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207A -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207A
KR20040050207A KR1020020077889A KR20020077889A KR20040050207A KR 20040050207 A KR20040050207 A KR 20040050207A KR 1020020077889 A KR1020020077889 A KR 1020020077889A KR 20020077889 A KR20020077889 A KR 20020077889A KR 20040050207 A KR20040050207 A KR 2004005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rrier body
vehicle
roof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872B1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8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루프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 마련된 루프캐리어가 너무 높은 곳에 위치되어 물건을 싣고 내리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는 바, 물건을 싣고 내릴 때 루프캐리어가 자동차의 루프보다 낮은 곳으로 위치 이동되어 보다 편리하게 물건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이동장치는, 차량의 루프 위에 판재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위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건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캐리어몸체와, 상기 캐리어몸체 후단의 높이가 상기 차량의 루프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캐리어몸체의 후단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차량후방의 양측면에 마련된 캐리어암과, 상기 캐리어암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캐리어암의 타측단에 고정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며, 차량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Moving apparatus of automobile roof carri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루프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 마련된 루프캐리어가 너무 높은 곳에 위치되어 물건을 싣고 내리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는 바, 물건을 싣고 내릴 때 루프캐리어가 자동차의 루프보다 낮은 곳으로 위치 이동되어 보다 편리하게 물건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 수요동향을 보면, 판매차량의 대부분이 경제성과 활동성이 부각되는 RV(recreational vehicles)나 SUV(sports utility vehicles)와 같은 다목적 차량들이고, 소비자들 또한 실용적이고 각종 편의성이 제공되는 다목적 차량을 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목적 차량은 평상시엔 출퇴근용의 운송수단으로 사용하다가, 주말엔 가족들과 야외에 나가 한적한 시간을 보내기에 유용한 레저수단의 자동차를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다목적 차량의 루프에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루프캐리어(roof carrier)가 설치되어 있다.
도1은 루프캐리어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 상부에는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마련된 루프캐리어(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루프캐리어(2)에는 차실 내에 싣기 어려운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이나차실내 공간이 좁을 때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의 높이가 승용차에 비하여 높은 RV나 SUV와 같은 차량에 설치된 루프캐리어(2)에는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아 루프캐리어(2) 가까이에 접근하기 위한 사다리(미도시)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사다리를 오르내리며 짐을 하역하는 작업은 매우 힘들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사람이 아래 떨어져 낙상할 소지가 있는 매우 위험천만한 일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루프의 높이가 높은 차량에 설치된 루프캐리어에 짐을 하역하고자 할 때, 루프캐리어가 사용자의 손이 직접 닿을 수 있는 차량의 루프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루프캐리어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루프캐리어의 하역 작업시 발생될 소지가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데 있다.
도1은 루프캐리어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이동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측면도,
도3은 도2의 "A"방향에서 루프캐리어를 바라본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이동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프3 : 후방범퍼
10 : 베이스플레이트11 : 탄성부재
12 : 스톱퍼20 : 캐리어몸체
21 : 힌지핀21a : 분할핀
30 : 캐리어암31 : 캐리어암의 일측단
32 : 캐리어암의 타측단40 : 구동모터
41 : 회전축50 : 작동버튼
51 : 배터리60 : 제어부
61 : 스톱센서62(62a,62b) : 감지대상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이동장치는, 차량의 루프 위에 판재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위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건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캐리어몸체와, 상기 캐리어몸체 후단의 높이가 상기 차량의 루프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캐리어몸체의 후단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차량후방의 양측면에 마련된 캐리어암과, 상기 캐리어암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캐리어암의 타측단에 고정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며, 차량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와 작동버튼 사이에는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몸체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는 스톱센서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이동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방향에서 루프캐리어를 바라본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 이동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이동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캐리어몸체(20)와, 캐리어암(30)과, 구동모터(40)와, 작동버튼(50)으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차량의 루프(1) 위를 커버하도록 루프(1)에 판재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루프(1)에 설치하는 것은 후술할 캐리어몸체(20)가 이동될 때 캐리어몸체(20)에 의하여 루프(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캐리어몸체(20)가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1)는 매끄러운 평면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완만한 곡면상태를 가지며 각종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루프(1) 위에서캐리어몸체(20)가 이동하게 되면 루프(1)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캐리어몸체(20)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면은 마찰계수가 매우 작은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물건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상기 캐리어몸체(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이며, 상기 캐리어몸체(20)의 후단 양측면에는 캐리어몸체(20)와 일체로 형성된 힌지핀(21)이 소정길이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몸체(20)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후술할 구동모터(4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캐리어몸체(20)에 외력을 전달하는 캐리어암(30)의 일측단(31)은 상기 캐리어몸체(20)의 힌지핀(21)과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암의 일측단(31)에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이 힌지공에 상기 캐리어몸체 후단에 형성된 힌지핀(21)이 끼워지고, 그 캐리어암의 일측단(31)이 힌지핀(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핀(21)의 끝단에는 분할핀(21a)이 끼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캐리어암(30)의 타측단(32)은 구동모터(40)와 일체로 된 회전축(41)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암(30)이 상기 구동모터(4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캐리어암의 일측단(31)에 연결된 상기 캐리어몸체(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암의 타측단(32)과 구동모터의 회전축(41)은 회전력의 원활한 전달을 위하여 도2의 원 안에 나타낸 것처럼 기어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캐리어암의 타측단(32)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축공이 형성되고 그 축공의 내주면에는 연속되는 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공에 끼워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41)에는 상기 축공의 기어와 치합 가능하도록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이 그대로 캐리어암(30)에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0)는 차량의 후방 일측에 내장되게 설치되면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후방범퍼(3)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터(40)는 차종이나 스타일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0)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이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캐리어암(30)을 매개로 상기 캐리어몸체(20)를 차량의 후방 또는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여야만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40)에 배터리(51)의 전원을 인가하는 작동버튼(50)이 연결된다. 상기 작동버튼(50)은 상기 구동모터(4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캐리어몸체(20)가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50)은 상기 구동모터(40)에 직접 연결되어구동모터(40)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40)와 작동버튼(50) 사이에 제어부(60)가 설치되어, 캐리어몸체(20)가 원하는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면 작동버튼(50)과 구동모터(40)의 연결을 끊어서 상기 구동모터(50)가 계속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움직이는 경로 중에서 최전방에 위치될 때와, 최후방에 위치될 때를 파악하여 캐리어몸체(20)가 그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모터(40)의 전원을 끊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여기서의 제어부(60)는 별도로 마련되어도 되나,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인 ECU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60)는 캐리어몸체(20)가 정지되어야 할 위치를 감지하는 스톱센서(61)로부터 신호를 받는데, 상기 스톱센서(61)는 상기 캐리어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톱센서(61)는 캐리어몸체(20)와 일체로 움직이면서 캐리어몸체(20)가 정지되어야 할 위치에서 출력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상기 스톱센서(61)가 캐리어몸체(20)의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센서(61)의 이동경로 상에 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 전방과 후방에는 감지대상체(6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캐리어몸체(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슬라이딩되다가 스톱센서(61)가 상기 2개의 감지대상체(62) 중 어느 하나의 감지대상체와 대응하게 되면, 상기 스톱센서(61)가 상기 제어부(6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구동모터(40)가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몸체(2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감지대상체(62)를 프론트감지대상체(62a)라고 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을 리어감지대상체(62b)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센서(61)는 여러 가지 타입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톱센서가 홀(hall)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대상체(62)는 상기 홀 센서가 감지하기 용이한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차량의 루프(1)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처음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는 상기 구동모터(40)와 연결된 캐리어암(30)의 회전력에 의하여 복귀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구동모터(40)에 큰 부하가 걸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처음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선단부 일측과 상기 캐리어몸체(20)의 선단부 일측 사이에는 탄성부재(11)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부재(11)는 인장스프링이며,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인장되었다가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다시 복귀될 때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몸체(20)에 당김력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몸체(20)가 처음의 위치로 용이하게 돌아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될 때 캐리어몸체(20)의 선단과 접촉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는 돌출된 스톱퍼(12)가 형성되는 것이좋다. 상기 스톱퍼(12)는 상기 캐리어몸체(20)에 초기 위치를 정하여 줄뿐만 아니라 차량의 급정거시에 캐리어몸체(20)가 차량의 앞쪽으로 밀리는 것 또한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높이가 높은 RV나 SUV와 같은 차량의 루프(1)에 설치된 캐리어몸체(20)에 물건을 싣고자 할 때는 작동버튼(50)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60)가 배터리(51)의 전원을 구동모터(40)에 인가하여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이 캐리어암(30)에 전달되어 상기 캐리어암(30)이 캐리어몸체(20)를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몸체(20)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캐리어몸체(20)의 후단이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보다 낮은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몸체(20)는 상기 구동모터(40)에 의하여 차량의 후방으로 서서히 이동되다가 캐리어몸체(20)의 스톱센서(61)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리어감지대상체(62b)와 일치되면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60)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구동모터(40)로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캐리어암(30)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캐리어몸체(2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1)는 최대로 인장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4와 같은 상태에서 캐리어몸체(20)에 짐을 실은 다음 작동버튼(50)을 다시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40)는 조금 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캐리어암(3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캐리어암(30)은 차량의 전방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캐리어몸체(20)는 서서히 차량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는데, 이때 상기 캐리어몸체(2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1)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몸체(20)는 좀 더 용이하게 처음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렇게 차량의 전방측을 향하여 이동되던 상기 캐리어몸체(20)는 상기 프론트감지대상체(62a)에 스톱센서(31)가 일치되면 상기 구동모터(40)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캐리어몸체(20)는 더 이상 앞쪽으로 이동될 수 없고 캐리어몸체(2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12)에 의하여 앞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에 의하면, 루프캐리어가 사용자의 손이 닿는 낮은 곳으로 위치 이동되므로 루프캐리어에 짐을 하역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차량의 루프와 연결되는 사다리가 삭제되고, 무엇보다도 루프캐리어에 짐을 하역하는 작업 중에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사라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루프(1) 위에 판재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건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캐리어몸체(20);
    상기 캐리어몸체(20)의 후단에 일측단(31)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3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캐리어암(30);
    상기 캐리어암(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캐리어암의 타측단(32)에 고정결합되는 회전축(41)을 가지며, 차량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5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0)와 작동버튼(50) 사이에는 구동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캐리어몸체(20)의 정지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캐리어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스톱센서(61)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센서(61)가 상기 캐리어몸체의 정지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스톱센서(61)의 이동경로 상에 있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 전방과 후방에는 스톱센서가 인식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감지대상체(6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선단부 일측과 상기 캐리어몸체(20)의 선단부 일측 사이에는 상기 캐리어몸체(20)가 초기 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KR10-2002-0077889A 2002-12-09 2002-12-09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KR10051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89A KR100513872B1 (ko) 2002-12-09 2002-12-09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89A KR100513872B1 (ko) 2002-12-09 2002-12-09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07A true KR20040050207A (ko) 2004-06-16
KR100513872B1 KR100513872B1 (ko) 2005-09-09

Family

ID=3734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889A KR100513872B1 (ko) 2002-12-09 2002-12-09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9857B2 (en) 2016-12-01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vehicle tilt
KR20200015991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CN113993745A (zh) * 2019-06-25 2022-01-28 尹南浩 车辆用多关节升降车顶行李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673A (en) * 1975-03-06 1976-12-28 Anderson Edward C Boat loader
US4269561A (en) * 1979-04-05 1981-05-26 Rutten Paul J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bjects relative to a carrier vehicle
JPS6258242U (ko) * 1985-09-30 1987-04-10
JPH0177540U (ko) * 1987-11-13 1989-05-25
JP2707211B2 (ja) * 1994-05-13 1998-01-28 有限会社シンモリ電気設備 自動車のルーフ用積荷運搬装置
JPH11115640A (ja) * 1997-10-18 1999-04-27 Isuzu Motors Ltd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ア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9857B2 (en) 2016-12-01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vehicle tilt
KR20200015991A (ko) *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CN113993745A (zh) * 2019-06-25 2022-01-28 尹南浩 车辆用多关节升降车顶行李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872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8394B2 (en) Seat folding apparatus with a passive radio frequency link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US5337190A (en) Retractable rear under view mirror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853220A (en) Armrest for a motor vehicle sea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n accessory
US20230008195A1 (en) Systems for accessing cargo spaces on vehicles equipped with a tailgate assembly
KR20190119704A (ko) 차량용 콘솔장치
JP2013174077A (ja) 開閉体制御装置
EP3924220B1 (en) Rotatable box step
KR100513872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의 이동장치
US20230255840A1 (en) Lift assembly for a passenger vehicle
JPH01127430A (ja) 自動車のリアアンダービューミラー
JP2687601B2 (ja) 自動車用スポイラ装置
GB2171892A (en) Safety belt presenter
KR100506014B1 (ko) 차량의 자동 밀림방지장치
EP1123838A3 (de) Verzur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Laderaum
JPS6326576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位置制御装置
KR100262570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자동 절첩장치
KR0119970B1 (ko) 자동차의 절첩식 리어시트구조
JP3788934B2 (ja) 挟み込み検出装置及び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EP1562766A1 (fr) Toit retract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JPH1059069A (ja) サイドミラーの支持装置
JPH03193536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US20220379854A1 (en) Trailer brake controller and itrm boo interface
KR20020055976A (ko) 자동차용 시트백 자동 조절 장치
JPH08198014A (ja) 車両用ステップ装置
JP2005297839A (ja) アクティブニーボル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