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932Y1 - 세탁수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세탁수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932Y1
KR200276932Y1 KR2020020006040U KR20020006040U KR200276932Y1 KR 200276932 Y1 KR200276932 Y1 KR 200276932Y1 KR 2020020006040 U KR2020020006040 U KR 2020020006040U KR 20020006040 U KR20020006040 U KR 20020006040U KR 200276932 Y1 KR200276932 Y1 KR 200276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assembly
housing
head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녀
Original Assignee
(주)워터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캐어 filed Critical (주)워터캐어
Priority to KR2020020006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93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정화하기 위한 세탁수용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중앙에 필터지지돌기를 갖는 2개의 하우징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제1하우징조립공간을 수도꼭지와 연결시키는 제1유로, 각 하우징조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유로, 제2하우징조립공간을 세탁기와 연결시키는 제3유로를 갖는 헤더와, 각 하우징조립공간에 입구부위가 나사 결합되며 바닥에 필터지지돌기를 갖는 제1,2하우징과, 제1하우징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원통형의 1차 필터와, 저면에 제2하우징의 필터지지돌기를 삽입하는 결합홈과 제1유로슬롯을 가지며 제2하우징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케이싱, 케이싱내의 하측에 삽입되는 카본필터, 카본필터 상측에 수용되는 탄산칼슘필터, 주면에 제3유로와 연통하는 제2유로슬롯을 가지고 제2필터지지돌기를 삽입하는 결합보스를 갖는 캡으로 이루어진 2차 필터로 구성된다. 탄산칼슘필터는 탄산칼슘 알갱이들이 케이싱의 내부에 적층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은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중의 녹이나 중금속 등의 이물과 염소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세탁물의 손상과 탈색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자의 피부질환 발병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세균과 악취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탁수용 정수기{A water purifier for washing water}
본 고안은 세탁기에 공급되는 세탁수(洗濯水)를 여과하기 위한 세탁수용 정수기(water purifier for washing wat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로 사용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된 녹이나 염소, 중금속 등의 각종 불순물은 물론 세균과 악취까지 확실히 제거하여 순수(純水)상태로 정화시킴으로써 세탁수 오염으로 인한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피부질환 유발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세탁수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pulsator)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류 등의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가전장치로서, 통상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세탁수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수돗물은 하천수 등의 담수를 취수하여 약품처리를 포함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해 적절히 정화한 뒤 관로를 통해 수요자에게 공급되는 바, 수돗물에는 미량이기는 하나 지층의 광물에서 비롯된 중금속과 이송도중 노후된 관로에서 생성된 녹 등의 각종 이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담수의 약품처리에 따른 잔류염소(Cl)와 정수장 및 노후 관로로 침투한 각종 세균성 유기물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수요자에게 공급되는 수돗물은 여러 형태의 불순물들이 상당량 포함된 혼합물 상태로서, 사실상 그대로 음용(飮用)하거나 기타 생활용수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예컨대, 수돗물을 그대로 세탁수로 사용할 경우 녹 등의 이물이 의류에 흡착되어 의류를 손상시킬 뿐 아니라 세탁효율이 떨어지고, 세탁 후에도 의류에 잔존하여 각종 세균과 더불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염소는 그 물리, 화학적 특성상 살균작용과 더불어 표백 및 산화작용을 일으키므로 유색의류의 탈색을 주도할 뿐 아니라 옷감을 손상시키게 되어 세탁이 거듭될수록 의류의 상태를 크게 떨어뜨리게 되고, 특유의 악취를 발산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돗물을 여과한 뒤 세탁기로 급수하기 위한 소위 세탁용 정수기가,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1892호 및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44180호로 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91892호는, 바닥에 다수의 통수공을 갖는 케이싱의 내부에 통수공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원통형 필터를 장착하고, 케이싱의 상부캡에 수도콕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설치하며, 케이싱의 하부캡에 통수공과 연통하는 유로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공급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니플(nipple)을 구비하여,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탁기용 정수기는 단일필터로 구성되어 단순히 수돗물에 포함된 녹 등의 이물만을 제거하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녹 등의 이물에 의한 의류의 손상과 피부질환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지만, 유색의류에 치명적인 염소와 세균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염소에 의한 세탁물의 탈색과 악취 및 세균과 중금속 등에 의한 피부질환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번호 제10-0244180호는 세탁기의 냉수 공급라인상에 음극과 양극을 이온교환막으로 구획한 전해조를 설치하여 수돗물을 전기분해하고, 양극측에 전기분해시 수돗물에서 분리된 염소이온만을 배출시키기는 소수성 필터와 소수성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염소이온을 배수호수로 안내하는 배기라인을 구비하여,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중의 염소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세탁수 탈염소 장치는 수돗물로부터 유색의류의 탈색을 주도하는 염소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녹 및 중금속 등의 이물과 세균은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물에 의한 의류의 손상과 각종 피부질환의 발병은 예방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녹이나 중금속 등의 각종 이물과 염소를 확실하게 제거하여 급수함으로써 오염물질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과 탈색은 물론 착용자의 피부질환 발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세탁수용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성 유기물과 그로 인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탁수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돗물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그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여 세탁기로 급수시킴으로써 세탁효율을 높이고 세탁물의 정전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수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가 세탁기의 급수라인상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의 2차 필터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더 12, 13: 제1 및 제2하우징 조립공간
14, 15: 제1,2필터지지돌기 16, 17, 18: 제1,2,3유로
20: 제1하우징 21: 필터지지돌기
30: 제2하우징 31: 필터지지돌기
40: 1차 필터 50: 2차 필터
51: 케이싱 53: 상부캡
54: 결합보스 54a: 제2유로슬롯
55: 하부캡 55a: 제1유로슬롯
56: 결합홈 57: 카본필터
58: 탄산칼슘필터 59: 커버
70: 브래킷 C: 수도꼭지
M: 세탁기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는, 중앙에 필터지지돌기를 각각 갖는 2개의 하우징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제1하우징 조립공간을 수도꼭지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1유로와, 각 하우징 조립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2유로와, 제2하우징 조립공간을 세탁기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유로를 갖는 헤더(header); 이 헤더의 각 하우징 조립공간에 각각 입구부위가 나사 결합되며, 바닥에 헤더의 각 필터지지돌기들과 대향하도록 필터지지돌기를 갖는 용기형태의제1 및 제2하우징; 제1하우징의 내부에 그 내주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1차 필터; 저면에 제2하우징의 필터지지돌기를 삽입하는 결합홈 및 결합홈의 주위로 다수의 제1유로슬롯(solt)을 가지며 제2하우징의 내주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용기상의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 하측에 삽입되는 카본필터와, 케이싱내의 카본필터 상측에 수용되는 탄산칼슘필터 및 헤더의 제2필터지지돌기가 끼워지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결합보스의 주면에 헤더의 제3유로와 연통하는 다수의 제2유로슬롯을 갖는 캡으로 이루어진 2차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2차 필터의 탄산칼슘필터는 탄산칼슘 알갱이들이 케이싱의 내부에 층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녹이나 중금속 등의 각종 이물과 염소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오염물질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과 탈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착용자의 피부질환 발병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성 유기물과 그로 인한 악취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탄산칼슘필터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수돗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세탁기의 세탁효율과 안전성 향상 및 의류의 수명연장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는 수돗물이 소정의 경로로 이송되도록 유로를 구비하여 수도꼭지(C)와 세탁기(M) 사이에 연결되는 헤더(10)와, 이 헤더(10)에 나란하게 장착되어 헤더(10)와 함께 수돗물의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2개의 하우징(20)(30)과, 제1하우징(20)내에 장착되어 수돗물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1차 필터(40) 및 제2하우징(30)내에 장착되어 수돗물중의 염소와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활성화시키는 2차 필터(50)로 구성된다.
헤더(10)는 몸체(11)의 하부에 원통형의 제1 및 제2하우징 조립공간(12)(13)을 나란하게 갖는다. 각 하우징 조립공간(12)(13)의 중앙에는 필터지지돌기(14) (15)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각 필터지지돌기(14)(15)들의 주위에는 침상 단면을 갖는 환형의 밀착돌기(12a)(13a)들이 형성되어 각 필터(40)(50)의 상단을 밀착 지지한다.
몸체(11)의 일측에는 제1하우징 조립공간(12)을 수도꼭지(C)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1유로(16)가 형성되고, 몸체(11)의 타측에는 제2하우징 조립공간(13)을 세탁기(M)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3유로(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유로(16)와 제3유로(18) 사이에는 제1 및 제2하우징 조립공간(12)(13)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2유로 (17)가 형성된다.
이 때, 제2유로(17)와 제3유로(18)의 입구는 제1필터지지돌기(14) 및 제2필터지지돌기(15)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유로(16)의 입구와 제3유로(18)의 출구에는 수도꼭지(C) 및 세탁기(M)와 호스(H1)(H2)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니플(19)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헤더(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일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하우징 조립공간(12)(13)을 각각 갖는 2개의 캡형 몸체로 구성되어 조인트(joint:11a)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하우징(20)(30)은 상단이 개구된 긴 용기형태로 구성되고, 상단부가 헤더(10)의 제1 및 제2하우징 조립공간(12)(13)에 대해 분해 가능하도록 각각 나사 결합된다. 이 때, 각 하우징(20)(30)의 상단과 헤더(10)의 제1 및 제2하우징 조립공간(12)(13) 사이에는 유로의 기밀유지를 위한 링형의 고무패킹(23)(33)들이 개재된다.
제1 및 제2하우징(20)(30)의 바닥 중앙에는 헤더(10)의 제1 및 제2필터지지돌기(14)(15)들과 각각 대향하도록 필터지지돌기(21)(3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하우징(20)(30)의 필터지지돌기(21)(31) 주위에는 각 필터(40)(50)의 하단을 밀착 지지하기 위한 침상 단면을 갖는 환형의 밀착돌기(22)(32)들이 형성된다.
1차 필터(40)는 헤더(10)의 제1필터지지돌기(14)와 제1하우징(20)의 필터지지돌기(21)를 상·하단에 각각 삽입하여 제1하우징(20)의 내주와 간격을 두고 지지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1차 필터(40)는 예컨대 부직포로 제조된다.
2차 필터(50)는 제2하우징(30)의 내주와 간격을 두고 장착 지지되는 케이싱(51)과, 케이싱(51)의 내부 하측에 삽입되어 수돗물중의 염소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카본필터(57) 및 케이싱(51) 내부의 카본필터(57) 상측에 위치되어 수돗물중의 세균과 악취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돗물을 활성화시키고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세라믹필터인 탄산칼슘필터(58)로 이루어진다.
케이싱(51)은 슬리브(sleeve:5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캡(53)(55)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부캡(53)은 헤더(10)의 제2필터지지돌기(15)가 끼워지는 결합보스(54)를 상면 중앙에 가진다. 바람직하기로 결합보스(54)의 상단에는 1차 필터(40)에서 여과된 수돗물이 제3유로(18)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와셔형태의 패킹 (60)이 안착되는 패킹홈(53a)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부캡(53)의 결합보스(54)는 제2필터지지돌기(15)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그 주면에는 탄산칼슘필터(58)를 통과한 수돗물이 제3유로(18)로 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유로슬롯(54a)들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각 제2유로슬롯(54a)들 사이에는 결합보스(54)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rib:54b)들이 형성된다.
하부캡(55)은 하면 중앙에 제2하우징(30)의 필터지지돌기(31)를 삽입하는 결합홈(56)을 가지며, 결합홈(56)의 주위에 1차 필터(40)를 통과한 수돗물이 2차 필터(50)로 유입되는 다수의 제1유로슬롯(55a)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캡(55)의 하면에는 각 제1유로슬롯(55a)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다수의 리브(55b)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캡(55)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슬리브를 용기형태로 구성하여 그 하면에 제1유로슬롯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배제시킬 수도 있다.
한편, 탄산칼슘필터(58)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어 케이싱(51)의 내부에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이에 따라 탄산칼슘필터(58)의 상부에는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해주기 위한 다공성 커버(59)가 상부캡(53)과의 사이에 개재되는데, 이러한 커버(59) 역시 부직포 또는 카본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이미 여과된 수돗물을 최종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1차 필터(40)나 카본필터(57)보다 조밀한 기공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세탁수용 정수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C)와 세탁기(M) 사이의 급수경로상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헤더(10)의 상부에는 정수기를 세탁기(M) 주변의 벽체(W) 등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70)이 구비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70)을 통해 세탁기(M) 부근의 벽체 (W) 등에 정수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호스(H1)(H2)를 이용하여 헤더(10)의 제1유로 (16) 입구를 상수도의 수도꼭지(C)에 연결함과 함께 제3유로(18)의 출구를 세탁기 (M)의 급수구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세탁을 위해 수도꼭지(C)를 개방시키면 수돗물이 호스(H1)와 헤더(10)의 제1유로(16)를 통해 제1하우징(20)의 내주와 1차 필터(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제1하우징(20)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수압에 의해서 1차 필터(40)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수돗물 중에 포함된 녹이나 모래 등의 입자상태 이물이 1차 필터(40)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1차 정화된다.
다음, 1차 정화된 수돗물은 헤더(10)의 제2유로(17)를 통해 제2하우징(30)과 2차 필터(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2차 필터(50)의 하부캡(55)에 형성된 제1유로슬롯(55a)들을 통해 2차 필터(50)의 케이싱(51)내로 유입된다. 이 때, 제2하우징(30)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2차 필터(50)의 상단과 제2하우징(15)의 밀착돌기 (11b)에 개재된 패킹(60)에 의해 제3유로(18) 쪽으로 바로 유출되지 못한다.
2차 필터(50)로 유입된 1차 정화된 수돗물은 카본필터(57)를 통과하면서 그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와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이 카본필터(57)에 흡착됨으로써 제거되어 2차로 정화되고, 이어서 카본필터(57)의 상측에 위치된 탄산칼슘필터(58)로 유입된다.
각종 이물 및 염소와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이 제거된 수돗물은 탄산칼슘필터 (58)를 통과하면서 재차 여과된 뒤, 헤더(10)의 제3유로(18)를 통해 유출되어 호스 (H2)를 따라 세탁기(M)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수돗물에 함유되어 있던 세균성 유기물과 악취가 탄산칼슘이 갖는 항균, 항취 기능에 의해 제거됨과 동시에, 탄산칼슘필터(58)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분자운동이 활발해짐으로써 활성화된다. 특히, 탄산칼슘필터(58)가 일정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져 유로저항이 크지 않기 때문에 분자운동의 활성화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지게 된다.
또한, 탄산칼슘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기인하여 전기적 특성이 개선됨과 동시에 알칼리성으로 중화되게 된다.
탄산칼슘필터(58)를 통과하면서 3차로 정화된 수돗물은 커버(59)를 거쳐 상부캡(53)의 결합보스(54)에 형성된 제2유로슬롯(54a)을 통해 헤더(10)의 제3유로 (18)로 유출된다.
이 때, 커버(59)가 필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3차 정화된 수돗물이 최종적으로 여과되어 1차 필터(40)와 카본필터(57)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립자까지 제거됨으로써 거의 순수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녹 등의 이물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과 염소성분에 의한 유색의류의 탈색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세탁할수록 옷감이나 무늬가 더욱 선명하게 살아남은 물론, 세탁효율도 크게 향상된다.
또한, 세탁의류의 착용시 정전기가 현저히 줄어들고, 각종 세균과 중금속이 완전히 제거되어 착용자의 피부질환 발병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수질오염의 감소에도 기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수용 정수기에 의하면,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녹이나 중금속 등의 각종 이물과 염소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오염물질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과 탈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착용자의 피부질환 발병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성 유기물과 그로 인한 악취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탄산칼슘필터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수돗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효율과 안전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의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세탁기로 급수되는 수돗물을 여과하여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용 정수기로서,
    중앙에 필터지지돌기를 각각 갖는 2개의 하우징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제1하우징 조립공간을 수도꼭지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1유로와, 각 하우징 조립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2유로와, 제2하우징 조립공간을 세탁기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유로를 갖는 헤더;
    상기 헤더의 각 하우징 조립공간에 각각 입구부위가 나사 결합되며, 바닥에 헤더의 각 필터지지돌기들과 대향하도록 필터지지돌기를 갖는 용기형태의 제1 및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그 내주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1차 필터;
    저면에 제2하우징의 필터지지돌기를 삽입하는 결합홈 및 결합홈의 주위로 다수의 제1유로슬롯을 가지며 제2하우징의 내주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용기상의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 하측에 삽입되는 카본필터와, 케이싱내의 카본필터 상측에 수용되는 탄산칼슘필터 및 헤더의 제2필터지지돌기가 끼워지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결합보스의 주면에 헤더의 제3유로와 연통하는 다수의 제2유로슬롯을 갖는 캡으로 이루어진 2차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수용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의 탄산칼슘필터는 탄산칼슘 알갱이들이 케이싱의 내부에 층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수용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그를 벽체 등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수용 정수기.
KR2020020006040U 2002-02-28 2002-02-28 세탁수용 정수기 KR200276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40U KR200276932Y1 (ko) 2002-02-28 2002-02-28 세탁수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40U KR200276932Y1 (ko) 2002-02-28 2002-02-28 세탁수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932Y1 true KR200276932Y1 (ko) 2002-05-27

Family

ID=7311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40U KR200276932Y1 (ko) 2002-02-28 2002-02-28 세탁수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9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420B1 (ko) 2009-07-31 2011-12-23 전재현 관수 처리 장치
KR200459326Y1 (ko)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KR101217606B1 (ko) * 2011-03-10 2013-01-03 박명옥 2중 필터링 일체형 정수장치
WO2023114072A1 (en) * 2021-12-14 2023-06-22 Entegris, Inc. Liquid filter unit with laterally arranged filt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420B1 (ko) 2009-07-31 2011-12-23 전재현 관수 처리 장치
KR200459326Y1 (ko)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KR101217606B1 (ko) * 2011-03-10 2013-01-03 박명옥 2중 필터링 일체형 정수장치
WO2023114072A1 (en) * 2021-12-14 2023-06-22 Entegris, Inc. Liquid filter unit with laterally arranged filt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660B2 (en) Fluid filter system with secondary flow path for augmented filtration
WO2007007624A1 (ja) 水処理機器
KR200458705Y1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GB2437279A (en) Water filter
KR200390280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200276932Y1 (ko) 세탁수용 정수기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CN210313766U (zh) 净水系统
CN211056815U (zh) 净水系统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CN211847172U (zh) 净水系统
KR200278146Y1 (ko) 동섬유를 이용한 염소제거 및 살균 수도꼭지 어셈블리
KR200287852Y1 (ko) 세탁기용 정수기
KR200287579Y1 (ko) 기능성 온천수기
KR200205204Y1 (ko) 항균 은세라믹 필터가 장착된 다단계 필터 일체식 구조의정수기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JPH01262983A (ja) 浄水器
KR200425311Y1 (ko) 기능성 샤워기
KR20150144541A (ko) 다단 필터를 가지는 수도직결형 정수기
CN220371317U (zh) 一种矿泉除氯除菌花洒
KR200363659Y1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KR100596681B1 (ko) 이온수기용 필터
KR20050108475A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KR101196616B1 (ko) 수처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