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934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ηηο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ηηο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934A
KR20040045934A KR10-2004-7006275A KR20047006275A KR20040045934A KR 20040045934 A KR20040045934 A KR 20040045934A KR 20047006275 A KR20047006275 A KR 20047006275A KR 20040045934 A KR20040045934 A KR 20040045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mobile station
training signal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타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5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국(MS)은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가 종료되면, 그 감시의 종료를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는 송신 갭의 시간과 함께 HHO원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BSTl)에 통지한다. 이동국(MS)은 미리 지정된 송신 전력에 의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BSTl)은 상기 신호의 수신을 시도한다. 기지국(BSTl)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면, 이때의 수신 타이밍 및 수신 SIR을 측정해서 보관하고, 미리 정해진 충분한 수신 품질을 얻는데 필요한 목표 SIR과 수신 SIR간의 차를 산출하고, 그 차를 HHO원 주파수를 사용하여 ACK 신호에 의해 이동국(MS)에 통지한다. 이동국(MS)은 ACK 신호를 수신하면, 주파수를 HHO처 주파수로 변경하여 송수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ΗΗΟ 방법{INTER-FREQUENCY HHO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종래의 주파수간 HHO 방법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MS: Mobile Station)이 CPICH(Common Pilot Channel: 공통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HHO처 주파수에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기지국(BTS: base station)과 이동국 사이의 통상 송신 시에 생기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구간의 길이나 위치에 규칙성은 없다. 이것에 대해, 다른 주파수로 핸드오버를 행할 때에 이 다른 주파수 셀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컴프레스트 모드(compressed mode)시에 생기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구간(송신 갭)의 길이나 위치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가게 되어, 규칙적이게 된다.
이동국은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HHO처 주파수에서 송신되고 있는 CPICH의 일부를 수신함으로써, 이동국은 HHO처에서 수신 품질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함과 함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알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주파수간 HHO 방법에서, 기지국은 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에 HHO처 주파수가 다운링크 신호를 미리 수신하도록 할 수 있었지만, 이 기지국은 HHO처 주파수에서의 업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구조가 없었다. 그 때문에, HHO원으로부터 HHO처로 주파수가 전환되었을 때에, HHO처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초기 송신 전력이 적절한 수신 품질을 보증하는데는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HHO처 주파수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업링크 신호를 포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서, 통신 품질이 열화되거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었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이 장치들에 사용되는 주파수간 HHO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HHO(Hard Hand Over)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d)는 주파수간 HHO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O의 (a) 및 도 1O의 (b)는 다른 기지국간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파수의 전환을 원활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이 장치들에 사용되는 주파수간 HHO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이 행해지고 있고, 이 CDMA 통신 중에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intermittent) 통신의 모드인 컴프레스트(compressed)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업링크 방향으로 트레이닝(training)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이 설치된 이동국; 및
상기 트레이닝 신호를 사용하여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트레이닝을 행하는 수단이 설치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주파수간 HHO 방법은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 통신의 모드인 컴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HHO(Hard Hand Over)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업링크 방향으로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닝 신호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서의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트레이닝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안정된 주파수간 HHO (Hard Hand Over)의 실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TS: base station)과 이동국(MS: Mobile Station) 사이에서의 통신에서의 컴프레스트 모드(compressed mode) 시의 송신 갭의 위치에서, HHO처의 주파수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에 의한 HHO처 주파수의 수신에 관해서, 상기 트레이닝 신호는 주파수간 HHO 전에 트레이닝을 할 수 있어서, 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에 업링크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파수간 HHO, 즉 주파수의 전환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TS: Base Station)(1, 2), 이동국(MS: Mobile Station)(3) 및 무선망 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국(3)은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가 종료되면, HHO(Hard Hand Over: 하드 핸드오버)원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1)으로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가 종료된 것을 통지하는 동시에, 업링크 트레이닝(training)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는 송신 갭의 시간[프레임(frame) 및 타임 슬롯(TS: time s1ot)]을 통지한다. 이 송신 갭은 이동국(3)으로부터 기지국(1) 및 무선망 제어기(4)를 통해서 기지국(2)으로 통지된다(도 2의 (1)).
이동국(3)은 지정한 시간이 되면, 즉 자신과 기지국(1) 사이의 통신에서의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송신 갭의 위치에서 HHO처 주파수에서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기지국(2)에 송신한다(도 2의 (2)).
기지국(2)은 이동국(3)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에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 하지 않으면 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를,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면 ACK(Acknowledgement) 신호를 무선망 제어기(4) 및 기지국(1)을 통해서 이동국(3)에 통지한다(도 2의 (3)).
이것에 의해서, 기지국(2)이 이동국(3)으로부터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면, 기지국(2)은 HHO처 주파수의 수신에 관해서 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에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에 업링크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을 확인할 수 있고, 주파수간 HHO, 즉 주파수의 전환을 원활하고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후, 이동국(3)과 기지국(2)은 서로간에 통신을 하게 된다(도 2의 (4)).
도 3은 도 2의 기지국(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기지국(l)은 수신부(11), 서칭/디코딩부(12), HHO 제어부(13), ACK/NACK 송신부(14), LO(Local Oscillator: 국부 발신기)(15) 및 송신부(16)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기지국(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기지국(2)은 수신부(21), 서칭/디코딩부(22),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수신부(23), 트레이닝 신호 정보 보관부(24), HHO 제어부(25), LO(26) 및 송신부(2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1, 2)은 또한 도 3및 도 4에 나타낸 각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송수신부 등의 중복하는 부분은 한 개로 제한해도 좋다.
도 5는 도 2의 이동국(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이동국(3)은 수신부(31), 서칭/디코딩부(32), 다운링크 신호 감시부(33), HHO 제어부(34),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송신부(35), LO(36) 및 송신부(37)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9의 (a) 내지 도 9의 (d)는 주파수간 HHO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O의 (a) 및 도 1O의 (b)는 다른 기지국간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에서의 주파수간 HHO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W-CDMA 통신이라 함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개시되어 있는 제 3 세대의 이동 통신 방식이다.
통상, 기지국(1)은 복수의 주파수를 보관하고, 이동국(3)과는 몇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그러나,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1)의 통신 영역인 셀 A에서 주파수 fl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3)이 주파수 f2만을 갖고 있는 기지국(2)의 통신 영역인 셀 B로 이동할 때에는, 수신 주파수를 주파수 f1로부터 주파수 f2로 변경해야만 한다. 이것이, "주파수간 HHO"라고 불리우는 동작이다.
또한, 주파수 f1로부터 주파수 f2로 변경하는 방법에는, 기지국(1)의 영역 내에서 주파수 f1로부터 주파수 f2로 변경하는 방법(도 9의 (b) 참조]과, 기지국(1)과 기지국(2)의 영역이 겹치고 있는 영역에서 기지국(1)의 주파수 f1로부터 기지국(2)의 주파수 f2로 변경하는 방법(도 9의 (c) 참조]의 2가지 방법이 있지만, 어느 방법을 채택해도 좋다.
또한, 기지국(1)의 통신 영역인 셀 A에서, 이동국(3)이 주파수 f1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있어, 기지국(1)에서 이동국(3)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고장이나 보수에 의해서 주파수 f1에서의 처리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 주파수를 주파수 f1로부터 주파수 f2에 변경할 때에도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도 9의 (d) 참조). 이 경우에, 상술한 방법은 기지국(1)의 상기한 영역 내에서 주파수 f1로부터 주파수 f2로 변경시에 이용된다.
이동국(3)은 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에, 간헐 통신이 행해지는 모드가 개시되는데, 상기 모드는 "컴프레스트 모드"로 불리운다. 이 컴프레스트 모드에서 통신을 행하지 않는 시간 구간인 송신 갭에서, 주파수를 HHO원 주파수(fl)로부터HHO처 주파수(f2)로 전환하고, 이동국(3)은 기지국(2)에 의해 모든 주파수로 항상 송신되고 있는 기준 신호인 CPICH(Common Pilot ChanneL: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서, HHO처의 주파수로 이동해도 이동 전과 동일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즉 동일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전력이 출력되고, HHO처에서의 신호의 수신 타이밍이 확인된다.
컴프레스트 모드라 함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통신 모드와는 달리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시간 구간이 존재하는 간헐 통신 모드이다.
통상, 이동국(3)은 LO(36) 단자 1개만 가지고 있으므로, HHO원 주파수 f1에서 통신을 행하면서, 또한 HHO처 주파수 f2에서 송신되고 있는 HHO처의 CPICH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시간 구간인 송신 갭을 준비하고, 이 시간 구간에서 HHO원 주파수 f1로부터 HHO처 주파수 f2로 전환함으로써, HHO처 주파수 f2의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컴프레스트 모드의 상세에 관해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사양의 TS25.212 V3.5.04.4 "Compressed Mode"나, TS25.215 V3.5.06.l.1 "Compressed Mode"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통상 모드에서도, 송신할 데이터가 없는 부분에서는 송신을 정지하는 간헐 통신이 행해진다. 그러나, 통상 모드에서의 간헐 송신은 송신을 정지하는 구간의 위치 및 길이가 송신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의존하지만, 컴프레스트 모드에서는 데이터에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일정한 규칙 하에서 반드시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는 점이 다르다.
이 방법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에 관해서는, HHO원 주파수 fl로부터 HHO처 주파수 f2로 변경해도, 적절한 수신 품질의 신호를 이동국(3)에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송신에 관해서는, 이동국(3)에 의해 송신된 HHO처 주파수 f2의 신호를 기지국(2)이 감시하는 구조가 없고, 그 결과 다운링크 송신과는 반대로 HHO처에서의 업링크 초기 송신 전력이 적절한 수신 품질을 보증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고, HHO처에서의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업링크 신호를 포착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HHO원 주파수 f1로부터 HHO처 주파수 f2로 이동했을 때에, 수신 품질이 열화되거나 업링크 통신이 불통될 가능성, 또는 수신 신호의 포착에 시간이 걸려서 통신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
도 6은 W-CDMA 통신 방식에서 컴프레스트 모드의 송신 갭의 위치에서, HHO처의 주파수(f2)를 사용하여, 이동국(3)과 기지국(2) 사이에서 HHO를 위한 트레이닝을 행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HHO처 주파수의 다운링크 신호를 이동국(3)이 감시하는데 사용하는 송신 갭에서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 종료 후, HHO처 주파수에 트레이닝용 업링크 신호(이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2)에서의 트레이닝을 가능하게 한다.
다운링크 신호 감시부(33)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가 종료된 이동국(3)은 HHO원 주파수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가 종료된 것과,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송신부(35)로부터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는 송신 갭의 시간(프레임, 타입슬롯(TS: time s1ot))을 기지국(1)에 통지한다. 이 통지 내용은 기지국(1)으로부터 무선망 제어기(4)로, 그리고 무선망 제어기(4)로부터 기지국(2)으로 통지된다.
이동국(3)은 기지국(2)에 지정한 시간이 되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송신부(35)로부터 미리 지정된 송신 전력(=TxPow)으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2)은 그 신호의 수신을 시도한다.
기지국(2)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수신부(23)에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때의 수신 타이밍(=Pos_rv) 및 수신 SIR(Signal Interference Ratio)(=SIR_rv)을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수신부(23)에 의해 측정하고, 그 결과를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정보 보관부(24)에 보관한다.
다음에,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수신부(23)는 미리 정해진 충분한 수신 품질을 얻는데 필요한 목표 SIR(=SIR_trgt)과 수신 SIR간의 차{△SIR=(SIR_trgt) - (SIR_rv)}를 산출하고, HHO원 주파수를 사용하여 ACK 신호를 무선망 제어기(4)를 통해서 기지국(1)에 통지하고, 이 ACK 신호를 기지국(1)의 ACK/NACK 송신부(l4)로부터 이동국(3)에 통지한다. 이 ACK 신호에는 목표 SIR과 수신 SIR간의 차(△SIR)가 포함된다.
한편,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가 통지된 송신 갭의 시간동안에 기지국(2)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 수신부(23)가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경우, 기지국(2)은 HHO원 주파수를 사용하여 NACK 신호를 무선망 제어기(4)를 통해서 기지국(1)에 통지하고, 이 NACK 신호를 기지국(1)의 ACK/NACK 송신부(14)로부터 이동국(3)으로 통지한다.
NACK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3)은 이전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 전력에 미리 정해진 오프셋 전력(=△TxPow)을 가산하고, 그 전력에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한다. 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는 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그 재송신이 계속된다.
즉, NACK 신호를 N회 수신한 경우, (N+1)번째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 전력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송신 전력 = TxPow + △TxPow×N
그러나, 재송신 회수 retx가 많아지고, 그 결과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 전력이 너무 크게 되면, 다른 유저에 대한 간섭량이 증가해서, 수신 특성이 열화되므로, 재송신 회수가 미리 정해진 값(=Nmax)에 도달하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 전력을 TxPow로 되돌려 재송신을 행한다.
ACK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3)은 주파수간 HHO에 의해서 주파수를 HHO처 주파수로 변경해서 송수신을 개시한다. 이 때, 업링크의 송신 전력은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값으로 한다.
송신 전력 = TxPow + △SIR
이 식에서, TxPow는 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을 때의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 전력이다.
상술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에 의한 트레이닝을 통해서 상기 송신 전력에서업링크 송신을 행하면, 기지국(2)에서는 충분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송신 전력인 목표 SIR(SIR_trgt)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트레이닝에 의해서 수신 타이밍도 Pos_rv라고 알고 있으므로, 서칭/디코딩부(22)가 그 근방을 중점적으로 서치함으로써, 수신 품질이 좋은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2)에서 신속히 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파수간 HHO를 행하는 이동국(3)은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프레스트 모드의 송신 갭 구간에서 기지국(1)이 모든 주파수에서 항상 송신하고 있는 기준 신호인 CPICH(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HHO처 주파수에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파악하고, 다운링크 신호 감시부(33)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를 종료한다(도 7의 스텝 S1).
다음에, 이동국(3)은 HHO원 주파수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 종료,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 갭의 위치(프레임 번호, 타입 슬롯 번호)를 기지국(1) 및 무선망 제어기(4)를 통해서 기지국(2)에 통지한다(도 7의 스텝 S2).
이 후, 이동국(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지된 송신 갭 위치에서 송신 전력 TxPow를 초기값 TxPow_ini로 설정하고(도 7의 스텝 S3),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한다(도 7의 스텝 S5). 이 때, 이동국(3)은 재송신 회수 retx를 0으로 초기화 한다(도 7의 스텝 S4).
기지국(2)은 이동국(3)으로부터 통지된 송신 갭 위치에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대기하고, 만약, 상기 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도 8의 스텝 S11∼S13),HHO원 주파수에 의해 NACK 신호를 이동국(3)에 통지한다(도 8의 스텝 S14).
이 NACK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3)은 재송신 회수 retx를 미리 정해진 최대 재송신 회수 Nmax와 비교한다(도 7의 스텝 S6, S7). 또한, 이동국(3)은 재송신 회수 retx가 최대 재송신 회수 Nmax보다도 작은 경우, 송신 전력 △TxPow를 이전의 송신 전력 TxPow에 가산하고, 재송신 회수 retx를 1씩 증가시킨다(도 7의 스텝 S8).
한편, 재송신 회수 retx가 최대 재송신 회수 Nmax 이상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TxPow를 초기값의 TxPow_ini로 설정함과 동시에, 재송신 회수 retx를 0으로 초기화한다(도 7의 스텝 S9). 이것은 송신 전력 TxPow가 제한없이 증가할 때 생기는 다른 이동국(3)의 수신 특성에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국(3)은 송신 전력 TxPow나 재송신 회수 retx를 갱신할 때, 다시 송신 갭 위치에서 송신 전력 TxPow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한다(도 7의 스텝 S5).
만약, 기지국(2)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면(도 8의 스텝 S13), 기지국(2)은 Pos_rv(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타이밍) 및 SIR_rv(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SIR)의 2개의 값을 산출하고, 이 값들을 트레이닝 신호 정보 보관부(24)에 보관한다(도 8의 스텝 S15).
기지국(2)은 미리 정해진 충분한 업링크 수신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목표 SIR(SIR_trgt)과 수신 SIR(SIR_rv)을 비교하고, 목표 SIR과 수신 SIR간의 차(△SIR)를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한다(도 8의 스텝 S16).
△SIR = (SIR_trgt) - (SIR_rv)
기지국(2)은 HHO원 주파수에 의해 ACK 신호를 이동국(3)에 송신한다(도 8의 스텝 S17). 여기서, ACK 신호에는 목표 SIR과 수신 SIR간의 차(△SIR)의 값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ACK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3)은 주파수간 HHO를 행하고, 주파수를 전환하고,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을 개시함과 동시에, 하기 식에 의해 나타나는 송신 전력에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도 7의 스텝 S10).
업링크 송신 전력 = TxPow + △SIR
기지국(2)도 주파수간 HHO를 행하고, 상기한 HHO처 주파수에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Pos_rv) 근방에서 이동국(3)으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서치하고(도 8스텝 S18), 이것에 의해서 기지국(2)은 업링크 신호를 신속히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주파수간 HHO에 관한 제어(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의 트레이닝 제어도 포함함)는 기지국(1, 2) 및 이동국(3)의 HHO 제어부(13, 25, 34)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한, 도 9의 (c)에 나타낸 방법과 같이, HHO원 주파수를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1)과 HHO처 주파수를 송신하고 있는 기지국(2)이 다른 경우,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1)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무선망 제어기(4)를 통해서 업링크 타이밍 신호 수신의 성공(ACK) 또는 실패(NACK) 및 △SIR 등의 정보를 기지국(1, 2)과의 사이에서 교환한다.
이와 같이,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간 HHO를 행할 때에, 컴프레스트 모드의 송신 갭의 위치에서 HHO처의 주파수로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고, 이 업링크 트레이닝 신호에 의해서 기지국(2)이 HHO처 주파수의 수신에 관해서 주파수간 HHO를 행하기 전에, HHO처 주파수에서 트레이닝을 행하여, 주파수의 변환을 원활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의 통신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 통신 모드인 컴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갭을 사용하여 이동국으로부터 업링크 방향으로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고, 이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트레이닝 시에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주파수의 전환을 원활하고 안정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이 행해지고 있고, 이 CDMA 통신 중에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intermittent) 통신의 모드인 컴프레스트(compressed)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업링크 방향으로 트레이닝(training)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이 설치된 이동국; 및
    상기 트레이닝 신호를 사용하여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트레이닝을 행하는 수단이 설치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송신 갭에서의 다운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수단;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 종료 후에,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려고 하는 송신 갭의 위치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수단은 상기 기지국이 모든 주파수에 대해서항상 송신하고 있는 기준 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실패 통지를 수신하면, 이전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했을 때에 사용된 송신 전력에 미리 정해진 오프셋 전력을 가산하여 얻어진 전력으로 상기 트레이닝 신호를 재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을 행하는 수단은,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성공 시에 이때의 수신 타이밍 및 수신 SIR(Signal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해서 보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이동국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행하고 있고, 이 CDMA 통신 중에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 통신의 모드인 컴프레스트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송신된 업링크 방향의 트레이닝 신호에 의해서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트레이닝을 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송신 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실패를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실패를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을 행하는 수단은,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성공 시에 이때의 수신 타이밍 및 수신 SIR(Signal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해서 보관하는 기지국.
  11. 기지국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을 행하고 있고, 이 CDMA 통신 중에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 통신의 모드인 컴프레스트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업링크 방향으로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갭에서의 다운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수단;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 종료 후에,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는 상기 송신 갭의 위치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수단은 상기 기지국이 모든 주파수에 대해서 항상 송신하고 있는 기준 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감시를 행하는 이동국.
  14. 제 1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실패 통지를 수신하면, 이전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했을 때에 사용된 송신 전력에 미리 정해진 오프셋 전력을 가산하여 얻어진 전력으로 상기 트레이닝 신호를 재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성공 시에 이때의 수신 타이밍 및 수신 SIR(Signal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해서 보관하는 이동국.
  16.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송신 갭이 존재하는 간헐 통신의 모드인 컴프레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HHO(Hard Hand Over)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갭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업링크 방향으로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닝 신호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서의 수신 타이밍 및 송신 전력의 트레이닝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간 HHO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갭에서의 다운링크 신호를 상기 이동국에서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감시 종료 후에,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을 개시 하려고 하는 상기 송신 갭의 위치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간 HHO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모든 주파수에서 대해서 항상 송신하고 있는 기준 신호인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감시를 행하는 단계인 주파수간 HHO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실패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트레이닝 신호를, 그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미리 정해진 오프셋 전력을 가산하여 얻어진 전력으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간 HHO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을 행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성공 시에 이때의 수신 타이밍 및 수신 SIR (Signal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해서 보관하는 단계인 주파수간 HHO 방법.
KR10-2004-7006275A 2001-11-07 2002-10-3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ηηο 방법 KR20040045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1331 2001-11-07
JP2001341331A JP2003143639A (ja) 2001-11-07 2001-11-07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機及びそれらに用いる周波数間hho方法
PCT/JP2002/011274 WO2003041301A1 (fr) 2001-11-07 2002-10-30 Procede de transfert avec coupure inter-frequenc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934A true KR20040045934A (ko) 2004-06-02

Family

ID=1915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275A KR20040045934A (ko) 2001-11-07 2002-10-3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ηηο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58020A1 (ko)
EP (1) EP1445878A1 (ko)
JP (1) JP2003143639A (ko)
KR (1) KR20040045934A (ko)
CN (1) CN1586050A (ko)
WO (1) WO2003041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899B1 (ko) * 2001-01-10 200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끊김없는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방법
WO2004112419A1 (ja) 2003-06-12 2004-12-23 Fujitsu Limited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7502338B1 (en) * 2003-12-19 2009-03-10 Apple Inc. De-emphasis training on a point-to-point connection
CN100413223C (zh) * 2005-04-21 2008-08-20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硬切换的功率控制方法
JP4993120B2 (ja) * 2005-08-23 2012-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上りリンク無線伝送における複数基地局と移動局の同期システム及び方法
US7986661B2 (en) * 2006-03-02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utilization of transmission gaps for cell measurements
GB2439123B (en) * 2006-06-15 2008-05-14 Nec Technologies Handover in mobile phone network
US8483108B2 (en) * 2006-07-24 2013-07-09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emphasis training on a point-to-point connection
WO2010128598A1 (ja) * 2009-05-08 2010-11-11 アドコアテ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データ再送処理方法
CN101990779B (zh) * 2009-11-12 2015-04-01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在td-scdma切换的过程中在上行链路同步化中校正功率的方法和装置
EP2557849B1 (en) * 2011-08-10 2014-01-15 Alcatel Lucent Soft handov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6102B (ko) * 1993-06-14 1997-05-21 Ericsson Telefon Ab L M
US5896368A (en) * 1995-05-01 1999-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code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US6667961B1 (en) * 1998-09-26 2003-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512750B1 (en) * 1999-04-16 2003-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etting in CDMA systems employ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JP2001136123A (ja) * 1999-08-20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6868075B1 (en) * 1999-09-28 2005-03-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mode communications over a radio interface
US6597679B1 (en) * 1999-12-01 2003-07-22 Telefonaktiebolat Lm Ericsson Control of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in WCDMA
FI109862B (fi) * 2000-01-10 2002-10-15 Nokia Corp Menetelmä taajuudenvälisen yhteydenvaihdon valmistelemiseksi, verkkoelementti ja matkaviestin
FI112562B (fi) * 2000-02-29 2003-12-15 Nokia Corp Mittausaukkojen määrittäminen keskinäistaajuksien mittauksessa
FR2809273B1 (fr) * 2000-05-19 2002-08-30 Cit Alcatel Procede de signalisation de parametres de mode compresse a une station mobile
EP1179962B1 (en) * 2000-08-09 2004-07-14 SK Telecom Co., Ltd. Handover method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USTS
US20030072279A1 (en) * 2001-10-15 2003-04-17 Nokia Corpration Power control during compressed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58020A1 (en) 2004-12-23
JP2003143639A (ja) 2003-05-16
CN1586050A (zh) 2005-02-23
EP1445878A1 (en) 2004-08-11
WO2003041301A1 (fr)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490B2 (ja) ワイヤレスリンクを介して送信する方法
EP0960547B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76836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機および受信機
US9462514B2 (en) Configuration of HS-DSCH serving cell change improvements
US20140135020A1 (en) Adaptation of handover command siz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30087605A1 (en) Variable rate channel quality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79264A1 (en) Outer loop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EP1834429B1 (en) Methods for managing data transmissions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a serving station
JP4060891B2 (ja) マクロダイバーシチ中の改良されたダウンリンクパワー制御
JP3926965B2 (ja) 電力制御アルゴリズムを用いて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WO200204740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2217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712633B2 (en) A method for selecting the way to perform a handover, and a cellular radio system
US201000742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lot capture for wireless intersystem handover
KR2004004593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간 ηηο 방법
US8335193B2 (en) Threshold-less mobile-driven handoff method for cellular systems using unlicensed spectrum
US6741577B1 (en) Inter-frequency handover in wireless CDMA systems
EP09921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hard handoff
GB2417862A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ARQ mechanism located in link layer
WO2006040632A1 (en) Outer loop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