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000A - 일회용 팬티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팬티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000A
KR20040049000A KR10-2004-7006197A KR20047006197A KR20040049000A KR 20040049000 A KR20040049000 A KR 20040049000A KR 20047006197 A KR20047006197 A KR 20047006197A KR 20040049000 A KR20040049000 A KR 2004004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sorbent
liquid
panty diaper
pan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나-카린엘프스트롬
카린린드마크
켄트헤르멘슨
린다올슨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4004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61F2013/1543Density with a density gradient in the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종방향 및 횡방향, 내부 덮개층(11), 외부 덮개 층(12), 상기 덮개층들(11,12) 사이에 밀봉된 흡수체(10),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허리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단부들(6,7),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리 끼움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측면들(8,9) 그리고 중간의 팬티(3)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면부(1) 및 후면부(2)를 갖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150mL의 액체량에 대하여 상기 팬티 기저귀의 액체 퍼짐이 상기 흡수체(10)의 면에서 200cm2의 퍼짐 면적 이하로 되도록 상기 흡수체(10)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팬티 기저귀{DISPOSABLE PANT DIAPER}
다양한 형태의 요실금 때문에 흡수 팬티 기저귀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팬티 기저귀를 스스로 갈 수 있는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들이다.
오늘날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요실금 환자들을 위한 팬티 기저귀들은 주로 심한 요실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심한 요실금 환자들은 다소간 육체적으로 무력하고 더군다나 종종 배설이 발생하는지 또는 언제 발생 했는지를 지각할 수 없는 정신적인 상태에 도달한다. 배출된 액체의 누출을 피하기 위하여 몸에 밀착하는 동시에 많은 양의 액체를 받아내고 퍼지게 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하여 이러한 환자들이 관심을 갖는 한 많은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심한 요실금 환자들을 위한 종래의 팬티 기저귀는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제품의 두께가 유지되는 동시에 배출된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얻기 위하여 종래의 팬티 기저귀에 포함된 흡수 물질은 넓은 면적에 걸쳐서 펼쳐지며, 착용자가 팬티 기저귀를 착용시에 필수적으로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가랑이를 통하여 사용자 등의 허리부까지 펼쳐진다. 착용자가 서있거나 앉아있을 때 배출된 소변은 정상적으로는 기저귀의 팬티에 위치한 적심 점(wetting point)에서 멈춘다. 심한 요실금 환자들은 종종 여러 번의 소변을 보기 때문에, 소변이 팬티의 적심 점으로부터 퍼져서 흡수 물질의 전체에 저장되어 적심 점이 다음의 배출을 위해 준비되도록 팬티 기저귀가 디자인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한 요실금 환자들을 위하여 많은 액체를 받는 팬티에서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배출된 액체가 전 흡수 영역으로 분포되는 것이 필요하다. 넓은 흡수 물질에 저장되어 넓은 면적의 피부에 밀접하게 접촉하는 많은 양의 액체로부터 오는 불편함은 상기의 팬티 기저귀 디자인에 의하여 제공되는 높은 누출방지 기능을 위하여 감수되어야 한다.
또한, 심한 요실금을 위한 팬티 기저귀는 보통은 사용한 제품을 스스로 갈 수 없는 사람들 즉, 사용한 팬티 기저귀를 갈기 위하여 외부의 도움에 의존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저귀를 갈기 전에 발생하는 여러 번의 배출을 위한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은 전혀 이상한 것은 아니다. 팬티 기저귀의 흡수 전면 및 후면 부위에 액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배출된 액체에 노출되는 팬티에 대한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누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팬티 기저귀의 밀착 착용은 또 하나의 문제이다. 팬티 기저귀의 목적과 반대로 밀착은 액체로 채워진 흡수 물질과 접촉하는 주위 피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부담이 된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사용한 제품을 갈 수 있고 몸에 접촉한 원하지 않는 액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들이 이러한 형태의 제품을 사용시에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심한 요실금 팬티 기저귀에 있어서, 여러 번의 배변 후에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할 것이라고 기대되며 액체는 착용자의 복부와 후면 부위를 덮으면서 넓은 면적에 걸쳐서 분포된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착용자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제품을 갈을 지라도 액체가 퍼져서 넓은 면적의 피부와 접촉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축축함은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착용자에게 불편하고 기분 나쁜 느낌을 주며 더구나 독특하고 기분 나쁜 액체의 냄새가 퍼져 활동적인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 당혹감과 짜증을 준다.
종래의 흡수 팬티 기저귀의 일반적인 문제점은 흡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흡수 물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팬티 기저귀는 큰 부피를 차지하여 옷 안으로 넣는 데 불편하고 일반적인 옷 속으로 숨기는 것이 어렵다. 제품의 주 수요자 층인 활동적인 여성들은 사회적으로 상당히 활동적이기 때문에 요실금 제품이 옷을 통하여 주의를 끌어서는 안 되며 상당한 정도로 평상복처럼 느껴져야 한다.
제품에 사용되는 많은 양의 흡수 물질은 또한 팬티 기저귀를 제조하는 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더 많은 부담이 된다. 상기 사용자들은 배변 후에 가능한한 빨리 팬티 기저귀를 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기저귀를 사용한다. 물론 값싼 제품은 착용자가 더 자주 갈 수 있게 해주며 축축해지자마자 버릴 수 있게 한다.
상기로부터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들을 위한 개선된 흡수 팬티 기저귀에 대한 필요성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종방향 및 횡방향, 내부 덮개 층, 외부 덮개 층, 상기 두개의 덮개층 사이에 밀봉된 흡수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허리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단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리 끼움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단부 그리고 팬티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면부 및 후면부로 구성된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되지 않은 팬티 기저귀.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팬티 기저귀의 lla-lla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팬티 기저귀의 llb-llb의 단면도.
도 3은 조립 상태의 본 발명의 팬티 기저귀.
도 4a는 측면에서 본 시험 설치물.
도 4b는 위에서본 시험 설치물.
본 발명에 의하여 도입부에서 언급된 형태의 팬티 기저귀가 생산되어 왔으며 이러한 팬티 기저귀는 이미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들을 위한 팬티 기저귀로써 알려진 것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제거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수 팬티 기저귀는, 주로 150mL의 액체량에 대하여 흡수체(10)의 면에서 200㎠이하의 퍼짐 면적이 되도록 구성된 상기 흡수체를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팬티 기저귀에서 피할 수 없는 배출후의 액체 퍼짐은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들에 의하여 즉시 감지되며 이는 불쾌감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기 착용자들은 젖은 제품을 착용하고서 움직이는 불쾌감을 피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짧은 기간 내에 사용된 제품을 갈 것이다. 배설이 발생하자마자 팬티 기저귀를 간다는 것이 밝혀졌다. 물리적 또는 정신적으로 무력한 사람들에 비하여 가장 자연적인 반사행동으로써 상기의 착용자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배설 후에 즉시 갈 수 있다. 흡수체가 복부 및 등위로 약간 연장되는 것은 편안함 및 안정감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팬티 기저귀를 교체하기 전에 배출된 액체가 이러한 영역으로 퍼지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흡수 팬티 기저귀는 보통 3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착용자 쪽으로 향하는 내부 액체 침투층과 착용자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외부 액체 비침투층 사이에 흡수체가 배열된다.
흡수체는 초흡수제(superabsorbent)로 알려진 첨가물을 갖거나 갖지 않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와 흡수체에서 액체를 퍼지게하는 목적을 위한 성분을 포함한다. 초흡수제는 자신의 무게보다 수배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흡수 팬티 기저귀는 중심 흡수층 및 안전층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가진다. 중심 흡수층은 흡수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제로 구성되며, 흡수체의 액체 퍼짐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하여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액체와 접촉하여 산성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나의 성분을 변형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얻기 위하여 흡수층은 높은 보유력을 가지며 낮은 퍼짐 능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야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안전층은 흡수층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대응하는 초흡수 물질로 될 수 있다. 낮은 pH는 피부의 부작용을 줄이고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기 때문에 높은 산성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위생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초흡수 물질 즉, 젖은 후에 흡수 팬티 기지귀의 pH가 3.5-4.9인 형태의 pH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물질의 조성과 흡수층과 안전층의 상호관계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흡수체가 흡수할 때 액체 퍼짐이 흡수체의 작은 면적으로 제한되도록 디자인되었다.
파이버, 그래뉼, 필름 같은 형태의 물질인 보통의 초흡수 물질도 흡수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자신의 무게의 수배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 재료는 액체를 구속하고 액체 함유 겔을 형성한다. 이러한 초흡수제는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흡수체는 또한 셀룰로오스 같은 부분적으로 중화된 초흡수 물질에 다른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pH가 7이하인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와 조합하여 상기와 같이 부분적으로 중화된 초흡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큰 효과를 위해서는 pH가 6이하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낮은 pH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물질의 사용은 흡수 기저귀에서 액체의 퍼짐을 제한한다.
적당한 셀룰로오스 펄프는 pH가 2.5-8.5, 바람직하게는 2.5-6.5, 가장 바람직하게는 2.5-5.5인 케미써모메카니칼 세룰로오스(chemithermomechanical cellulose) 펄프로 구성되거나 pH가 2.5-8.5, 바람직하게는 2.5-8.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7.0인 화학 셀룰로오스 펄프로 구성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중화된 초흡수 물질은 BASF사의 HYSORB C 7119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형태의 크로스링크드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ylat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응하는 특징을 갖는 다른 형태의 초흡수제도 사용될 수 있다. 흡수층에서 초흡수 재료의 적당한 비율은 흡수체의 무게에 대하여 30-70%, 바람직하게는 45-55%,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이다. 흡수체가 다층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안전층은 그 안에 배열된다. 안전층은 또한 초흡수제를 포함하여 누출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층에서 적당한 초흡수제의 비율은 5-25%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5%이다.
초흡수제에서 중화도는 정상적으로 45%보다 낮고 35%보다 높아야한다. 그러나 중화도는 특허 명세서 SE 511838에서 설명된 것처럼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20%보다 높아야 한다.
초흡수제는 보통은 분리된 입자 등이나 파이버, 플레이크, 그래뉼 및 필름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자들은 구, 나선형, 반구, 육면체, 막대형, 다면체등으로 될 수 있다. 치수비율이 큰 값을 갖는 바늘, 비늘 및 섬유 형상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초흡수 입자들의 덩어리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에서 상기 초흡수 물질은 입자들의 크기가 100 ㎛보다 작지 않고 1000 ㎛보다 크지 않으며 입자들의 총중량 중에서 크기가 106 - 500 ㎛인 입자들이 60 - 65%이고 크기가 500 - 850 ㎛인 입자들이 4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 크기는 체질(sieving)에 의하여 가능하며 체의 그물 크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 체를 통과한 입자들은 상기의 범위에 위치한다.
입자의 크기는 초흡수제가 액체를 흡수하고 흡수된 액체를 퍼트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피에 비하여 제한된 흡수 표면적 때문에 큰 입자들의 액체 흡수 속도는 느리다. 동일한 이유로 극도로 작은 입자들은 높은 액체 흡수 속도를 가지나 반대로 쉽게 세룰로오스 플러프 층과 같은 섬유 조직에서 파이버 사이의 모세관이 될 수 있다. 또한,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함께 모여 쉽게 덩어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장벽을 형성하여 액체 퍼짐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보통 겔 차단으로 아려져 있다. 위에서 언급한 입자 크기의 범위는 종방향으로 흡수된 액체의 퍼짐이 제한되는 동시에 만족할 만한 흡수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액체 퍼짐을 갖는 흡수 팬티 기저귀는 높은 수준의누출방지를 갖는 팬티 기저귀를 보증하며 몸과 밀착되는 팬티 기저귀는 착용자에게 노출된 피부에 나쁜 영향을 주는 습기를 제거하는 이익을 준다. 착용감을 보증하기 위하여 팬티 기저귀에는 다수의 탄성 수단들이 제공된다. 다수의 탄성 수단들을 사용하는 것은 팬티 기저귀가 밀착될 때에 탄성 수단들이 개별적으로 너무 큰 압력을 착용자에게 주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꽉 죄는 느낌을 주지 않게 한다.
피부와 기저귀 사이의 공간에서 습기가 과도한 영역에 있지 않으면서 몸과 밀접한 접촉을 하기 위하여 흡수 물질을 팬티 기저귀에서 제한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다층의 구조에서 액체 보유 흡수층은 팬티 기저귀에서 종축으로 60-80%를 초과해서는 안 되며 65-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수층에서 흡수된 액체는 제한된 영역에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150ml의 흡수 양에 대하여 흡수층의 총 면적은 195-235㎠를 초과해서는 안 되며 210-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하튼 간에 편안함과 안정성을 위하여 팬티 기저귀의 내에서의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흡수 물질의 감소는 편리함 때문에 바람직하다. 감소된 흡수 물질은 환경에 중요한 이익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사용자들이 첫 번째 배출 후에 제품을 갈기 때문에 한번에 배출되는 모든 액체를 흡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흡수물질의 양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팬티 기저귀는 총 흡수 능력이 350-400g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370g이다. 제 2실시예에 따라서 안전층은 흡수층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주요 기능은 액체를 흡수층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총 흡수 능력은 약간 낮아진다. 흡수 팬티 기저귀의 총 흡수 능력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들의 알려진 흡수 능력으로 계산되는 이론적인 값을 의미한다.
제 1실시예에 따라서 안전층은 흡수층 아래에 위치한다. 즉, 흡수층은 내부 덮개층 다음에 위치한다. 흡수체는 내부 덮개층 다음의 액체 수용부를 가질 수 있으며 흡수층의 일부를 구성하는 추가적인 층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층은 흡수층으로부터 나오는 액체의 누출에 대한 안전 방벽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여기에서 안전층은 낮은 비율의 초흡수제 즉, 중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정도를 포함한다. 안전층은 흡수층보다 낮은 밀도를 가져 사용 중에 팬티 기저귀에 대하여 부드러운 인상을 줌으로써 편안함을 준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서 안전층은 흡수층의 위에 위치한다. 즉, 안전층은 착용자 다음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 안전층은 주로 액체 운반 간격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층은 높은 다공성과 다소간의 친수성을 가짐으로써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은 능력과 흡수층으로 분배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위 두개의 실시예에서 안전층은 흡수층보다 낮은 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층의 조성은 배출된 액체가 빠르고 다량으로 흡수층으로 운반된다. 흡수층으로 직접 액체가 운반되기 때문에 흡수층에 수직하게 초기 퍼짐이 마주친다. 따라서 액체는 흡수층에 더 농축되고 초기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덜 퍼진다. 안전층은 또한 흡수층에 흡수된 액체와 착용자의 몸사이의 간격층을 구성하여 다시 젖는(rewetting)것을 방지한다. 즉, 이미 흡수된 액체가 내부 덮개층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 한다. 또한 액체가 방출될 때 흩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한다.
상기 두개의 실시예 중에서, 두 번째의 실시예에서 외부 덮개층의 다음의 흡수체 아래에 액체 비침투성 방벽층을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것은 누출에 대하여 증가된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출 액체의 퍼짐제한을 갖는 팬티 기저귀를 위하여 종래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팬티 기저귀와 비교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법에 의하여 조사되었으며, 이 방법은 착용자의 인체와 방광 배출이 가장 실제와 유사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착용자의 인체에 따라서 측정 장치가 만들어졌다.
도 1은 아직 조립되지 않은 상태 즉, 팬티 기저귀의 허리부와 다리 끼움부가아직 형성되지 않은 흡수 팬티 기저귀이다. 상기 팬티 기저귀는 착용자의 전면에 맞는 전면부(1), 착용자의 후면에 맞는 후면부(2) 그리고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1,2)사이의 팬티(3)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1)는 부착하기 위한 두개의 측단부들을(4,5) 갖고 있다. 상기 두개의 측단부들(4,5)은 상기 후면부(2)의 부착하기 위한 두개의 측면들(4,5)과 대응하며 상기 전면부(1) 및 후면부(2)의 측단부들(4,5)은 각각 서로 간에 부착되어 도 3의 팬티 기저귀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부(1) 및 후면부(2)는 또한 허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직선의 단부들(6,7)을 갖고 있다. 상기 팬티(3)는 종방향이며 내부로 만곡된 측면들(8,9)을 갖춰서 다리 끼움부를 형성한다. 상기 팬티 기저귀는 또한 흡수체(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체(10)는 상기 팬티 기저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 중에 착용자 측으로 향하는 내부 덮개층(11) 및 사용 중에 사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덮개층(12)사이에 밀봉된다.
상기 전면부(1), 상기 후면부(2) 그리고 상기 팬티(3)는 일체로 제조되어 상기 외부 덮개층(12)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덮개층(12)은 부직포 물질이나 다른 직물류로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사용자 측으로 향하는 상기 흡수체(10)의 측면상에 위치하는 상기 내부 덮개층(11)은 모래시계 형상이다. 상기 외부 덮개층(12)은 상기 팬티 기저귀의 전 범위를 형성하도록 하는 모양이다. 상기 덮개층들(11,12)은 접착, 꿰매기 또는 열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용접등에 의하여 상기 흡수체(10) 주위에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덮개층들(11,12)중의 하나 또는 둘 다 접착, 꿰매기 또는 열이나초음파를 이용한 용접등에 의하여 상기 흡수체(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덮개층(11)은 종래와 같은 형태이며 용도에 적합한 어떠한 액체 투과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부직포 물질, 다공성 플라스틱 물질, 망상(net)의 물질, 액체 투과성 발포 물질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덮개층이 별도의 물질층으로 구성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으나, 상기 덮개층(11)은 상기 흡수체(10)의 표면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 상기 두개의 덮개층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덮개층(12)은 상기 내부 덮개층(11)과 같은 형태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누출방지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도 2와 같이 액체 비투과성 장벽 층(19)이 상기 흡수체(10)와 상기 외부 덮개층(12)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장벽층(19)이 통기성을 가지고 있으면, 즉 수증기가 상기 층(19)을 통과할 수 있다면 상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장벽층(19)은 상기 내부 덮개층(11)처럼 상기 흡수체와 일체로 될 수 있고 흡수 발포성 물질에 액체 비투과성의 피부 같은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벽 층(19)은 접착, 꿰매기 또는 열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용접등에 의하여 상기 팬티 기저귀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덮개층(12)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액체 비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액체 차단 물질로 코팅된 부직포 층, 또는 기타의 액체 침투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신축성의 물질 층과 같은 액체 비침투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라서 상기 흡수체(10)는 두개의 층 즉, 흡수층(13)과 안전층(14)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층은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fluff pulp)로구성되는 흡수 물질과 중합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의 각층에 특수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은 초흡수제(superabsorbent)로 알려져 있다. 상기 흡수체(10)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적당한 흡수제들로는 흡수 바운드 파이버(bound fiber)층, 티슈(tissue)층, 흡수 발포제, 토탄(peat)이 있다. 초흡수제는 액체 함유 겔을 형성하여 자신의 무게보다 몇 배를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다.
초흡수제는 일반적으로 입자, 비늘(flake), 섬유, 입상(granule)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는 초흡수 물질은 그 자체로 존재하거나 다른 흡수 물질과 같이 존재할 수 있으며 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파이버나 합성 파이버 같은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기저귀내의 산성도(즉, pH)가 적심(wetting)과 관련하여 3.5에서 4.9가 되도록 흡수물질을 준비하면 액체의 퍼짐(spreading)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흡수 물질이 부분적으로 중화된, 즉, 20%보다 높고 45%보다 낮은(바람직하게는 35%보다 낮은) 중화도의 초흡수 물질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상기 범위의 산성도가 발생한다. 적당한 초흡수제는 BASF사에서 판매하는 HYSORB C 7110같은 초흡수 입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응하는 특성을 갖는 다른 형태의 초흡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초흡수제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분리된 입자들의 형태이고 100 ㎛보다는 크고 1000 ㎛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 입자들의 중량 중에서 106 - 500 ㎛크기의 입자가 60 - 55%이고 500 - 850 ㎛크기의 입자가 40 - 35%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들의 크기는 액체의 퍼짐에 중요하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원하는 퍼짐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입자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발명에 따라서 액체 퍼짐을 억기 위하여 상기의 입자 크기 범위는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결과는 아래에 나타나 있다.
또한 산성화된 셀룰로오스 펄프는 pH 조절 물질로서의 기능을 한다. 셀룰로오스 펄프는 pH가 2.5-8.5, 바람직하게는 2.5-6.5, 가장 바람직하게는 2.5-5.5인 케미써모메카니칼(chemithermomechanical) 셀룰로오스 펄프로 구성되거나 pH가 2.5-8.5, 바람직하게는 2.5-8.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7.0인 화학 셀룰로오스 펄프로 구성될 수 있다. pH가 7이하, 바람직하게는 6이하인 셀룰로오스를 가진 상기와 같은 부분적으로 중화된 초흡수 물질의 화합물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혀졌다. 셀룰로오스 펄프의 적절한 산성도를 얻기 위하여 후자의 pH는 예컨대, 산성화 물질을 추가하는 제조 공정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된 성분은 예컨대 황산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펄프내의 수산화나트륨은 중화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펄프의 적절한 산성도를 얻기 위한 다른 방법은 완성된 펄프에 적절한 산을 추가하는 것이다.
원하는 액체 퍼짐의 제한은 위에서 언급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방법 즉, 흡수체에 다른 층 배합을 사용하거나, 흡수층에 구분된 압축 영역을 사용하거나, 약간 압축된 펄프나 이와 유사한 것 등을 사용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초흡수 물질의 증가된 농도의 형태로 다양한 액체 장애물이나 또는 액체 비침투성 영역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로 장벽들이 흡수체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흡수층(13)에 있는 초흡수 물질의 비율은 30-70%, 바람직하게는 45-55%, 가장 바람직하게는 흡수층 물질 중량의 약 50%이다.
착용자의 몸에 밀착되는 것이 중요하면 흡수층(13) 및 안전층(14)은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층은 내부 덮개층(11) 또는 외부 덮개층(12) 다음에 배열될 수 있다. 안전층은 흡수층(13)보다 종축 방향으로는 약간 크고 횡축 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크다. 각각의 경우에 안전층의 위치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보여준다. 안전층(14)은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중에는 개선된 누출방지, 흡수체를 위한 안전성, 착용자에 대한 편안함이 있다.
탄성 수단들(16,17)은 측면들(8,9)을 따라서 배열되고 팬티 기저귀가 사용될 때 다리끼움부에 신축성을 형성한다. 적당한 탄성 수단들에는 탄성 실, 탄성 부직포 직물, 탄성 발포 물질 등이 있다. 탄성 실, 밴드 등의 다수의 횡축 탄성 수단들(18)은 전면부와 후면부를 가로질러 팽팽한 상태로 횡방향으로 고정된다. 탄성 수단들(18)은 다양한 형태의 부직포 직물 또는 다른 직물 물질로 된 두개의 층 사이에 밀봉된다. 상기 부직포 직물 등은 전면부(1), 후면부(2) 그리고 팬티(3)를 구성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팬티 기저귀의 흡수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a에서는 안전층(14)이 흡수층(13)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흡수층(13)은 흡수층의 상부와 내부 덮개층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액체 수용층(15)으로 디자인된다. 액체 수용층(15)은 일시적으로 액체를 흡수하여 흡수층(13)으로 방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액체 수용층(15)은 흡수층(13)보다 더 높은 다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원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층(15)은 흡수층(13)보다 낮은 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수용층(15)은 흡수층(13)에 흡수된 액체와 착용자의 몸사에에 간격층을 구성하여 다시 젖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미 흡수된 액체가 내부 덮개층(11)을 통하여 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용층(15)에 사용되는 물질은 폴리에스터 충전물, 벌키(bulky) 부직포, 다양한 형태의 라미네이트(laminate), 크로스링크드(cross-linked) 셀룰로오스 직물 등이 사용된다. 간격층은 착용자의 몸에 좋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야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수용층(15)은 액체 수용층(15)을 내부 덮개층(11) 및 또는 흡수층(13)과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층(13)에는 분리층이 되거나 또는 흡수층(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추가적인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층은 액체 운반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인접한 흡수층등에 포함된 초흡수 물질에 대하여 장벽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층은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적당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장벽층의 역할을 하는 정도까지 어느 정도의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의 실시예에서 상기 팬티 기저귀는 외부 덮개층(12) 다음에 배열된 안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층(14)은 흡수층(13)과 관련하여 종 및 횡방향으로 상당히 크다. 상당히 넓은 면적은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고 연장된 위치에 있는 흡수체에 안전감을 준다. 또한, 안전층(14)은 흡수층(13)으로부터 누출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안전층(14)은 흡수층(13)과 같은 형태의 물질을 포함하나 다른 흡수 물질 조성을 갖는다. 초흡수제 비율은 약간 낮은 10-29%, 바람직하게는 총 흡수 물질의 15%정도가 바람직하다. 초흡수 입자들의 목적은 흡수층(13)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 흡수체의 이론적인 흡수 능력은 350-450g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약370g이 된다. 안전층(14)은 흡수층(13)보다 낯은 밀도를 가지며 이러한 낮은 밀도는 더 높은 통풍성을 제공하여 부드러운 느낌과 편안함을 준다.
도 2b에서 안전층(14)은 흡수층(13)위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몸에 밀착되어 위치한다. 도 2b에서 안전층(14)은 흡수층(13)보다 단면적이 횡방향으로 약간 작다. 그러나 상기 두개의 층(13,14)은 횡방향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의 하나의 장점은 안전층(14)이 이와 같이 위치할 때 효과적인 액체 수용층을 형성하여 흡수층(13)으로 빠르고 많은 액체 운반을 가능하게 한다. 배출된 액체는 중심에 모아져 결과적으로 액체의 퍼짐을 초기 상태로 제한한다. 이 실시예에서 안전층(14)은 젖음 점(wetting point)에 근접한 팬티(3)에서 흡수층(13)과 횡방향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층 모양이 제공되어, 안전층(14)에 여분의 팬티 기저귀의 물질이 없이도 많은 양의 방광 배출을 잡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안전층(14)은 다공성 액체 수용층, 액체 운반층, 부드러운 충전층, 재젖음 방벽 또는 위장(camouflage)층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층(14)은 흡수층으로서의 부분적인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층(14)은 초흡수제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액체 수용층 특징이 있는 물질로 구성된다. 이 특징으로는 흡수층(13)에 비하여 높은 다공성과 액체를 빠르게 수용하고 흡수층(13)으로 전달하는 것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수층(14)은 또한 흡수층(13)에서 흡수한 액체와 착용자의 몸사이에서 간격층을 구성하여 다시 젖는 것을 방지한다.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전층(14)이 쾌적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만들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안전층(14)에 사용되는 적절한 물질로는 펄리에스터 충전물, 벌키 부직포, 다양한 형태의 라미네이트, 크로스링크드(cross-linked) 셀룰로오스 직물 등이 있다.
외부 덮개층(12) 다음에 위치한 흡수층(13)은 도 2a의 제 1실시예와 같은 조성 및 양의 흡수 물질을 가지고 있다. 흡수 안전층(14)이 없을 때 이론적인 흡수 능력은 240-280g으로 줄어든다. 이 경우에 누출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장벽층(19)이 흡수층(13)과 외부 덮개층(12)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장벽층(19)은 액체 비침투성 플라스틱 필름, 액체 차단 물질로 코팅된 부직포층 또는 액체 침투를 저지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외부 덮개층(12)은 액체 차단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장벽층은 정상적인 배출인 경우에 팬티 기저귀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본 제품은 일반적으로 작은 양의 액체를 배출하는 여성들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될 때 선택적으로 흡수층(13)에 흡수 물질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총 흡수 능력을 350-400g으로 증가시켜 감소된 흡수 능력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누출에 대한 보호를 증가시키는 수단으로써 장벽층은 선택적이다.
도 3은 전면부(1)쪽으로 바라본 조립된 팬티 기저귀이다. 상기 팬티 기저귀는 다리끼움부를 형성하는 종방향이며 내부로 만곡된 두 개의 측면들(8,9)과 허리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단부들(6,7)을 갖는다. 서로 부착하기 위한 두개의 측면들(4,5)은 각각 결합되어 팬티 기저귀가 팬티 같은 형상을 갖도록 한다. 상기의 결합은 접착, 꿰매기 또는 열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용접등에 의하여 될 수 있다.
도 4a는 측정이 수행되는 장치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설치물로 알려져 있다. 설치물과 펌프 장치는 도4a의 치수가 밀리미터이고 60ㅀ의 각은 착용자와 착용된 팬티 기저귀 사이에 존재하는 정상적인 조건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설치물은 전면부(20), 후면부(21) 그리고 가랑이 영역(22)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면에는 대응하는 팬티 기저귀의 전면부(1), 후면부(2) 그리고 가랑이부(3)가 배열될 수 있다. 가랑이 영역(22)는 바닥면(25)으로 부터 솟아오른 두개의 양각 모서리들(23,24)을 포함하며 바닥면의 면적은 상기 모서리들(23,24)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양각 모서리들(23,24)은 도 4b에 있다. 팬티 기저귀의 가랑이부(3)는 설치물의 가랑이 영역(22)에 배열된다. 가랑이부(3)는 양각 모서리(23,24)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펌프 장치는 튜브를 통하여 노즐(26)에 연결되어 이곳으로부터 인공 소변이 정산적인 방관 배출에 상응하는 속도 및 양으로 폄프된다. 노즐(26)은 고정 암(27)을 통하여 기저귀가 설치물에 배열될 때 기저귀에 수직한 위치로 설치물에 고정된다. 고정 암(27)은 설치물 전면부(20)의 측면부에 고정되어 전면부(20)를 가로질러 수직하게 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측정을 하는 동안에 고정 암(27)은 노즐(26)을 흡수물질 위의 고정된 위치에 고정한다.
<실험예의 설명>
아래에서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초흡수 물질과 종래의 물질을 갖는 흡수체를 비교하여, pH가 2.5-8.5인 셀룰로오스 펄프의 합성물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 팬티 기저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 액체
실험 액체는 유체색의 인공 소변인 SUM이다. 인공 소변의 조성은 0,66g/l MgSO4, 4.47 g/l KCL, 7.60g/l NaCl, 18.00g/l NH2CONH2, 3.54g/l KH2PO4, 0.745g/l Na2HPO4, 0.4g/l Nykockin(유색) 및 트리톤 X-100 0.1%용액 1.00g/l이다. 이 혼합물의 pH는 6.0±0.5이다.
방법
측정을 위하여 도 3에 따라서 조립된 팬티 기저귀는 도 1의 모양을 얻기 위하여 축면부(4,5)를 분리한다. 흡수체의 중심점을 측정하고 표시한다. 적심 점으로 알려진 점은 전면부(1)측으로 중심점으로부터 7㎝로 측정된다. 팬티 기저귀는 중심을 잡아 설치물에 위치시켜 중심점이 설치물의 가랑이 영역에 있는 대응하는 중심점에 놓이게 한다. 이 위치에서 흡수체에 표시된 적심 점은 노즐 아래 2㎝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인공 소변은 150ml의 양으로 20ml/s의 속도로 펌프 된다. 상기 양은 정상적인 소변 양에 대응한다. 팬티 기저귀는 5분 동안 설치물에 남겨놓아 흡수된 액체가 퍼지게 한다. 5분 후에 설치물로부터 팬티 기저귀를 제거하여 시험 소변에 의하여 변색된 퍼진 면적의 윤곽선을 표시한다. 팬티 기저귀를 편평한 면 위에 펼쳐 놓은 후에 일정 면적의 투명 필름 상기 표시된 윤곽선 위에 고정시킨다. 상기 투명 필름은 필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질량이 측정되어 있다. 상기 윤곽선은 상기 투명 필름위에 그려진다. 표시된 윤곽선을 따라 상기 필름을 자른 후, 액체가 퍼진 면적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필름의 단위 면적당 질량비로 액체가 퍼진 면적을 최종적으로 계산한다. 본 발명의 팬티 기저귀 10개와 와 종래의 팬티 기저귀 10개를 측정한다. 그램으로 측정된 중령과 제곱센티미터로 측정된 퍼진 면적의 평균값을 각각의 기저귀에 대하여 계산한다.
측정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팬티 기저귀가 종래의 팬티 기저귀 보다 훨씬 제한된 액체 퍼짐을 명백히 보여준다. 평균 중량 66.62g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팬티 기저귀는 평균 중량 55.06g을 갖는 종래의 팬티 기저귀가 240.01㎠ 퍼짐 면적을 갖는 데 비하여 192.98㎠의 퍼짐 면적을 갖는다. 평균 47㎠의 차이를 보여준다. 일련의 측정에서 개별적인 팬티 기저귀 사이에는 측정값의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두 번의 일련된 측정에서 각 측정군의 액체 퍼짐의 범위는 서로 겹쳐지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팬티 기저귀의 가장 높은 측정값은 종래의 팬티 기저귀의 가장 낮은 측정값보다 낮다.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하면서도 배출액체의 퍼짐이 제한되도록 하는 일회용 흡수팬티기저귀로서 흡수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듬으로서 사용자가 흡수팬티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평상복을 입을 수도 있고, 피부와 접촉되는 부위를 줄어들어서 착용자의 불쾌한 느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종방향 및 횡방향, 내부 덮개층(11), 외부 덮개 층(12), 상기 덮개층들(11,12) 사이에 밀봉된 흡수체(10),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허리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단부들(6,7),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리 끼움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측면들(8,9) 그리고 중간의 가랑이부(3)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면부(1) 및 후면부(2)를 갖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에 있어서,
    150mL의 액체량에 대하여 상기 팬티 기저귀의 액체 퍼짐이 상기 흡수체(10)의 면에서 200cm2의 퍼짐 면적 이하로 되도록 상기 흡수체(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10)는 흡수층(13) 과 안전층(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층(14)은 상기 흡수층(13)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층(14)은 상기 흡수층(13)의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5. 제2 항,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층(14)은 상기 흡수층(13)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6. 제2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층(14)은 상기 흡수층(13)보다 낮은 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7.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3)은 상기 안전층(14)보다 상기 팬티 기저귀의 종방향으로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70%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8.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3)의 총 면적은 195-235cm2를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10-220cm2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9.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3)은 높은 보유력을 가지며 낮은 퍼짐 능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0.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3)의 물질은 은 pH가 2.5-8.5, 바람직하게는 2.5-6.5, 가장 바람직하게는 2.5-5.5인 케미써모메카니칼 셀룰로오스 펄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1.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3)의 물질은 pH가 2.5-8.5, 바람직하게는 2.5-8.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7.0인 화학 셀룰로오스 펄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2.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10)는 총 흡수 능력이 350-400g이며 바람직하게는 37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3.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 물질은 초흡수 물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 물질은 상기 흡수체(10)의 물질 중량에서 30-70%, 바람직하게는 45-55%,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 물질은 입자들의 크기가 100 ㎛보다 작지 않고 1000 ㎛보다 크지 않으며 입자들의 총중량 중에서 크기가 106 -500 ㎛인 입자들이 60 - 65%이고 크기가 500 - 850 ㎛인 입자들이 40 -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6. 제13 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 물질은 중화도가 20%보다 높고 45%보다 낮으며 바람직하게는 35%보다 낮은 중화된 초흡수제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팬티 기저귀.
  17.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비침투 장벽층(19)은 상기 외부 덮개층(12) 다음의 상기 흡수체(10)의 아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팬티 기저귀.
KR10-2004-7006197A 2001-10-31 2002-09-26 일회용 팬티 기저귀 KR20040049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SE0103628-4 2001-10-31
SE0103628A SE0103628L (sv) 2001-10-31 2001-10-31 Absorberande byxblöja med begränsad vätskespridning i absorptionskroppens plan
PCT/SE2002/001751 WO2003053299A1 (en) 2001-10-31 2002-09-26 Disposable pant dia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000A true KR20040049000A (ko) 2004-06-10

Family

ID=2028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197A KR20040049000A (ko) 2001-10-31 2002-09-26 일회용 팬티 기저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448131A1 (ko)
JP (1) JP2005512679A (ko)
KR (1) KR20040049000A (ko)
AR (1) AR036668A1 (ko)
AU (1) AU2002337558B2 (ko)
BR (1) BR0213767A (ko)
CA (1) CA2464084A1 (ko)
MX (1) MXPA04003952A (ko)
MY (1) MY132563A (ko)
PL (1) PL368651A1 (ko)
RU (1) RU2296547C2 (ko)
SE (1) SE0103628L (ko)
WO (1) WO2003053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5919A1 (de) * 2003-11-29 2005-06-30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CA2598797C (en) * 2005-03-02 2014-01-07 Sca Hygiene Products Ab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JP5268046B2 (ja) * 2007-09-05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225640B2 (ja) * 2007-09-06 2013-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358161B2 (en) * 2011-06-21 2016-06-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having contraction
CN104622644B (zh) * 2013-11-14 2019-09-20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吸收制品
KR102571955B1 (ko) * 2016-08-31 2023-08-2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선된 가스켓팅을 갖는 흡수 용품
JP6744211B2 (ja) * 2016-12-28 2020-08-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730110B1 (en) * 2017-12-19 2023-09-20 Kao Corporation Pants-type wearable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335A (en) * 1990-02-23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ES2062890T3 (es) * 1991-01-03 1994-12-16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un cuerpo absorbente de capas multiples envueltas de recepcion rapida.
SE468744B (sv) * 1991-01-29 1993-03-15 Moelnlycke Ab Absorptionskropp foer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minst tvaa olika fluffmassor samt bloeja innefattande absorptionskroppen
JP3107234B2 (ja) * 1991-03-28 2000-11-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222494B2 (ja) * 1991-07-29 2001-10-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330457A (en) * 1991-09-30 1994-07-19 Hercules Incorporated Enhanced core utilization in absorbent products
EP0624618B1 (en) * 1992-08-28 1999-01-27 Nippon Shokubai Co., Ltd. Water absorptive material, water absorptive article and their production method
JP3205168B2 (ja) * 1993-06-18 2001-09-04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紙おむつ用吸収剤組成物
US5562650A (en) * 1994-03-04 1996-10-08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surge management
JP3829167B2 (ja) * 1997-06-02 2006-10-04 花王株式会社 吸収体
SE511838C2 (sv) * 1997-06-17 1999-12-06 Sca Hygiene Prod Ab Minskning av oönskade sidoeffekter vid användning av absorberande alster med hjälp av pH-styrning
JP3707915B2 (ja) * 1997-09-30 2005-10-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E513261C2 (sv) * 1998-12-16 2000-08-14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en synergistisk kombination av en pH-reglerande substans och mjölksyrabakterier
JP2000254168A (ja) * 1999-03-09 2000-09-19 Kao Corp 吸収性物品
JP3874573B2 (ja) * 1999-06-07 2007-01-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37558B2 (en) 2008-07-03
EP1448131A1 (en) 2004-08-25
MXPA04003952A (es) 2004-06-18
SE520063C2 (sv) 2003-05-20
RU2004116306A (ru) 2005-03-27
AU2002337558A1 (en) 2003-07-09
RU2296547C2 (ru) 2007-04-10
MY132563A (en) 2007-10-31
SE0103628L (sv) 2003-05-20
JP2005512679A (ja) 2005-05-12
PL368651A1 (en) 2005-04-04
AR036668A1 (es) 2004-09-22
CA2464084A1 (en) 2003-07-03
WO2003053299A1 (en) 2003-07-03
BR0213767A (pt) 2004-10-19
SE0103628D0 (sv)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950B1 (en) Incontinence article for males
US6548732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hydrophobic leak protection zones
BRPI0419206B1 (pt) Artigo absorvente
WO2006028509A1 (en) Disposable absorbent underpants
WO2006022866A1 (en) Disposable absorbent underpants
KR20040049000A (ko) 일회용 팬티 기저귀
WO2013031469A1 (ja) 使い捨ておむつ
US20220304866A1 (en) Multi-piece absorbent articles with leg cuffs
US20030100873A1 (en) Disposable pant diaper
JP519125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6631731B1 (ja) 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JP2977357B2 (ja) パンツ型おむつ
US20030144641A1 (en) Absorbent products having high total front pad AULs
JPS6036049A (ja) 失調用インサート
JP2003290282A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10064584A (ko) 일회용 기저귀
JP7060348B2 (ja) 吸収性物品
JP202108369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20020091283A (ko) 일회용 흡수 언더팬츠
JP2020014646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04867A1 (en) Multi-piec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thereof
JP7318373B2 (ja) 吸収性物品
JP7331518B2 (ja) 吸収性物品
WO2024116554A1 (ja) 吸収性物品
JP7338293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