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6Y1 - 휴대용 가스렌지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6Y1
KR200400506Y1 KR20-2005-0024433U KR20050024433U KR200400506Y1 KR 200400506 Y1 KR200400506 Y1 KR 200400506Y1 KR 20050024433 U KR20050024433 U KR 20050024433U KR 200400506 Y1 KR200400506 Y1 KR 200400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in body
plate
blocking plat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재철
Original Assignee
공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재철 filed Critical 공재철
Priority to KR20-2005-0024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가스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꽃을 발생시키는 화구인 헤드부에 차단판을 더 설치하여 가스렌지 내부로 음식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 상부면는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대를 형성하여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구인 헤드부에 차단판을 장착하여 차단판에 의해 헤드부와 덮개의 이격된 틈을 제거하고, 상기 차단판에 하부와 상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기관을 더 설치하여 가스의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 상부면 양측에 굴곡으로 돌출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가이드대를 돌출형성하여 내측에 포집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렌지{portable gas range}
본 고안은 휴대용 가스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꽃을 발생시키는 화구인 헤드부에 차단판을 더 설치하여 가스렌지 내부로 음식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 상부면는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대를 형성하여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가 용이하게 소형으로 제조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는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휴대용 가스캔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의 장착되어 가스캔 내부의 가스를 공급유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3)와, 상기 가스캔의 가스를 배출하여 불꽃을 형성시키는 화구인 헤드부(4)가 본체의 중앙에 위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덮개(5)를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상기 헤드부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며, 덮개의 상부에는 삼발이(5a)를 형성하여 조리기구가 안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기름받이홈(5b)을 더 형성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의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도록 하였다.
이 때 상기 덮개와 헤드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틈을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된 공기가 헤드부에서 발생된 가스와 혼합되어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덮개와 헤드부 사이의 틈은 용이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지만 음식물의 액상적하물이 유입되어 휴대용가스렌지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구인 헤드부에 차단판을 장착하여 차단판에 의해 헤드부와 덮개의 이격된 틈을 제거하고, 상기 차단판에 하부와 상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기관을 더 설치하여 가스의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스렌지는 본체 상부면 양측에 굴곡으로 돌출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가이드대를 돌출형성하여 내측에 포집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액상적하물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스렌지는,
가스를 공급연소시켜 각종 음식물의 조리를 실내외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렌지에 있어서, 일측에 가스캔을 착탈하는 가스캔결합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가스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장착된 가스캔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화구인 헤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는,
상부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원형의 통체로 저면에는 판체의 고정편이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본체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장착된 가스캔에서 공급된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이송관이 내입되도록 하는 가스배출관과; 상기 가스배출관 상부에 형성된 단턱에 결합 안치되도록 중앙에 결합구가 형성된 원형판체로, 가장자리는 본체와 헤드부의 이격틈을 제거하게 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차단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 안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의 상면과 원형판체의 저면에는 중앙의 가스유입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유로가 형성된 가스유도판과; 상기 가스유도판의 돌출관을 일부 내포하도록 저면일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가스유입공을 밀폐하여 유입된 가스가 유로로 배출되도록 하는 캡;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차단판에는 다수의 통기관을 결합구에 근접설치하되 결합구를 중심으로 등간격배치하여 하부와 상부를 연통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스유도판에는 상기 통기관이 삽통되도록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면 중앙 부분이 요(凹)부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의 양측면을 굴곡에 의해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부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대를 더 돌출시켜 굴곡에 의해 돌출된 부분과 가이드대에 의해 내측에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스렌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헤드부의 구성요소중 가스유도판과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가스렌지(10)는 본체(20)와 상기 본체내에 장착된 헤드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일측에 가스캔을 장착하기 위한 가스캔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상기 가스캔결합부(21)에 가스캔을 장착 및 탈거하기 위한 착탈버튼과, 상기 장착된 가스캔에서 방출되는 가스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점화하는 조절레버(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삼발이(22)가 화구인 헤드부(30)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조리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안전장치가 장착되고, 장착된 가스캔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헤드부로 이동시키는 가스이송관이 장착된다. 이러한 가스이송관의 일단은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연통연설되어 가스가 화구인 헤드부(30)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부(30)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술된 가스이송관이 내삽되는 가스배출관(31)과, 상기 가스배출관의 상부에 장착되는 차단판(32)과,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스유도판(33)과, 상기 가스유도판의 중심에 형성된 가스유입공(333)을 차단시키기 위한 캡(3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배출관(31)은 저부에 판체의 고정편(311)이 양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고정편은 본체(20) 프레임에 고정되어 헤드부(3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내부청소를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탈착가능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법으로는 일측 고정편에는 프레임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타측 고정편에는 저면에 돌출된 철부를 형성하고 프레임에 상기 철부와 대응되는 요부를 형성하여 철(凸)부와 요(凹)부의 결합에 의해 가스배출관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32)은 중앙에 결합구(321)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출관(31)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312)이 내설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급받은 가스는 결합구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차단판(32)은 헤드부(30)를 외부로 표출시키기 위해 통공시킨 본체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본체의 통공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단판(32)은 중앙에 가스배출관(31)의 상단 일부를 내입할 수 있도록 결합구(321)가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본체(20)의 통공과 헤드부(30) 사이의 틈을 제거하기 위한 차단익부(323)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하부가 완전차단되면 하부로부터 공기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스불꽃의 화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즉, 화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32)에는 통기관(322)을 다수 형성하여 하부의 공기를 상부의 불꽃발생부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기관(322)은 중앙의 결합구(321)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원형으로 발생되는 불꽃에 고르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기관(322)은 차단판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분리된 형태로 장착할 수 있으며, 차단판 자체의 형상도 도시된 원형이나 사각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스유도판(33)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중심에 가스유입공(333)이 형성되어 가스배출관(31)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일부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가스유입공(333)의 외주면에는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관(332)이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가스유도판(33)에는 상기 차단판에 형성된 통기관(322)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고정공(331)이 형성되어 상기 통기관에 고정공을 삽입함으로써 가스유도판(33)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스유도판(33)의 저면과 돌출관(332)에는 가스유입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유로(3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334)는 내부의 가스유입공(333)에 공급된 가스를 외부로 일정량 배출시키는 부분으로 유로의 깊이나 폭에 따라 배출되는 가스의 량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유로는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의 단면으로 홈을 형성하거나, 삼각형 또는 반원의 형태등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스유도판(33)의 상부면에 작은 통공을 다수 형성하여 유로와 통공을 통해 동시에 가스불꽃을 발생하도록 하여 화망의 면적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캡(34)은 상기 가스유도판(33)의 가스유입공(333)을 밀폐시켜 공급된 가스가 유로(334)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단턱(342)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내측에 가스유도판의 돌출관(332)이 안치되도록 하여 캡(34)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의 단턱(342)길이는 가스유도관의 돌출관(332) 돌출길이보다 작게형성하여 캡에 의해 돌출관에 형성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는 본체(20) 상부면과 헤드부(30)의 이격된 틈을 헤드부의 차단판(32)이 덮도록 설치하여 음식물의 액상적하물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헤드부(30)의 하부가 밀폐됨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이 감소하여 화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판의 상하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관(322)을 헤드부의 중심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써 공급산소의 저하로 인한 화력손실을 방지하였다.
아울러 액상적하물이 본체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 상부면에 포집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체 상부면에 굴곡을 형성하여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중앙부분에 요(凹)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본체 상부면의 전면과 후면에는 가이드대(24)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굴곡에 의해 돌출된 부분과 가이드대(24)에 내측에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차단판(32)과 본체 상부면의 접촉부분으로 포집된 액상적하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과 접하는 본체상부면 부분을 상부로 돌출시킨 융기부(25)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체 상부면의 굴곡에 의한 돌출부분과 가이드대 및 내부의 융기부 사이에 포집공간이 형성되어 액상적하물이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스렌지는,
화구인 헤드부에 차단판을 장착하여 차단판에 의해 헤드부와 덮개의 이격된 틈을 제거하고, 상기 차단판에 하부와 상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통기관을 더 설치하여 가스의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 상부면 양측에 굴곡으로 돌출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가이드대를 돌출형성하여 내측에 포집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헤드부의 구성요소중 가스유도판과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가스렌지 20 : 본체
21 : 가스캔결합부 22 : 삼발이
23 : 조절레버 24 : 가이드대
25 : 융기부 30 : 헤드부
31 : 가스배출관 32 : 차단판
33 : 가스유도판 34 : 캡
311 : 고정편 312, 342 : 단턱
321 : 결합구 322 : 통기관
323 : 차단익부 331 : 고정공
332 : 돌출관 333 : 가스유입공
334 : 유로

Claims (4)

  1. 가스를 공급연소시켜 각종 음식물의 조리를 실내외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렌지에 있어서,
    일측에 가스캔을 착탈하는 가스캔결합부(21)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가스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23)가 장착된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장착된 가스캔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화구인 헤드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30)는,
    상부 외주면에 단턱(312)이 형성된 원형의 통체로 저면에는 판체의 고정편(311)이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본체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장착된 가스캔에서 공급된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이송관이 내입되도록 하는 가스배출관(31)과;
    상기 가스배출관(31) 상부에 형성된 단턱(312)에 결합 안치되도록 중앙에 결합구가 형성된 원형판체로, 가장자리는 본체(20)와 헤드부(30)의 이격틈을 제거하게 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차단익부(32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차단판(32)과;
    상기 차단판(32)의 상부에 안치되는 원형판체로,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관(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의 상면과 원형판체의 저면에는 중앙의 가스유입공(33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유로(334)가 형성된 가스유도판(33)과;
    상기 가스유도판(33)의 돌출관을 일부 내포하도록 저면일측에 단턱(342)이 형성되고 가스유입공을 밀폐하여 유입된 가스가 유로로 배출되도록 하는 캡(34);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2)에는 다수의 통기관(322)을 결합구(321)에 근접설치하되 결합구를 중심으로 등간격배치하여 하부와 상부를 연통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스유도판(33)에는 상기 통기관(322)이 삽통되도록 다수의 고정공(331)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상부면 중앙 부분이 요(凹)부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의 양측면을 굴곡에 의해 돌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 상부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대(24)를 더 돌출시켜 굴곡에 의해 돌출된 부분과 가이드대에 의해 내측에 액상적하물을 포집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KR20-2005-0024433U 2005-08-24 2005-08-24 휴대용 가스렌지 KR200400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33U KR200400506Y1 (ko) 2005-08-24 2005-08-24 휴대용 가스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33U KR200400506Y1 (ko) 2005-08-24 2005-08-24 휴대용 가스렌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923A Division KR100730576B1 (ko) 2005-08-24 2005-08-24 휴대용 가스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6Y1 true KR200400506Y1 (ko) 2005-11-08

Family

ID=4370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33U KR200400506Y1 (ko) 2005-08-24 2005-08-24 휴대용 가스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3905B1 (en) Gas burner, in particular for a cooking appliance
RU2459151C2 (ru) Модульная горелка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ей,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конфорки
KR20180024635A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JP5074219B2 (ja) フライヤー
EP1013206B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CN104970708A (zh) 烹饪设备
KR10073057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KR20100048458A (ko) 가스버너
AU2774100A (en) Venting system for gas oven
KR200400506Y1 (ko) 휴대용 가스렌지
CN103851616A (zh) 燃烧器及烹调机
KR101035696B1 (ko) 고효율 가스 버너
JP5941829B2 (ja) ガスコンロ
US7363923B2 (en) cooking range assembly and monolithic drip pan
KR200438329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구조
JP5587684B2 (ja) グリル
JP4929259B2 (ja) グリル
JP2007139312A (ja) コンロバーナ
JP4681021B2 (ja) 網焼き式ガスロースター
JP3896046B2 (ja) 炭焼き用無煙ロースター
JP2009210206A (ja) コンロ
JP4022540B2 (ja) ガスロースターの立消え安全装置
JP2000232945A (ja) 両面焼グリル
CN214891364U (zh) 便于清理出气通道的炉头组件及包含其的灶具
JP2012098025A (ja) コンロ装置及びコンロ装置を利用する暖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