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117A - 노래 반주기 - Google Patents

노래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117A
KR20040048117A KR1020020075889A KR20020075889A KR20040048117A KR 20040048117 A KR20040048117 A KR 20040048117A KR 1020020075889 A KR1020020075889 A KR 1020020075889A KR 20020075889 A KR20020075889 A KR 20020075889A KR 20040048117 A KR20040048117 A KR 2004004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genre
microphone
accompani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8117A/ko
Publication of KR2004004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1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83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parameters controlling audio interpola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해당되는 곡의 가사와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에 있어서,
반주될 곡의 반주 및 가사 외에 해당 곡의 장르를 추가로 저장하게 되는 곡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선곡된 곡을 상기 곡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장르를 분석하는 장르 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장르별로 설정되어 있는 마이크의 볼륨과 이퀄라이저 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선곡된 곡의 장르별로 입력된 마이크의 볼륨과 이퀄라이저를 조절하여 출력한 뒤 이를 해당 곡의 반주와 같이 출력함으로써, 각 장르에 맞게 최적화된 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 반주기{Karaoke system}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주되는 곡의 장르에 맞춰 마이크에 입력된 신호의 볼륨과 이퀄라이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노래 반주기는 노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있다가 사용자의 곡 선택에 의하여 해당 곡을 추출하여 반주음과 가사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노래 반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서, 노래 반주기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래 반주기는 제어부(10), 키조작부(20), 저장부(30), 표시부(40), 증폭회로(50), 스피커(60), 마이크(70), 통신부(80), 리모트 콘트롤러(9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독립적인 노래 반주기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PC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0)는 노래 반주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전원이 입력되면 키입력을 기다리며, 키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키신호에 대응되는 기능(곡목 테이블 출력기능, 곡목 선택기능, 반주 송출기능, 악보/가사 자막 출력기능, 영상 화면 출력 기능, 소절 반복 기능, 자막 높낮이 조절 기능, 특정 소절 선택 기능, 박자조절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키조작부(20)는 사용자로 하여금 곡목 등을 선택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저장부(30)는 노래 반주기의 진행에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며, 음악정보 데이터베이스(30')를 구비한다. 상기 음악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반주 데이터베이스(31), 악보 데이터베이스(33), 가사 데이터베이스(35)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반주 데이터베이스(31)에는 다양한 곡들의 노래 반주가 악보/가사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며,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33)에는 곡들의 악보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며, 상기 가사 데이터베이스(35)에는 곡들의 가사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30)에는 곡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곡목 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및 악보/가사 자막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영상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이 될 수도 있고, 상기 노래 반주기에 연동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노래 반주기와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때로는 독립형으로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TV, 대형 스크린, LCD,모니터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증폭회로(50)는 오디오 증폭회로로서, 상기 마이크(7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반주 데이터베이스(31)로부터 독출되는 반주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70) 및 스피커(60)는 볼륨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80)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9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곳으로, 리모트 콘트롤러(90)가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적외선 수광부(83)와 복조부(81)로 구성된다. 상기 적외선 수광부(83)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90)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광하며, 상기 복조부(81)는 상기 적외선 수광부(83)를 통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인가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90)는 상기 노래 반주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내부에 적외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조부와 적외선 신호를 방사하는 적외선 송신기를 구비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90)가 적외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예를 들어, 무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80)도 그에 대응되는 구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노래 반주기에서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파, 즉, 사용자가 가창하게 된 노래는 상기 마이크로 단순히 입력되어 주 앰프 등에서 미리 설정된 이퀄라이저 및 볼륨에 의해서 획일적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장르별로 그 특성이 다른 노래의 스타일을 살리지 못하고 있어 노래 반주기의 제 역할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곡된 곡마다 입력되는 마이크 볼륨 및 이퀄라이저를 변경시켜 보다 생동감 있는 출력음을 제공할 수 있는 노래 반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노래 반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어부20...키조작부
30...저장부40...표시부
50...증폭회로60...스피커
70...마이크80...통신부
90...리모트 콘트롤러110...곡 선택 키
120...곡 저장부130...장르 분석부
140...디코더150...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160...반주음 출력 제어부170...스피커
180...마이크190...마이크 출력 제어부
195...마이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해당되는 곡의가사와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에 있어서,
반주될 곡의 반주 및 가사 외에 해당 곡의 장르를 추가로 저장하게 되는 곡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선곡된 곡을 상기 곡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장르를 분석하는 장르 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장르별로 설정되어 있는 마이크의 볼륨과 이퀄라이저 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선곡된 곡의 장르별로 입력된 마이크의 볼륨과 이퀄라이저를 조절하여 출력한 뒤 이를 해당 곡의 반주와 같이 출력함으로써, 각 장르에 맞게 최적화된 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곡 선택 키(110)와, 상기 곡 선택 키(110)에 의하여 선택될 곡이 저장되는 곡 저장부(120)와, 상기 곡 선택에 의하여 상기 곡 저장부(120)에서 추출된 곡의 장르를 분석하는 장르 분석부(130)와, 상기 추출된 곡을 출력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코더(140) 및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50)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의 볼륨 조절과 이퀄라이저 조절을 가하는 반주음 출력 제어부(160)와, 사용자에 의한 가창음이 입력되는 마이크(180)와, 상기 입력된 가창음을 상기 장르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곡의 장르별로 저장되어 있는 볼륨과 이퀄라이저에 맞게 조절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출력 제어부(190) 및 최종적으로 상기 마이크 출력 제어부의 출력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반주음이 출력되는 스피커(17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곡 선택 키(110)는 노래 반주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곡 선택시에는 다수의 곡을 번호로써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번호키가 필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곡 저장부(120)는 노래 반주기에서 제공하게 될 노래의 반주음과 가사 및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장르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저장되어야 한다.
오늘날 곡 저장 형태로 많이 사용되는 디지털 파일인 MP3는 노래의 음외에도 각종 정보가 기록되는 태그(tag)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태그에 해당곡의 장르를 저장해두면 된다.
상기 장르 분석부(130)는 곡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던 다수의 곡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곡의 태그 등을 분석하여 장르를 알아내게 된다.
상기 디코더(140)는 선택된 곡을 해독하게 되며, 이 해독된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50)에 의하여 출력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반주음 출력 제어부(160)는 노래 반주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모든 음을 제어하게 되는 부재로서, 당연히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5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도 이에 해당되며, 뒤에서 언급될 마이크 출력 신호 또한 이에 해당된다.
상기 마이크(mike)(180)는 음파 또는 초음파를 받아서 그 진동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약칭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가창음을 노래 반주기로 전송할 수 있게되며, 노래 반주기는 입력된 가창음을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전기신호로써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상기 반주음과 같이 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 출력 제어부(190)는 상기 마이크(180)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된 사용자의 가창음을 상기 장르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장르에 따라 적절하게 볼륨과 이퀄라이저 조절을 하여 출력시킨다. 장르에 적합한 볼륨 조절과 이퀄라이저 조절은 상기 곡 저장부 또는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이 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이크 출력 제어부(190)에서 장르에 따라 볼륨과 이퀄라이저가 조절된 신호는 상기 반주음 출력 제어부로 입력되어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150)에서 변환된 반주음과 같이 재차 볼륨과 이퀄라이저가 조절되어 스피커(170)로 출력된다.
물론, 상기 각 부재의 제어는 중앙에서 마이컴(195)이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노래 반주기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이루어지게 되면(S 210), 곡 저장부에서 해당곡을 추출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해당곡의 장르 또한 분석된다(S 220).
상기 분석된 장르에 맞추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장르별 마이크 볼륨과 이퀄라이저를 추출하게 되는데(S 230), 이는 상기 곡 저장부에 함께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르별 볼륨과 이퀄라이저 조절 방법은 매우 다양할 것이나, 예로써 몇가지를 소개하면, 장르가 댄스곡인 경우 마이크 볼륨을 증가시키고 이퀄라이저는 댄스에 맞게 변환시켜 마이크 출력 신호 자체를 제어하게 된다(S 240). 이와 마찬가지로 발라드곡인 경우에는 마이크 볼륨을 유지하고 이퀄라이저는 발라드로, 째즈곡인 경우는 마이크 음량을 감소시키고 이퀄라이저는 클래식으로 변환시키는 등으로 하면 되며, 이는 상기 곡 저장부 또는 별도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이 되어 있어야 하며, 디폴트로 어느 한 장르를 선정해 놓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출력이 조절된 마이크 출력음은 최종적으로 반주음 출력부에서 반주음과 같이 합쳐져서 출력된다(S 25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곡된 곡의 장르에 맞춰 적절하게 변환시킴으로써, 장르별로 최적화된 출력음을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의 키입력에 해당되는 곡의 가사와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에 있어서,
    반주될 곡의 반주 및 가사 외에 해당곡의 장르를 추가로 저장하게 되는 곡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선곡된 곡을 상기 곡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장르를 분석하는 장르 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장르별로 설정되어 있는 마이크의 볼륨과 이퀄라이저 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2. 사용자의 키입력에 해당되는 곡의 가사와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키입력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키입력에 의하여 선곡된 곡에서 장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장르에 맞추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장르별 마이크 볼륨과 이퀄라이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 볼륨과 이퀄라이저에 의해 마이크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방법.
KR1020020075889A 2002-12-02 2002-12-02 노래 반주기 KR2004004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889A KR20040048117A (ko) 2002-12-02 2002-12-02 노래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889A KR20040048117A (ko) 2002-12-02 2002-12-02 노래 반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117A true KR20040048117A (ko) 2004-06-07

Family

ID=3734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889A KR20040048117A (ko) 2002-12-02 2002-12-02 노래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81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614A1 (en) * 2006-03-17 2007-09-27 Sm Bravo Co., Ltd Thin karaoke having display device in a body
KR100931833B1 (ko) * 2008-04-29 2009-12-15 주식회사 엔터기술 정음모드를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정음모드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614A1 (en) * 2006-03-17 2007-09-27 Sm Bravo Co., Ltd Thin karaoke having display device in a body
KR100931833B1 (ko) * 2008-04-29 2009-12-15 주식회사 엔터기술 정음모드를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정음모드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9291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audio sou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525879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等化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071138A (ja) カラオケ装置
CN103380454A (zh) 用于钹振动的电子处理的系统及方法
US7262358B2 (en) Portable voice studio system and method
US825300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match keys between music being reproduced and music being performed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01341529B (zh) 便携式媒体播放器
JP6452229B2 (ja) カラオケ効果音設定システム
US20110239847A1 (en) Electronic drumsticks system
JP5130348B2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Stark Live sound reinforcement: A comprehensive guide to PA and music reinforcement systems and technology
KR20040048117A (ko) 노래 반주기
US20220036867A1 (en) Entertainment System
JP2004318075A (ja) 音楽再生装置
JP5486941B2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JPH1091173A (ja) 楽音再生装置
JP2014197082A (ja) 楽器音出力装置
JP2014066922A (ja) 楽曲演奏装置
JPH0417000A (ja) カラオケ装置
JP2009244712A (ja) 演奏システム及び録音方法
JP2016081039A (ja) 音響システム
KR20120026808A (ko)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US20230260490A1 (en) Selective tone shifting device
KR200284289Y1 (ko) 노래 반주기
JP4299747B2 (ja) 電子早見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