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852A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852A
KR20180057852A KR1020160156204A KR20160156204A KR20180057852A KR 20180057852 A KR20180057852 A KR 20180057852A KR 1020160156204 A KR1020160156204 A KR 1020160156204A KR 20160156204 A KR20160156204 A KR 20160156204A KR 20180057852 A KR20180057852 A KR 2018005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raw water
purified water
wat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321B1 (ko
Inventor
배인선
Original Assignee
배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선 filed Critical 배인선
Priority to KR102016015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3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시설의 수도전이나 노즐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원수의 이물질 및 불순물을 필터링 후 염소 성분과 염소 소독에 따른 화학적 성분의 제거와 인체에 좋은 기능성 성분을 첨가시키는 필터링이 가능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제1,2필터부를 모두 형성하는 제1정수장치; 몸체와 제1필터부로 형성하는 제2정수장치; 몸체와 제2필터부로 형성하는 제3정수장치; 몸체와 제1,2필터부 중 하나를 채택하고 씽크대에 연결하여 정수기 형태로 형성하는 제4정수장치; 몸체와 제1필터부를 두 개로 형성하는 제5정수장치; 보조몸체와 제2필터로 형성하는 제6정수장치를 구성하여; 세균 및 고형물,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필터링과 염소와 관련한 화학적물질제거 및 기능성 성분을 추가하는 2차필터링 작용으로 정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체에 이로운 미백과 보습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장치{Wate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사무실, 목욕탕, 스파시설, 숙박업소 등의 씽크대, 샤워기, 세면대, 화장실, 보일러, 세탁기, 재배시설, 농축산업용수의 수도전이나 노즐 구조나 형태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설치 적용과 1웨이나 2웨이 방식으로 정수가능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치는 각 가정이나 오피스텔의 욕실 또는 씽크대의 벽면까지 연결되어 있는 냉,온수관과 이들에 체결시켜 사용되는 각 수도전에 설치시켜 냉,온수관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는 수돗물이 거치도록 하여 상기 공급되는 경수성분의 수돗물을 연수성분으로 변화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수장치를 거치면서 연수성분으로 변환된 물은 냉,온수관을 통해 공급될때 함유되어 있는 경수성분이 없이 세척력을 높여줄 수 있어 피부미용의 효과와 피부질환의 예방및 세정력을 향상시켜 주게되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장치는 1개 또는 2개의 길다란 금속 또는 합성수지 통에 이온수지를 채운 후 수도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구와 연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를 갖는다. 입수구는 수도 연결관을 경유하여 상수도 또는 보일러 배관에 연결되고, 출수구는 수도꼭지나 샤워기에 연결된다. 연수할 물은 입수구를 거쳐 이온 수지 통 내부에 구비된 입수관에 주입되어 정수장치 내부에 공급하는데, 입수구에 온수와 냉수의 혼합수를 주입하여, 그 혼합수를 연수한 후 정수장치에 연결된 수도꼭지나 샤워기에 출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1개의 이온수지 통으로 된 정수장치가 사용되고, 온 수와 냉수를 별도의 이온수지 통에 주입한 후 연수하여, 별도로 연수화 된 물을 출수구에 연결된 수도꼭지 등을 통하여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이온수지 통으로 된 정수장치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장치는 물을 소독하기 위해 염소 살균 소독을 시행하면 물속에 염소의 부산물이 잔류하게 되는데 이 중 유리염소는 염소(Cl2), 차아염소산(HOCl)이나 차아염소산염(OCl- : Ca(OCl)2, NaOCl)의 형태로 사용 어느 형태나 유력한 산화제로 행동하나 부수 반응으로 급격히 자신을 소비해 버리며, 염소 요구량 이상의 염소가 가해 질 때까지 거의 살균 작용을 하지 않는 수가 많다. Cl 염소의 가수분해는 물과 반응하여 차아염소산과 수소이온, 염소이온을 만든다.
이러한, 염소는 자극적인 냄새가 있는 매우 유독한 질식성 가스이지만 살균력이 강해서 상수도 소독에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염소성분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필터기구는 물론 필터기구에 수용되는 각종 충진물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비타민C나 아황산칼슘(Calcium sulfate)이나 KDF-55 필터나 활성탄 필터 등을 적용하는 필터기구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필터기구의 충진물로서 비타민C를 적용하는 방식은 수돗물에 향기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지만 염소 성분과의 화학반응에 따른 작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고, 상기 아황산칼슘은 냉/온수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칼슘이온이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필터기구의 충진물로서 KDF-55를 적용하는 방식은 냉/온수에서의 적용가능한 특징이 있지만 수압을 떨어뜨려 저압의 가정에서는 실질적인 적용이 어렵고, 상기 활성탄 필터의 경우 내구성이 약하고 수압을 떨어뜨리므로 염소성분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비타민 겔화된 비타민의 필터의 경우 비타민의 겔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덱스트린을 사용하게 되는데, 덱스트린은 수용성이고, 겔화를 위한 필수구성요소이나, 유기물이기 때문에 부패의 우려가 있고, 물 속에 용해되었을 때 정수제 또는 수처리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원수를 이물질이나 녹, 세균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는 삼투압방식으로 이루어져 정수된 물의 배출량이 적어 원활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정수장치나 정수장치는 자체 체적이 크고 무거워 각종 수도전이나 샤워시설, 급수파이프에 정수나 연수를 위하여 직접 연결하여 설치 사용할 경우 무게나 부피에 의해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하중으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비타민필터를 적용한 정수장치는 사용할 용도에 따라 설치 장소 및 구조에 따라 별도로 제작해 적용해야 하는 범용성의 제한으로 사용상의 적용 분야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원수 또는 1차로 이물질제거나 살균 기능을 수행한 1차 정수에 대하여 염소 부산물을 제거하고 피부에 유용한 기능성분을 추가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간편하고 각종 수도전, 노즐, 샤워시설, 음용시설, 급수파이프 등에 간단히 설치가능하며, 설치 대상물에 필터의 교체기간 연장으로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개선된 정수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제20-0369428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연수기 구조) 2. 등록번호 제20-0327570호 (연수기) 3. 등록번호 제20-0375459호 (샤워기용 정수장치세트) 4. 등록번호 제20-0349004호 (수도꼭지와 샤워기 호스의 중간에 장착할 수 있는 정수기겸용 정수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능하며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필터링과 염소와 관련한 화학적 물질제거 및 기능성 성분을 추가하는 2차필터링 작용을 하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 제1,2필터부를 이용하여 1차필터링, 2차필터링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수적인 부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필터링을 통해 식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수돗물의 염소 소독시 유리잔류염소(Cl2 , HOCl, OCl-), 유리형 유효염소(Free Chlorine), 결합잔류염소(NH2Cl, NHCl2, NCl3) 등의 유해요소를 환원작용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필터부재를 분말화하여 산화 및 산패, 물성변화를 방지하며 안정화된 구조로 취급의 편리성을 지니며 점증성을 증대시켜 노출량조절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시 순환 경로를 원활히 하여 물의 배출량이나 수압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1차필터링 후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 보습 및 미백성분,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는 2차필터링하도록,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는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1차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 상기 몸체의 타 측에는 제1필터부에 의한 1차 정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며 2차 필터링 하는 제2필터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능하며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필터링과 염소와 관련한 화학적 물질제거 및 기능성 성분을 추가하는 2차필터링 작용으로 정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체에 이로운 미백과 보습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와 제1,2필터부를 이용하여 1차필터링, 2차필터링을 단독이나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수적인 부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할 수 있어 사용 용도가 다르더라고 설치형태를 변경하여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2차필터링을 통해 식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수돗물의 염소 소독시 유리잔류염소, 유리형 유효염소, 결합잔류염소 등의 인체에 대한 유해요소를 환원작용으로 제거할 수 있어 샤워나 음용시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2차필터부재를 분말화하여 산화 및 산패, 물성변화를 방지하며 안정화된 구조로 취급의 편리성을 지녀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수를 정수시 순환 경로를 원활히 하여 물의 배출량이나 수압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정수장치(100a)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정수장치(100a)를 나타낸 부분 결합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정수장치(100a)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정수장치(100b)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정수장치(100b)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정수장치(100c)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정수장치(100c)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정수장치(100d)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정수장치(100d)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정수장치(100d)에 제2필터부를 적용한 결합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4정수장치(100d)의 분해사시도 및 사용상태 결합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정수장치(100e)에 두 개의 제1필터부를 적용한 결합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정수장치(100f)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정수장치(100f)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17는 도 16의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시선 A에서 투영한 측면도,
도 18은 도 16의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시선 B에서 투영한 측면도,
도 19은 도 16의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필터캡의 내부 투영 사시도,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필터의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필터캡과 제1필터의 결합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필터캡의 내부 투영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필터의 사시도,
도 25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필터캡과 제2필터의 결합단면도,
도 26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필터의 다른 실시 예시 단면도,
도 27 내지 도 32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정수장치(100a)~제6정수장치(100f)의 정수과정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정수장치(100a)의 설치 예시 사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정수장치(100d)의 설치 예시 사진,
도 35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정수장치(100e)의 설치 예시 사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정수장치(100f)의 설치 예시 사진,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1차필터링 후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 보습 및 미백성분,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는 2차필터링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원수 및 정수의 유동과 설치를 위한 몸체(10), 원수에서 물 입자보다 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 염소 소독에 의한 부산물 및 비타민과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는 제2필터부(30)로 정수장치를 구성한다.
우선, 상기 정수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 및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몸체(10), 제1,2필터부(20)(30)를 모두 형성하는 제1정수장치(100a); 몸체(10)와 제1필터부(20)로 형성하는 제2정수장치(100b); 몸체(10)와 제2필터부(30)로 형성하는 제3정수장치(100c); 몸체(10)와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채택하고 씽크대에 연결하여 정수기 형태로 형성하는 제4정수장치(100d); 몸체(10)와 제1필터부(20)를 두 개로 형성하는 제5정수장치(100e); 보조몸체(17)와 제2필터(32)로 형성하는 제6정수장치(100f)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정수장치(100a)는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1차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제1필터부(20)에 의한 1차 정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며 2차 필터링 하는 제2필터부(3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정수장치(100a)는 몸체(10)로 유입되는 원수는 제1필터부(20)를 순환하면서 1차 필터링 후 제2필터부(30)로 유동되어 2차 필터링 후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정수장치(100b)는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를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제1필터부(2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배출하도록 폐쇄커버(4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2정수장치(100b)는 몸체(10)로 유입되는 원수는 제1필터부(20)를 순환하면서 필터링 후 폐쇄커버(40)에 의해 막힘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정수장치(100c)는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며 필터링 하는 제2필터부(30),
더불어,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제2필터부(3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배출하도록 폐쇄커버(4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3정수장치(100c)는 몸체(10)로 유입되는 원수는 제2필터부(30)를 순환하면서 필터링 후 폐쇄커버(40)에 의해 막힘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4.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정수장치(100d)는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의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1필터부(20) 또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는 제2필터부(30)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에 제1,2필터부(20)(30)가 형성된 반대편을 마감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커버(50)를 형성하는데, 상기 유입커버(50)는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가 결합되지 않은 몸체(10)의 반대편에 원수 공급관이 연결되는 연결관(51)이 형성된 유입커버(50)를 체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선택된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통해 필터링 된 정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토출콕(61)과 연결되어 정수를 배수하는 토출구(60)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유입구(11)나 배출구(14) 중 하나는 마개(15)를 체결하여 폐쇄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토출콕(61)과 토출노즐(62)이 형성된 토출몸체(63)를 형성하고, 토출구(60)는 사용 방향을 편리하게 조정하도록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다.
4-1.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4정수장치(100d)는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의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1필터부(20) 또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의 기능성분을 첨가하는 제2필터부(30)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에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가 형성된 반대편을 폐쇄하는 폐쇄커버(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선택된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을 연결구(70)를 형성하는데, 상기 연결구(70)는 원수가 유동하는 연결호스(71)의 일 끝단에 결합된 어댑터(72)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배출구(14)에 연결호스(71)의 일 끝단을 연결하여 몸체(10)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70)의 어댑터(72)는 일 예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씽크대의 수도노즐에 연결하여 정수 작업이 요구될 때 씽크대를 작동시켜 원수가 어댑터(72) -> 연결호스(71) -> 배출구(14) -> 몸체(10) -> 제1,2필터부(20)(30)에서 정수 -> 유입구(11) -> 토출몸체(63) -> 토출노즐(62)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구(70)를 이용하는 4정수장치(100d)는 일반 가정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정수기 형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씽크대 하부에서 원수를 공급받는 방식을 탈피하여 씽크대의 수도노즐에 어댑터(72)를 연결하여 번거로운 원수 공급을 위한 호스 연결 작업이 필요없는 특징이 있다.
반면,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선택된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통해 필터링 된 정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토출콕(61)과 연결되어 정수를 배수하는 토출구(60)를 형성하는데, 상기 토출구(60)는 유입구(11)에 연결되는 토출몸체(63)에 토출노즐(62)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제4정수장치(100d)는 사용 용도에 따라 필터부를 선택 구성할 수 있는 데 원수를 정수하여 음용 할 경우에는 제1필터부(20)를 적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원수를 정수하여 세안이나 미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2필터부(30)를 적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5.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정수장치(100e)는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10)의 양측에는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1차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를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제5정수장치(100e)는 몸체(10)로 유입되는 원수는 하나의 제1필터부(20)를 순환하면서 1차 필터링 후 다른 하나의 제1필터부(20)로 유동되어 2차 필터링 후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5정수장치(100e)는 몸체(10)의 양 측에 제2필터부(3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6.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정수장치(100f)는 제2필터(32)가 통 형상으로 일 끝단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된 반대 끝단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는 보조몸체(17)의 내부에 삽입 구성한다.
즉, 상기 제6정수장치(100f)는 유입구(11)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면 제2필터(32)에 의해 정수된 후 직접적으로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6정수장치(100a)(100b)(100c)(100d)(100e)(100f)를 일 예시로 사용 용도별로 구분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구분 사용 용도
제1정수장치(100a)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세탁기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에 사용 가능.
제2정수장치(100b)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보일러/씽크대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 급수시설, 음용시설, 조리용급수, 재배시설, 농축산업용수에 사용 가능.
제3정수장치(100c)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세탁기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에 사용 가능.
제4정수장치(100d) 제1필터부(20)를 적용시 :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세탁기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 급수시설, 음용시설, 조리용급수에 사용 가능.
제2필터부(30)를 적용시 :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보일러/씽크대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 급수시설에 사용 가능.
제5정수장치(100e)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보일러/씽크대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 급수시설, 음용시설, 조리용급수, 재배시설, 농축산업용수에 사용 가능.
제6정수장치(100f)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세탁기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에 사용 가능.
공통적으로, 상기 제1~4정수장치(100a)(100b)(100c)(100d)의 몸체(1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원수를 공급받도록 일 측에 형성하는 유입구(11)와 연통되어 제1필터부(20)로 원수를 유동시키는 유입통로(11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부(20)에서 1차 필터링 된 1차 정수가 유동되는 유동통로(12)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통로(12)를 따라 유동한 1차 정수가 제2필터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안내단(13)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유동안내단(13)과 연통되며 제2필터부(30)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2차 정수가 배출하는 배출통로(14a)에 연장되는 배출구(14)를 형성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몸체(10)는 부식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나 황동재질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경량화와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합성수지로 제작 후 표면과 내면 중 체결기능을 하는 일부분을 크롬도금처리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10)는 유입구(11)과 배출구(14)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유입구(11)는 설치될 대상과 나선체결이 가능하도록 너트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링(R)과 원수에 함유된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11b)을 형성한다.
반면, 상기 배출구(14)는 다양한 노즐이나 합성수지재, 금속재, 플렉시블 파이프 등이 연결되도록 외면에 수나선단이 형성된 파이프형태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양 끝단에는 제1,2필터부(20)(30)의 제1,2필터캡(21)(31)이 나선 체결을 위한 제1,2암나선단(10a)(10b)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내부는 제1,2필터부(20)(30)의 방향으로 양분하는 분할체(16)가 형성되는데 분할체(16)의 일 끝단은 유입구(11)와 연장되는 유입통로(11a)의 끝단에 밀폐링(R)이 형성된 밀착단(16a)이 형성되며, 1차 필터링이 완료된 1차 정수가 2차 필터링을 위해 유동하는 유동통로(12)가 하부에 형성되며, 분할체(16)의 타끝단은 제2필터부(30)를 설치시 유동통로(12)를 따라 유동된 1차 정수가 제2필터부재(33)로 유입되도록 유동홈(13a)이 다수개로 형성된 유동안내단(1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동홈(13a)은 유동통로(12)를 따라 유동한 1차 정수가 회전하면서 유동통로(12)로 유입되도록 동일 방향으로 경사시게 형성되어 원수나 1차 정수의 유입시 와류되어 제2필터부(30)의 회전팬(35c)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필터부(20)는 제1필터캡(21)의 내부에 위치하며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정수된 후 제1필터캡(21)으로 배출하거나, 원수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어 정수된 후 내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유입통로(11a)에 밀착하거나 유동안내단(13)에 결합되는 제1필터(22)로 구성하되, 상기 제1필터(22)는 제1필터바디(23)에 원수를 1차 정수하는 제1필터부재(24)를 구성한다.
상기 제1필터부(20)의 제1필터캡(21)은 통 형태로써 개방된 끝단에는 몸체(10)의 제1암나선단(10a)에 체결을 위한 제1수나선단(21a)의 후방으로 기밀을 위한 밀폐링(R)을 형성하며, 내면에는 제1필터부재(24)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제1가이드(21b)를 원형배치로 형성하고, 폐쇄된 외면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체결단(21c)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통로(11a)의 출구에 밀착되는 제1필터(22)의 제1필터바디(23)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외부필터부재(25)의 내부에는 입자필터부재(26)를 일정량 충진하며, 외부필터부재(25)의 일 측에는 몸체(10)의 밀착단(16a)에 밀착되며 물이 외부필터부재(25)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개의 타공홀(25a)이 중앙에 형성된 타공바디(25b)를 형성하고 타 측에는 폐쇄바디(25c)를 형성하여 제1~3정수장치(100a)(100b)(100c)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필터부재(25)는 물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양 방향 순환 통과하면서 정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안내단(13)에 끼움되는 제1필터(22)의 제1필터바디(23)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외부필터부재(25)의 내부에는 입자필터부재(26)를 일정량 충진하며, 외부필터부재(25)의 일 측에는 몸체(10)의 유동안내단(13)에 끼움되며 물이 외부필터부재(25)의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개의 타공홀(25a)이 중앙에 형성된 결합바디(25d)를 형성하고 타 측에는 폐쇄바디(25c)를 형성하여 제4정수장치(100d)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외부필터부재(25)는 나노 필터, 향균 부직포, 활성탄소섬유 등을 적층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입자필터부재(26)는 물 분자를 쪼개서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원적외선 세라믹볼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필터부(30)는 몸체(10)에 설치되는 제2필터캡(31)의 내부에 위치하며 1차 정수 유입을 위한 끝단이 몸체(10)의 유동안내단(13)에 밀착되며 내부에 1차 정수에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의 기능성분을 용해시켜 2차 정수하는 제2필터(32)로 구성한다.
상기 제2필터부(30)의 제2필터캡(31)은 통 형태로써 개방된 끝단에는 몸체(10)의 제2암나선단(10b)에 체결을 위한 제2수나선단(31a)의 후방에는 기밀을 위한 밀폐링(R)을 형성하며, 내면에는 제2필터(32)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제2가이드(21b)를 원형배치로 형성하고, 폐쇄된 외면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제2체결단(31c)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필터(32)는 제2필터부재(33)가 담겨지는 제2필터바디(34)의 입구를 폐쇄하며 공급되는 원수나 정수의 유동압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압력커버(35)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2필터바디(34)는 제2필터부재(33)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메인바디(34a)의 바닥면에는 돌기(34a')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바디(34a)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캡(34b)은 유동안내단(13)에 밀착하되 물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돌출단(34c)을 끝단에 형성하고, 측면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34d)을 다수개로 형성한다.
상기 제2필터바디(34)의 메인바디(34a) 입구를 폐쇄하며 공급되는 원수나 정수의 유동압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폐되도록 메인바디(34a) 및 바디캡(34b) 과 결합되는 압력커버(35)를 형성하는데, 상기 압력커버(35)는 바디캡(34b)과 결합되는 고정커버(35a)를 관통하는 회전축(35b)에 끼임 결합되는 회전팬(35c)이 형성된 회전커버(35d)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35b)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바디(34)의 입구를 폐쇄하는 밀폐커버(35e)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35a)와 회전커버(35d)와 밀폐커버(35e)에는 물이 유입과 용해액이 배출되는 통수홀(35f)을 일 예로 한 개로 형성하는 동시에 동일 위치에 형성한다.
즉, 상기 원수나 정수가 돌출단(34c)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유입홀(34d)을 통한 유입으로 회전팬(35c)과 함께 회전커버(35d)가 회전하면서 통수홀(35f)이 서로 일치되면서 물이 유입과 제2필터부재(33)이 용해된 용해액이 회전 와류에 의해 공급 및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커버(35d)의 회전으로 통수홀(35f)들이 일치되면 물의 유입과 용해액의 배출이 회전팬(35c)의 회전으로 이루어지도록 비타민필터(32)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제2필터바디(34)는 압력커버(35)의 하부에 원수나 정수에 제2필터부재(33)이 접촉되어 녹은 용해액이 잔류하는 잔류통(35g)을 구성하는데, 상기 잔류통(35g)은 밀폐커버(35e)의 하부측으로 메인바디(34a)의 내부에 형성되며 원수가 제2필터부재(33)와 접촉과 용해액 배출을 위한 통수홀(35f)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6정수장치(100f)의 보조몸체(17)는 제2필터부(30)를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며 소형화 형태로 이용할 경우에 이용하도록 형성하는데, 상기 보조몸체(17)에는 배출구(14)가 일체로 형성되며 유입구(11)는 배출구(14)가 형성된 반대편에 결합되는 소켓(17a)에 유입구(11)가 일체로 형성된 플런져(17b)를 결합하여 해체시 제2필터바디(34)를 교체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염소 부산물을 환원시키기 위한 환원제, 상기 환원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점증제, 상기 환원제의 효율 증대 및 보습 기능을 하는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 피부에 미백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제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를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를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 기능제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환원제는 비타민C(L-Ascorbic acid), L-Glutathione(GSH) ,L-Cysteine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점증제는 잔탄검, 한천, 셀룰로즈, 알긴산, 키토산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는 히아루론산, 폴리감마PGA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기능제는 커피폴리페놀, 비타민E, 니아신아마이드(비타민B3), 비타민A, 글루타치온, 코엔자임Q10(비타민Q), 콜라겐; 해양진주나 산호초나 해면 중 1종 이상으로 선택되는 미네랄 중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 기능제를 혼합하여 액상, 겔(gel), 분말, 입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분말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상기 정수장치 중 제1~4정수장치(100a)(100b)(100c)(100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제1,2필터부(20)(30)는 각각 제1,2필터캡(21)(31)의 내부로 제1,2필터(22)(32)로 제1,2가이드(21b)(31b)에 지지시켜며 삽입 결합한다.
이후, 상기 제1,2필터부(20)(30)는 각각 제1,2필터캡(21)(31)의 제1,2수나선단(21a)(31a)을 몸체(10)의 제1,2암나선단(10a)(10b)에 체결하면서 밀폐링(R)이 몸체(10)에 밀착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제1,2필터캡(21)(31)을 파지하여 체결하거나 제1,2체결단(21c)(31c)에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필터바디(23)는 타공바디(25b)가 형성된 경우에는 밀착단(16a)에 밀착하고, 제1필터바디(23)에 결합바디(25d)가 형성된 경우에는 유동안내단(13)에 결합하고, 제2필터바디(34)는 압력커버(35)의 끝단이 유동안내단(13)에 밀착하며 돌기(34a')는 제2필터캡(31)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4정수장치(100a)(100b)(100c)(100d)의 몸체(10) 유입구(11)를 가정/사무실/목욕탕/스파시설/숙박업소/보일러/씽크대 등의 세면대, 화장실, 샤워기, 급수시설, 음용시설, 조리용급수대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급수라인이나 세면대의 수도전, 샤워시설의 수도전 등에 연결하고, 몸체(10)의 배출구(14)에는 수도전이나 노즐, 샤워기, 정수라인 등을 연결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제1~4정수장치(100a)(100b)(100c)(100d)를 이용하여 원수를 정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수장치(100a)의 정수 순환 과정은 원수를 몸체(10)로 공급하면 유입구(11) -> 유입통로(11a)를 거쳐 -> 밀착단(16a)을 통과 -> 제1필터바디(23)의 타공바디(25b)를 통해 유입 -> 입자필터부재(26)에 접촉으로 정수 -> 외부필터부재(25)를 통과하며 정수 후 제1필터캡(21)의 내부공간을 따라 유동 -> 제1필터부(20)에 의한 1차 정수는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통해 제2필터캡(31)의 내부로 유입 -> 유동홈(13a)과 압력커버(35)의 돌출단(35c)에 의한 틈새 및 유입홀(34d)를 통해 유입되어 유동안내단(13)을 따라 유동 -> 압력커버(35)의 회전팬(35c)이 회전팬(35c)와 함께 회전 -> 회전하는 회전팬(35c)과 1차 정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유입되어 제2필터부재(33)와 접촉 -> 1차 정수가 접촉되어 제2필터부재(33)의 보습 및 미백, 기능성분이 용해되어 회전팬(35c)의 회전 와류에 의해 2차 정수가 용출 및 분산 -> 2차 정수는 유동안내단(13)을 통해 배출통로(14a)를 따라 유동 -> 배출통로(14a)를 유동한 2차 정수는 배출구(14)를 따라 수도전이나 노즐, 샤워기, 정수라인을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정수장치(100a)는 원수가 제1,2필터부(20)(30)의 제1,2필터(22)(32)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면서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와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등의 기능성분 추가한 2번에 걸친 2차 정수를 제공받는 특징이 있다.
2.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수장치(100b)의 정수 순환 과정은 원수를 몸체(10)로 공급하면 유입구(11) -> 유입통로(11a)를 거쳐 -> 밀착단(16a)을 통과 -> 제1필터바디(23)의 타공바디(25b)를 통해 유입 -> 입자필터부재(26)에 접촉으로 정수 -> 외부필터부재(25)를 통과해 정수 후 제1필터캡(21)의 내부공간을 따라 유동 -> 제1필터부(20)에 의한 1차 정수는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통해 유동 -> 1차 정수는 폐쇄커버(40)에 막혀 유동안내단(13)을 통해 배출통로(14a)를 따라 유동 -> 배출통로(14a)를 유동한 2차 정수는 배출구(14)를 따라 수도전이나 노즐, 샤워기, 정수라인을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정수장치(100b)는 원수가 제1필터부(20)의 제1필터(22)를 순환하면서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한 1차 정수를 제공받는 특징이 있다.
3.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정수장치(100c)의 정수 순환 과정은 원수를 몸체(10)로 공급하면 유입구(11) -> 유입통로(11a)를 거쳐 -> 밀착단(16a)을 통과 후 폐쇄커버(40)에 막혀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통해 제2필터캡(31)의 내부로 유동 -> 유동홈(13a)과 압력커버(35)의 돌출단(35c)에 의한 틈새 및 유입홀(34d)을 통해 유입되어 유동안내단(13)을 따라 유동 -> 압력커버(35)의 회전팬(35c)이 회전팬(35c)와 함께 회전 -> 회전하는 회전팬(35c)과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유입되어 제2필터부재(33)와 접촉 -> 원수가 접촉되어 제2필터부재(33)의 보습 및 미백, 기능성분이 용해되어 회전팬(35c)의 회전 와류에 의해 2차 정수가 용출 및 분산 -> 정수는 유동안내단(13)을 통해 배출통로(14a)를 따라 유동 -> 배출통로(14a)를 유동한 정수는 배출구(14)를 따라 수도전이나 노즐, 샤워기, 정수라인을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제3정수장치(100c)는 원수가 제2필터부(30)의 제2필터(32)를 순환하면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등의 기능성분 추가한 1차 정수를 제공받는 특징이 있다.
4.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정수장치(100d)는 씽크대에 연결하여 정수기 형태로 적용하는 것으로, 몸체(10)에 제1,2필터부(20)(3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하며 본 발명에서는 몸체(10)의 유입구(11)는 마개(15)로 폐쇄하고, 배출구(14)에는 토출몸체(63)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먼저, 몸체(10)와 제1필터부(20)를 이용하는 경우 원수의 정수 순환 과정은 유입커버(50)를 통해 유입 ->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거쳐 -> 제1필터캡(21)의 내부를 순환하는 원수가 외부필터부재(25)의 외면에서 내부로 통과 -> 입자필터부재(26)에 접촉으로 정수 -> 타공홀(25a)을 통해 배출 -> 배출통로(14a)를 따라 유동 후 배출구(14)를 통해 배출 -> 토출몸체(63)의 토출콕(61)의 개방으로 토출구(60)를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10)와 제2필터부(30)를 이용하는 경우 원수의 정수 순환 과정은 유입커버(50)를 통해 유입 ->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거쳐 ->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통해 제2필터캡(31)의 내부로 유동 -> 유동홈(13a)과 압력커버(35)의 돌출단(35c)에 의한 틈새 및 유입홀(34d)을 통해 유입되어 유동안내단(13)을 따라 유동 -> 압력커버(35)의 회전팬(35c)이 회전팬(35c)와 함께 회전 -> 회전하는 회전팬(35c)과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유입되어 제2필터부재(33)와 접촉 -> 원수가 접촉되어 제2필터부재(33)의 보습 및 미백, 기능성분이 용해되어 회전팬(35c)의 회전 와류에 의해 2차 정수가 용출 및 분산 -> 정수는 유동안내단(13)을 통해 배출통로(14a)를 따라 유동 -> 배출통로(14a)를 유동한 정수는 배출구(14)를 통해 배출 -> 토출몸체(63)의 토출콕(61)의 개방으로 토출구(60)를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4정수장치(100d)는 씽크대에 연결하여 정수기 형태로 적용하는 것으로, 사용 여건에 따라 제1,2필터부(20)(30)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1차 필터링과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등의 기능성분을 추가한 1차 정수를 제공받는 특징이 있다.
5.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정수장치(100e)는 두 개의 제1필터부(20)를 이용하는 것으로, 정수 순환 과정은 원수를 몸체(10)로 공급하면 유입구(11) -> 유입통로(11a)를 거쳐 -> 밀착단(16a)을 통과 -> 제1필터바디(23)의 타공바디(25b)를 통해 유입 -> 입자필터부재(26)에 접촉으로 정수 -> 외부필터부재(25)를 통과하며 정수 후 제1필터캡(21)의 내부를 따라 유동 -> 제1필터부(20)에 의한 1차 정수는 몸체(10)의 유동통로(12)를 통해 반대 측 제1필터캡(21)의 내부로 유동 -> 제1필터캡(21)의 내부를 순환하는 1차 정수가 외부필터부재(25)의 외면에서 내부로 통과 -> 입자필터부재(26)에 접촉으로 2차 정수 -> 2차 정수는 유동안내단(13)을 통해 배출통로(14a)를 따라 유동 -> 배출통로(14a)를 유동한 정수는 배출구(14)를 따라 수도전이나 노즐, 샤워기, 정수라인을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6.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정수장치(100f)의 정수 순환 과정은 원수를 보조몸체(17)로 공급하면 유입구(11)로 유입 -> 압력커버(35)의 회전팬(35c)이 회전팬(35c)와 함께 회전 -> 회전하는 회전팬(35c)과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유입되어 제2필터부재(33)와 접촉 -> 원수가 접촉되어 제2필터부재(33)의 보습 및 미백, 기능성분이 용해되어 회전팬(35c)의 회전 와류에 의해 2차 정수가 용출 및 분산 -> 정수는 배출구(14)를 따라 수도전이나 노즐, 샤워기, 정수라인을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제6정수장치(100f)는 원수가 제2필터부(30)의 제2필터(32)를 순환하면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등의 기능성분 추가한 정수를 제공받는 특징이 있다.
공통적으로, 상기 제1필터부(20)는 원수의 짧은 순환 시간에도 제1필터(22)를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면서 나노, 향균 기능을 갖는 외부필터부재(25)와 세라믹볼 형태의 입자필터부재(26)를 통과하면서 각종 부유물, 녹, 미세먼지, 염소, 냄새, 유기물을 제거 및 각종 미생물 및 세균, 곰팡이의 제거 및 증식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30)는 원수의 온도, 수압, 수소이온농도, 미네랄 등의 조건에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수용성 물질로 용해성이 우수하여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여 염소에 의한 각종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며, 피부를 촉촉하고 활성도 있게 유지 보호, 재생 및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6정수장치(100a)(100b)(100c)(100d)(100e)(100f)는 각각 하나를 용도처에 연결하여 단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개를 복수로 몸체(10)와 몸체(10)를 연결하여 복수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정수능력을 향상시켜 순수한 물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3 내지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6정수장치(100a)(100b)(100c)(100d)(100e)(100f)의 유입구(11)와 배출구(14)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며 가정에 설치된 세면대, 변기, 비데, 샤워기, 씽크대, 각종 수도파이프 등과 나선체결로 연결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설치를 위해 별도의 구조변경 없이 간단히 체결로 인한 사용용도에 따라 제한받지 않고 범용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6정수장치(100a)(100b)(100c)(100d)(100e)(100f)는 제1,2필터캡(21)(31)이 제1,2필터(22)(32)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교체시기를 간단하고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6정수장치(100a)(100b)(100c)(100d)(100e)(100f)는 물이 순환하면서 정수 후 배출하는 제1필터(22)는 전체 면적을 통해 원수가 투수되며 정수되어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이나 배출량을 저하시키지 않아 사용상에 불편함이 없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필터부재(33)를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원수를 정수하는 경우의 효능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2필터부재(33)의 환원제는 염소살균시 원수에 잔류하는 화학적 부산물을 제거하기 특징이 있는 것으로 각 성분의 효능은 아래와 같다.
1) 비타민C : 비타민 C는 원수를 염소를 이용하여 살균할 경우 염소의 가수분해는 물과 반응하여 반응식 Cl2 + H2O → HOCl + H+ + Cl-에 의해 차아염소산과 수소이온, 염소이온을 만든다.
이러한, 차아염소산은 다시 물의 pH에 따라 반응식 HOCl → H+ + OCl- 같이 이온화한다.
즉, 염소의 살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반응시간, 온도, pH, 염소를 소비하는 물질의 양에 좌우되며, HOCl이나 OCl-로 존재하는 비율도 달라는데 비타민 C가 HOCl이나 OCl- 환원시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2) L-글루타치온(L-Glutathione(GSH)) : 글루타치온은 약품, 오염물질, 발암물질, 방사선 등과 같은 수많은 독성물질을 접하지만 글루타치온의 효소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도록 항산화제, 해독제, 면역력 증진의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3) L-시스테인(L-Cysteine) : 물에 잘 녹으며 메탄올에 잘 용해되나 에테르에는 용해되지 않고 가루상태에서 공기 중 산소와 작용하여 L-시스틴이 되며 개량제 역할과 이미노산의 강화 및 갈변방지, 비타민 C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2. 제2필터부재(33)의 점증제는 원수의 특성이나 수압 유량에 따라 환원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데 각 성분의 효능은 아래와 같다.
1) 잔탄검 : 인체에 무해한 감귤 궤양병(Xanthomonas campestris)라는 박테리아로 발효시키며, 발효 후 시럽상태의 액체를 파스퇴르법으로 저온살균하여 박테리아를 제거하고 필터, 헹굼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생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2) 한천 : 한천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찬물에 녹지 않고 뜨거운 물에는 녹으며 적당한 점성이 요구될 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3) 셀룰로즈 : 친수성이고 맛과 냄새가 없으며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4) 알긴산 : 해초산으로써 알긴산은 식품첨가물에 이용시 점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하며, 칼슘 공급원, 유해 물질의 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
5) 키토산 : 갑각류에 많이 함유된 성분으로 항암작용과 항암치료의 부작용 개선/ 중금속,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 배설/ 숙취해소/ 호전 반응 등의 효과가 있다.
3. 제2필터부재(33)의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는 보습유지 및 피부보호와 점증제 기능을 보조하는 특징이 있으며 각 성분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1) 히아루론산 : 피부를 탄력 있게 하고 피부 손상 시에 피부 하층부의 손상을 줄여주는 역할; 중요한 콜라겐이 세포 사이로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 외부에서의 박테리아와 같은 물질의 경피를 통한 침투를 예방하여 주어 피부 감염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여 주는 역할; 피부노화방지 역할 등의 효과가 있다.
2) 폴리감마PGA : 수용성, 음이온성, 생분해성, 및 식용의 아미노산 고분자소재로 고부가가치의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식품, 환경용, 공업용 등으로 적용 범위가 매우 다양하며, 생체의 신진대사 촉진, 항산화효과, 세포벽 보호, 면역력 증진, 피부건조와 각화방지, 주름방지 및 피부 보습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는 비타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4. 제2필터부재(33)의 기능제는 피부의 노화방지나 보호, 혈액순환 개선 등특징이 있으며 각 성분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1) 커피폴리페놀 : 세포막의 산화를 억제하며 동시에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작용; 말초신경의 확장, 관혈관 확장작용 등으로 혈관 내막장애를 억제함으로써 혈류장애 및 뇌동맥경화를 개선해주는 작용; 혈관정화를 통해 어깨결림, 두통, 심장동계, 고혈압, 협심증, 건망증, 반뇨, 치매 등과 같은 당뇨병성 혈관계질병을 개선해주는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2) 비타민E : 산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 혈액의 순환을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저하; 혈소판의 이상응집을 억제함으로써 혈전의 생성을 방지;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화상의 흉터를 남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3) 니아신아마이드(비타민B3) : 펠라그라병 예방, 치료; 말초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 촉진; 멜라노사이트에서 케라티노사이트로 멜라닌의 이동을 68%까지 감소시켜 결국 깨끗한 피부 유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4) 비타민A : 비타민 A의 효능은 피부의 지방 분비와 모공의 각질 증식을 감소; 안구건조증이나 야맹증을 예방; 미각, 후각기능을 좋게 하고 자궁내막을 비롯하여 모든 상피세포 건강에 필요하며 입술이 갈라지거나 피부가 거칠어 지는 것을 막아 주고, 여드름의 악화를 예방과 눈을 보호하고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5) 글루타치온 : 글루타치온은 글루탐산, 시스테인, 글라이신의 3가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펩타이드로써, 글루타치온이 있으면 비타민C, 비타민E 작용을 증가하며 혈액 속에 돌아다니는 노폐물 활성산소 독극물 제거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하고,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을 감소시키고 멜라닌을 밝게 만들어주어 미백에 좋은 효과가 있다.
6) 코엔자임Q10(비타민Q) : 세포 성장과 유지에 관련된 에너지를 생산함과 동시에 antioxidant 역할, 즉 나쁜 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이 때문에 노화 방지 효과가 있다.
7) 콜라겐 : 세포와 세포를 단단히 해주며 혈관을 탄력 있고 부드럽게 하여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관절을 유연하게 움직이는 쿠션역할을 하는 등 우리 몸에서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8) 미네랄 : 기미 등 색소가 검게 변한 것을 희게하는 미백효과 및 피부가 윤택해지며,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노인성기미, 주근깨, 뾰루지, 여드름, 피부종기 등이 발생한 피부를 진정 및 재생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몸체 10a : 제1암나선
10b : 제2암나선 11 : 유입구
11a : 유입통로 11b : 거름망
12 : 유동통로 13 : 유동안내단
13a : 유동홈 14 : 배출구
14a : 배출통로 15 : 마개
16 : 분할체 16a : 밀착단
17 : 보조몸체 17a : 소켓
17b : 플런져 20 : 제1필터부
21 : 제1필터캡 21a : 제1수나선
21b : 제1가이드 21c : 제1체결단
22 : 제1필터 23 : 제1필터바디
24 : 제1필터부재 25 : 외피필터부재
25a : 타공홀 25b : 타공바디
25c : 폐쇄바디 26 : 입자필터부재
30 : 제2필터부 31 : 제2필터캡
31a : 제2수나선 31b : 제2가이드
31c : 제2체결단 32 : 제2필터
33 : 제2필터부재 34 : 제2필터바디
34a : 압력커버 34a' : 돌기
34b : 바디캡 34c : 돌출단
35 : 압력커버 35a : 고정커버
35b : 회전축 35c : 회전팬
35d : 회전커버 35e : 밀폐커버
35f : 통수홀 40 : 폐쇄커버
50 : 유입커버 51 : 연결관
60 : 토출구 61 : 토출콕
62 : 토출노즐 63 : 토출몸체
R : 밀폐링 100a ~100e : 제1~6정수장치

Claims (17)

  1. 정수장치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1차필터링 후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 보습 및 미백성분,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는 2차필터링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1차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제1필터부(20)에 의한 1차 정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 성분을 첨가하며 2차 필터링 하는 제2필터부(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를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제1필터부(2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배출하도록 폐쇄커버(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의 기능성분을 첨가하며 필터링 하는 제2필터부(30),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제2필터부(3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를 배출하도록 폐쇄커버(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의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1필터부(20) 또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의 기능성분을 첨가하는 제2필터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에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가 형성된 반대편을 마감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커버(5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선택된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통해 필터링 된 정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토출콕(61)과 연결되어 정수를 배수하는 토출구(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측에는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1차 필터링 하는 제1필터부(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를 공급받으며 제2필터(32)가 통 형상으로 일 끝단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된 반대 끝단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는 보조몸체(1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8. 제 2 내지 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원수를 공급받도록 일 측에 형성하는 유입구(11)와 연통되어 제1필터부(20)로 원수를 유동시키는 유입통로(11a),
    상기 제1필터부(20)에서 1차 필터링 된 1차 정수가 유동되는 유동통로(12),
    상기 유동통로(12)를 따라 유동한 1차 정수가 제2필터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안내단(13),
    상기 유동안내단(13)과 연통되며 제2필터부(30)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2차 정수가 배출하는 배출통로(14a)에 연장되는 배출구(1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20)는 몸체(10)에 설치되는 제1필터캡(21),
    상기 제1필터캡(21)의 내부에 위치하며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정수된 후 제1필터캡(21)으로 배출하거나, 원수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어 정수된 후 내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유입통로(11a)에 밀착하거나 유동안내단(13)에 결합되는 제1필터(2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30)는 몸체(10)에 설치되는 제2필터캡(31),
    상기 제2필터캡(31)의 내부에 위치하며 1차 정수 유입을 위한 끝단이 몸체(10)의 유동안내단(13)에 밀착되며 내부에 1차 정수에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의 기능성분을 용해시켜 2차 정수하는 제2필터(3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30)의 제2필터(32)는 제2필터부재(33)가 담겨지는 제2필터바디(34),
    상기 제2필터바디(34)의 입구를 폐쇄하며 공급되는 원수나 정수의 유동압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압력커버(35),
    상기 압력커버(35)의 개방으로 유입되는 원수나 정수에 제2필터부재(33)가 접촉되어 녹은 용해액을 유속에 의해 회전하면서 비산시키는 회전팬(35c)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30)는 통 형상으로 일 끝단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된 반대 끝단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는 보조몸체(17)의 내부에 제2필터(32)를 삽입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32)의 제2필터바디(34)는 압력커버(35)의 하부에 원수나 정수가 제2필터부재(33)에 접촉하여 녹은 용해액이 잔류하는 잔류통(35g)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염소 부산물을 환원시키기 위한 환원제,
    상기 환원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점증제,
    상기 환원제의 효율 증대 및 보습 기능을 하는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
    피부에 미백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제를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를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를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제2필터부재(33)는 환원제, 점증제,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 기능제를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6.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환원제는 비타민C(L-Ascorbic acid), L-글루타치온(L-Glutathione(GSH)) ,L-시스테인(L-Cysteine)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점증제는 잔탄검, 한천, 셀룰로즈, 알긴산, 키토산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캐리어 및 보조점증제는 히아루론산, 폴리감마PGA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필터부재(33)의 기능제는 커피폴리페놀, 비타민E, 니아신아마이드(비타민B3), 비타민A, 글루타치온, 코엔자임Q10(비타민Q), 콜라겐; 해양진주나 산호초나 해면 중 1종 이상으로 선택되는 미네랄 중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으며 필터링이 완료되면 정수를 배수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원수의 정수,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1필터부(20) 또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소독에 의한 화학적 부산물제거와 보습 및 미백성분 및 비타민의 기능성분을 첨가하는 제2필터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에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가 형성된 반대편을 폐쇄하는 폐쇄커버(4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는 선택된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을 연결구(7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타 측에는 선택된 제1,2필터부(20)(30) 중 하나를 통해 필터링 된 정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토출콕(61)과 연결되어 정수를 배수하는 토출구(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KR1020160156204A 2016-11-23 2016-11-23 정수장치 KR10204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04A KR102049321B1 (ko) 2016-11-23 2016-11-23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04A KR102049321B1 (ko) 2016-11-23 2016-11-23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52A true KR20180057852A (ko) 2018-05-31
KR102049321B1 KR102049321B1 (ko) 2019-11-27

Family

ID=6245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204A KR102049321B1 (ko) 2016-11-23 2016-11-23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1704A1 (en) * 2022-08-29 2024-03-06 AQVA Finland Oy Shower filter, shower mixer and fauce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570Y1 (ko) 2003-05-22 2003-09-22 주식회사 혜인교역 연수기
KR200349004Y1 (ko) 2004-02-04 2004-04-29 이병우 수도꼭지와 샤워기 호스의 중간에 장착할 수 있는 정수기겸용 연수기
KR20040051925A (ko) * 2002-12-13 2004-06-19 이영일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KR200369428Y1 (ko) 2004-08-30 2004-12-04 김재천 필터 교환이 용이한 연수기 구조
KR200375459Y1 (ko) 2004-11-26 2005-03-10 박노식 샤워기용 연수기세트
KR20110053069A (ko) * 2009-11-13 2011-05-19 씨앤에치아이앤씨(주) 물 정화장치
KR20150078053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25A (ko) * 2002-12-13 2004-06-19 이영일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KR200327570Y1 (ko) 2003-05-22 2003-09-22 주식회사 혜인교역 연수기
KR200349004Y1 (ko) 2004-02-04 2004-04-29 이병우 수도꼭지와 샤워기 호스의 중간에 장착할 수 있는 정수기겸용 연수기
KR200369428Y1 (ko) 2004-08-30 2004-12-04 김재천 필터 교환이 용이한 연수기 구조
KR200375459Y1 (ko) 2004-11-26 2005-03-10 박노식 샤워기용 연수기세트
KR20110053069A (ko) * 2009-11-13 2011-05-19 씨앤에치아이앤씨(주) 물 정화장치
KR20150078053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1704A1 (en) * 2022-08-29 2024-03-06 AQVA Finland Oy Shower filter, shower mixer and fauc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321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84B1 (ko) 복합 다단 기능성 정수필터
US11045829B2 (en) Self-sealing shower head with disinfectant
KR20090003277U (ko) 미용성분 카트리지를 갖는 샤워기
KR100790828B1 (ko) 음용 및 세정 목적의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여과장치
CA2475443C (en) Method for sterilisation and cleaning of water supply systems, in particular in swimming and bathing pool uni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same
KR20120041651A (ko) 정수기능을 갖는 샤워기
CN203440185U (zh) 一种多功能花洒
KR102544379B1 (ko) 설치케이스와 기능성필터의 성분 비접촉 제어정수필터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49321B1 (ko) 정수장치
KR101884615B1 (ko) 비타민필터 조성물 및 제조방법 및 필터
CN208494615U (zh) 一种花洒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188314B1 (ko) 자동 관믹서
CN113087209A (zh) 一种带调节口感的净水设备
JP2006116288A (ja) 炭酸含有加熱水生成方法及び装置
KR20160092692A (ko) 살균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전
KR200287579Y1 (ko) 기능성 온천수기
KR20140071834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11609540U (zh) 过滤杀菌淋浴设备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CN215403237U (zh) 一种纯水管杀菌系统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0478354B1 (ko) 정수기능을 갖는 수전구
JPS637891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