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145A -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145A
KR20040051145A KR1020020079005A KR20020079005A KR20040051145A KR 20040051145 A KR20040051145 A KR 20040051145A KR 1020020079005 A KR1020020079005 A KR 1020020079005A KR 20020079005 A KR20020079005 A KR 20020079005A KR 20040051145 A KR20040051145 A KR 20040051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ation
layer thickness
value
raw material
blended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081B1 (ko
Inventor
김국진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조의 드럼형 절출기로부터 소결광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에 기술적으로 절출시킬 때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의 층후 및 표층부 높이의 편차에 따라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배합원료의 적층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배합원료 저장조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메인 게이트, 이동하는 대차로의 배합원료 절출을 제어하는 드럼형 절출기 및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판을 갖는 소결광 장입장치에서의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에 있어서, 층후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대차 내에 절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검출하는 층후값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전체 평균 층후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 층후값과 기설정된 목표 층후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층후값편차계산단계; 상기 검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최고점과 최저점의 층후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고점 및 최저점 층후값간의 편차를 계산하는 최고/최저층후값 편차계산단계; 및 상기 층후값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또는 상기 최고/최저층후값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각각의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회전수조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출되는 배합원료의 양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장입 원료의 수직 편석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과다한 원료량으로인해 평삭기에서의 압밀 장입 현상 및 붕괴 현상없이 진행되는 대차내 차례로 장입 적층되어 균일한 품질의 소결광을 유용하게 다량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Sinter Cake for Furnace}
본 발명은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조의 드럼형 절출기(Drum Feeder)로부터 소결광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Pallet)에 기술적으로 절출시킬 때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의 층후 및 표층부 높이의 편차에 따라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배합원료의 적층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은 제철원료로 사용되며, 드와이트 로이드(Dwight Lloyd) 소결기로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식은 분 철광석, 밀-스케일 및 각종 더스트류와 부원료로서 석회석, 사문암 등을 혼합한 브랜딩 광석, 그리고 연료로서 분코크스 및 무연탄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광 제조 공정도로서, 종래의 드와이트 로이드 방식의 소결기를 이용하여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저장호퍼(10)에 의해 이동된 다종의 철광석을 혼합한 브랜딩광과 연료인 코크스와 무연탄 등을 회전형 드럼믹서(Drum Mixer)(11)와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12)에서 배합하고, 이에 수분을 첨가시켜 전동 조립하여 미분말을 비교적 큰 입자에 부착시켜 응집하게 하고 의사 조립을 행한 소결 원료(이하, 배합원료)(33)를 배합원료 저장조(14)에 저장한 후, 드럼형 절출기(15)를 이용하여 상기 배합원료를 절출하여 일정 높이와 각도로 형성된 경사판(29) 위를 활주하게 하여 진행하는 소결기 대차(17) 내부에 차례로 적층시켜 장입하고 있다.
이렇게 진행되는 대차(17) 내에 연속 장입되어 표면을 고르기한 배합원료는 고정된 점화로(16)에서 1200℃ 정도의 고온으로 착화가 이루어진 후 상기 대차(17)의 저면으로 사방 측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다수의 공기 유입관(Wind Box)(28)이 근접 설치된 유효 화상 길이(19)를 서서히 진행하는 동안 배합원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연료가 대형 흡입 블로워(Main Blower)(26a)(26b)의 흡입에 의해 상기 대차(17)의 배합원료 표층부에서만 대기 공기를 흡입시켜 상층에서부터 하층으로 연소가 진행되어 코크스 연소열로 인한 미분부의 용해로 분광석의 괴성화가 이루어진다.
미설명 도면부호 13은 상부광 저장조이고, 20은 배광부, 22는 파쇄기, 25는 전기집진기이며, 27은 굴뚝이다.
도 2는 종래의 소결광 절출과정을 보이는 상세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조(14) 내의 배합원료(33)를 드럼형 절출기(15)를 통해 절출하되, 경사판(29)과 그 하부측에는 슬릿바(Slit Bar)(29a)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것에 따라서 소결 배합원료에 수직 편석을 부여하고 상기 대차(17)내 장입되는 배합원료를 하층은 조립으로, 상층은 세립으로 유도하여 연속해서 장입하고, 두 개의 상,하 층후 측정용 센서(18a)(18b)로 계측하면서 소정의 층후가 되도록 장입량을 절출한 후 이 원료의 표층을 평삭기(30)로 일정하게 표면을 고르기하면서 장입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입 장치 사용시 메인 게이트(14a) 및 경사판(29) 자체에 배합원료의 수분으로 인해 부착광이 형성되어 부착광 제거 작업 및 형성이 반복 발생되어 장입량이 과,부족하게 되므로 상기 상,하 층후 측정용 센서(18a)(18b)를 소정의 간격(50~70㎜)으로 이격시켜 요구되는 장입량보다 많이 절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입 원료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낙하원료 접면에서의 퇴적→붕괴→퇴적→붕괴 현상이 반복되는 붕락 현상 발생(32)으로 장입 원료의 상,하층간의 입도 편석이 매우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붕락 현상으로 인해 상,하층간의 입도 편석이 불량 문제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소결광 제조방법에서 제조되는 불균일 소결 반응 과정을 보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결과 제조방법에 따라 대차에 절출된 소결광에 대한 소결 반응과정에서는 대차 폭 방향으로 좌,우의 소결 반응이 불균일하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60-91184호에는 소결기 팔레트의 소결 원료 장입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077536호에는 소결기 장입 원료의 밀도 관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에서는, 소결기 대차(17)에 장입된 원료의 선단 부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선단부의 장입선이 목표 패턴과 일치하도록 상기 배합원료 저장조(14)에 취부된 분할 게이트를 각각 조정하여 소결기 대차(17)내의 장입 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나, 상기에서 층후 측정용 센서(18a)(18b)를 이용한 방식은 층후 측정용 센서의 오동작으로 정확성이 떨어지고, 초음파를 이용한 경우는 장입시 발생되는 분진으로 인하여 초음파 동작에 방해를 받아 정확한 장입선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일본 특허공개 소 60-91184호의 경우는, 분할 게이트에 부착된 부착광에 의하여 절출되는 원료층 두께가 수시로 변함에 따라서 장입 밀도 관리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평삭기(30)에서 미분 원료의 압밀부(31)가 형성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장입 밀도의 변화가 심하게 변동되어 하방 흡인식 소결 조업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 즉, 통기성이 악화되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결 반응의 진행도 불균일하게 되어 소결광 성상에 악영향으로 품질이 불량하게 될 뿐 만 아니라 생산성도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붕락 현상 발생으로 장입 원료의 상,하층간의 입도 편석 불량, 소결광 장입선 관리의 어려움 및 장입 밀도의 변동이 심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의 밀도를 저하시키고 상기 장입 과정에 따른 상층부 원료층의 붕락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의 표층이 편평해 지도록 상기 장입 배합원료를 적당한 양으로 절출하기 위한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광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결광 제조 공정의 상세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소결광 제조방법에서 제조되는 불균일 소결 반응 과정을 보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결광의 장입 제어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결과에 대한 소결광 품질 및 생산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료저장 호퍼 11 : 드럼 믹서
12 : 리롤링 드럼 13 : 상부광 저장조
14 : 배합원료 저장조 14a : 메인 게이트
15 : 드럼형 절출기 16 : 점화로
17 : 소결기 대차 18a,18b : 상,하부 층후 센서
19 : 유효화상길이 20 : 배광부
22 : 파쇄기 29 : 경사판
30 : 평삭기 33 : 배합원료
33a : 절출된 배합원료 41 : 레이저 층후 센서
42 : A/D 변환기 43 : 계장 제어 시스템
44 : 메인게이트 개도 조정기 45 : 드럼형 절출기 기동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합원료 저장조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메인 게이트, 이동하는 대차로의 배합원료 절출을 제어하는 드럼형 절출기 및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판을 갖는 소결광 장입장치에서의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에 있어서, 층후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대차 내에 절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검출하는 층후값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전체 평균 층후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 층후값과 기설정된 목표 층후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층후값편차계산단계; 상기 검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최고점과 최저점의 층후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고점 및 최저점 층후값간의 편차를 계산하는 최고/최저층후값 편차계산단계; 및 상기 층후값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또는 상기 최고/최저층후값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각각의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회전수조정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조정단계는, 상기 층후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및 상기 최고/최저층후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상기 각각의 설정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층후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및 상기 최고/최저층후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상기 각각의 설정 범위 이하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고료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상한치에 도달하면 메인 게이트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하한치에 도달하면상기 메인 게이트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결광의 장입 제어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결광의 장입 제어장치는, 저장조(14)로부터 배합원료(33)를 절출하기 위한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를 조정하는 메인게이트 개도 조정기(44), 드럼형 절출기(15)를 기동시키는 드럼형 절출기 기동모터(45), 대차(17)에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높이를 검출하는 레이저 층후 센서(41),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에서 검출된 상기 배합원료의 표층부 높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42), 상기 A/D변환기(42)로부터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높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게이트 개조조정기(44) 및 상기 드럼형절출기 기동모터(45)를 제어하는 계장제어시스템(4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소결광 장입 제어장치는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층후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층후 높이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레벨 편차와 기설정된 층후 편차의 목표치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 제어와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를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소결광 장입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소결용 원료를 담고 있는 배합원료 저장조(14)의 하부에 배합원료 절출용 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원료를 상기 대차(17)의 폭방향으로 요구되는 양을 배출하도록 메인 게이트(14a)가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 동작된다. 상기 메인 게이트(14a)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배합원료 저장조(4) 내의 배합원료(33)가 불출되고 상기 배합원료(33)는 상기 배합원료 저장조(14)의 하방에 위치하여 원료의 절출을 제어하는 드럼형 절출기(15)에 의해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하방에 설치된 경사판(29)의 경사에 따라 하단의 대차(17)로 불출된다.
한편, 상기 경사판(29)의 후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층후 측정용 레이저 층후 센서(41)가 소결광 제조 공정 중 대차(17) 내 배합원료의 표층부 높이를 검출한다.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는 센서 기술분야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레이저를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표층부에 입사하고 다시 반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표층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33a)는 상기 대차(17)에 실려 배광부측으로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는 상기 이동되는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높이를 연속해서 검출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는 상기 배합원료(33a)의 높이 중 극대값을 가지는 최고점과 극소값을 가지는 최저점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에서 검출된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높이, 표층부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에 대한 검출신호는 A/D변환기(42)로 입력되고, 상기 A/D변환기(42)는 아날로그 검출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계장 제어 시스템(43)으로 전송한다.
상기 계장 제어 시스템(43)은 상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층후값을 수집하여 평균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과 기설정된 목표 층후값을 비교한다. 이어, 상기 계장 제어 시스템(43)은 상기 평균 층후값과 목표 층후값의 편차에 따라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계장 제어 시스템(43)은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의 최고점 및 최저점 높이값을 이용하여 두 값 사이의 편차를 계산하고 상기 편차값에 따라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는 일정한 장입 상태를 유지하며 대차(17)에 쌓인 배합원료(33a)의 층후를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에 의해 측정하다가 목표로 하는 층후값과 실제값 사이의 편차 발생시, 그리고 장입 원료의 표층부 높이의 편차 발생시 계장 제어 시스템(24)에 의해 연산된 편차 계산값에 의해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가 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편차가 20㎜ 발생시마다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는 0.03RPM이 빠르게 결정되며,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가 상한시에는 메인 게이트(14a)가 설정된 값만큼씩 상승하게 되고, 만약 하한시에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씩 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에서 검출되는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편차 발생시, 또한, 상기 전체 배합원료(33a)의 층후의 편차 발생시 각 편차에 따라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조정하게 되고, 상기 회전수가 상한 또는 하한치에 도달하게 되면 메인 게이트 개도 조정기(14)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를 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경우도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한다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계장 제어 시스템(43)에서는 원하는 목표 층후값을 설정한다(S51). 이어, 배합원료의 절출을 위해 소결기를 가동하고(S52) 드럼 절출기(15)를 가동함으로써(S53) 저장조(14) 내의 배합원료(33)를 절출한다.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층후값과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높이를 레이저 층후 센서(41)에서 검출한다(S54).
상기 단계(S54)에서 검출된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층후값과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 높이값을 이용하여 전체 배합원료(33a)의 평균 층후값을 계산함(S55)과 동시에, 상기 배합원료(33a) 표층부의 최고점 및 최저점 높이를 계산한다(S56). 먼저, 상기 기설정된 목표 층후값에서 상기 단계(S55)에서 계산된 평균 층후값을 뺀 편차값을 계산하고(S57), 상기 편차값이 설정된 값(도면에는 그 일례로서 5mm로 한 경우이다)보다 큰지 판단한다(S59). 상기 단계(S59)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편차값이 상기 설정값 보다 큰 경우 다음 단계(S61)로 진행하고, 반대로 상기 편차값이 상기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계(S55)로 진행하여 계속 입력되는 배합원료(33a)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평균 층후값을 다시 계산한다.
한편, 상기 계장 제어 시스템(43)은 상기 단계(S56)에서 계산된 상기 배합원료(33a)의 표층부의 최고점 높이값에서 최저점 높이값을 뺀 편차값을 계산하고(S58), 상기 편차값이 설정된 값(도면에서는 그 일례로서 20mm로 한 경우이다)보다 큰지 판단한다(S60). 상기 단계(S6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편차값이 상기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한 다음 단계(S61)로 진행하고, 반대로 상기 편차값이 상기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계(S56)로 진행하여 계속 입력되는 표층부 높이 값에서 다시 표층부 최고점 및 최저점을 계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단계(S59,S60)에서 편차값이 각각의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S61)에서 상기 편차값에 따라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증가한다(S61). 상기 드럼형 절출기(15)는 상기 편차값에 따라 조정된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층후 편차값이 (-)로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 증감은 도 5에 도시된 동작원리를 이해한다면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 드럼형 절출기(15)는 표층부의 최고점 및 최저점 간의 편차값에 따라 그 회전수가 제어되며 또한, 상기 배합원료(33a)의 평균 층후값과 목표 층후값의 편차값에 따라 그 회전수가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는 예를 들어, 5mm의 편차가 있을 경우 그 회전수를 0.03rpm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가 설정된 값(일예로서 10rpm으로 한 경우)을 넘어서는지 판단한다(S62),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가 상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를 증가시키고(S63), 반대로 설정값보다 작으면 계속하여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S62).
상기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값이 상한치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S64), 상기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값이 상한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켜(S65) 소결기를 정지시키고(S66), 상기 개도값이 상한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S54)로 진행하여 상기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층후값 및 표층부의 높이를 계속 검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층후 센서(41)를 이용하여 상기 대차(17)에 절출된 배합원료(33a)의 층후 및 표층부의 최고/최저 높이를 검출하고, 배합원료의 전체 층후 평균값과 목표 층후값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조정하고 또한, 상기 표층부의 최고점 높이와 최저점 높이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목표치 층후값을 유지할 수 있고, 표층부의 높이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회전수 조정시 그 회전수가 상한치 또는 하한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메인 게이트(14a)의 개도값을 설정된 양으로 조정하여 배합원료(33a)의 층후 및 표층부의 높이 편차를 줄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된 분철광석과 부원료인 석회석, 규사, 생석회와 연료인 무연탄과 분코크스 및 반광의 배합비를 아래의 표 1과 같이 적용한다.
[표 1]
구분 철광석 규사 사문암 석회석 생석회 무연탄 코크스 반광 입도
배합비 85.61 0.12 0.41 12.57 1.29 3.66 2.44 21.22 2.8mm
상기 표 1과 같은 배합비를 갖는 배합원료(33)를 진행하는 소결기 대차(17)에 장입하여 하기 표 2의 소결 조업 조건으로 장입한 경우, 상기 배합원료(33)를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에서 소결기 대차(17)에 편석 장입시킨 경우 장입된 원료의 편석도 [(대차 하층 평균 입도-대차 상층 평균 입도)/대차 상,중,하층의 평균 입도]를 장입 폭방향으로 3분할하고 상,중,하층으로 3단 분할하여 샘플한 결과를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하기 표 3에 도시한다.
[표 2]
구 분 설정값 단위
모드 자동
HLT / BHT 75 / 665 mm
메인게이트 높이 70 mm
온도 130
P.S 2.92 M/min
절출기 회전수 5.41 rpm
부압 170
BTP 9.7 M
장입밀도 1.87 T/m3
[표 3]
구 분 종래 방식 본 발명
상층부 편석도 2.5 2.4 2.7 1.6 1.4 1.7
중간부 편석도 2.7 3.3 3.0 2.9 2.5 2.7
하층부 편석도 3.9 4.0 3.7 4.4 3.9 4.1
편석도[mm] 0.43 0.91
장입밀도[T/m3] 1.87 1.79
상기 표 3과 같은 편석도 지수를 갖는 장입 원료를 소결하여 그 때의 소결광의 품질과 생산성을 구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통기도가 향상되고 낙하강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장입 방법에 의하면 장입밀도가 저하되고, 장입 편석도가 우수하여 고생산성의 품질이 우수한 소결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본 발명을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의 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기 대차내 절출되는 배합원료의 양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장입 원료의 수직 편석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과다한 원료량으로 인해 평삭기에서의 압밀 장입 현상 및 붕괴 현상없이 진행되는 대차내 차례로 장입 적층되어 균일한 품질의 소결광을 유용하게 다량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개시된 내용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3)

  1. 배합원료 저장조(14)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메인 게이트(14a), 이동하는 대차(17)로의 배합원료 절출을 제어하는 드럼형 절출기(15) 및 상기 드럼형 절출기(15)의 하부에 설치된 경사판(29)을 갖는 소결광 장입장치에서의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에 있어서,
    층후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대차 내에 절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검출하는 층후값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전체 평균 층후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 층후값과 기설정된 목표 층후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층후값편차계산단계;
    상기 검출된 배합원료의 층후값을 이용하여 최고점과 최저점의 층후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고점 및 최저점 층후값간의 편차를 계산하는 최고/최저층후값 편차계산단계; 및
    상기 층후값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또는 상기 최고/최저층후값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각각의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회전수조정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조정단계는,
    상기 층후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및 상기 최고/최저층후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상기 각각의 설정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층후편차계산단계의 편차 및 상기 최고/최저층후 편차계산단계의 편차가 상기 각각의 설정 범위 이하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상한치에 도달하면 메인 게이트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하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메인 게이트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용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제어방법.
KR10-2002-0079005A 2002-12-12 2002-12-12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KR10053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005A KR100530081B1 (ko) 2002-12-12 2002-12-12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005A KR100530081B1 (ko) 2002-12-12 2002-12-12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145A true KR20040051145A (ko) 2004-06-18
KR100530081B1 KR100530081B1 (ko) 2005-11-22

Family

ID=3734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005A KR100530081B1 (ko) 2002-12-12 2002-12-12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1210B2 (en) 2004-10-12 2009-01-27 Lg Electronics Inc. Gas range
KR20160008711A (ko) * 2014-07-14 2016-01-25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치
CN113587671A (zh) * 2021-09-07 2021-11-02 中冶长天(长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烧结机料层厚度的控制系统
CN114739182A (zh) * 2022-03-17 2022-07-12 北京首钢自动化信息技术有限公司 烧结台车布料闸门的卡料判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14B1 (ko) 2010-12-23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원료 장입 분포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N113295000B (zh) * 2020-08-20 2022-04-12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料层厚度预测的布料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418B2 (ja) * 1978-01-14 1984-03-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焼結機パレツトへの原料装入方法
JPH06221767A (ja) * 1993-01-27 1994-08-12 Nkk Corp 焼結原料の供給方法
JPH07243769A (ja) * 1994-03-01 1995-09-19 Nisshin Steel Co Ltd 焼結機用クーラーの在庫レベルの制御方法
KR20010019376A (ko) * 1999-08-26 2001-03-15 이구택 소결광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10019377A (ko) * 1999-08-26 2001-03-15 이구택 회수율 향상을 위한 소결 조업 방법
KR20020048205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소결기 장입원료의 밀도 관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1210B2 (en) 2004-10-12 2009-01-27 Lg Electronics Inc. Gas range
KR20160008711A (ko) * 2014-07-14 2016-01-25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치
CN113587671A (zh) * 2021-09-07 2021-11-02 中冶长天(长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烧结机料层厚度的控制系统
CN114739182A (zh) * 2022-03-17 2022-07-12 北京首钢自动化信息技术有限公司 烧结台车布料闸门的卡料判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081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8634B2 (ja) 焼結鉱の品質制御方法
KR101223114B1 (ko) 소결 원료 장입 분포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0530081B1 (ko) 고로용 소결광 장입 제어방법
CA2009814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gglomerates of sintered pellets
JP4598882B2 (ja) 焼結機の原料装入方法及び装置
JP4593177B2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KR950007374B1 (ko) 소결원료 장입밀도 조절방법 및 장치
KR100431846B1 (ko) 소결기의 미세원료 조절장치
KR100836448B1 (ko) 소결광 제조장치
KR20020048205A (ko) 소결기 장입원료의 밀도 관리 장치
KR100396073B1 (ko) 소결광제조시스템
KR100725323B1 (ko) 소결 베드 측벽부 장입밀도 개선에 의한 소결광 제조장치
KR100546211B1 (ko) 소결원료층의 층후측정장치
JPH0814007B2 (ja) 塊成鉱の製造方法
KR102305734B1 (ko) 소결원료 장입량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KR100971968B1 (ko) 소결의 장입밀도 균일제어장치
KR20230004063A (ko) 소결광 제조용 원료 장입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2182574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100896569B1 (ko) 소결기의 분할 게이트 제어장치
KR19990057399A (ko) 소결광 수축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4233039B2 (ja) コークス炉の装炭レベル制御方法
JP2000144267A (ja) 焼結原料の装入制御方法
KR20020050448A (ko) 소결기의 분할게이트 높이 제어장치
JPS5925746B2 (ja) フライアツシュの連続造粒焼結法
JPH05272872A (ja) 焼結原料の供給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