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925A -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 Google Patents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925A
KR20040051925A KR1020020079622A KR20020079622A KR20040051925A KR 20040051925 A KR20040051925 A KR 20040051925A KR 1020020079622 A KR1020020079622 A KR 1020020079622A KR 20020079622 A KR20020079622 A KR 20020079622A KR 20040051925 A KR20040051925 A KR 2004005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p
hole
water purification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354B1 (ko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이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10-2002-007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3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멍(11)과 배출되는 물배출구멍(18)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정수통안착부(36)와, 정수 처리되는 수돗물이 외부 배출되도록 중앙에 배출돌기(28)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흐름유도판(27)과, 하부의 물흐름판(20)에 수돗물이 외부 둘레를 거쳐 중앙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동심원 형태의 내,외부안내격벽(22b,22a)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하부로 돌출 형성되면서 그 사이에는 다수의 필터삽입공(26)이 형성된 정수통(10)과, 상기 정수통(10)의 필터삽입공(26)에 각각 끼움 고정되는 필터심지 (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수전구는 비타민C나 활성탄과 같이 염소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우수한 분말형태의 내용물이 수용된 정수통(10)을 수도꼭지(31)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통과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등이 상기 정수통(10)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되면서 피부에 좋은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의 물로 변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Hydrant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정수통을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타민C나 활성탄과 같이 염소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우수한 분말형태의 내용물이 수용된 정수통을 수도꼭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통과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등이 정수통에 의해 제거되면서 피부에 좋은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의 물로 변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에는 정수장에서 살균을 위하여 투입된 염소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염소성분은 수도관을 따라 각각의 가정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 잔류염소량이 줄어들게 되지만 염소는 소량이라도 장기적으로 흡수되는 경우에는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많이 끼치게 된다.
즉, 수돗물의 잔류염소는 피부 가려움, 아토피 피부염, 피부면역력 저하 및 건성비듬과 같은 피부병을 일으키고 모발을 손상시키는 것은 물론, 인체 내에 장기적으로 축적되어 동맥경화, 혈관질환, 빈혈, 고혈압과 관련된 각종 암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특히, 물을 데워 40℃ 이상의 온수로 사용할 경우 염소성분은 약 80% 정도가 휘발성이 강한 발암물질인 기체로 변하여, 호흡기 장애나 기관지 천식 등을 악화시키게 된다.(참고문헌: Patty's "Industrial Hygine and Toxicology" vol2B,Clayton G.D.Eds(Wiley-Inderscine,New York,3rd Ed,1891)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샤워기헤드 내부에 여과장치나 비타민필터를 내장한 샤워기가 제안되었으나, 필터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고 샤워기에만 장착할 수 있었으며, 또한 샤워기에도 줄이 연결된 부분에만 장착이 가능하여 샤워기에 물이 나오는 양방향에 모두 사용할 수 없어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유속이 빠를 경우 필터들이 물 속에 함유된 잔류염소 등을 중화 또는 흡착하는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수도꼭지 일측에 비타민이나 활성탄 등이 수용되어 필터 역할을 하게 되는 다양한 정수통을 간편하게 장착 및 교환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수돗물이 통과되면서 함유된 잔류염소 등이 중화되어 자동으로 제거되면서 깨끗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물로 샤워 및목욕, 세면 등을 할 수 있는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전면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비타민공급통 하부의 물흐름판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따른 수전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방향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정수통 11 : 물유입구멍
12 : 결합부 14 : 필터심지
16 : 밀폐링 18 : 물배출구멍
20 : 물흐름판 22a,22b : 안내격벽
24a,24b : 유입통로 26 : 필터삽입공
27 : 흐름유도판 30 : 수전레버
31 : 수도꼭지 32 : 분지구가이드
33 : 분지구유입구 34 : 배수구
36 : 정수통안착부 37 : 유입가이드
38 : 배출가이드 40 : 분지구
41 : 물방향조절막 42 : 밀폐부
43 : 개방부 44 : 조절레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는 수도꼭지 일측에 요홈 형성되면서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멍과 배출되는 물배출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정수통안착부와, 상기 정수통안착부의 물배출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정수 처리되는 수돗물이 외부 배출되도록 중앙에 배출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흐름유도판과, 상기 정수통안착부에 안착 결합되면서 하부의 물흐름판에는 수돗물이 외부 둘레를 거쳐 중앙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동심원 형태의 내,외부안내격벽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이들 내,외부안내격벽 사이에는 다수의 필터삽입공이 형성된 정수통과, 상기 정수통의 필터삽입공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통과하는 수돗물을 상기 정수통 내부에 수용된 비타민C나 활성탄과 같은 내용물과 접촉시키는 필터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정수통안착부는 공급된 수돗물이 물흐름판으로 유입 및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물유입구멍과 배출구멍의 둘레 일측에 유입가이드와 배출가이드가 각각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물흐름판은 외부안내격벽을 따라 유입되는 수돗물이 필터심지를 거쳐 내부안내격벽을 통과하여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이들 내,외부안내격벽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수의 유입통로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수도꼭지는 배출구와 별도로 분기되어 샤워기가 연결되는 분지구쪽으로 조절레버의 개폐 동작을 통해 수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지구를 개폐시키는 물방향조절막이 상기 조절레버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라 공급된 수돗물이 정수통(10)의 물흐름판(20)에 설치된 필터심지(14)를 거쳐 배수구(34)로 배출되는 작동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라 수돗물을 필터심지(14)와 접촉시키는 정수통(10) 하부의 물흐름판(20)을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따라 조절레버(44)의 개폐동작에 의해 샤워기가 연결되는 분지구(40)로 물이 공급되는 작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는 비타민C나 활성탄 등의 내용물이 분말형태로 수용되면서 상기 내용물을 수돗물과 접촉시키는 필터심지(14)가 내장된 정수통(10)을 수도꼭지(31)에 간편하게 장착 및 교환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꼭지(31) 일측에 정수통안착부(36)가 형성된다.
즉, 정수통안착부(36) 위쪽에 정수통(10)의 하부구조로 물흐름판(20)과 함께 흐름유도판(27)이 설치되며, 상기 물흐름판(20)은 수돗물이 필터심지(14)를 거쳐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심지(14)가 삽입 고정되는 필터삽입공(26)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필터심지(14) 안쪽과 바깥쪽에는 서로 유입통로(24b,24a)의 방향을 달리하여 내부안내격벽(22b)과 외부안내격벽(22a)이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정수통(10)은 그 내부에 분말형태의 비타민C나 활성탄 등은 염소제거내용물이 수용되면서 수도꼭지(31)에서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이 바람직하며, 수돗물이 상기 정수통(10) 하부의 물흐름판(20)과 흐름유도판(27)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필터삽입공(26)에 끼움 고정된 필터심지(14)를 통해 상기 정수통(10)의 상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수돗물로 침투 반응되면서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및 중금속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물흐름판(20)은 수돗물과 필터심지(14)가 오랜 시간동안 접촉할 수 있게 수돗물이 외부 둘레를 거쳐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외부안내격벽(22a) 및 내부안내격벽(22b)이 동심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들 내,외부안내격벽(22b,22a)에는 수돗물이 우회할 수 있도록 해당 유입통로(24b,24b)가 각각 반대방향의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특히, 수돗물이 필터심지(14)와 반응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상기 필터심지(14)와 반응한 수돗물이 빨리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안내격벽(22a)에는 좁은 간격으로 다수개의 유입통로(24a)들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내부안내격벽(22b)에는 넓은 간격으로 한 개의 유입통로(24b)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도꼭지(31)에 요홈 형성되는 정수통안착부(36)는 정착되는 정수통(10)에 맞게 원반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수전레버(30) 쪽으로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멍(11)이 형성되면서 흐름유도판(27)이 위치하는 중앙부위에는 필터심지(14)를 거친 수돗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멍(18)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물유입구멍(11)과 물배출구멍(18)의 일측에는 각각 수돗물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유입가이드(37) 및 배출가이드(38)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흐름유도판(27)은 물흐름판(20)과 정수통안착부(36)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정수통안착부(36)의 물배출구멍(18)에 관통된 중앙부위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배출돌기(28)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돌기(28)는 상기 물흐름판(20)에 관통 형성된 내부안내격벽(22b)의 유입통로(24b)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이 상기 정수통안착부(36)의 물배출구멍(18)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정수통안착부(36)을 절개 형성시겨 물흐름판(20)과 흐름유도판(27)이 하부구조로 형성된 정수통(10)을 장착시키게 되는 본 발명의 수전구는, 상기 정수통(10)과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통안착부(36)의 내측 저부에 밀폐링(16)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정수통(10)의 외측과 상기 정수통안착부(36)의 내측에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회전 체결을 통해 일체 구조화되는데, 경우에 따라 상기 정수통안착부(36)를 수도꼭지(31)에 형성시키기 않고 상기 정수통(10)의 하부구조로 일체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전구는 도 4의 응용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도꼭지(31) 일측에, 즉 통상의 배수구(34) 옆으로 조절레버(44)의 회전조작에 의해 샤워기로 수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분지구(40)가 분기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샤워기를 상기 분지구(40)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분지구(40)를 개폐 조절시키는 조절레버(44)는 수도꼭지(31) 내부의 밀폐부(42) 및 개방부(43)로 상하 구성된 물방향조절막(41)과 연결되며, 상기 물방향조절막(41)은 외부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물방향조절막(41)의 저부로 연결되어 외부 돌출된다.
따라서 조절레버(44)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물방향조절막(41)이 하향 이동되면서 밀폐부(42)가 배수구(34)의 통로를 밀폐시켜 수돗물이 상기 배수구(34)로 흐르지 못하게 하고, 반면 상기 조절레버(44)를 시계방향으로 조작하여 밀어 올릴 경우에는 상기 물방향조절막(41)이 상향 이동되면서 개방부(43)가 상기 배수구(34)의 통로를 개방시켜 수돗물이 분지관가이드(32)를 따라 상기 배수구(34)로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전구는 비타민C나 활성탄과 같이 염소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우수한 내용물이 수용된 정수통(10)이 수도꼭지(31) 일측의 정수통안착부(36)에 회전 체결을 통해 일체 구조화되며, 수전레버(40)의 개방 동작에 따라 수돗물은 상기 정수통(10)의 필터심지(14)와 접촉되어 통과되면서 상기 필터심지(14)를 통해 흘러 나오는 내용물과 반응되어 인체에 유해한 염소 및 중금속이 제거되는 동시에 피부 미용에 좋은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의 물로 자연스럽게 변화되어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전구는 저장통(10)의 내용물이 소진되었을 때 별다른 곤란 없이 수도꼭지(10)에서 사용된 상기 저장통(10)만 간단하게 분리시켜 새로운 저장통(10)으로 교체하는 교환방식으로 수전구의 정수기능을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수전구는 샤워기 뿐만 아니라 세면기, 싱크대와 같은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구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정수통(10)의 잔류염소 제거능력에 대해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정수통(10)을 통과하면서 정수 처리된 수돗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등이 중화되어 확실하게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항목 시료구분 결과치(mg/L) 시험방법
잔류염소 원수 2.0 먹는물 수질공정시험법
100L 통과후 불검출
200L 통과후 불검출
300L 통과후 불검출
* 시험조건: 환경부고시 2002-152호, 수온 : 17℃, 수압 : 1.5 kgf/㎠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에 의하면, 비타민C나 활성탄과 같이 염소 및 중금속 제거효과가 우수한 분말형태의 내용물이 수용된 정수통을 수도꼭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과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등이 정수통에 의해 중화되어 제거되면서 피부에 좋은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의 물로 변화되어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정수통을 거치게 되는 수돗물은 잔류염소가 거의 확실하게 제거될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의 세포조직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온갖 해로운 물질들도 깨끗이 씻어주므로, 샤워나 목욕 후 상쾌하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할 수 있고 피부 보습에도 좋은 효과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수도꼭지(31) 일측에 요홈 형성되면서 수돗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멍(11)과 배출되는 물배출구멍(18)이 각각 관통 형성된 정수통안착부(36)와,
    상기 정수통안착부(36)의 물배출구멍(18)에 끼움 결합되어 정수 처리되는 수돗물이 외부 배출되도록 중앙에 배출돌기(28)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흐름유도판(27)과,
    상기 정수통안착부(36)에 안착 결합되면서 하부의 물흐름판(20)에는 수돗물이 외부 둘레를 거쳐 중앙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동심원 형태의 내,외부안내격벽(22b,22a)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이들 내,외부안내격벽(22b,22a) 사이에는 다수의 필터삽입공(26)이 형성된 정수통(10)과,
    상기 정수통(10)의 필터삽입공(26)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통과하는 수돗물을 상기 정수통(10) 내부에 수용된 비타민C나 활성탄과 같은 내용물과 접촉시키는 필터심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안착부(36)는 공급된 수돗물이 물흐름판(20)으로 유입 및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물유입구멍(11)과 배출구멍(18)의 둘레 일측에 유입가이드(37)와 배출가이드(38)가 각각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수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판(20)은 외부안내격벽(22a)을 따라 유입되는 수돗물이 필터심지(14)를 거쳐 내부안내격벽(22b)을 통과하여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이들 내,외부안내격벽(22b,22a)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수의 유입통로(24a,24b)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31)는 배출구(34)와 별도로 분기되어 샤워기가 연결되는 분지구(40)쪽으로 조절레버(44)의 개폐 동작을 통해 수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지구(40)를 개폐시키는 물방향조절막(41)이 상기 조절레버(44)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KR10-2002-0079622A 2002-12-13 2002-12-13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KR10047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22A KR100478354B1 (ko) 2002-12-13 2002-12-13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22A KR100478354B1 (ko) 2002-12-13 2002-12-13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25A true KR20040051925A (ko) 2004-06-19
KR100478354B1 KR100478354B1 (ko) 2005-03-28

Family

ID=3734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622A KR100478354B1 (ko) 2002-12-13 2002-12-13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852A (ko) * 2016-11-23 2018-05-31 배인선 정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586Y1 (ko) * 1988-08-31 1991-01-31 금성전선 주식회사 브레이크 프레스 (Brake Press) 의 안전장치
KR920008336B1 (ko) * 1990-10-30 1992-09-26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주행 안정화 장치
US5888381A (en) * 1997-05-16 1999-03-30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Water filter with pressure actuated flow monitor
KR19990038968U (ko) * 1998-04-01 1999-11-05 정명숙 수도 직결형 소형 정수기
JP2001288793A (ja) * 2000-04-06 2001-10-19 Takayasu Okubo 給水栓取付け形塩素除去器
JP2002239542A (ja) * 2001-02-14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ろ過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852A (ko) * 2016-11-23 2018-05-31 배인선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354B1 (ko) 200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102257584B1 (ko) 복합 다단 기능성 정수필터
KR101828567B1 (ko) 음용 및 세척수용 비타민 공급장치
KR200488426Y1 (ko) 탄산 가스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KR100478354B1 (ko)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CN101643283A (zh) 一种分体式过滤沐浴装置
KR200425311Y1 (ko) 기능성 샤워기
KR102049321B1 (ko) 정수장치
JP3796572B2 (ja) 浄水器用の切替バルブ
KR200276932Y1 (ko) 세탁수용 정수기
JP2000325249A (ja) 浄水シャワーシステム
KR20180131051A (ko) 수도 직결형 정수기
KR100396904B1 (ko) 연수기
KR200260150Y1 (ko) 수도관로 직결식 정수필터
KR200325992Y1 (ko) 여과체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20120135173A (ko)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마개 일체형 디스펜서 홀더장치
JP3901814B2 (ja) 浄水器
JPS60244386A (ja) 浄水器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JPH0988132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を具備する原水供給配管構造
KR200231557Y1 (ko) 연수기
JP2505421Y2 (ja) 浄水器用バルブ
KR20050108475A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KR200376746Y1 (ko) 직관식 정수기
JP2547274Y2 (ja) 水処理器付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