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053A -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 Google Patents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053A
KR20150078053A KR1020130167121A KR20130167121A KR20150078053A KR 20150078053 A KR20150078053 A KR 20150078053A KR 1020130167121 A KR1020130167121 A KR 1020130167121A KR 20130167121 A KR20130167121 A KR 20130167121A KR 20150078053 A KR20150078053 A KR 2015007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sterilizing
flow path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3016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053A/ko
Publication of KR2015007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바이패스시켜 세안용수로 사용하거나, 정수수를 별도의 기능성필터를 통과시켜 미용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수소환원수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
살균기능이 부여된 후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살균수를 정수수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으로 살균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분기관의 소정위치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는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 또는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multi-cosmetic treatment}
본 발명은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바이패스시켜 세안용수로 사용하거나, 정수수를 별도의 기능성필터를 통과시켜 미용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수소환원수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는 무색, 무취 상태의 냉수로서 각종 중금속과 유해물질 및 세균 등이 없고 적당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물로서, 그 물속에는 약 알칼리성의 Ca+
, Na+ 등이 함유된 생수가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의 무기질이 포함되는 음용수인 알칼리수와 비음용수인 산성수로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온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 기능과 전해 이온수기 기능을 모두 갖추어, 정수부를 통과시켜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전해조를 통과시켜 수전부로 출수되도록 구성된 이온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산성 이온수는 피부 미용이나 소독수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음료용으로서의 알칼리 이온수는 전기분해에 의한 6각 고리구조가 갖추어져 건강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 10-2004-23036호에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출원 10-2009-123550에 미용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바이패스시켜 세안용수로 사용하거나, 정수수를 별도의 기능성필터를 통과시켜 미용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수소환원수로 음용함에 따라,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능수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용도를 변경하여 기능수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수의 전기분해시 생성되는 살균력이 강한 수산화이온(OH-) 및 라디칼(잔류염소, 오존 등)의 기능에 의해 손, 얼굴 등을 세정하거나, 용존수소가 포함되어 있는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
살균기능이 부여된 후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살균수를 정수수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으로 살균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분기관의 소정위치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는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 또는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
살균기능이 부여된 후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살균수를 정수수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으로 살균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제1유로전환밸브;
상기 분기관의 상류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정수수 배출구사이의 제1관로에 설치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정수수 배출구사이의 제2관로에 설치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살균모듈으로
전기분해장치, 화학적 살균제, 오존, 자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에 설치되는 투명체의 투명창,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처리할 경우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투명창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필터는
세디먼트필터, 프리카본필터, 역삼투막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필터의 미용용필터로서 아스코르브산, 콜라겐, 베타글루칸, 아로마오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가 사용되고,
상기 기능성필터의 음용용필터로서 활성탄, 활성탄블록, 활성탄이 첨가된 멤브레인, 양전하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중공사막필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필터의 상류측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절환에 의해 유로전환시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의 내부 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유로전환밸브 및 살균모듈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음용용필터사이의 제1관로 및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미용용필터사이의 제2관로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2유로전환밸브의 절환에 의해 유로전환시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의 내부 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제1,2유로전환밸브 및 살균모듈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관로를 개방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방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는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관로를 개방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방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1관로를 개방하는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2관로를 개방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 또는 소독 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바이패스시켜 세안용수로 사용하거나, 정수수를 별도의 기능성필터를 통과시켜 미용수로 사용하거나, 또는 수소환원수로 음용함에 따라,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수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용도를 변경하여 기능수기의 기능을 극대화함에 따라 기능수기에 대한 신뢰성 및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박테리아 등을 살균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다량의 수산화이온(OH-)에 의해 살균처리한 후 세안수 등으로 활용함에 따라 피부 미용에 유익하고, 각종 피부 트러블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는,
원수공급원(10)(수도꼭지 등을 말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11);
상기 정수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정수수를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12);
살균처리된 후 관로(13)를 따라 이송되는 정수수를 정수수 배출구(14)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13)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15)으로 정수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16); 및
상기 분기관(15)의 소정위치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능성필터(17), 상기 기능성필터(17)는 정수처리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정수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 또는 정수처리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정수수의 라디칼을 제거하여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모듈(12)으로
전기분해장치, 화학적 살균제, 오존, 자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수 있다.
상기 관로(13)에 설치되는 투명체의 투명창(18), 상기 정수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처리할 경우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투명창(18)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11)는
세디먼트필터, 프리카본필터, 역삼투막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능성필터(17)의 미용용필터로서 아스코르브산, 콜라겐, 베타글루칸, 아로마오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살균수를 미용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살균모듈(12)에서 발생된 라디칼(산화제)은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제(환원제)인 아스코르브산으로 구성되는 필터를 사용하고, 피부에 유익한 수소환원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라디칼은 제거하고, 용존수소는 제거하지않고 미용수에 포함시킴에 따라 환원력을 갖는 미용수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상기 기능성필터(17)의 음용용필터로서 활성탄, 활성탄블록, 활성탄이 첨가된 멤브레인, 양전하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중공사막필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용필터는 음용시에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은 음용할 수 없음으로 인해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음용수는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된 수소가스가 다양 용존된 수소풍부수(환원수)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필터(17)의 상류측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9), 상기 체크밸브(19)는 상기 유로전환밸브(16)의 절환에 의해 유로 전환시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17)의 내부 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유로전환밸브(16) 및 살균모듈(12)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유로전환밸브(16)는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관로(13)를 개방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분기관(15)을 개방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원수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일 예로서 수돗물 등을 말함)는 정수필터(11)에 의해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 부유물 들을 여과처리한다. 이때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정수필터(11)는 세디먼트필터, 프리카본필터, 역삼투막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 중 어느 하나의 정수필터 또는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계의 정수시스템에 의해 정수처리할 수 있다. 한편 원수를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정수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가 살균기능을 갖도록 상기 살균모듈(12)에 의해 정수수를 살균처리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살균모듈(12)으로서 전기분해장치, 염소계로 대표되는 화학적 살균제, 오존, 자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에 의해 생성된 수소 양이온(H+)과 산소 음이온(O₂-)은 주위에 있는 물분자(H₂O)와 반응하여 수산기와 음이온 등 여러가지 산소계활성종 이온들을 클러스터 형태로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과산화수소는 수면 위로 증발되며, 수산기는 바이러스나 각종 세균류에 붙어 이를 제거,살균처리 하게 된다. 한편 정수수를 전기분해장치 등에 의해 살균처리하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살균모듈(12)에 의해 살균기능이 부여된 정수수는 관로(13) 및 투명창(18)을 경유하여 유로전환밸브(16)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정수수가 관로(13)에 설치된 투명창(18)을 경유할 경우 투명창(18)이 투명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살균모듈(12)(일 예로서 전기분해장치가 사용될 경우)에 의해 살균처리할 경우 발생되는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수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상기 살균모듈(12)에 의해 살균기능이 부여된 정수수는 상기 유로전환밸브(16)의 변환에 의해 정수수 배출구(14)로 바이패스되거나, 또는 상기 관로(13)에 분기접속된 분기관(15)에 설치된 기능성필터(17)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처리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정수수가 상기 유로전환밸브(16)의 변환에 의해 상기 정수수 배출구(14)로 바이패스될 경우(이때 미도시된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분기관(15)은 닫혀 있다) 정수수를 세안(洗眼)용(즉 비음료용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정수처리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정수수가 상기 유로전환밸브(16)의 변환에 의해 분기관(15)으로 이송될 경우(이때 미도시된 제1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유로전환밸브(16)와 정수수 배출구(14)사이의 관로(13)는 닫혀 있다), 상기 분기관(15)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능성필터(17)에 의해 정수수를 음용수 또는 미용수로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분기관(15)에 교체되는 기능성필터(17)로서 미용용필터를 사용할 경우 정수처리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정수수를 미용수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필터(17)로서 음용용필터를 사용할 경우 정수 및 살균처리된 정수수를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미용용필터 또는 음용용필터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필터(17)를 통과하는 미용수 또는 음용수는 상기 정수수 배출구(14)(일 예로서 파우셋이 사용될 수 있음)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는,
원수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12);
살균기능이 부여된 후 관로(13)를 따라 이송되는 살균수를 정수수 배출구(14)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13)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15)으로 살균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제1유로전환밸브(16a);
상기 분기관(15)의 상류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16b);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상기 정수수 배출구(14)사이의 제1관로(20)에 설치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17b);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상기 정수수 배출구(14)사이의 제2관로(21)에 설치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17a);를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상기 음용용필터(17b)사이의 제1관로(20) 및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상기 미용용필터(17a)사이의 제2관로(21)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9), 상기 체크밸브(19)는 상기 제1,2유로전환밸브(16a,16b)의 절환에 의해 유로전환시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17)의 내부 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제1,2유로전환밸브(16a,16b) 및 살균모듈(12)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6a)는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관로(13)를 개방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분기관(15)을 개방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는
상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1관로(20)를 개방하는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2관로(21)를 개방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기관(15)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정수수 배출구(14)사이의 제1관로(20)에 설치되는 음용용필터(17b)와,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6b)와 정수수 배출구(14)사이의 제2관로(21)에 설치되는 미용용필터(17a)를 제외한 복합 기능수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기능수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에 의하면, 상기 정수필터(11)에 의해 정수처리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가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6a)의 변환에 의해 상기 정수수 배출구(14)로 바이패스될 경우(이때 미도시된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분기관(15)은 닫혀 있다) 살균수를 세안(洗眼)용(즉 비음료용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정수처리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가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6a)의 변환에 의해 분기관(15)으로 이송될 경우(이때 미도시된 제1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1유로전환밸브(16a)와 정수수 배출구(14)사이의 관로(13)는 닫혀 있다), 분기관(15)에 설치된 제2유로전환밸브(16b)의 변환에 의해 살균수가 제1관로(20)로 이송될 경우(이때 미도시된 제4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2관로(21)는 닫혀 있다), 살균수를 제1관로(20)에 설치된 음용용필터(17b)에 의해 음용수로 변환시키게 된다.
한편, 정수처리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가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6a)의 변환에 의해 분기관(15)으로 이송될 경우, 분기관(15)에 설치된 제2유로전환밸브(16b)의 변환에 의해 살균수가 제2관로(21)로 이송될 경우(이때 미도시된 제3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1관로(20)는 닫혀 있다), 살균수를 제2관로(21)에 설치된 미용용필터(17a)에 의해 미용수로 변환시키게 된다.
10; 원수공급원
11; 정수필터
12; 살균모듈
13; 관로
14; 정수수 배출구
15; 분기관
16; 유로전환밸브
17; 기능성필터
18; 투명창
19; 체크밸브

Claims (11)

  1.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
    살균기능이 부여된 후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살균수를 정수수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으로 살균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분기관의 소정위치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능성필터, 상기 기능성필터는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 또는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2.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살균기능을 발휘하도록 살균처리하는 살균모듈;
    살균기능이 부여된 후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살균수를 정수수 배출구로 바이패스시키거나, 상기 관로에 분기접속되는 분기관으로 살균수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제1유로전환밸브;
    상기 분기관의 상류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정수수 배출구사이의 제1관로에 설치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음용수로 변환시키는 음용용필터;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정수수 배출구사이의 제2관로에 설치되고, 살균기능이 부여된 살균수를 미용수로 변환시키는 미용용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으로
    전기분해장치, 화학적 살균제, 오존, 자외선, 초음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원과 상기 살균모듈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의 하류측 관로에 설치되는 투명체의 투명창, 상기 투명창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상기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처리할 경우 발생되는 기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세디먼트필터, 프리카본필터, 역삼투막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의 미용용필터로서 아스코르브산, 콜라겐, 베타글루칸, 아로마오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가 사용되고,
    상기 기능성필터의 음용용필터로서 활성탄, 활성탄블록, 활성탄이 첨가된 멤브레인, 양전하필터, 역삼투 멤브레인, 중공사막필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필터의 상류측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절환에 의해 유로전환시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의 내부 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유로전환밸브 및 살균모듈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음용용필터사이의 제1관로 및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와 상기 미용용필터사이의 제2관로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2유로전환밸브의 절환에 의해 유로전환시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기능성필터의 내부 물질이 역류하여 상기 제1,2유로전환밸브 및 살균모듈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관로를 개방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방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는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관로를 개방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방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1관로를 개방하는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2관로를 개방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KR1020130167121A 2013-12-30 2013-12-30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KR20150078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21A KR20150078053A (ko) 2013-12-30 2013-12-30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21A KR20150078053A (ko) 2013-12-30 2013-12-30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053A true KR20150078053A (ko) 2015-07-08

Family

ID=5379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121A KR20150078053A (ko) 2013-12-30 2013-12-30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0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86B1 (ko) * 2016-03-02 2017-04-04 주식회사 케이엔텍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20180057852A (ko) * 2016-11-23 2018-05-31 배인선 정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86B1 (ko) * 2016-03-02 2017-04-04 주식회사 케이엔텍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20180057852A (ko) * 2016-11-23 2018-05-31 배인선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8130A1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0966079B1 (ko)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ATE268738T1 (de) Unter der theke befindliche wasserbehandlungsvorrichtung
JP2016501714A (ja) 水素水製造装置
KR100990497B1 (ko) 살균수 생성 기능과 정수기능을 하는 수처리 장치
US20140166498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201406356Y (zh) 一种反渗透净水机的纯净水处理系统
KR100590834B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생활용수를 활용한 이온수 시스템
KR101686131B1 (ko) 자동 살균 정수장치
CN105540761A (zh) 一种水体消毒设备及利用其进行水体消毒的方法
KR20230160221A (ko) 수처리장치
KR20150078053A (ko) 정수, 살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수기
KR101683533B1 (ko) 수소수 제조장치
CN102824109A (zh) 一种饮水机
JP2013126631A (ja) 浄水装置
RU26208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водораживания воды
JP2012101177A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JP3131357U (ja) 炭酸ガスを供給可能な循環浴装置
KR101603214B1 (ko) 정수기
JP3180399U (ja) 浄水器
KR100583407B1 (ko) 이온수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
KR20160018079A (ko)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다기능 정수기
JP4853463B2 (ja) 浴室の水改質システム
CN106430761A (zh) 车载可移动式应急综合水净化装置
KR20090013357A (ko) 전기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