는 한외여과막 및 정밀여과막 모두 사용가능하다.
정밀여과막의 기공은 0.1㎛ ~ 10㎛ 정도의 범위를 가지며 주로 탁질 제거와제균 목적으로 사용된다. 정밀여과막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설폰, 세라믹 등이 사용된다.
한외여과막은 반투막을 이용하여 용액 내의 물질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이때 사용되는 한외여과막은 선택성을 지닌 장벽(Barrier)역할을 하며 10∼ 1000Å 정도의 구멍 크기를 지닌 구조로 되어 있어 설탕, 생체분자, 콜로이드 입자 및 고분자 등의 300∼500,000 달톤(dalton) 정도의 분자량을 지닌 물질을 배제시키고, 반면에 적은 분자량 물질은 자유로이 투과가 가능하며, 소재로는 폴리설폰,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공사형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세공은 0.001 ㎛ ~ 0.5 ㎛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서, 운전은 연속 흡인 운전 또는 흡인과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적인 흡인 운전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제공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의 설명을 고찰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최적의 분리막 침지위치의 선정>
본 실시예에서는 HCR과 침지형 막모듈을 결합한 혼성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반응기의 부피는 6.0 L였다. 분리막은 친수성 폴리에틸렌 재질의 정밀여과막으로 기공크기가 0.1㎛이며, 중공사 외경은 410㎛, 분리막의 유효막 면적이 0.025 m2인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에는 인입수의 COD 농도가 3000 mg/L인 합성폐수를 사용하였다. 반응기의 HRT(유체 체류 시간)는 16.2 hrs, 용적부하량은 4.0 ~ 4.3 kg COD/m3/d 의 조건에서 반응기 내의 혼합액 현탁고형물(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SS)은 6100±800 mg/L 로 유지되었다. 반응기의 온도는 실험기간 중 25~ 30 ℃ 로 유지되었으며 HCR의 순환 펌프를 통한 순환 유속은 10 ~ 12 L/min으로 유지하였다.
시료 폐수의 인입 유량이 0.36 L/hr인 조건하에서 분리막 모듈의 단위면적당 유출수의 유속이 15 L/㎡/hr(유량 = 0.375 L/hr)이 되도록 정량펌프를 작동시키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간 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 △Pt)을 측정하고, 유출수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이때 HCR 반응기 탈기조 상부에 수위 센서를 부착하여, 반응기의 수위가 기준치보다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투과수를 반응기로 되돌려서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따라서 유출되는 유량은 폐수의 인입 유량과 동일하게 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간 차압은 증가한다. 막간 차압의 증가 속도는 막의 오염 속도와 일치한다. 운전방법은 연속흡인 방법을 채택하였다.
MHCR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분리막 침지위치를 찾고자 하였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분리막은 HCR내에서 유도관 내부(도 1에서a로 표시된 부분), 유도관 외부(도 1에서 b로 표시된 부분), 탈기조(도 1에서 c로 표시된 부분)에 각각 침지시킬 수 있다.
탈기조에는 공기방울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반면, HCR 반응기 내의 유도관내부와 유도관 외부에는 순환유속의 크기에 따라 반응기 총 부피의 0.008 ~ 0.10 분율의 공기방울이 존재한다. 이와 더불어 유도관 내부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단면적이 가장 적기 때문에 가장 큰 유체속도를 갖는다. 유도관 내부와 외부에는 공기 방울에 의한 막표면의 세척효과가 있기 때문에 탈기조에 비해서는 막의 오염 속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더군다나, 유도관 내부에서는 가장 큰 유체의 속도에 의해 가장 큰 값의 유체 전단력을 갖는다. 따라서, 유도관 내부에서 가장 우수한 분리막의 성능이 나타내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MHCR을 운전하여 분리막 차압의 변화를 관찰하여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은 MHCR에서 분리막의 침지 위치에 따른 분리막의 오염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 가지 경우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간 차압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오염 물질이 분리막의 표면에 달라붙어 케이크 층을 형성하여 분리막의 오염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막간 차압의 증가는 막의 오염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막간 차압의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막의 오염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험을 통하여 탈기조에 침지된 분리막은 오염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서 유도관 내부에 분리막을 침지시킨 경우에는 가장 긴 운전 시간, 즉 가장 적은 막 오염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도관 내부가 가장 높은 평균유속을 갖기 때문이다.
<실험예 1 : MHCR 및 HCR의 비교>
분리막을 HCR의 유도관 내부, 유도관 외부, 탈기조 등 각각의 세 곳에 침지시킨 경우 COD 제거율은 99.1~99.3%(19~24 mg/L COD)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종래 HCR의 COD 제거율은 94.0~96.7%(98~181 mg/L COD)로 나타났다. 즉, HCR보다 MHCR이 처리효율이 4.1배 내지 9.5배 증가하였다.
<실험예 2 : MHCR 및 MBR의 비교>
본 발명에 의한 MHCR과 기존의 전통적인 침지형 분리막 생물반응기(Membrane fouling in membrane bioreactor: MBR)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MHCR의 향상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순환 유속이 10 L/min으로 가동되고 있는 HCR에서 활성슬러지를 연속적으로 빼내어 HCR 외부에 추가로 설치된 외부생물반응조(side stream MBR tank, 반응기 부피: 3.6 L)로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0.1 L/min의 유속으로 공급시키고 동시에 또 다른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외부반응기로부터 활성슬러지를 빼내어 다시 HCR로 동일한 유속으로 순환시켰다. 이렇게 함으로서 HCR 내부와 외부생물반응조와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동일하게 유지시켰다. 이는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 폐수는, 원수로서 COD 농도 5000 mg/L의 합성 폐수를 0.36 L/hr로 연속적으로 HCR에 공급하였다. 용존 산소의 농도는 HCR 반응기와 외부생물반응조에서 모두 7 ~ 8 mg/L로 유지되었다. MLSS는 HCR 반응기와 외부생물반응조에서 모두 5300±200 mg/L로 유지되었고, 용존유기물(soluble COD)의 농도도 95 ~ 105 mg/L로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분리막의 투과 유속은 15 L/m2/hr로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HCR 내부에 동일한 분리막을 침지하여 TMP의 상승속도를 비교하였다. 외부생물반응조에 MHCR에서 사용된 분리막과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한 분리막을 침지하여 MBR을 가동하였다.
도 5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생물반응조에서는 TMP가 30 kPa에 도달하는데 1.2시간밖에 걸리지 않은 반면에, MHCR의 경우에는 6시간이 지나도 TMP가 5 kPa 이하로 유지되었다. 이는 활성슬러지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 동일한 상태에서 비교해 볼 때, MHCR이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의 막결합형 활성슬러지 공정(외부생물반응조)보다 분리막의 오염을 완화시키는 장점이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는,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HCR) 내부에 침지형 막분리 모듈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분리막에 의하여 미생물과 처리수를 거의 완벽하게 분리하여 종래 HCR 공정에서의 플록 해체 및 이로 인한 처리수 수질 저하를 방지하고,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며, HCR의 공기방울 및 유체전단력에 의하여 분리막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막 수명 및 막세척 주기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및 침지형 분리막을결합함으로써, 종래의 전통적인 침지형 분리막을 채용하는 활성 슬러지 공정과 차별화된 새로운 형태의 고농도 유기물 처리 장치이다.

Claims (3)

  1. 플록의 해체 및 처리수의 수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에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시킨 고농도 유기물의 처리장치로서,
    상기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는 유도관 및 이중노즐을 포함하는 제트 순환형 반응기이고,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내에 침지되는 분리막은 반응기 중의 유도관 내부, 유도관 외부 또는 탈기조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중공사형태의 정밀여과막 또는 중공사형태의 한외여과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중공사막 세공크기는 0.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KR1020020079671A 2002-12-13 2002-12-13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KR20040051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71A KR20040051963A (ko) 2002-12-13 2002-12-13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71A KR20040051963A (ko) 2002-12-13 2002-12-13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63A true KR20040051963A (ko) 2004-06-19

Family

ID=3734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671A KR20040051963A (ko) 2002-12-13 2002-12-13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9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10A1 (en) * 2008-01-14 2009-07-23 Snu R&Db Foundation Method of concentrating and detecting various miocroorganisms in food by using hollow-fiber ultrafilter
WO2012020962A2 (ko) * 2010-08-11 2012-02-16 보람환경개발(주) 제트 루프 반응기를 이용한 고농도 폐수처리장치
KR20210109183A (ko) * 2020-02-27 2021-09-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 반응조 내 분리막 오염 제어를 위한 생물 반응조의 운전 방법 및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7694A (ja) * 1990-07-27 1992-03-19 Hitachi Kiden Kogyo Ltd 排水処理装置
KR980001850A (ko) * 1997-12-19 1998-03-30 이상민 폭기조 침적형 무폐색 중공사막 여과장치
JPH11128967A (ja) * 1997-10-24 1999-05-18 Ishigaki:Kk 汚水の処理装置
KR20000024239A (ko) * 2000-01-31 2000-05-06 이승열 폐수처리와 정수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10002214U (ko) * 2001-03-21 2001-08-09 정진도 고농도 폐수 처리 시스템
JP2002233738A (ja) * 2001-02-06 2002-08-2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浸漬平膜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7694A (ja) * 1990-07-27 1992-03-19 Hitachi Kiden Kogyo Ltd 排水処理装置
JPH11128967A (ja) * 1997-10-24 1999-05-18 Ishigaki:Kk 汚水の処理装置
KR980001850A (ko) * 1997-12-19 1998-03-30 이상민 폭기조 침적형 무폐색 중공사막 여과장치
KR20000024239A (ko) * 2000-01-31 2000-05-06 이승열 폐수처리와 정수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2002233738A (ja) * 2001-02-06 2002-08-2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浸漬平膜分離装置
KR20010002214U (ko) * 2001-03-21 2001-08-09 정진도 고농도 폐수 처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10A1 (en) * 2008-01-14 2009-07-23 Snu R&Db Foundation Method of concentrating and detecting various miocroorganisms in food by using hollow-fiber ultrafilter
KR100951903B1 (ko) * 2008-01-14 2010-04-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사막 한외여과를 이용한 미생물 채집 및 검출방법
WO2012020962A2 (ko) * 2010-08-11 2012-02-16 보람환경개발(주) 제트 루프 반응기를 이용한 고농도 폐수처리장치
WO2012020962A3 (ko) * 2010-08-11 2012-05-10 보람환경개발(주) 제트 루프 반응기를 이용한 고농도 폐수처리장치
KR20210109183A (ko) * 2020-02-27 2021-09-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 반응조 내 분리막 오염 제어를 위한 생물 반응조의 운전 방법 및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58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employing a high rate clarifier and a membrane
Gander et al. Membrane bioreactors for use in smal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embrane materials and effluent quality
US66270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thdrawing permeate through a filter and for cleaning the filter in situ
US20130264254A1 (en) Oil-contain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5651889A (en) Sludge treatment membrane apparatus
KR100645952B1 (ko) 폐수 정화용 중공사막 여과 장치, 여과 모듈 및 그를 이용하는 물 또는 폐수 처리 방법
JPH07155758A (ja) 廃水処理装置
KR20090121833A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JP2015077530A (ja)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KR101448709B1 (ko) 막모듈, 막유니트 및 막분리장치
JP6184541B2 (ja) 汚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JP6613323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Till et al. Membrane bioreactors: wastewater treatment applications to achieve high quality effluent
US20110263009A1 (en) Method for the filtration of a bioreactor liquid from a bioreactor; cross-flow membrane module, and bioreactor membrane system
US10040030B2 (en) Filtration device having internal recirculation
JP2014000495A (ja) 汚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KR20110077177A (ko) 정삼투 현상을 이용한 저에너지형 수처리 시스템
KR100538126B1 (ko) 침지형 막분리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5797874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20040051963A (ko) 침지형 분리막을 결합한 고효율 콤팩트 호기성 미생물반응기
KR19990045939A (ko) 개선된중공사막모듈및이를사용한폐수처리방법
KR100415165B1 (ko) 공기 주입식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시스템
JP2000176255A (ja) 膜分離装置および水の分離方法
CN21245095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0679602B1 (ko) 가압 및 흡인압을 동시에 이용하는 수처리 방법 및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