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609A -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609A
KR20040046609A KR1020020074580A KR20020074580A KR20040046609A KR 20040046609 A KR20040046609 A KR 20040046609A KR 1020020074580 A KR1020020074580 A KR 1020020074580A KR 20020074580 A KR20020074580 A KR 20020074580A KR 20040046609 A KR20040046609 A KR 2004004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white
sidewall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신경섭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609A/ko
Publication of KR2004004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25Compositions of the side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백색 사이드월 커버스트립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부타디엔 고무 10∼40중량%, 천연고무 10∼40중량%, 고분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 10∼35중량% 및 할로겐화 부틸 고무 10∼35중량%로 이루어진 고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노화방지제 0.7∼1.0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백색사이드월에서 발생하는 백변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아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Rubber composition for coverstripe of tire white sidewall}
본 발명은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색 사이드월에서 자주 발생하는 백색 사이드월의 오염문제, 일면 백변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스트립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공기입 타이어를 사이드월의 색상으로 구분해본다면, 흑색의 사이드월과 백색의 사이드월 타이어로 구분할 수 있다. 백색의 사이드월은 흑색의 사이드월에 비해 카본블랙의 검은 색상에 식상한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감을 줄 수 있는 타이어다. 검은 색상 대신 사이드부의 흰색은 정차시나 주행시 소비자의 눈에 띌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더 나아가 흰색의 색상 대신 다양한 색상을 지닌 사이드월 고무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백색의 사이드월은 통상적으로 백색의 사이드월 고무와 백색 사이드월 고무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스트립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백색의 사이드월이 사용된 타이어가 장기간 주행하게 되면 백색 사이드월부 주변에 일명 백변현상이라고 말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백색고무를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쓰여진 커버스트립 부위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백색 사이드월에서만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이며, 아직까지 정확한 발생원인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체적으로 배합 고무중에 있는 왁스에 의해서 발생되다고 알려져 있다.
즉, 백색 배합고무나 커버스트립 배합고무 중에 있는 왁스 성분이 타이어의 주행이나 햇빛에 노출되면 열에 의해서 타이어 사이드월부의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된다.
타이어의 주행이 계속됨에 따라서 백색 사이드월에 정전기가 발생되어 노면의 모래나 흙의 주성분인 Al, Si 등의 성분이 사이드월 표면에 흡착하게 된다.
주행하는 타이어에서 열에 의해 왁스층이 제거되면 사이드월 표면에 존재하는 Al, Si 성분들이 고무표면에 남아서 하얗게 보이는 백변현상을 보이게 된다.
세차를 하거나 타이어를 물로 닦아내면 일시적으로 Al, Si 성분이 세척되어서 백변현상을 사라지지만 다시 타이어가 주행되면 상기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다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아스팔트 노면에 비가 오면 완전히 검은색을 띠다가 노면이 마르면 희뿌연 색을 띠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공기중의 먼지성분이 비에 의해서 노면으로 내려 왔다가 노면이 마르면 Al, Si 성분만 노면에 남는 원리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백변 현상은 타이어의 내구 성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지만, 외관을 색다르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백색 사이드월의 당초 의도가 퇴색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들이 고안되었는데, 우선 백변현상의 직접적인 원인 성분인 왁스를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왁스는 배합 고무 중에서 일종의 정적 노화방지제 역할을 한다. 즉, 타이어 주행시 열에 의해서 고무표면으로 이동하여 고무층을 덮고 햇빛이 고무 표면에 직접 닿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왁스를 넣지 않은 배합고무를 생각할 경우, 왁스가 없어도 정적 노화방지 효과가 탁월한 고무를 생각해야 되고, 오염 문제 때문에 노화방지제를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백색 사이드월부 고무 특성상 고무 자체를 상당히 고가의 포화 탄화수소 고무로 사용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왁스 대신에 왁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성분을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저분자 액상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를 소량 첨가하여 변색이나 외관악화없이 내후성, 내오존성 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공개된 기술이다(특허공개 제1999-41200호). 그런데, 이 방법은 효과면에서는 매우 우수했으나, 저분자 액상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가 매우 고가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통상의 디엔고무와 고분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 및 할로겐화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고무 조성물에 극히 소량의 노화방지제만을 첨가한 결과, 고가의 고무를 사용하지 않고도 백색사이드월에서 발생하는 백변현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사이드월 고무 조성의 고무를 사용하면서 극히 조절된 양의 노화방지제를 사용하여 백변현상을 가려줄 수 있는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색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은 폴리부타디엔 고무 10∼40중량%, 천연고무 10∼40중량%, 고분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 10∼35중량% 및 할로겐화 부틸 고무 10∼35중량%로 이루어진 고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노화방지제 0.7∼1.0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기술은 흑테의 사이드월에서도 상술한 백변 현상이 발생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즉 흑색 사이드월 고무에서는 백색 사이드월 고무에 없는 노화방지제가 첨가되어 있어서 이 노화방지제가 분해될 때 갈색을 띄게 되는데, 이 갈색 때문에 흑색 사이드월에서 백변현상이 가려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단, 백색 사이드월의 경우에는 인접 백색 사이드부가 오염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판단시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심하지 않게 일어날 정도의 양으로 조절하여 노화방지제를 첨가한데 본 발명의 원리가 있다.
본 발명의 커버스트립용 고무 조성에서 원료고무는 통상의 사이드월 고무 조성의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10∼40중량%, 천연고무 10∼40중량%, 고분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 10∼35중량% 및 할로겐화 부틸고무 10∼35중량%로 이루어진다.
노화방지제로는 통상 흑색 사이드월 및 트레드 부위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제한적이지 않다.
일반적인 타이어의 사용환경은 일광에 노출이 되고, 반복적인 하중을 받으며, 제동 및 구동시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매우 높은 열을 경험하게 된다.
타이어를 구성하고 있는 고무 재료는 화학적으로 탄소-탄소 결합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 화학결합은 위와 같은 타이어의 사용환경 하에서 열이나 오존에 의해 절단되면서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한번 생성된 라디칼은 연쇄적인 분자결합 절단을 일으켜 표면에 크랙이 성장하여 고무의 물성을 열화시키는 데, 이를 노화라고 한다.
이와같은 노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를 구성하는 여러 부분의 고무 재료에는 예외없이 노화방지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중 타이어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노화 방지제와 동적 오존 노화방지제로는 아민계 노화방지제가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아민계 노화방지제는 고무의 내부나 표면에서 노화방지 효과를 발휘하게 되면 암갈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노화방지제가 햇빛에 의해서 분해될 때 갈색을 띄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노화방지제가 없는 커버스트립 고무에서 발생하는 백변현상을 갈색이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화방지제가 지나치게 많이 커버스트립 고무에 첨가되면 인접한 백색 사이드월 고무로 노화방지제가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량의 노화방지제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노화방지제의 함량은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해 0.7∼1.0중량부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커버스트립 고무 조성물에는 통상의 첨가제로 카본블랙, 산화아연, 유황, 유황공여체, 촉진제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합제 성분들을 이용하여 배합한 커버스트립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백색사이드월 타이어를 제조하였으며, 일정거리 주행 후백색 사이드월의 오염, 변색 및 크랙정도를 관찰하였다. 오염변색은 색도측정방법은 크로마미터(Chroma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크로마미터로 색상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색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오존에 의한 크랙은 크랙의 균열개수, 크기 및 깊이로 판정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NR/BR 40/20 40/20 40/20 40/20 40/20 40/20
EPDM/IIR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카본블랙 35 35 35 35 35 35
가공유 10 10 10 10 10 10
3 3 3 3 3 3
촉진제 0.5 0.5 0.5 0.5 0.5 0.5
노화방지제 0.7 1.0 - - 0.5 1.3
왁스 - - 4.0 2.0 - -
NR: 천연고무(SIR20), BR: 폴리부타디엔 고무(금호석유화학 제품)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금호석유화학 제품)IIR: 할로겐화 부틸고무(엑손제품), 카본블랙; N660, 코리아카본제품가공유: 나프텐산 오일, 미창석유제품,왁스: 미세결정성 왁스, 용진유화제품노화방지제: 6C, N-페닐-N'-(1,3-디메틸부틸)-p-페닐렌 디아민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오존 크랙 A-2 A-1 A-1 B-4 B-2 A-1
백변현상 없음 없음 매우심함 심함 없음 없음
인접 백색고무 변색유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변색 발생
크로마미터 b값 +1.76 +1.98 +1.64 +1.72 +1.35 +2.38
<크랙개수 및 크기 판정 기준>균열수 - A: 균열수 적음, B: 균열수 많음, C: 균열수 무수히 많음균열크기 및 깊이 - 1: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10배 현미경으로 확인2: 육안으로 확인, 3: 균열이 깊고, 비교적 큰 것(1mm이하)4:균열이 깊고, 비교적 큰 것(∼3mm)5:균열이 깊고, 비교적 큰 것(3mm이상, 또는 절단된 것)크로마토미터 측정값 중 b값은 갈색의 정도를 나타내며 b값이 증가할수록 갈색이증가하는 경향임.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과 2의 경우 변색 및 오존 성능이 기타 다른 예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비교예 1의 경우 백색고무와의 변색은 없으나 백변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며, 비교예 2, 즉 백변현상의 원인인 왁스량을 감량시켜도 백변현상을 사라지지 않았으며 오존성능도 배교예 1에 비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왁스의 제거로 백변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나 정적 노화방지제인 왁스의 부재로 인해 오존 성능 면에서 불리함을 알 수 있다. 즉, 노화방지제의 함량이 적은 문제가 있다.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오존 성능 및 백변현상에서 유리하나 지나친 노화방지제 첨가로 인해 인접 백색고무로 노화방지제가 이동하여 인접 백색고무를 변색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크로마미터 측정시에도 노화방지제의 분해로 인해 b값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만이 백변현상도 일어나지 않고 인접 백색고무를 변색시키지도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통상의 사이드월부 고무 조성에 극히 소량의 노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경우 백색사이드월에서 발생하는 백변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아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로서 유용하다.

Claims (1)

  1. 폴리부타디엔 고무 10∼40중량%, 천연고무 10∼40중량%, 고분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 10∼35중량% 및 할로겐화 부틸 고무 10∼35중량%로 이루어진 고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노화방지제 0.7∼1.0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타이어 백색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KR1020020074580A 2002-11-28 2002-11-28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KR20040046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580A KR20040046609A (ko) 2002-11-28 2002-11-28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580A KR20040046609A (ko) 2002-11-28 2002-11-28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609A true KR20040046609A (ko) 2004-06-05

Family

ID=373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580A KR20040046609A (ko) 2002-11-28 2002-11-28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60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192A (en) * 1989-05-19 1991-01-22 Oberster Arthur E Colored tire stocks having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color and color stability
JPH08231773A (ja) * 1995-02-22 1996-09-10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H10324779A (ja) * 1997-03-26 1998-12-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
US5964969A (en) * 1997-06-19 1999-10-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white sidewall
KR100237254B1 (ko) * 1997-11-21 2000-01-15 홍건희 타이어의 백색 사이드월 및 흑색 커버스트립용 고무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192A (en) * 1989-05-19 1991-01-22 Oberster Arthur E Colored tire stocks having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color and color stability
JPH08231773A (ja) * 1995-02-22 1996-09-10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H10324779A (ja) * 1997-03-26 1998-12-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
US5964969A (en) * 1997-06-19 1999-10-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white sidewall
KR100237254B1 (ko) * 1997-11-21 2000-01-15 홍건희 타이어의 백색 사이드월 및 흑색 커버스트립용 고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4804B1 (en) Tread for retreaded tire and retreaded tire
CN105324430B (zh) 充气轮胎
KR20010051528A (ko) 가황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측벽을 갖는 타이어
JPS63202636A (ja) タイヤトレツド用ゴム組成物
EP1462479A1 (en)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using the same
JP7334276B2 (ja) 低汚染の劣化防止剤化合物、劣化防止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5432250B2 (ja) タイヤ用の側壁形状物
KR20040046609A (ko) 타이어 백색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용 고무조성물
US6171671B1 (en) Rubber compositions and products devoid of zinc
KR100250641B1 (ko) 액상 epdm고무를 함유하는 고무조성물
JP3895025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JPH11246708A (ja) ゴム組成物
KR100237254B1 (ko) 타이어의 백색 사이드월 및 흑색 커버스트립용 고무 조성물
KR100199518B1 (ko) 트레드부의 내오존 노화성이 향상된 타이어의 제조방법
JP2007131808A (ja) ゴム組成物
JP2003213043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S6144004A (ja) サイド外観が改良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
KR1012096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고무 조성물
KR100233228B1 (ko) 타이어 림부 고무 조성물
KR100234482B1 (ko) 내 오존 및 계면 접착력이 향상된 고무 조성물
JPH10219034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2001214002A (ja) ゴム組成物
JPH11278008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999193B2 (en) Tyre for vehicle wheels
KR100217206B1 (ko) 내피로 크랙성과 내오존 크랙성이 우수한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