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439A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439A
KR20040050439A KR1020020078281A KR20020078281A KR20040050439A KR 20040050439 A KR20040050439 A KR 20040050439A KR 1020020078281 A KR1020020078281 A KR 1020020078281A KR 20020078281 A KR20020078281 A KR 20020078281A KR 20040050439 A KR20040050439 A KR 20040050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member
seating portion
seat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명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439A/ko
Publication of KR2004005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4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7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different elements of fixed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컵안착부(110)가 형성된 통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에 컵안착부(110)의 내측면에 접하며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220)와, 컵안착부(110)로 삽입되는 용기(300)의 외측면이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지지부(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크기와 상이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300)를 통형의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에 안착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3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를 삽입시켜 주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 됨으로서, 차량을 조립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용기가 안착되어 보관되는 케이스의 안착부 상부에 용기의 외측면에 접하는 지지부재를 설치시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캔이나 컵등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안치할 수 있는 컵홀더를 설치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차량을 운행중 음료수등을 마신 후에도 내용물이 남아있는 캔이나 컵등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보관해 가면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컵홀더는 콘솔박스 또는 도어의 암레스트에 구비되기도 하며, 때로는 별물로 제작되어 벤틸리에터그릴등에 부착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컵안착부(110')가 형성된 통형의 케이스(1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는 차량을 운행중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음료수를 마시고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에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음료수 용기(300')를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에 삽입시켜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컵홀더는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의 사이즈가 일정한 크기로 정해져 있는 관계로, 상기 컵안착부(110')의 내경보다 사이즈가 작은 음료수 용기(300')를 컵안착부(110')에 삽입시켜 보관시에는, 상기 용기(300')가 자동차를 운행시 발생되는 원심력이나 관성력 및 도로사정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용기(300')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차실내로 쏟아져 시트나 승객의 의류등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3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 컵안착부(110')에 사이즈가 작은 음료수 용기(300')를 보관시에도, 상기 용기(300')가 자동차를 운행시 발생되는 원심력이나 관성력 및 도로사정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지지부재(200')를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크류(500')등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해 지지부재(200') 자체를 케이스(100')에 체결시키거나 별도의 지지부재고정용플레이트(400')를 이용해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지지부재(200')가 설치되도록 해야 함으로서, 상기 컵안착부(110')에 지지부재(200')를 설치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조립성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컵안착부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에 컵안착부의 내측면에 접하며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컵안착부로 삽입되는 용기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크기와 상이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통형의 케이스에 형성된 컵안착부에 안착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설치시,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컵안착부의 상부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삽입시켜 주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 됨으로서, 차량을 조립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컵홀더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컵홀더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110 : 컵안착부
111 : 결합홈112 : 지지돌기
200 : 지지부재210 : 지지부
220 : 고정부221 : 삽입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홀더도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컵안착부(110)가 형성된 통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200)에 컵안착부(110)의 내측면에 접하며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220)와, 컵안착부(110)로 삽입되는 용기(30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지지부(210)가 일체로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22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돌기(22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21)가 삽착되는 결합홈(111)이 컵안착부(110)에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컵안착부(110)의 상부에는 지지부재(200)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부(2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12)가 형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고정부(220)의 외측면이 컵안착부(1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삽입을 시켜주는 것에 의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용기(300)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10)가 컵안착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0)의 고정부(220) 저면은 컵안착부(110)에 형성된 지지돌기(112)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0)가 컵안착부(110)의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2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221)는 컵안착부(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삽착되면서, 지지부(210)에 지지되면서 컵안착부(110)에 안착이 이루어진 컵과 같은 용기(300)를 인출시에도 지지부재(200)가 컵안착부(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크기와 상이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300)를 통형의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에 안착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3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를 삽입시켜 주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 됨으로서, 차량을 조립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컵안착부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에 컵안착부의 내측면에 접하며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컵안착부로 삽입되는 용기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크기와 상이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통형의 케이스에 형성된 컵안착부에 안착시켜 보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설치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컵안착부의 상부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컵이나 캔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삽입시켜 주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 됨으로서, 차량을 조립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컵안착부(110)가 형성된 통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컵안착부(1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에 컵안착부(110)의 내측면에 접하며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220)와, 컵안착부(110)로 삽입되는 용기(300)의 외측면이 접하면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지지부(21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돌기(22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21)가 삽착되는 결합홈(111)이 컵안착부(110)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안착부(110)의 상부에는 지지부재(200)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부(2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20020078281A 2002-12-10 2002-12-10 자동차용 컵홀더 KR20040050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281A KR20040050439A (ko) 2002-12-10 2002-12-10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281A KR20040050439A (ko) 2002-12-10 2002-12-10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439A true KR20040050439A (ko) 2004-06-16

Family

ID=3734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281A KR20040050439A (ko) 2002-12-10 2002-12-10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4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397B1 (ko) * 2005-10-28 2007-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100797558B1 (ko) * 2005-08-17 2008-01-24 권윤회 자동차도어용 컵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58B1 (ko) * 2005-08-17 2008-01-24 권윤회 자동차도어용 컵홀더
KR100667397B1 (ko) * 2005-10-28 2007-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755A (en) Resilient container holder
RU2695931C2 (ru) Магнитное крепежное средство и потолочный обивочный узел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7413154B2 (en) Vehicle cup holder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KR100634650B1 (ko) 컵 홀더 삽입형 컵 어댑터
KR20040050439A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05289351A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7161086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2899803B1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100667397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03061778A (ja) シート構造
KR100506919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3556976B2 (ja) カップホルダ
KR100376444B1 (ko) 컵 크기 조절용 컵 홀더
KR0113603Y1 (ko) 쓰러짐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508441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0825404B1 (ko) 탈.부착식 보조 컵홀더
KR200161584Y1 (ko) 차량용 컵 홀더
JP4467420B2 (ja) 車両用内装品
KR20030024507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9980062318A (ko) 고정러버(rubber)가 형성된 차량의 컵홀드(holder)
KR0136415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274409B1 (ko) 시프트 레버 지지장치
KR19980053192U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의 수납물 고정 장치
KR0132040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19980041383U (ko) 차량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