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447A - 안과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447A
KR20040045447A KR10-2004-7004010A KR20047004010A KR20040045447A KR 20040045447 A KR20040045447 A KR 20040045447A KR 20047004010 A KR20047004010 A KR 20047004010A KR 20040045447 A KR20040045447 A KR 2004004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isplay means
imaging
examined
magn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523B1 (ko
Inventor
타카이모토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피검안의 촬상배율에 따라서, 합성되어 출력되는 고정 목표위치를 표시소자의 보정위치로 시프트한다. 결상렌즈가 이동하여 피검안(E)의 안저상(Pr)의 결상배율이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화상이 확대되는 경우, 마크(M1)와 피검안의 반점부분(Po)의 대략 중심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가 반점부분(Po)이 마크(M1)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때 요구된 마크(M1)의 시프트거리에 대하여, 마크(M1)의 위치가 중심으로부터 "a"의 거리에 위치되는 경우, 촬상배율이 n배이면, 중심으로부터 n·a가 된다.

Description

안과촬영장치{OPHTHALMOLOGIC IMAGE-TAKING APPARATUS}
현재까지, 피검안을 소정의 촬영영역에 유도하기 위한 광원이 설치되고 피검안이 광원에 고정되어 피검안의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는 안저 카메라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252224호 공보에 공지되어 있다.
도 7은, 종래의 안저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피검안(E)에 대향하는 대물렌즈(1)의 후방의 광로 위에, 그 중심에 설치된 개구를 가지는 관통미러 (2)와, 초점렌즈(3)와, 촬영렌즈(4)와, 회동가능한 회동미러(5)와, 필드렌즈(9)와, 시야조리개(10)와, 결상렌즈(11) 및 촬상소자(12)가 배치된다. 회동미러(5)의 반사방향에 있어서, 릴레이렌즈(6)와, 피검안(E)을 고정시키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 점등가능한 액정판(7) 및 광원(8)이 고정광학계에 배치된다.
또한, 관통미러(2)의 입사방향의 광로 위에, 렌즈(13)와, 링조리개(14) 및 광원(15)이 배치된다. 상기 링조리개(14)는 렌즈(13)에 대하여 관통미러(2)와 대략 공액이 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촬상소자(12)의 출력은 제어회로(16)에 접속된다. 텔레비젼 모니터(17)와, 촬영스위치(18) 및 고정 인덱스시프트 스위치(19)는 제어회로(16)에 접속된다. 여기서, 텔레비젼 모니터(17)의 영역(17a)은 피검안(E)의 대략 시야내에 있다.
피검안(E)의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액정판(7)의 소정의 위치를 점등한다. 이 때, 액정판(7)의 위치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마크 (M1)가 정보에 따라서 획득한 위치에 발생하고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 모니터(17)의 관측화면 위에 합성되어, 조작자가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의 영역이 변화되는 경우, 예를 들면, 크로스 키(cross key) 등의 고정 인덱스 시프트 스위치(19)가 이용되고, 이에 의해 액정판(7)의 점등위치가 시프트된다. 이 때, 관측화면 위에 배치된 마크(M1)는 액정판(7)의 조명위치의 시프트에 관련하여 화면 위에도 시프트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의하면, 피검안(E)의 촬상배율이 변화하는 경우, 검사대상인 화상의 크기가 표시소자 위에 변화된다. 여기서, 표시소자에 합성되어 출력되는 고정 목표위치는 배율 변화의 전후로 어떠한 변화도 하지 않아서, 피검안 (E)의 반점부분과 고정 목표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피검안(E)이 다시 유도되면, 반점부분과 고정 목표위치가 서로 어긋나므로 조작자가 상기 피검안(E)을 유도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피검안의 화상을 확대하여 화면의 유두부가 중심에 오도록 하면, 반점부분이 표시화면 위의 표시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조작자가 피검안(E)에 대한 고정 유도가 실시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안과의원과 집단검진 등에 사용되는 안과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과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고정 목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피검안의 관측화면의 설명도.
도 4는, 관측화면 위의 고정 목표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시한 동작의 순서도.
도 6은, 피검안의 관측화면의 설명도.
도 7은, 종래예에 의한 안과촬영장치의 측면도.
도 8은, 종래예에 의한 피검안의 관측화면의 설명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피검안의 촬상배율에 따라서, 표시소자에 합성되어 출력되는 고정 목표위치를 보정위치로 시프트가능한 안과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과촬영장치는, 가변배율로 피검안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임의의 위치에서 피검안에 대한 고정 인덱스를 나타내는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검안의 화상과 상기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에 의해 고정 목표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배율에 따라서,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에 의한 고정 인덱스의 표시위치 또는 표시수단 위의 마크의 표시위치를 보정하는 제어수단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은 액정판인 것이 바람직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안과촬영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은 복수의 LED가 배치된 광원인 것이 바람직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안과촬영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수단은 반점부분을 포함하는 피검안의 안저상을 촬상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안과촬영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수단의 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안과촬영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과촬영장치는, 가변배율로 피검안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임의의 위치에서 피검안에 대한 고정 인덱스를 나타내는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검안의 화상과 상기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에 의해 고정 목표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배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피검안의 반점부분이 표시수단 위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상기 반점부분이 존재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수단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과;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예와 관련된 도 7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조기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결상렌즈(1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21)가 설치되고 검출기 (21)의 출력은 제어회로(16)에 접속된다.
광원(15)으로부터 방출된 광속은, 링조리개(14)의 개구와 렌즈(13)를 통과하고, 관통미러(2)의 미러부에 의해 좌측을 향하여 반사되고, 대물렌즈(1)을 통과하여 피검안(E)의 안저(Er)를 조명한다. 안저(Er)로부터 반사된 광속은, 동공(Ep)과, 대물렌즈(1)와, 관통미러(2)의 개구와, 초점렌즈(3)와, 촬영렌즈(4) 및 필드렌즈(9)를 통과하고, 시야조리개(10)의 부근에 안저상으로서 일시적으로 결상하고, 결상렌즈(11)에 의해 촬영소자(12)에 재결상한다. 촬영소자(12)에 결상된 안저상 (Pr)은 비디오신호로 변환되어 제어회로(16)에 의해 텔레비젼 모니터(17) 위에 표시된다.
조작자는, 텔레비젼 모니터(17) 위에 표시된 안저 동화상을 관측하고, 초점렌즈(3)를 조정하여 안저상(Pr)이 초점을 맞추고, 고정 인덱스 시프트 스위치(19)를 조작하여 피검안(E)의 소정의 영역을 촬영한다. 이 때의 상태는, 도 8에 도시한 텔레비젼 모니터화면과 동일하다. 피검안(E)을 소정의 영역에 유도한 다음에, 촬영 스위치(18)를 밀어서 광원(15)으로부터 광을 방출하고, 제어회로(16) 내에 설치된 기억수단에 정지화상으로서 안저상(Pr)을 기억한다. 이 때, 고정 인덱스가 되는 액정판(7)의 개방부(7a)와 그 차광부(7b)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의 결상렌즈(11)가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검안(E)의 안저상(Pr)의 결상배율을 변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이 도 3a와 도 3b로부터 확대될 때, 도 3a의 경우, 마크(M1)와 피검안의 반점부분(Po)의 대략 중심이 서로 일치한다. 그러나, 도 3b의 경우, 반점부분(Po)이마크(M1)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도 4는, 이 때 요구된 마크(M1)의 시프트 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의 마크(M1)의 위치가 중심으로부터 "a"의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촬상배율이 n배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n·a만큼 공간을 두어 떨어진 위치로 시프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들의 일련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초기조건이 판독되고 (단계(S1)), 피검안(E)의 얼라인먼트가 실시된다(단계(S2)). 결상렌즈(11)의 이동거리가 검출기(21)에 의해 검출되고, 이에 의해 촬상배율을 검출한다(단계(S3)). 이전의 촬상배율과 비교하여 촬상배율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S4)). 변화된 경우, 배율을 산출한다(단계(S5)). 마크표시위치를 보정하여 마크(M1)가 배율에 따라서 시프트거리만큼만 시프트한다(단계(S6)).
배율이 변경된 후에 고정 유도의 경우에서도, 배율을 고려하여 마크(M1)가 시프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축방향으로 결상렌즈(11)를 이동시킴으로써 배율의 변경을 실시한다. 그러나, 결상렌즈(11)의 삽입과 제거에 따라서 실시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도 3b의 경우, 피검안의 반점부분(Po)이 마크(M1)의 위치에 유도되고, 액정판(7)의 개방부(7a)에 대응하는 화소를 변경하여 양측의 중심이 텔레비젼 모니터(17) 위에 서로 일치되게 한다. 따라서, 고정 인덱스가 시프트될 수 있다.
안저상(Pr)의 유두부(Pn) 등에 확대촬영(macrophotography)을 실시하면, 피검안(E)의 반점부분(Po)이 표시화면 위의 표시영역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반점부분(Po)이 제 1시야에 존재하는 위치를 판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M2)를 표시하고, 이에 의해 반점부분(Po)이 존재하는 방향을 가리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크(M2)가 화상표를 이용함으로써 표시된다. 그러나, "R"과 "L" 등의 글자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조작자가 인식하는 표시를 행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합성된 화상을 이용하는 대신에 인덱스를 광학적으로 합성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과촬영장치에 의하면, 피검안의 촬상배율에 따라서, 합성되어 표시되는 고정 목표위치와 피검안의 화상이 서로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안이 유도되는 것이 용이한 촬영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확대촬영에 의해 획득하고 또한 반점부분이 없는 촬영화상에서도, 반점부분의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유도의 시프트를 최소화하여 안과촬영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7)

  1. 가변배율로 피검안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임의의 위치에서 피검안에 대한 고정 인덱스를 나타내는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검안의 화상과 상기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에 의해 고정 목표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배율에 따라서,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에 의한 고정 인덱스의 표시위치 또는 표시수단 위의 마크의 표시위치를 보정하는 제어수단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은 액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은 복수의 LED가 배치된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촬상수단은 반점부분을 포함하는 피검안의 안저상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촬영장치는 촬상수단의 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촬영장치는, 촬상수단의 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7. 가변배율로 피검안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임의의 위치에서 피검안에 대한 고정 인덱스를 나타내는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검안의 화상과 상기 고정 인덱스 표시수단에 의해 고정 목표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와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배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피검안의 반점부분이 표시수단 위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상기 반점부분이 존재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수단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촬영장치.
KR1020047004010A 2001-09-19 2002-09-11 안과촬영장치 KR100770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5022A JP5088995B2 (ja) 2001-09-19 2001-09-19 眼科撮影装置
JPJP-P-2001-00285022 2001-09-19
PCT/JP2002/009254 WO2003026499A1 (en) 2001-09-19 2002-09-11 Ophthalmologic image-tak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47A true KR20040045447A (ko) 2004-06-01
KR100770523B1 KR100770523B1 (ko) 2007-10-25

Family

ID=1910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010A KR100770523B1 (ko) 2001-09-19 2002-09-11 안과촬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64353B2 (ko)
JP (1) JP5088995B2 (ko)
KR (1) KR100770523B1 (ko)
CN (1) CN1306905C (ko)
WO (1) WO2003026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3209B2 (en) 2006-10-10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pattern genera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5494B2 (ja) * 2003-05-30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画像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4901201B2 (ja) * 2005-12-08 2012-03-21 興和株式会社 眼底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1045553A (ja) * 2009-08-27 2011-03-10 Canon Inc 眼底撮像装置
JP5484505B2 (ja) * 2012-03-26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033A (en) * 1979-10-15 1983-01-25 Konan Camera Research Institute Eyeball examining device
US4699481A (en) * 1984-09-01 1987-10-13 Canon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microscope
JPS635726A (ja) * 1986-06-26 1988-01-11 興和株式会社 眼底検査装置
US5237351A (en) 1989-06-23 1993-08-17 Canon Kabushiki Kaisha Visual target apparatus
JP2643674B2 (ja) 1991-08-21 1997-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2959293B2 (ja) * 1992-07-14 1999-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3379592B2 (ja) * 1993-07-26 2003-02-24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カメラ
EP0643941B1 (en) * 1993-09-22 1998-08-05 Konan Inc. Apparatus for obtaining images of cornea cells
JPH07284477A (ja) 1994-04-20 1995-10-31 Canon Inc 眼底撮影装置
JP3524204B2 (ja) 1995-03-16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H09262211A (ja) 1996-03-29 1997-10-07 Canon Inc 眼科撮影装置
JP3630857B2 (ja) 1996-06-17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
JPH1075931A (ja) * 1996-09-03 1998-03-24 Canon Inc 眼底検査装置
JP4011731B2 (ja) 1998-05-01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2000296108A (ja) 1999-04-15 2000-10-24 Canon Inc 眼科検査装置
JP2002224038A (ja) * 2001-01-31 2002-08-13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3209B2 (en) 2006-10-10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pattern genera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64353B2 (en) 2007-09-04
KR100770523B1 (ko) 2007-10-25
JP2003088502A (ja) 2003-03-25
CN1555241A (zh) 2004-12-15
CN1306905C (zh) 2007-03-28
JP5088995B2 (ja) 2012-12-05
US20040239877A1 (en) 2004-12-02
WO2003026499A1 (en)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266A (en) Fundus camera
US6968127B2 (en) Fundus camera
US8356898B2 (en) Fundus camera and ophthalmolog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030033941A (ko) 안과촬영장치
CN102438504A (zh) 眼科摄像设备
US8113656B2 (en) Ophthalmic photography apparatus
JP2000005131A (ja) 眼底カメラ
KR100770523B1 (ko) 안과촬영장치
JP4551727B2 (ja) 眼科撮影装置
JPH09173298A (ja) 眼科撮影装置
JP5335586B2 (ja) 眼底カメラ
JP3338529B2 (ja) 眼科装置
CN103799964A (zh) 眼科装置和眼科摄像方法
KR100684300B1 (ko) 안저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JP5484505B2 (ja) 眼科撮影装置
JPH10272104A (ja) 眼底カメラ
JP4492854B2 (ja) 眼底カメラ
JPH07327931A (ja) 眼底カメラ
JPH0788082A (ja) 検眼装置
JPH0994229A (ja) 角膜内皮細胞観察撮影装置
JPS61185244A (ja) 被検眼位置検出装置
JP2002058646A (ja) 眼撮影装置
JP3073510B2 (ja) 眼科撮影装置
JPH11225970A (ja) 眼科撮影装置
JP2000237145A (ja) 眼底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28

Effective date: 2007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