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313A - 자동 세발기 - Google Patents

자동 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313A
KR20040049313A KR10-2004-7004766A KR20047004766A KR20040049313A KR 20040049313 A KR20040049313 A KR 20040049313A KR 20047004766 A KR20047004766 A KR 20047004766A KR 20040049313 A KR20040049313 A KR 2004004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ucket
subject
chair
tr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578B1 (ko
Inventor
마쯔나가히데아키
유키타케나리
니시무라토모
노로마사루
요시이타쯔히코
이토마사쯔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테크노 클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테크노 클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4Closed washing devices, e.g. wash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0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with head-rests; with pap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별도로 범용의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어, 외관을 좋게 하며, 사용감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자동 세발기(1)에서는 세발 시에 피세발자가 앉기 위한 좌석 (2)과, 세발을 위하여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배치하는 물통(13)을 공통의 하우징(3)에 의해 지지한다. 하우징(3)은 물통(13) 내에 온수를 자동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4)을 수용하면서 지지한다. 좌석(2)을 자동 세발기(1)에 일체로 설치한 것이므로 별도의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어, 외관도 좋다. 좌석(2)의 하방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상기 공간에 온수 저장 탱크(45) 등의 분사수단(4)의 기능부품을 배치하여, 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좌석(2)의 등받이(8)는 경사지게 눕혀지고, 자연스럽게 안면이 바로위를 향하도록 하여, 피세발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좌석(2)의 시트부(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여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13)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세발기{AUTOMATIC SHAMPOO MACHINE}
세정수(온수, 샴프액이 혼합된 온수, 트리트먼트액이 혼합된 온수 등)를 피세발자의 머리부 및 머리카락에 분사하여 자동 세발을 실행할 수 있는 자동 세발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동 세발기는, 예컨대, 미용실 등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양호하게 세발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객에게 호평을 얻고 있다.
자동 세발기는 하우징 내에 세발을 위한 물통을 갖고, 이 물통의 상부에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넣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자동 세발기의 전방에는 피세발자를 위한 의자가 설치된다. 피세발자는 의자에 앉고, 의자의 등을 후방으로 눕힘으로써 위를 향하게 되어 머리부를 물통의 개구에 삽입하여 세발이 이루어진다.
세발 시에 이용되는 의자는 눕힐 수 있는 범용의 의자이며, 자동 세발기와는 별도로 준비된다.
그런데, 미용실에서는 가게의 분위기가 중요시되고, 가게에서 이용되는 자동 세발기에도, 예컨대, 비일상적인 디자인, 가게의 내장 등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이 채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자인의 자동 세발기에는 범용의 의자는 어울리지 않는다.
또한, 범용의 의자는 자동 세발기에 적합한 것이 아닌 경우가 있고, 의자를 자동 세발기에 맞추기 어렵고, 세발 시에 누수가 생기는 경우도 있으므로 범용의 의자를 이용하지 않는 자동 세발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발소,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자동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도시하는 자동 세발기의 외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자동 세발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고, 피세발자도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자동 세발기의 수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좌석의 위치조절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자동 세발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와 다른 좌석의 위치조절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 도 6과 다른 좌석의 위치조절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물통의 위치조절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좌석의 등받이의 세우기 및 눕히기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세운 자세를 도시한다.
도 10은 좌석의 등받이의 세우기 및 눕히기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눕힌 자세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 세발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물통 유지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의자 유지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자동 세발기의 조립후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세발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8은 물통 유지대와 의자 유지대를 프레임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세발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외관이 양호한 자동 세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감이 향상된 자동 세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위로 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물통; 상기 물통에 수용된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자동적으로 세발하기 위하여 온수를 분사하는 분사수단; 상기 물통의 전방에 배치된 피세발자가 세발을 위해 앉는 좌석; 및 상기 좌석과 물통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자동 세발기에 일체로 설치된 좌석이 있으므로 별도로 범용의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자동 세발기에서는 물통과 좌석의 일체적인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고,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시트부와 등받이를 갖고, 이 등받이는 전방으로부터 물통을 향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눕혀지고,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는 피세발자가 기댔을 때에안면이 거의 바로위를 향하는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좌석에 앉은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물통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물통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와 피세발자의 머리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간극으로부터의 세발 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이 거의 바로위를 향하는 경사 각도이면 머리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시트부는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에 적절하게 확실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에 바람직하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3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시트부는 상기 등받이의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시트부의 높이에 상관없이 좌석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시트부는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에 적절하게 확실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에 바람직하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위치조절에 따라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예컨대, 등받이의 위치를 고정한 채로 시트부를 위치 조절하면 시트부와 등받이 사이에 단차가 생겨 좌석의 착석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청구항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시트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좌석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위치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에 적절하게 확실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에 바람직하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시트부와 등받이를 갖고, 이 등받이는 세우거나 후방으로 눕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등받이를 눕힘으로써 피세발자를 세발을 위한 위를 향하는 자세로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좌석의 하방에 상기 분사수단의 기능부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좌석의 하방의 빈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기능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9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하방에 지지되는 기능부품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통예로 대형으로 되는 탱크를 좁은 물통의 하방 공간에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통의 하방 공간에서의 관, 밸브 등의 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이들 부품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을 위한 조작패널이 추가로 구비되고, 이 조작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석의 후단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물통의 입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조작패널을 위한 공간을 적게 하거나 없게 할 수 있으므로 물통의 입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결과, 조작자가 물통 내에 수용된 피세발자의 머리부에 가까이 하기 쉽고, 손씻기 등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자동 세발기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이동한 앞의 장소에서 세발을 행하기 때문에 세발을 위한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이동수단으로서는 차륜을 예시할 수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에는 피세발자를 마사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물통 내에서 분사되는 온수에 의한 머리부의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보다 쾌적한 세발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은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수용하고, 머리부를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발을 행하기 위한 세발 처리부; 세발 시에 피세발자의 몸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 및 상기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가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이다.
이 경우,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세발 처리부는 피세발자가 머리부를 삽입하기 위한 물통과, 이 물통을 유지하는 물통 유지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는 피세발자가 앉기 위한 의자와, 이 의자를 유지하는 의자 유지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컨대, 피세발자가 앉기 위한 의자는 그 등받이를 물통측으로 한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세발을 행할 때는 피세발자가 물통에 대해서 등을 향한 상태로 의자에 앉은 상태이기 때문에 등받이를 후방측으로 눕힘으로써 피세발자가 위로 향하게 되고, 머리부가 물통 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가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들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범용의 의자를 별개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해서 의자와의 일체감이 향상된다.
상기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의 설치는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를 연결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물통 유지부와 의자, 또는 물통과 의자 유지부가 연결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물통과 의자가 연결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는 서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4 또는 청구항15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자 유지부와 물통 유지부를 끼워맞춰 설치함으로써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 사이에 생기는 간극(끼워맞춤 간극)을 숨기기 위한 별도의 부재(외장 패널)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면 간극이 숨겨지므로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의 일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자동 세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부품(전기부품 박스; 예컨대,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의 제어를 관리하는 제어기판 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기부품은 상기 의자의 하방에 위치 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부품을 물통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기부품에 물이 닿아서 누전되거나 전기부품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자동 세발기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 및 상기 의자의 측방에 배치되고, 이 의자에 앉은 피세발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팔걸이의 피세발자가 팔을 올려놓는 위치보다 물통측에 연직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패널이 팔걸이의 피세발자가 팔을 올려놓는 위치보다 물통측에 연직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자동 세발기의 후방측에 서서 조작을 행하는 조작자(미용실의 작업자 등)는 조작패널을 조작하기 쉽다.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물통의 후방부 하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배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측에 가깝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물통의 후방부 하방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는 자동 세발기의 후방측으로부터 피세발자에 대해서 수동으로 세발을 행하는 경우, 빈 공간에 발을 넣음으로써 피세발자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세발을 행하기 쉽다.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은 세정수로서 이용하는 온수를 저장해 두기 위한 온수 저장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온수 저장 탱크는 상기 물통과 의자 사이에위치 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세발기이다.
통상, 세발 시에 의자의 등받이를 후방으로 눕히는 경우, 등받이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예컨대, 35°)까지밖에 눕혀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물통과 의자 사이에는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빈 공간이 생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빈 공간을 이용하여 양호하게 온수 저장 탱크를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자동 세발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자동 세발기의 외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자동 세발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도시하는 화살표 X, 좌우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 Y 및 상하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 Z를 필요에 따라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자동 세발기(1)는 피세발자가 세발 시에 앉기 위한 좌석(2)과, 이 좌석 (2)의 후방에 배치되는 물통(13)과, 이 물통(13)과 좌석(2)을 공통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하우징(3)을 갖고 있다. 하우징(3) 내에는 물통(13) 내에 있는 피세발자의 머리부에 온수를 분사하여 자동적으로 세발하기 위한 분사수단(4)이 배치된다. 분사수단(4)은 후술하는 펌프, 수로, 제어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3)은 좌석(2)의 하방에 배치되는 전방부(5)와, 이것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물통(13)을 수용하는 후방부(6)를 갖고 있다. 하우징(3)의 후방부(6)의 상면 중앙에는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물통(13)에 삽입하기 위한 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12)는 물통(13)의 상부에 형성되고, 물통 (13)의 내부에 머리부 및 머리카락이 수용된다.
입구(12)에는 피세발자의 얼굴의 주위를 덮는 후드(14)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후드(14)를 열어서 세발을 위하여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물통(13)에 수용한다. 세발 시에는 후드(14)는 닫혀지고, 피세발자는 좌석(2)에 않아 위로 향한 상태로 입구(12)에 머리부를 삽입하고, 얼굴을 후드(14)로부터 나온 상태로 세발된다.
후드(14)는 피세발자의 얼굴을 노출시키면서 물통(13)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기 위해 닫혀진 상태에서 전방부가 되는 부위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의 주위에는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 유연한 밀봉부재인 얼굴 밀봉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얼굴 밀봉부(15)는 피세발자의 안면을 따르면서 그 주위를 밀봉한다.
하우징(3) 내에는 좌석(2)의 시트부(7) 하방에 전기부품(17)이 배치되어 있다. 좌석(2)의 등받이(8)의 하방에는 세발용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 저장 탱크(45)가 배치되어 있다. 물통(13)의 하방에는 물통(13)으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한 관(93) 등을 포함하는 배수용 수로, 온수 저장 탱크(45)에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관(44) 등을 포함하는 급수용 수로, 및 온수 저장 탱크(45) 및 온수를 유출시켜 펌프(59)에 의해 물통(13) 내의 노즐로부터 분사시키기 위한 관(57,75) 등을 포함하는 분사용 수로가 배치되고, 이들 수로를 위한 관, 밸브 등의 수로 형성부재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3)의 상면, 예컨대, 좌석(2)의 팔걸이(9)가 되는 부분의 후방에는 조작패널(19)이 배치되어 있고, 여기에는 조작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도시안함)에 입력하기 위한 각종 키스위치(16)가 배열되어 있다. 이들 키스위치(16)를 조작함으로써 물통(13) 내에 온수가 분사되어 세발동작이 행해진다.
물통(13) 내에는, 도 2 및 도 3의 수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24,26,27~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노즐에는 머리부용 노즐 링크(이하, 「상부 노즐 링크」라 함.)(23) 및 넥라인(neckline)용 노즐 링크 (이하, 「하부 노즐 링크」라 함.)(25)에 배치되어 온수의 분사방향을 바꾸면서 분사할 수 있는 상부 노즐(24) 및 하부 노즐(26)과, 물통(13)의 측벽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 노즐(27~30)이 있다. 이들 고정 노즐(27~30)은 물통(13)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온수의 분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부 노즐 링크(23)는 물통(13) 내 상부에 설치되고, 여기에 삽입된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대략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노즐 링크(23)는 그 단부에서 물통(13)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피세발자의 머리부의 경사진 상방 및 경사진 하방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노즐 링크(23)에는 복수의 상부 노즐(24)이 머리부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부 노즐(24)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에 의해 머리부 및 머리카락의 근원부분을 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온수의 분사에 의해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노즐 링크(25)는 물통(13) 내에서 피세발자의 머리부 하방에 배치되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봉형상 축둘레에 회동가능하게 하부 노즐 링크(25)의 단부가 물통(13)의 측벽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노즐 링크(25)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하부 노즐(26)이 설치되어 있고, 머리부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하부 노즐(26)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에 의해 머리카락의 근원부분 및 넥라인부를 씻을 수 있다.
또한, 물통(13)의 측벽에는 복수의 고정 노즐(27~30)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노즐(27)은 물통(13)의 상대적으로 하방위치의 전후 내벽에 복수, 예컨대, 3개소에 설치되고, 주로 머리카락이 길 때에 머리카락의 선단부분을 씻기 위한 것이다. 이들 고정 노즐(27)은 단일의 관(86)에 접속되고, 이 관(86)으로부터의 온수를 분사한다. 고정 노즐(28,29,30)은 물통(13)의 상대적으로 상방위치의 후방 및 좌우 측방의 내벽에 설치되고, 주로 온수의 분사에 의해 두피를 마사지하기 위한 것이다. 각 고정 노즐(28,29,30)은 대응하는 각 관(87,88,89)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이들 각 노즐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자동 세발기(1)에서는 세발용 온수는 외부의 수도 및 온수 공급기로부터 공급된다. 수도에 연결되는 급수관(3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 공급부(40)를 경유하여 믹싱 밸브(41)에 주어진다. 물 공급부(40)는 수동밸브, 필터, 역지밸브, 축전지, 안전밸브 등을 유닛화한 것이다. 또한, 온수 공급기로부터의 온수 공급관 (33)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 공급부(42)를 경유하여 믹싱 밸브(41)에 주어진다. 온수 공급부(42)는 수동밸브, 필터, 역지밸브 등을 유닛화한 것이다. 믹싱 밸브(41)에서는 주어진 물과 온수가 혼합되고, 적절한 온도의 온수가 만들어진다. 믹싱 밸브(41)는 모터(39)에 의해 구동된다. 믹싱 밸브(41)에 의해 만들어지는 온수의 온도는 조작자가 조작패널(19)을 조작함으로서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믹싱 밸브(41)에 의해 만들어진 온수는 샤워(shower)밸브(47)가 열리면 공급호스(49)를 통해서 핸드 샤워(18)에 도입된다. 그 결과, 핸드 샤워(18)로부터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믹싱 밸브(41)에 의해 만들어지는 온수는 또한, 온수 공급밸브(43)가 열리면 공급관(44)을 통해서 온수 저장 탱크(45)에 공급된다. 공급관(44)에는 믹싱 밸브 (4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46)가 구비되어 있다.
온수 저장 탱크(45)의 내부에는 온수 저장 탱크(45)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수량을 검출하기 위한 하위 수량 센서(50) 및 상위 수량 센서(51)를 구비하고 있다. 하위 수량 센서(50) 및 상위 수량 센서(51)의 출력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의 온수 공급밸브(43)의 개폐 제어에 이용됨으로써 온수 저장 탱크(45) 내에 항상 적정량의 온수가 가득채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온수 저장 탱크(45)의 하방 위치에는 온수 저장 탱크(45)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52)가 구비되어 있다.
온수 저장 탱크(45)의 상방 위치에는 상위 수량 센서(51)에서 검출되는 수량 이상으로 온수가 온수 저장 탱크(45) 내에 저장된 경우, 그 여분의 온수를 온수 저장 탱크(45)의 외부에 넘쳐나오게 하기 위한 넘침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넘침 구멍(53)의 하방에는 배출통(55)이 구비되어 있다. 넘침 구멍(53)으로부터 넘쳐나온 온수는 배출통(55)에서 받아들여지고, 배출통(55)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수관(56)을 통해서 기기 밖으로 배수된다.
또한, 배출통(55)에는 수위 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배수관(56)에 일단 배수된 온수가 역류 등을 하여, 배출통(55) 내에 온수가 가득 찬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온수 저장 탱크(45)의 하방에는 유출관(57)이 접속되어 있다. 유출관(57)의 타단은 펌프(59)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59)는 인버터(58)로부터 교류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구동된다. 펌프(59)가 구동되면 온수 저장 탱크(45)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는 유출관(57)을 통해서 펌프(59) 내에 흡입된다.
유출관(57)의 도중부에는 샴프 공급관(61)과 트리트먼트 공급관(62)이 합류하고 있다. 샴프 공급관(61)은 샴프 용기(21)로부터 샴프용 펌프(65)를 통해 유출관(5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리트먼트 공급관(62)은 트리트먼트 용기(22)로부터 트리트먼트용 펌프(66)를 통해 유출관(57)에 접속되어 있다. 샴프 용기(21)는샴프액을 저장하고, 트리트먼트 용기(22)는 트리트먼트액을 저장한다. 이들 용기 (21,22)는 하우징(3) 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용기(21,22)를 하우징(3)의 상면에 노출시켜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샴프용 펌프(65)와 트리트먼트용 펌프(66)는 관(61,62)을 당김으로써 샴프 용기(21)나 트리트먼트 용기(22)에 저장되어 있는 샴프액이나 트리트먼트액을 각각 빨아올리고, 각 관(61,62)을 통해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펌프(59)가 인버터(58)에 의해서 구동되는 사이에 샴프용 펌프(65)가 구동되면 샴프 용기(21)에 저장되어 있는 샴프액이 샴프 공급관(61)을 통해서 유출관(57)에 공급된다. 그 결과, 온수에 샴프액이 혼입되어 샴프용 온수가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펌프(59)가 구동되는 사이에 트리트먼트용 펌프(66)가 구동되면 트리트먼트 용기(22)에 저장되어 있는 트리트먼트액이 트리트먼트 공급관(62)을 통해서 유출관(57)에 공급된다. 그 결과, 온수에 트리트먼트액이 혼입되어 트리트먼트용 온수가 만들어진다.
펌프(59) 내에 흡입된 온수, 샴프용 온수 또는 트리트먼트용 온수는 펌프 (59)의 출구측으로부터 토출된다. 펌프(59)의 출구측에는 복수, 예컨대, 8개의 분로(分路)로 나누어지는 분기관(75)이 접속되어 있다.
분기관(75)에는 필터(74)가 설치되고, 그 하류측의 각 분로 선단에는 8개의 밸브, 즉, 상부 노즐 밸브(76), 하부 노즐 밸브(77), 고정 노즐 밸브(78~81), 배수 밸브(82) 및 예비 밸브(83)가 접속되어 있다. 예비 밸브(83)는 생략하여도 좋다.예비 밸브(83)를 제외한 나머지 각 밸브를 통해서 관(84~9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관(84)의 선단은 상부 노즐 링크(23)에 접속되어 있다. 관(85)의 선단은 하부 노즐 링크(25)에 접속되어 있다. 관(86)의 선방부는 물통(13)의 외벽 외방에 배치되어 있고, 관(86)의 선방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27)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87~89)의 선단은 물통(13)의 측벽에 배치된 고정 노즐(28~3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관(90)의 선단은 물통(13)의 저면 하방에 연이어 설치된 배수 트랩(trap)(92), 배수관(93)을 통해서 배수관(56)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버터(58)에 의해서 펌프(59)를 구동하고, 또한, 각 밸브 (76~81)를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서 물통(13) 내의 원하는 노즐로부터 온수, 샴프용 온수 또는 트리트먼트용 온수를 분사시켜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자동적으로 세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노즐 링크(23) 및 하부 노즐 링크(25)는 세발 시에는 구동기구 (31)에 의해서 각각 요동 및 회동된다. 그 결과, 상부 노즐(24) 및 하부 노즐(26)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의 분사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구석구석 또한, 양호하게 세발할 수 있다.
세발 시, 피세발자는 그 머리를 물통(13)의 입구(12)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오목형상의 머리 적재부(11)에 올려놓아 위로 향하는 자세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자세를 실현하기 위하여 세발 시에 피세발자가 앉는 좌석(2)이 자동 세발기(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3)이, 좌석(2)을 물통(13)의 전방에 배치하여 좌석(2)과 물통(13)을 공통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자동 세발기(1)에는 일체로 설치된 좌석(2)이 있으므로 별도로 범용의 의자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자동 세발기에서는 물통(13)과 좌석 (2)의 일체적인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어, 외관이 좋다.
하우징(3)은 금속, 합성수지 등의 경질부재로 형성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을 단일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하우징(3)은 좌석(2) 및 물통(13)을 서로 위치 결정하면서 일체적으로 다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3)은 좌석(2) 및 물통(13)을 미리 정하는 상호 위치관계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하고 있다. 좌석(2) 및 물통(13)의 높이 위치, 전후의 위치, 좌우의 위치가 각각 규제된다.
하우징(3)은 좌석(2)과 물통(13)을 전후 좌우의 측방으로부터 둘러싸고, 그 전체 주위를 덮는 커버로서도 기능함으로서 좌석(2)과 물통(13)이 일체적으로 보여지는 외형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좌석(2)과 물통(13)을 일체적으로 보이도록 덮는 커버로서의 하우징(3)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관을 양호하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커버로서는 좌석(2) 및 물통(13)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다른쪽의 측방을 덮는 커버로 하여도 좋다.
하우징(3)은 좌석(2)을 지지하는 제 1 부분으로서의 전방부(5)와, 물통(13)을 지지하는 제 2 부분으로서의 후방부(6)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서의 중간부(10)를 포함하고, 물통(13)과 좌석(2)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본발명의 지지부재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로서는 물통(13)과 좌석(2)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것이면 좋고, 상기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연결부를 포함하면 좋다. 이들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서로 별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이들 각 부분이 물통(13) 및 좌석(2)의 적어도 한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연결부는 제 1 및 제 2 부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도 좋고, 물통(13)이나 좌석(2) 등의 별도 부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하여도 좋다. 예컨대, 연결부의 일단이 제 1 부분에 고정되고, 연결부의 타단이 제 2 부분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연결부의 일단이 좌석(2)에 고정되고, 연결부의 타단이 물통(13)에 고정되고, 연결부는 좌석(2) 및 물통(13)을 통해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연결하여도 좋다. 상기 연결부로서는 난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어도 좋고, 자동 세발기(1)의 외형을 형성하여 좌석(2)이나 물통(13)의 측방을 덮는 커버로서 기능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자동 세발기(1)에 일체인 좌석(2)은 세발에 적합한 전용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시트부(7)의 높이, 등받이(8)의 경사 각도, 물통(13)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머리 적재부(11)의 위치의 설정을 이하와 같이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고, 피세발자가 좌석(2)에 앉을 정도로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물통(13)의 입구 (12)에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좌석(2)은 상면에 거의 수평한 시트면을 갖는 상기 시트부(7)와, 이 시트부 (7)의 후방에 배치되어 시트부(7)에 대해서 경사지게 눕혀진 상기 등받이(8)와, 시트부(8)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팔걸이(9)를 갖고 있다. 또한, 등받이(8)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를 다르게 하는 것도 고려되고, 이하에서는 주로 세발 시의 상태를 기초로 설명한다. 그 이외의 상태에 관해서는 그때마다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좌석(2)의 등받이(8)는 전방의 시트부(7) 후단으로부터 물통(13)의 입구(12)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머리 적재부(11)를 향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눕혀져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규제된 좌석(2)에서는 좌석(2)에 앉은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물통(13)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머리 적재부(11)에 적절하게 또한 확실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물통(13)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머리 적재부(11)와 피세발자의 머리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간극으로부터의 세발 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석(2)의 각 부분(7,8,9)은, 도시하지 않지만 그 기본형상을 형성하며 앉은 피세발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와 피세발자 사이에 개재하여 착석감을 좋게 하기 위한 완충부재와, 이 완충부재를 덮는 피복부재를 갖고 있다. 완충부재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 쿠션을 예시할 수 있다. 피복부재는 직물, 가죽 등의 시트형상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7), 등받이(8), 및 팔걸이(9)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완충부재 및 피복부재를 생략하여도 좋고, 지지부재를 하우징 (3)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된다. 요컨대, 좌석(2)은 피세발자가 세발 시에 그 위에서 위를 향하게 될 수 있는 부재이면 좋다.
등받이(8)의 경사 각도(도 2의 DB 참조)는 세발을 위한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각도는 좌석(2)의 등받이(8)에 피세발자의 등을따라 기댄 상태로 피세발자가 머리의 힘을 뺀 자연스러운 상태일 때에 상기 피세발자의 안면이 거의 바로위를 향하는 경사 각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안면이 거의 바로위를 향하는 경사 각도는 안면이 수평으로 되는 경사 각도와, 안면이 약간 전방으로 향하는 경사 각도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안면이 수평으로 되는 경사 각도는 머리로부터 머리 꼭대기부를 연결하는 선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0도가 되는 경우에 대응하고, 구체적인 등받이(8)의 경사 각도는 30도에서 35도의 범위 내의 각도, 예컨대, 32도가 된다. 안면이 약간 전방으로 향하는 경사 각도는 머리로부터 머리 꼭대기부를 연결하는 선과 수평이 이루는 각도가 15도로 되는 경우에 대응하고, 구체적인 등받이(8)의 경사 각도는 50도로 된다.
이와 같이, 30도 이상 또는 50도 이하의 범위 내로 되고, 안면이 거의 바로위를 향하는 경사 각도로 됨으로써 머리를 무리없이 세발에 적합한 각도로 할 수 있다. 즉, 머리로부터 머리 꼭대기부를 연결하는 선이 대략 수평에서 머리 꼭대기부측이 올려지도록 되는 것이므로 이 선이 머리 꼭대기부측에서 내려가는 경우보다 머리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얼굴 밀봉부(15)와 피세발자의 이마 사이의 밀봉성능을 향호하게 유지하면서 조작자에 의한 손씻기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 각도가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30도에 가까울(머리가 수평에 가깝게 될)수록 안면이 바로위를 향하여 이마가 거의 경사지지 않도록 되므로 세발 시에 이마에 부착된 물방울이 이마를 타고 흘러 얼굴 밀봉부(15)에 가깝게 되기 어렵게 되는 결과, 얼굴 밀봉부(15)와 이마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세발 후에 후드(14)를 개방하였을 때에 이마나 머리부에 부착된 물방울이 안면에 흘러떨어지기 어렵게 되므로 피세발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 각도가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50도에 가까울(안면이 약간 전방 방향으로 될)수록 조작자가 쉽게 손씻기를 할 수 있다.
또한, 경사 각도가 50도를 초과하면 머리가 지나치게 일어서므로 물방울이 목덜미에 흐르는 것이나 피세발자의 이마와 얼굴 밀봉부(15) 사이의 밀봉성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경사 각도가 30도를 하회하면 머리 꼭대기부가 내려가도록 되고, 머리에의 부담이 증가하고, 손씻기의 작업성도 저하한다.
여기서, 등받이(8)의 경사 각도로서는 좌우방향을 절단하는 단면에 있어서 등받이(8)의 연장하는 방향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DB)이다. 이 경사 각도는 상기 각도 범위가 손씻기의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이마와 얼굴 밀봉부(15) 사이의 밀봉성능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등받이(8)의 경사 각도를 0도~30도의 범위 내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등받이(8)의 경사 각도는 조절가능하게 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세발을 위한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등받이(8)를 고정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확실히 세발에 최적의 자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석(2)의 시트부(7)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여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13)의 상부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머리 적재부(11)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어 누수의 방지에 바람직하다.
좌석(2)에는 시트부(7)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기구(68)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조절기구(68)는 좌석(2)의 시트부(7)를 등받이(8)의 경사의 방향 (화살표 DC 참조)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시트부(7)를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시트부(7)의 높이에 상관없이 좌석(2)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8)를 고정하여 둘 수도 있다.
위치조절기구(68)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7)를 지지하는 받침부(69)와, 이 받침부(69)를 등받이(8)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대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0)와, 받침부(69)를 가이드부재(70)를 따르게 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71)를 갖고 있다. 이동기구(71)는 하우징(3)에 지지되는 모터(101)와, 모터(101)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나사축(102)과, 이 나사축(102)에 나사결합하여 받침부(69)에 고정되는 너트(103)를 갖고 있다. 받침부(69)와 가이드부재(70)는 서로를 따르는 경사면을 각각 갖고, 이들 경사면은 등받이(8)의 경사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가이드부재(70)는 하우징(3)에 고정되고, 받침부(69)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직동(直動) 안내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동기구(71)의 모터(101)가 구동되면 나사축(102)이 회전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너트(103)와 함께 받침부(69)와 시트부(7)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트부(7)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위치조절기구(68)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이동기구(71)는 수동조작에 의해 받침부(69)를 이동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은 상기와 같이, 좌석(2)의 하방에 분사수단(4)의 기능부품을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좌석(2)의 하방의 빈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기능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석(2)의 하방에 지지되는 기능부품으로서는 전기부품(17), 온수 저장 탱크(45)를 예시할 수 있다. 전기부품(17)을 시트부(7)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전기부품(17)을 물통(13)으로부터 멀게 할 수 있으므로 만일 누수가 생기는 경우가 있더라도 전기부품(17)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수 저장 탱크(45)를 등받이(8)의 하방에 배치하고 있음으로써, 통예로 대형으로 되는 탱크를 물통(13)의 좁은 하방 공간에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통(13)의 하방 공간에서의 관, 밸브 등의 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하방 공간에 있는 기기, 부품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탱크로서는 세발에 사용하기 위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 저장 탱크(45) 외, 사용후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로 하여도 좋다.
또한, 통예로 대형으로 되는 온수 저장 탱크(45)를 물통(13)의 좁은 하방 공간으로부터 퇴피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물통(13) 주위의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사 등의 조작자가 물통(13), 또한 거기에 수용되는 피세발자의 머리부에 접근하기 쉽게 되고, 마무리의 손씻기 등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석(2)을 설치함으로써 자동 세발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대형화할 수 있으므로 자동 세발기(1)의 내부에 있는 기능부품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자동 세발기(1)의 표면에 있는 기능부품의 배치의 자유도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자동 세발기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재,예컨대, 샴프 용기 등을 자동 세발기(1)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세발기에서는 조작패널이 물통의 바로옆이 되는 상면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조작패널(19)은 물통(1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패널(19)은 좌석(2)의 시트부(7) 및 등받이(8)의 좌우의 측방이고, 또한, 좌석(2)의 등받이(8)의 후단(100)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물통 (13)의 입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조작패널(19)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통(13)의 입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폭, 또한 물통(13) 주위의 외형(평면형상)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자가 물통(13) 내에 수용된 피세발자의 머리부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손씻기 등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물통(13) 주위의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물통의 후방에 서서 손씻기할 수도 있다.
또한, 좌석(2)의 측방에 배치되는 조작패널(19)이면 후방에 선 조작자의 방해가 되지 않고, 상기 조작자가 조작패널(19)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도 없이, 작업에 집중할 수 있어, 작업하기 쉽다. 또한, 자동 세발시에는 정면에서 조작하기 쉽다. 또한, 손씻기 등의 작업에서는 통예로 조작패널(19)을 조작하는 것은 아니므로 문제없다.
또한, 조작패널(19)을 물통(13)의 입구(12)로부터 멀게 할 수 있으므로 물통의 바로옆에 접근하여 배치되는 종래의 조작패널에 비해서 물통(13)으로부터의 물방울이 조작패널(10)에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조작패널(19)은 분사수단(4)을 위한 조작부로서, 분사수단(4)의 동작이나 정지 등의 운전을 하기 위한 복수의 키스위치(16)와, 분사수단(4)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 표시소자 등의 복수의 표시부(20)를 포함한다. 조작패널(19)은 전후방향으로 긴 형상, 예컨대, 직사각형을 이루고, 좌석(2)의 등받이(8)의 바로옆이 되는 좌우방향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조작패널(19)의 전체가 물통(13)의 앞끝부의 내주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좌석(2)의 등받이(8)의 후단(10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물통(13) 주위의 외형을 보다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패널(19)의 일부가 좌석(2)의 후단(100)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여도 그 이외의 나머지 조작패널(19)의 부분을 좌석(2)의 측방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물통(13)의 입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조작패널(19)을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물통(13) 주위의 외형을 소형화할 수 있다. 요컨대, 조작패널(19)의 적어도 일부가 좌석(2)의 좌우 측방에서 좌석(2)의 후단 (10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조작패널(19)은 좌석(2)을 위한 조작부로서, 좌석(2)의 위치조절기구 (68)의 운전을 하기 위한 복수의 키스위치(16)와, 좌석(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좌석(2)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는 좌석(2)의 근처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세발기(1)에 이동수단으로서 하우징 (3)의 하부의 4코너에 지지되는 회동가능한 복수의 차륜(95)과, 자동 세발기(1)를누르기 위한 하우징(3)의 후방부에 고정된 봉부재(96)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로써, 자동 세발기(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한 앞의 장소에서 세발을 행할 때에는 세발을 위한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편리하다. 차륜(95)은 눌러짐으로써 그 방향으로 향하는 소위 캐스터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자동 세발기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좌석(2)의 등받이(8)에 피세발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수단으로서 진동기구(97)(도 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를 설치하여도 좋다. 진동기구(97)는 좌석(2)의 등받이(8)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8)의 내부 공간을 대신하여 좌석(2)의 등받이(8)의 등 뒤의 공간을 이용하여도 좋다. 진동기구(97)는 피세발자의 등을 비비도록 등을 누르면서 진동하는 부재를 갖고,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진동기구 (97)에 의해 물통(13) 내에서 분사되는 온수에 의한 머리부의 마사지 효과와 아울러서 보다 쾌적한 세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진동기구(97)에 의해 마사지되어 쾌감이 부여됨으로써 피세발자는 물통(13) 내에서의 소음을 느끼기 어렵게 되므로 체감 상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진동기구(97)를 위한 전원 등을, 세발을 위한 전원 등과 공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패널(19)에 마시지 기능을 위한 조작부로서, 진동기구(97)의 운전을 하기 위한 키스위치(16) 및 그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는 수단으로서, 좌석(2)의 시트부(7)의 높이 위치를 등받이(8)의 경사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구(68)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이하의 위치조절기구(68)를 설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위치조절기구(68)는 시트부(7)를 등받이(8)의 경사방향과 공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위치조절기구(6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7)를 상하방향만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여 그 높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위치조절기구(68)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7)를 전후방향만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하여 시트부(7)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13)에 적절하게 확실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에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하는 위치조절기구(68)에서는 받침부(69)는 가이드부재(70)에 의해 전후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안내됨으로써, 시트부(7)의 피세발자가 앉는 위치를 물통(13)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앉은키가 높은 피세발자의 경우에는 시트부(7)를 상대적으로 전방의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등받이(8)의 각도는 고정되어 있었지만 이것은 한정되지 않는다라는 것은, 예컨대, 등받이(8)의 위치를 고정한 채로 시트부(7)를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시트부(7)와 등받이(8) 사이에 단차가 생겨서 좌석(2)의 착석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7)의 위치조절에 수반해서 등받이(8)의 경사각도를 변화시켜도 좋다. 이로써, 상기 단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시트부(7)의 위치에 상관없이 좌석(2)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8)의 경사를 변화시킬 때에 시트부(7)의 후방부의 위치와, 등받이(8)의 하부의 위치를 맞추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시트부(7)와 등받이(8)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석감을 양호하게 유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좌석(2)의 등받이(8) 하부는 연결부재(107)를 통해서 시트부(7)의 후방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8)의 상부는 하우징(3)의 지주부(105)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부(105)와 등받이부 (8)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회동지점(106)으로 하여 이 회동지점(106)의 둘레에 등받이(8)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시트부(7)를 이동시키면 연결부재(107)를 통해서 등받이(8)의 하부도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등받이(8)가 회동지점(106)의 둘레로 회동한다. 도 6에서는 회동지점(106)의 위치는 고정된 채로 회동지점(106)의 둘레에 등받이(8) 전체가 경사진다. 또한, 도 7에서는 회동지점(106)의 위치가 경사방향으로 변천하면서 회동지점(106)의 둘레에 등받이(8) 전체가 경사진다. 시트부(7)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조절하는 도 7의 경우에는 시트부(7)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등받이(8)의 경사각도가 작게 된다(각도 D1〈각도 D2). 또한, 시트부(7)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하는 도 6의 경우에는 시트부(7)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등받이(8)의 경사각도가 크게 된다(각도 D3 〉각도 D4).
또한, 도 6 및 도 7의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부(7)의 이동에 연동하여 등받이(8)가 경사지도록 되어 있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등받이 (8)의 경사각도가 시트부(7)의 위치조절량에 따른 값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13)을 위치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기구(110)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로써, 좌석(2)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 경우여도 피세발자의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피세발자의 머리를 물통(13)의 머리 적재부(11)에 적절하게 확실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에 바람직하다.
위치조절기구(110)는 물통(13)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물통(13)의 상부의 입구(12)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한다. 위치조절기구(110)는 물통(13)의 하부의 후방 부분에 설치된 지지축(111)을 갖고 있다. 지지축(111)은 하우징(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111)의 축선의 둘레에 물통(13)을 전후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물통(13)의 하부에는 물통(13)을 경사지게 하기 위한 구동기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구(112)는 모터(113)와, 이 모터(113)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웜 축(114)과, 이 웜 축(114)과 맞물리는 부채꼴의 웜 휠(115)을 갖고 있다. 웜 휠(115)은 물통(13)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축(111)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터(113)가 구동되면 웜 휠(115) 및 물통(13)이 지지축(111)의 축선의 둘레로 회동하고, 물통(13)이 경사짐으로써 물통(13)의 입구(12)의 머리 적재부(11)가 전후방향으로 또한, 상하방향으로도 이동한다.
물통(13)의 경사의 조절범위의 중심은 표준 앉은키의 사람에 대응하는 경사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정하는 가장 앉은키가 높은 피세발자에 대응하는 경사일 때에 머리 적재부(11)가 가장 높은 위치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머리를 머리 적재부(11)에 맞추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13)을 경사지게 하는 것에 수반하여 물통(13)의 입구(12)의 머리 적재부(11)가 그리는 이동의 궤적이 등받이(8)의 경사방향에 대략 따르도록 하는 경우에는 피세발자의 자세를 세발에 적합한 자세로 유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13)의 주위에는 물통(13)의 경사에 따라 변경하면서 그 주위를 덮을 수 있는 가요성이 있는 커버(116)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116)는, 예컨대, 탄력을 갖은 고무제 부재에 의해 자바라(주름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동 세발기(1)의 내부의 소음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외부로부터 물방울이나 먼지 등의 이물이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물통(13)의 이동에 대응하여 좌석(2)의 등받이(8)는 짧게 형성되고, 등받이(8)의 후단(100)과 물통(13)의 전방부 사이에 간극이 개방되어 있다.
경사가능한 물통(13)이면 물통(13)의 위치조절을 위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물통(13)의 입구(12)의 위치를 좌석(2)에 대해서 조절가능하게 하는 구조로서는 물통(13)을 경사지게 하는 구조 외, 예컨대, 물통(13)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물통(13)을 상하방향, 전후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물통(13)의 입구(12)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좌석(2)의 시트부(7)도 위치조절가능하게 하여도 좋고, 시트부(7)의 위치를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좌석(2)의 등받이(8)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 (7)로부터 일어서도록 세우거나 후방으로 눕힐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등받이(8)는 시트부(7)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일어서는 선 자세와, 선 자세로부터 기울어진 눕힌 자세로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받이(8)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선 자세의 등받이(8) 하부에 설치된 지지축의 축선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눕힌 자세 및 선 자세로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8)는 모터, 감속기 등을 포함하는 동력 구동 기구에 의해 세우기 및 눕히기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고, 수동조작에 의해 핸들을 돌려서 감속기를 통해 세우기 및 눕히기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고, 등받이(8)에 고정된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조작에 의해 세우기 및 눕히기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등받이(8)를 세우기 및 눕히기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선 자세의 등받이(8)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세발자는 상체를 일으킨 자세가 된다. 또한, 눕힌 자세의 등받이(8)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세발자가 기댔을 때에 위로 향하게 되고, 이 자세로 세발이 행해진다.
등받이(8)를 눕힘으로써 피세발자를 세발을 위한 위를 향하는 자세로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다. 즉, 세발 전에는 등받이(8)를 선 자세로 한 좌석(2)에 피세발자가 앉는다. 등받이(8)를 눕히면 피세발자는 등받이(8)에 기대서 안내되면서 부드럽게 위로 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세발 후, 등받이(8)를 일으켜 세우면 피세발자는 등받이(8)에 기대면서 부드럽게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등받이(8)가 동력 구동되는 경우에는 피세발자가 일어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좌석(2)에는 시트부(7)에 앉은 피세발자의 다리의 종아리를 올려 쉬게 하기 위한 종아리 적재대(117)를 설치하여도 좋다.
종아리 적재대(117)는 피세발자의 종아리를 올리기 위한 적재면(118)을 갖고 있다. 또한, 종아리 적재대(117)는 피세발자가 세발 시에 종아리를 올릴 때의 적재 자세(도 10 참조)와 피세발자가 좌석(2)에 앉거나 좌석(2)에서 일어날 때에 피세발자가 허리를 올리거나 내릴 때의 퇴피 자세(도 9 참조)로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적재 자세에서는 적재면(118)은 상향에서 약간 전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서 시트부(7)의 전방에서 또한 시트부(7)의 시트면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좌석(2)에 앉은 피세발자의 종아리를 안락한 자세로 올릴 수 있다. 퇴피 자세에서는 적재면 (118)은 정면으로 향하고, 시트부(7)의 하방에 배치되어 피세발자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피세발자가 좌석으로부터 일어서기 쉽게 한다.
종아리 적재대(117)의 자세를 전환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퇴피 자세의 종아리 적재대(117)의 상부에는 지지축(119)이 배치된다. 이 지지축 (119)의 축선의 둘레에 종아리 적재대(117)는 회동가능하게 되어 하우징(3)에 지지된다. 종아리 적재대(117)와 등받이(8)는 연동기구(120)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연동기구(120)는 등받이(8)의 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종아리 적재대(117)를 회동시킨다. 연동기구(10)로서는 링크기구 등, 종아리 적재대(117)와 등받이(8)를 연동시킬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등받이(8)가 선 자세일 때는 종아리 적재대(117)는 퇴피 자세로 된다. 등받이(8)를 선 자세로부터 후방으로 눕히면 이것에 연동하여 종아리 적재대(117)의 하부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들어올려지고, 적재면(118)이 상향으로 된다. 등받이(8)가 눕힌 자세일 때는 종아리 적재대(117)는 적재 자세로 된다. 또한, 등받이(8)를 눕힌 자세로부터 일으키는 것에 연동하여 종아리 적재대(117)는 회동하여 시트부(7)의 하방에 수납된다.
또한, 등받이(8)의 세우기 및 눕히기 동작에 따라서 시트부(7)의 시트면을 경사지도록 하여도 좋다(도 10의 각도 DS 참조). 이와 같이 시트부(7)를 경사지게 하는 기구로서는 링크기구나 기어기구 등, 공지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등받이 (8)가 선 자세일 때는 시트부(7)의 시트면을 대략 수평의 상태로 하고, 피세발자가 시트부(7)에 앉기 쉽고, 또한, 시트부(7)로부터 쉽게 일어설 수 있다. 등받이(8)가 눕힌 자세로 되면 시트부(7)를 뒤쪽이 내려앉게 경사시킴으로써 피세발자가 경사진 등받이(8)에 기댔을 때에 좌석(2)으로부터 흘러내리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세발 도중에서 피세발자의 머리와 물통(13)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석(2)과 일체인 자동 세발기(1)에 관한, 상기 각 실시형태, 즉, 하우징(3)의 구조, 좌석(2)의 등받이(8)의 각도, 앉은키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한 구성, 이동수단, 마사지 기능, 조작패널(19)의 배치, 등받이(8)의 세우기 및 눕히기구조, 종아리 적재대(117), 등받이(8)의 경사에 따른 시트부의 경사 등에 관한 각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복수를 조합시켜서 실시하여도 좋고, 하나만을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4)으로서는 온수 저장 탱크(45)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내부의 온수 저장 탱크(45)를 생략하여 외부로부터의 온수를 적접 펌프(59)에 공급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도중에 보충해서 급수하지 않고 온수 저장 탱크(45)에 저장한 온수를 이용하여 세발하고, 세발 시의 배수를 내부의 배수 탱크(도시안함)에 저장하도록 하고, 온수 공급관(33), 급수관 (32), 및 외부의 배수로의 접속을 생략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상부 노즐(24) 및 하부 노즐(26)과 같은 노즐을 가동 노즐 링크에 설치하지 않고, 전체 노즐을 물통(13)의 벽면에 배치된 고정 노즐(온수의 분사방향은 조정가능하게 하여도 좋다.)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 노즐에는 공통의 관, 밸브를 통해서 물을 통하게 하는 구성 외, 각 고정 노즐에 대응한 수로 분기한 분기관이 있고, 여기에 밸브가 개재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 세발기(1)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자동 세발기(1)는 세발을 행할 때에 피세발자(H)가 머리부를 삽입하기 위한 물통(13)을 유지하는 물통 유지부(6)와, 이 물통 유지부 (6)의 바로앞측에 배치되고, 피세발자(H)가 앉기 위한 의자(2)를 유지하는 의자 유지부(5)를 포함한다.
물통(13)을 구비하는 세발 처리부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물통(13)의 둘레면 벽의 바로앞측에는 세발 중에 피세발자(H)의 머리와 목 받침부(11)의 간극을 통해서 물통(13) 밖으로 세정수가 누출된 경우에 상기 세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누수 수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수 수용부(33)는 그 저면이 바로앞측을 향하여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그 저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는 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34)는 배출통(55)에 면하고 있다.
의자(2)는, 예컨대, 부드러우며 탄력이 있는 1개의 의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의자부재가 굽혀짐으로써 피세발자(H)가 앉기 위한 시트부(7)와, 이 시트부(7)에 대해서 상방으로 굽혀져서 형성된 등받이(8)와, 시트부(7)에 대해서 등받이(8)와 반대측이 하방으로 굽혀져서 형성된 다리 받침(117)이 구성되어 있다. 단, 시트부(7), 등받이(8) 및 다리 받침(117)은 별개로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다리 받침(117)을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의자(2)는 그 등받이(8)를 물통(13)측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세발을 행할 때는 우선 피세발자(H)가 물통(13)에 대해서 등을 향한 상태로 의자(2)에 앉게 된다. 초기 상태에서는 시트부(7)의 연장되는 방향(대략 수평방향)에 대한 등받이(8)의 경사각도(θ)는, 예컨대, 55°로 설정되어 있다. 후드(14)를 후방측으로 회동시켜서 물통(13)의 상방을 해방시킨 상태로 등받이(8)를, 예컨대, 경사각도(θ)가 35°로 되기까지 후방측으로 눕힘으로써 피세발자(H)가 위로 향하게 되고, 머리를 목 받침부(11)에 올려놓은 상태로 머리부가 물통(13) 내에 삽입된다.
피세발자(H)의 머리부가 물통(13) 내에 삽입된 후, 후드(14)가 폐쇄됨으로써 피세발자(H)는 안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된다. 그 후, 예컨대, 다리 받침(117)이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피세발자(H)의 다리(무릎아래에서 발목까지의 부분)가 다리 받침(117)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피세발자(H)는 다리를 편 안락한 자세로 세발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6 참조).
의자(2)의 시트부(7) 하방에는 의자(2) 자체의 전후방향의 위치, 시트부(7)의 높이, 등받이(8)의 경사각도(θ), 및 다리 받침(117)의 경사각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의자 조절기구(1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의자 조절기구(121)는, 예컨대, 유압식 구동기구로서, 액추에이터로서의 유압실린더(122), 유압실린더(122)에 공급하는 작동오일을 수용하는 유압탱크(123), 및 유압탱크(123) 내의 작동오일을 유압실린더(122)에 보내주기 위한 유압펌프(124)를 포함한다. 단, 의자 조절기구(121)는 유압식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동식인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물통(13)을 유지하는 물통 유지부(6)와, 의자(2)를 유지하는 의자 유지부(5)가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하우징(3)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분할되어 있는 점이다.
도 12는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물통 유지부(6)는 물통(13) 외로 물보냄 기구, 온수 저장탱크(45), 전기부품 박스(17) 및 배출통(55)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의자 유지부 (5)는 의자(2) 외에 의자 조절기구(121)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물통 유지부(6) 및 의자 유지부(5)는 각각 4개의 다리부(125,1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2에서는 각각 2개씩 보여지고 있다).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를 설치할 때는 우선 물통 유지부(6)를 소정의 설치위치에 설치한 후, 물통 유지부(6)의 바로앞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의자 유지부(5)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물통 유지부(6)의 각 부[물보냄 기구, 온수 저장 탱크(45), 전기부품 박스(17) 및 배출통(55)]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의자 유지부(5)가 물통 유지부(6)에 끼워맞춰진다.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에 끼워맞춘 후,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를 연결함으로써 의자 유지부 (5)와 물통 유지부(6)가 서로 위치 결정되고, 물통(13) 및 의자(2)가 서로 일정한 상대위치에서 근접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1 참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전기부품 박스(17)가 의자 조절기구(121) 하방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의자 유지부(5)의 우측면(도 12에 있어서의 바로앞측의 면)의 후방측 상부에는 상기 자동 세발기(1)에 있어서의 운전을 개시시키거나 그 외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패널(19)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패널(19)은 세발 중의 피세발자(H)의 손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조작자가 상기 자동 세발기 (1)의 후방 우측[물통(13)의 우측]에 서서 조작패널(19)을 조작함으로써 자동 세발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다리부(125,126)는, 예컨대, 캐스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의자 유지부(5)의 다리부(126)가 캐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면 상기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측에 슬라이드시켜 설치할 때에 비교적 작은 힘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3은 물통 유지부(6)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 유지부(6)의 저면은 프레임(6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6A)의 좌우 양측에는 물보냄 기구의 좌우를 덮기 위한 측판(6B)이 설치되어 있다. 온수 저장 탱크(45)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배출통(55)은 온수 저장 탱크(45)의 우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후드(14)의 하단 가장자리의 바로앞측에는 피세발자(H)의 안면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노치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4A)의 가장자리에는 피세발자(H)의 안면의 주위에 접촉하여 세발 시에 물통(13) 내의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얼굴 밀봉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얼굴 밀봉부(15)는 부드러우며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의자 유지부(5)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4(a)는 정면도, 도 14(b)는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자(2)의 좌우 양측에는 피세발자(H)가 팔을 올려놓기 위한 팔걸이(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팔걸이(9)가 의자 유지부(5)의 좌우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의자 유지부(5)의 저면은 대략 コ자형상으로 굽혀진 프레임(5A)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5A)의 양단에 다리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5A)과 마루면 사이의 공간은 물통 유지부(6)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공간(35)으로 되어 있으며, 이 삽입 공간(35)은 물통 유지부(6)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물통 유지부(6)와 프레임(5A) 사이에, 예컨대, 좌우에 각각 5mm정도의 간극(끼워맞춤 간극)이 생기도록 여유를 가지고서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팔걸이(9)의 후방측 상부에는 조작패널(19)을 설치하는 위치에 경사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36)에 조작패널(19)이 설치됨으로써 조작패널 (19)이 연직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예컨대, 30°~ 60°)정도 경사진 상태로 되므로 상기 자동 세발기(1)의 후방 우측에 서서 조작을 행하는 조작자는 조작패널(19)을 조작하기 쉽다.
도 15는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팔걸이(9)는 프레임(5A)에 대해서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에 설치하기 위해 물통 유지부(6)측에 슬라이드시킨 경우, 우선 좌우의 팔걸이(9) 사이의 공간에 물통 유지부(6)가 들어가고, 의자 유지부(5)를 더욱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프레임(5A)에 둘러싸인 삽입 공간(35)에 물통 유지부(6)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팔걸이(9)가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측에 슬라이드시켜 설치할 때의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의자 유지부(5)와 물통 유지부(6)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에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의 일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단, 의자 유지부(5)가 물통 유지부(6)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끼워맞춰지는 구성이 아닌, 싱크(sink) 유지부가 의자 유지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팔걸이는 싱크 유지부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6은 상기 자동 세발기(1)의 조립후의 사용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는 서로 끼워맞추기 위한 간극이 생기도록 여유를 가지고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의자 유지부(5)를 물통 유지부(6)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간극이 보여서 외관이 나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숨기기 위해 좌우 양측에 외장 패널(37)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6에서는 우측의 외장 패널(37)만이 보여지고 있다]. 이로써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 사이의 공간이 숨겨지므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의 일체감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통 유지부(6)의 배면(6C)이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의자(2)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자동 세발기(1)의 후방 하부에 빈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부품 박스(17)가 의자(4)의 하방에 수용되고, 그만큼 물통(13)의 하방의 기구[물보냄 기구나 온수 저장 탱크(4) 등]가 의자(2)측(전방)에 바싹 대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빈 공간(S)을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는 자동 세발기(1)의 후방측으로부터 피세발자(H)에 대해서 수동으로 세발을 행하는 경우, 빈 공간(S)에 발을 넣음으로서 피세발자(H)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세발을 행하기 쉽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세발기(1)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 개략도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자동 세발기(1)는 물통(13) 및 의자(2) 외, 물보냄 기구, 온수 저장 탱크(45), 전기부품 박스(17), 배수통(55), 의자 조절기구(121)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물통(13)과 의자(2)의 위치 결정이, 앞의 실시형태와 같이, 물통 유지부(6)와 의자 유지부(5)의 끼워맞춤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아니고, 물통(13)을 유지하기 위한 물통 유지대(130)와, 의자(2)를 유지하기 위한 의자 유지대(131)가 상기 자동 세발기(1)의 저면을 구성하는 프레임(13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라는 점에 있다.
도 18은 물통 유지대(130)와 의자 유지부(131)를 프레임(132)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자동 세발기(1)는 프레임(132)에 설치된 4개의 다리부(10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7 및 도 18에서는 2개만 보여지고 있다). 물통 유지대(130)는 물통(13)을 유지하기 위한 물통 유지판(130A)과, 이 물통 유지판(130A)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0B)를 포함한다. 또한, 의자 유지대(130)도 의자를 유지하기 위한 의자 유지판(131A)과, 이 의자 유지판(131A)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1B)을 포함한다.
각 지지부(130B,131B),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프레임(132)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자동 세발기(1)는 물통 유지대 (130) 및 의자 유지대(131)를 프레임(132)에 고정하여 물통(13)이나 의자(2) 등의 각종 부품을 설치한 상태로 출하할 수도 있고, 상기 자동 세발기(1)가 실제로 사용되는 현장(미용실 등)에서 물통 유지대(130) 및 의자 유지대(131)를 프레임(132)에 고정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 세발기(1)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물통(13)이 물통 유지판(130A) 상에 적재되고, 물통 유지판(130A)과 지지부(130B)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물보냄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의자 유지판(131A) 상에는 의자 조절기구(121)가 적재되고, 이 의자 조절기구(121)를 통해서 통해서 의자(2)가 유지됨과 아울러 의자 유지판(130A)과 지지부(131B)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전기부품 박스(17)가 수용되어 있다.
각 부품이 조립되면 상기 자동 세발기(1)에는 그 측방 및 후방을 덮는 외장 패널(108)이 덮여지고, 이 외장 패널(108)의 좌우 양측의 상면에 의해 팔걸이(109)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 세발기(1)의 측방 및 후방이 외장 패널(108)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물통(13)과 의자(2)의 일체감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패널(108)의 배면(108C)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의자(2)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자동 세발기(1)의 후방 하부에 빈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자는 수동으로 세발을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통 유지대(130) 및 의자 유지대(131)의 쌍방이 프레임 (132)에 대해서 착탈가능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한쪽만이 프레임(132)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쪽은 프레임(132)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세발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물통(13)과 의자(2)의 위치 결정이 물통 유지부(203)와 의자 유지부(205)가 외장 패널(206)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라는 점에 있다.
도 19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물통 유지부(203)는 물통(13) 외, 물보냄 기구, 온수 저장 탱크, 전기부품 박스, 배출통 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의자 유지부(205)는 의자(2) 외, 의자 조절기구를 유지하고 있다. 물통 유지부(203) 및 의자 유지부(205)는 각각 4개의 다리부(208,20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9에서는 각각 2개만 보여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자(2)에 일변이 고정된 대략 직사각형의 루프형상의 팔걸이(207)로 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외장 패널 (206)의 상면에 의해 팔걸이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물통 유지부(203)와 의자 유지부(205)를 설치할 때는 우선 물통 유지부(203)와 의자 유지부(205)를 서로 일정한 상대 위치가 되도록 근접 배치한 후, 이들 좌우 양측면을 각각 외장 패널(206)로 연결함으로써 물통 유지부(203)와 의자 유지부(205)가 서로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패널(206)이 물통 유지부 (203)와 의자 유지부(205)의 전후방향의 간극을 덮도록 설치되므로 물통 유지부 (203)와 의자 유지부(205)의 일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통 유지부(203)의 배면(203C)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의자(2)측에 가깝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자동 세발기(1)의 후방 하부에 빈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자는 수동으로 세발을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면, 예컨대, 범용의 의자[의자 유지부 (205)]에 대해서 외장 패널(206)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자동 세발기[물통 유지부(203)]를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하거나 범용의 자동 세발기[의자를 포함하지 않는 자동 세발기; 물통 유지부(203)]에 대해서 외장 패널(206)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세발용 의자[의자 유지부(205)]를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의자와 자동 세발기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0)

  1.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위로 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물통;
    상기 물통에 수용된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자동적으로 세발하기 위하여 온수를 분사하는 분사수단;
    상기 물통의 전방에 배치된 피세발자가 세발을 위해 앉는 좌석; 및
    상기 좌석과 물통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시트부와 등받이를 갖고, 이 등받이는 전방으로부터 물통을 향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눕혀지고,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는 피세발자가 기댔을 때에 안면이 거의 바로위를 향하는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시트부는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시트부는 상기 등받이의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시트부는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위치조절에 따라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위치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시트부와 등받이를 갖고, 이 등받이는 세우거나 후방으로 눕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좌석의 하방에 상기 분사수단의 기능부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하방에 지지되는 기능부품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을 위한 조작패널이 추가로 구비되고, 이 조작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석의 후단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에는 피세발자를 마사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4.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수용하고, 머리부를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발을 행하기 위한 세발 처리부;
    세발 시에 피세발자의 몸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 및
    상기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서 상기 세발 처리부와 시트부가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 처리부는 피세발자가 머리부를 삽입하기 위한 물통과, 이 물통을 유지하는 물통 유지부를 갖고,
    상기 시트부는 피세발자가 앉기 위한 의자와, 이 의자를 유지하는 의자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유지부와 의자 유지부는 서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부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기부품은 상기 의자의 하방에 위치 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세발기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 및
    상기 의자의 측방에 배치되어, 이 의자에 앉은 피세발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팔걸이의 피세발자가 팔을 올려놓는 위치보다 물통측에 연직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후방부 하방을 형성하는 하우징 배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물통의 후방부 하방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수로서 이용하는 온수를 저장해 두기 위한 온수 저장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온수 저장 탱크는 상기 물통과 의자 사이에 위치 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KR1020047004766A 2001-10-05 2002-10-03 자동 세발기 KR100551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0404A JP4089772B2 (ja) 2001-10-05 2001-10-05 自動洗髪機
JPJP-P-2001-00310404 2001-10-05
JPJP-P-2002-00081804 2002-03-22
JP2002081804A JP4089776B2 (ja) 2001-10-05 2002-03-22 自動洗髪機
PCT/JP2002/010311 WO2003030676A1 (fr) 2001-10-05 2002-10-03 Machine automatique pour shampoo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313A true KR20040049313A (ko) 2004-06-11
KR100551578B1 KR100551578B1 (ko) 2006-02-13

Family

ID=2662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766A KR100551578B1 (ko) 2001-10-05 2002-10-03 자동 세발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91474B2 (ko)
EP (1) EP1433400A4 (ko)
JP (2) JP4089772B2 (ko)
KR (1) KR100551578B1 (ko)
CN (1) CN1283193C (ko)
HK (1) HK1070539A1 (ko)
TW (1) TWI269643B (ko)
WO (1) WO20030306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02B1 (ko) *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102502720B1 (ko) * 2022-12-15 2023-02-23 (주)컴헤어 마사지 기능이 포함된 리클라이닝 전동 샴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704B2 (en) * 2003-02-04 2007-02-06 Johnson Ernest L Automatic hair washing device
CN101022746A (zh) * 2004-07-16 2007-08-22 新光重机株式会社 头发、头皮的自己自动洗发以及自己自动护理装置
JP4555632B2 (ja) * 2004-08-27 2010-10-06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理美容用椅子
JP4606914B2 (ja) * 2005-03-18 2011-01-05 株式会社大廣製作所 フットバス用椅子
KR100886909B1 (ko) * 2007-01-31 2009-03-09 신코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두발, 두피의 셀프 세발용 및 케어용 장치
JP2008220428A (ja) * 2007-03-08 2008-09-25 Family Co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
WO2010138375A1 (en) * 2009-05-28 2010-12-02 Lisa Heiser Personal care system
FR2981255B1 (fr) * 2011-10-14 2014-08-29 Rodolphe Paul Eugene Bourdet Installation ergonomique de lavage des cheveux
EP3043765B1 (en) * 2013-09-12 2018-09-19 Jaguan, Mauro Improved portable relaxation therapy massage device for the head
CN105595657A (zh) * 2014-10-03 2016-05-25 芬玛乐蒂股份公司 理发椅
CN105832043B (zh) * 2015-08-06 2017-12-12 方明 具有长短发自动按摩洗头机的沙发
CN105455382B (zh) * 2015-11-25 2019-08-09 新昌县泽宇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洗发机器人后脑清洗装置
CN105433575B (zh) * 2015-11-25 2019-08-09 新昌县泽宇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洗发机器人洗头位调整机构
CN105831949A (zh) * 2016-03-08 2016-08-10 新昌县泽宇智能科技有限公司 洗头机躺椅
CN108433317A (zh) * 2018-05-17 2018-08-24 柴海英 一种多功能自动洗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9694A (en) * 1919-07-15 Albekt b
US3343530A (en) * 1963-12-20 1967-09-26 Salon At Lincoln Hills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s hair and scalp
JPS63140244A (ja) 1986-11-29 1988-06-11 Toshiba Corp 冷媒加熱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H0440523Y2 (ko) * 1987-03-05 1992-09-22
US4918767A (en) * 1989-05-30 1990-04-24 Smith Investment Company Shampoo chair and bowl apparatus
JPH03114405A (ja) 1989-09-29 1991-05-15 Shinmeiwa Kogei Kk 理美容用洗髪器の自動設定方法
JP3143424B2 (ja) 1997-12-26 2001-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JP2001211951A (ja) 2000-02-02 2001-08-07 Fuji Iryoki:Kk 昇降椅子
JP3805939B2 (ja) 2000-02-21 2006-08-09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理美容用椅子
JP3081406U (ja) 2001-04-26 2001-11-02 顯陽 程 業務用洗髪椅子の構造
JP2002360333A (ja) * 2001-06-11 2002-12-17 Ohiro Seisakusho:Kk 自動洗髪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02B1 (ko) *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102502720B1 (ko) * 2022-12-15 2023-02-23 (주)컴헤어 마사지 기능이 포함된 리클라이닝 전동 샴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4664A (zh) 2005-01-12
JP2003111613A (ja) 2003-04-15
HK1070539A1 (en) 2005-06-24
TWI269643B (en) 2007-01-01
JP4089776B2 (ja) 2008-05-28
KR100551578B1 (ko) 2006-02-13
EP1433400A1 (en) 2004-06-30
JP4089772B2 (ja) 2008-05-28
CN1283193C (zh) 2006-11-08
JP2003275019A (ja) 2003-09-30
US7191474B2 (en) 2007-03-20
EP1433400A4 (en) 2005-04-13
US20040261169A1 (en) 2004-12-30
WO2003030676A1 (fr) 200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578B1 (ko) 자동 세발기
US7490374B2 (en) Spa apparatus
WO2004100852A2 (en) Combined sauna and environmental capsule
JP3133690B2 (ja) 自動洗髪機
JPH1119149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US20070022525A1 (en) Automatic hair self-washing device and automatic hair self-care device for hair and scalp
KR100780342B1 (ko) 자동세발기
KR101085024B1 (ko) 다기능 미용기구
JP3210374U (ja) マッサージ機
US20070228785A1 (en) Arm rest for spa
KR101823659B1 (ko) 안마용 좌변기 커버장치
JP3118539B2 (ja) 身体洗浄装置
EP0839235B1 (en) A shower device
JP4089777B2 (ja) 自動洗髪機
JP4000270B2 (ja) 自動洗髪機
KR102672665B1 (ko) 리클라이닝 전동 샴푸대
JP3973400B2 (ja) 洗髪装置
JPS636964Y2 (ko)
JP3567712B2 (ja) マッサージ機
KR20100011419U (ko) 유니트 체어
KR200381220Y1 (ko) 반신욕용 욕조
JP2002034638A (ja) 自動洗髪機
WO2015087851A1 (ja) 液圧式マッサージ装置
KR19980056664U (ko) 발안마기 장착 의자
JP2003334223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