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038A -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038A
KR20040046038A KR1020020073840A KR20020073840A KR20040046038A KR 20040046038 A KR20040046038 A KR 20040046038A KR 1020020073840 A KR1020020073840 A KR 1020020073840A KR 20020073840 A KR20020073840 A KR 20020073840A KR 20040046038 A KR20040046038 A KR 2004004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press
outer pipe
lower arm
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038A/ko
Publication of KR2004004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2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L-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압입형 부시의 아우터 파이프에 외향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압입형 부시의 돌출부를 장착 대상물의 압입공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부를 끼워 맞춰 압입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시 작업자가 방향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어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불량에 의해 방향 오차가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부시의 장착부위가 헐거워져 헛도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A mounting structure for bush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작업이 단순하고 조립 방향의 오차 및 부시가 헛도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서, 이 같은 현가장치의 주요기능은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 및 신속히 감소시키는 기능이다.
여기서,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 전방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로워암(10)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차체에 A점 부시(20)와 G점 부시(30)가 연결되고 B점의 부시(40)가 볼조인트를 통해 차륜의 너클과 연결되어 어퍼암과 함께 차륜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태빌라이저도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B점의 부시(40)는 로워암(10)의 B점 압입공에 압입하여 설치하는 압입형 부시로서,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암(10)의 B점 압입공에 압입되는 아우터 파이프(Outer Pipe)(41)와, 차륜의 너클에 연결되는 이너 파이프(Inner Pipe)(42)로 구성되며, 아우터 파이프(41)와 이너 파이프(42)의 사이에는 완충재인 고무부재(43)가 내설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로워암(10)에 사용되는 부시(40)의 고무부재(43)는, 로워암(10)의 연결부위에 전달되는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키기 위해 특정한 형상을 가지고있는 바, 로워암(10)에 부시(40)를 압입할 때 방향성을 가지고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 시 미리 부시(40)의 고무부재(43) 표면에 압입방향을 표시하여 두고, 작업자는 상기 고무부재(43)의 표면에 표시된 압입방향에 맞추어 부시(40)를로워암(10)에 압입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시 장착 구조는, 방향성을 가지고 부시를 장착해야 하므로 조립 과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조립이 불량하여 원래 정해진 방향에서 약간의 오차만 발생하여도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속품의 품질이나 조립 불량에 따라 부시의 장착부위가 헐거워지는 경우 부시가 헛도는 유동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립 작업이 단순하고 조립 방향의 오차 및 부시가 헛도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로워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된 B점의 압입형 부시에 대한 정면도,
도 2의 (b)는 도 2 (a)의 종축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입형 부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압입형 부시를 도 4의 로워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압입형 부시 110: 아우터 파이프
112: 돌출부 120: 이너 파이프
130: 고무부재 200: 로워암
210: 압입공 212: 요홈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는, 아우터파이프의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압입형 부시와, 상기 압입형 부시가 압입될 수 있는 압입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압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입형 부시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내의 부시 장착 대상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시 장착 대상물이, 차체와 차륜의 너클을 연결하는 로워암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입형 부시의 정면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압입형 부시(100)는, 아우터 파이프(110)와, 이 아우터 파이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너 파이프(120) 및, 아우터 파이프(110)와 이너 파이프(120)의 사이에 내설된 완충재인 고무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우터 파이프(110)의 일측면에는 외측을 향한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일예로, 상기 돌출부(112)는 아우터 파이프(110)의 일측면을 변형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압입형 부시(100)가 장착되는 대상물에는, 부시(100)가 압입될 수 있는 압입공이 형성되어 있되 이 압입공의 내주면에 압입형 부시(100)의 돌출부(112)에 대응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압입형 부시(100)가 장착되는 대상물이 로워암인 경우를 예로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암(200)의 B점 압입공(210)의 내주면에 압입형 부시(100)의 돌출부(112)에 대응되는 요홈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조립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형 부시(100)의 돌출부(112)를 로워암(200) B점 압입공(210)의 요홈부(212)에 맞춰서 압입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조립 시 작업자가 방향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어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불량에 의해 방향 오차가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부시의 장착부위가 헐거워져 헛도는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입형 부시의 아우터 파이프에 외향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압입형 부시의 돌출부를 장착 대상물의 압입공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부를 끼워 맞춰 압입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시 작업자가 방향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어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불량에 의해 방향 오차가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부시의 장착부위가 헐거워져 헛도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에 있어서,
    아우터파이프의 일측면에 외향(外向)의 돌출부가 형성된 압입형 부시와,
    상기 압입형 부시가 압입될 수 있는 압입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압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압입형 부시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내의 부시 장착 대상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장착 대상물은, 차체와 차륜의 너클을 연결하는 로워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KR1020020073840A 2002-11-26 2002-11-26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KR20040046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840A KR20040046038A (ko) 2002-11-26 2002-11-26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840A KR20040046038A (ko) 2002-11-26 2002-11-26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038A true KR20040046038A (ko) 2004-06-05

Family

ID=3734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840A KR20040046038A (ko) 2002-11-26 2002-11-26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0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42B1 (ko) * 2006-11-10 2014-01-06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횡방향 컨트롤 아암 또는 경사 컨트롤 아암
CN113276051A (zh) * 2020-02-20 2021-08-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更换下臂的衬套的组装工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4511U (ko) * 1980-12-01 1982-06-10
JPH02143536U (ko) * 1989-05-09 1990-12-05
KR970021387U (ko) * 1995-11-09 1997-06-18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KR19980021242U (ko) * 1996-10-19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용 로워아암 고정 구조
KR100280628B1 (ko) * 1996-12-31 2001-02-01 정몽규 자동차의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4511U (ko) * 1980-12-01 1982-06-10
JPH02143536U (ko) * 1989-05-09 1990-12-05
KR970021387U (ko) * 1995-11-09 1997-06-18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KR19980021242U (ko) * 1996-10-19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용 로워아암 고정 구조
KR100280628B1 (ko) * 1996-12-31 2001-02-01 정몽규 자동차의 현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42B1 (ko) * 2006-11-10 2014-01-06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횡방향 컨트롤 아암 또는 경사 컨트롤 아암
CN113276051A (zh) * 2020-02-20 2021-08-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更换下臂的衬套的组装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5657A1 (en) Bush
JP5061080B2 (ja) 防振ブッシュ
KR20040023217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 장치
JP4053039B2 (ja) 防振装置
KR20040046038A (ko) 자동차의 압입형 부시 장착구조
JP2001295886A (ja) 防振装置
JPH08219210A (ja) 防振支持体
KR100435273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JP2002002249A (ja) 車両のスタビライザ
KR10040286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그립
JP3153022B2 (ja) バンパーバウンドとダストカバーとの組立構造
JP4080709B2 (ja) 防振装置
KR100391205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의 설치구조
KR100660272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KR20010027563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고정구조
JP4202486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用ブラケットおよびエンジンマウント
KR100537002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링케이지 방진체
KR20110023157A (ko) 차량 서스펜션용 볼 조인트 및 그 장착 방법
JP3892155B2 (ja) 防振マウントの取付構造
JP2005207601A (ja) 防振マウント
JP2576375Y2 (ja) フランジ付ゴムブッシュ
KR200215505Y1 (ko) 자동차용 볼부쉬
KR100434661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구조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00537795B1 (ko) 쇽업소버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