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859A - 유화제 조성물 및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유화제 조성물 및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859A
KR20040044859A KR20047003360A KR20047003360A KR20040044859A KR 20040044859 A KR20040044859 A KR 20040044859A KR 20047003360 A KR20047003360 A KR 20047003360A KR 20047003360 A KR20047003360 A KR 20047003360A KR 20040044859 A KR20040044859 A KR 2004004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leather
uni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700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브스트군터
자이츠안드레아스
룽크비츠랄프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4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 B01J8/1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moved by stirrers or by rotary drums or rotary receptacles or endless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8Treatment of solid polymer wetted by water or organic solvents, e.g. coagulum, filter c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 C14C9/02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using fatty or oily materials, e.g. fat liqu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654Controlling the process by measures relating to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672Particle size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27Process aspects
    • B01J2219/00033Continuous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조성물의 제조에 특히 유용한 유화제 조성물, 상기 유화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바람직한 가지제 조성물 및 상기 유화제 조성물과 상기 가지제 조성물을 가죽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화제 조성물 및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EMULSIFYING AGENT COMPOSITION AND LOW-FOGGING, HIGH-EXHAUST STUFFING AGENT,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THEREOF}
가지제(fatliquoring agent)는 가죽 제조시 가죽을 연화시키고, 가죽의 충만성 및 강성을 증가시키고, 가죽을 수분, 오염 및 외부의 화학물질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참고 문헌: H. Herfeld, "Bibliothek des Leders", vol. 4(1985), 페이지 13 ff.). 시판되는 가지제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개질된 천연 지방, 지방 오일, 왁스, 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석유 분획 및 이의 하류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제품이다(참고 문헌: H. Herfeld, "Bibliothek des Leders", vol. 4(1985), 페이지 59 ff.).
시판되는 가지제는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 예컨대 천연 지방, 지방 오일, 왁스, 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석유 분획 및 이의 하류 생성물과, 왁스 제품,예컨대 미정제, 정제 및/또는 가공된 (라놀린) 형태의 "울 그리스"로 구성된다. 활성 가지제 성분은 필요에 따라 화학적으로 개질시킬 수 있으며, 즉 이 성분은 개질된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지제는 통상 중성 지방으로 알려진 비개질 활성 성분과 화학적으로 개질된 활성 성분의 조합물이다.
활성 가지제 성분은 일반적으로 이들 성분 내의 이중 결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첨가 또는 산화 반응에 적용하여 화학적으로 개질시킨다. 흔히 실시되는 개질법의 예로는 아황산염의 첨가, 지방 성분으로의 설폰산기의 도입, 산소 작용을 도입하고, 어떤 경우에는 올리고머화를 유발할 수 있는 공기 산화이다. 다른 가능한 방법으로는 지방 재료의 (부분) 가수분해, 트랜스에스테르화 등의 개질 반응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학적 개질의 목적은, 예를 들어 특수한 용도 또는 사용자 요구에 부합되는 친수성, 소수성, 가용성, 분산성, 투과성 및 부착성을 발휘하기에 적합하도록 활성 가지제 재료의 특성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부분적 아황산염 첨가(설폰산기의 형성) 및 부분 산화가 상업적 실시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이들 개질 방법을 병용하면 최소한, 원하는 성능 특성 전부, 특히 친수성, 투과력 및 부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최고급 자동차 실내장식 가죽에 사용하기 위한 저함량의 휘발 성분을 함유하는 가죽 제조용 신규 가죽 처리 조성물, 이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저연무 가죽의 제조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실내장식 가죽은 특정한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상기 가죽은 필수적으로 연화성, 빛과 열에 대한 저항성과 내연무성을 지녀야 한다. 독일 표준 규격 DIN 75201은 '연무(fogging)'를 차량 실내로부터 휘발 성분이 증발하여 자동차 유리, 특히 전면 유리 위에서 응결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상기 표준 규격은 가죽의 연무 특성을 규정하는 중량측정법 및 반사측정법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EP 498634 A2는 저연무 가죽의 제조에 특정 중합체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는데, 이 수성 분산물은 실질적으로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으며, 다량의 소수성 단량체 1종 이상 및 소량의 친수성 단량체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분산물을 사용하여 가죽을 처리하면 DIN 75201에 의거한 중량측정 테스트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사측정 데이터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양친매성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단량체들의 상이한 친수성으로 인하여, 본질적으로 공중합 특성과 관련된 문제점을 유발하는데, 가능한 결과 중 하나는 극한 상황에서는 단량체들이 각각 원치않는 단독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고유의 바람직하지 않은 용해비로 인한 또다른 결과는 잔류 단량체를 분해하기 위해 고비용의 재처리공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수한 에멀션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화제(인용 실시예에서는 라우릴 설페이트가 사용된다)를 첨가할 필요도 있는데, 이는 가죽 가공 작업에 폐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EP 466 392 B1은 통상적인 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중합체의 중합후 유도체화에 의해 측쇄 소수성기와 측쇄 알콕시화기 둘 다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중합에 의해 아크릴아미드 및/또는 아크릴산과 같은 단순한 단량체로부터 중합체를 제조한 후, 소수성 라디칼을 갖는 1차 아민과 1차 또는 2차 알콕시화 아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유도체화한다. 개시된 중합체는 증점제 및 오물 배출제로서 사용된다.
WO 98/10103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및/또는 이들의 아실 클로라이드 및/또는 이들의 무수물과 추가의 공중합성 수용성 단량체 및 공중합성 수불용성 단량체의 중합 단계 및 형성된 중합체와 아민의 후속 반응에 의해 중합체 가지제를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DIN 75201 B의 중량측정법에 의하면 인용된 실시예 제품으로 처리된 가죽의 경우 연무값이 1.2 mg 및 1.5 mg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제품(저연무 중합체 가지제인 MagnopalSOF, 및 어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저연무 가지제인 ChromopolLFC, 둘 다 Stockhausen GmbH & Co. KG 제품)으로 코팅된 가죽은 연무값이 3.9 mg 및 3.5 mg이었다. DIN 75201 A 반사측정값은 실시예 제품의 경우 51% 및 55%, 비교예 제품의 경우 34% 및 40%였다.
US 5 348 807은 고비율의 소수성 단위와 저비율의 친수성 단위로 이루어진 특정한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무용매 저연무 가지제로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상기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친수성 단량체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산성적 또는 염기성적으로 치환된 에스테르, 예를 들어 설파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유용한 소수성 단량체의 예로는 장쇄 알켄 또는 (C4-C12)-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C4-C12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우수한 연무값을 제공한다. 하지만 노중소비성(bath exhaustion) 데이터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에도 역시, 수성 에멀션 중합에 의해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된 단량체들의 상이한 친수성으로 인하여 EP-A-498634의 리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중합 문제가 발생한다.
EP 0 753 585 B1은 상기 중합체들뿐 아니라 가구 가죽의 저연무 표면 처리 방법에 대해 기술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16개 미만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지방산 성분을 3% 미만 함유하는 특수 처리된 천연 오일이 가지제 조성물의 기본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사용된 천연 오일은 대두유, 라드유, 홍화유 및 해바라기유이다. 상기 천연 오일은 바람직하지 않은 저분자량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증류시키고, 그 후 에멀션화를 촉진하기 위해 중아황산화 또는 중황산화한다. 그 후 (부분적으로) 작용기화된 오일을 유화시켜 사용한다.
고소비성 가지제는 생태학적 이유로 바람직하다. 가지제가 고소비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콜라겐에 의해 아주 충분히 흡수되어야 한다. 습윤 청색 중간 물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가지제가 크롬(III) 양이온에 의해 고정된다. 습윤 백색의 경우, 양이온 금속염 없이 제조되며, 상기한 결합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시판되는 가지제는 불량한 노중 소비성을 나타내는데, 즉 잔류 플로트(float)는 높은 COD 값을 갖는다. 종래 기술에서는 가지제의 화학적 개질에 의해 노중 소비성을 개선시키는데, 일반적으로 가지제 성분들을 가죽 표면에 침착시켜서 수행한다. 그 결과 화합물들의 가죽내 고정성은 불량하며, 높은 DIN 75201 연무값을 갖는 가죽을 제공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제품들이 화학적으로 개질된 천연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또는 가지제 성분들을 이용한다는 점과, 이들 제품들이 비교적 제한된 유형의 특수한 재료만을 사용한다는 점을 공유한다. 게다가 상기 모든 공정들은 플로트 소비성을 최대화해야 한다는 환경적 측면을 완전히 무시한다.
본 발명은 저연무(low-fogging) 고소비성(high-exhaust) 가지제 조성물의 제조에 특히 유용한 유화제 조성물,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가지제 조성물 및 가죽 제조에 상기 유화제 조성물과 상기 가지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용도 및 상기 조성물들을 사용하여 제조한 저연무 가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죽의 가지 처리 방법 및 종래 기술이 지닌 상기한 단점들이 없는 가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상기 목적이 신규 유화제 조성물 및 후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가지제 혼합물을 사용하면 달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 유화제를 후술하는, 구체적으로 말하면 개질된 가지제와 함께 사용하면 특히 유익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분 A, B, 및 C의 3가지 성분을 포함하는 유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성분 A는 4∼12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6-C14알칸올, 또는 다수의 상기 알칸올로 이루어진 혼합물이고,
상기 성분 B는 15∼40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12-C24지방 알콜 혼합물이며,
상기 성분 C는 50∼100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12-C24지방 알콜 혼합물이다.
AO 단위는 편리하게는 2∼4개,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옥시드이다. 폴리에테르 사슬의 빌딩 블록은 모두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만약 다를 경우 불규칙 분포형 또는 블록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유화제 조성물 중의 성분들의 중량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성분 A의 중량 비율은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50 중량%, 특히 28∼40 중량%이고, 상기 성분 B의 중량 비율은 20∼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60 중량%, 특히 30∼45 중량%이며, 상기 성분 C의 중량 비율은 10∼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 특히 22∼32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의 알콕시화 알칸올 또는 알콕시화 알칸올 혼합물은 평균 탄소 원자수가 8∼12, 특히 10이며, 성분 B와 C의 알콕시화 알칸올 혼합물은 평균 탄소 원자수가 14∼20, 특히 16∼18이다.
성분 A가 5∼10개의 AO 단위를 가지고, 성분 B가 20∼30개의 AO 단위를 가지고, 성분 C가 50∼100개의 AO 단위를 갖는 유화제 조성물 역시 바람직하다.
알콕시화 장쇄 알콜은 공지되어 있다. 이 알콜은 지방 알콜 중에 존재하는 상응하는 알칸올 및 알칸올 혼합물과 원하는 몰량의 알킬렌 옥시드, 예컨대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부틸렌 옥시드를 반응시켜서 얻는다. 알킬렌 옥시드를 배치로 계량 주입하는 방법에 따라 특이적인 불규칙형 또는 블록형 폴리에테르 사슬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은 소량의 물 및/또는 알칼리를 사용하여 촉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은 성분들을 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약하게 가열하면서 제조한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물과 혼합하여 용액으로 전환시키며, 이 용액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약 40∼80 중량%의 고형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목적에 맞게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의 다른 농도 역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종 이상의 개질 또는 비개질된 천연 활성 성분 및/또는 필요에 따라 합성 활성 성분, 특히 중합체 활성 성분, 유화제,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유화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희석제, 특히 물을 포함하는 가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 가지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을 2∼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을, 산화 및 아황산화에 의해 화학적으로 개질시켜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게 만든 1종 이상의 중성 오일을 포함하는 가지제 성분과 조합한 가지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유용한 중성 오일은 기본적으로 충분한 양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통상적인 모든 천연 오일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천연 가지제 성분은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지방 재료, 특히 충분한 비율의 불포화 산을 보유하는 천연 지방산의 글리세라이드이다.
요오드가가 약 10∼약 200인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이 매우 유용한 지방 재료이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는 예를 들어 스테아린 및 동유가 구성하고, 상한치는 특히 어유 및 대풍자유가 구성한다.
어떤 지방 재료를 선택하느냐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사용할 구체적인 최종 용도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예를 들어 어유의 사용은 팬시 가죽 제품의 제조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어유에는 고유의 나쁜 냄새가 있기 때문이다.
요오드가가 약 30∼약 120, 특히 40∼85인 지방 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지방 재료의 예로는 상이한 기원의 수지(獸脂), 골유, 우각유, 특히 소에서만 얻은 우각유, 라드유, 트리올레인, 평지씨유, 올리브유, 견과유 및 피마자유이다.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지방 재료의 아황산화 생성물 및 산화 생성물은 지방 재료 내에 존재하는 올레핀 이중 결합과 아황산화제 및/또는 산화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지방 재료 내에 존재하는 모든 또는 단지 일부의 이중 결합이 반응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는 예를 들어 어유 및 평지씨유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비교적 높은 산화도는 Δd, 즉 산화 전과 후의 오일 또는 지방의 비중차가 0.01∼0.1, 바람직하게는 0.03∼0.05의 범위에 속할 때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비교적 낮은 아황산화도는 중성 오일이 2∼8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중량%의 아황산염, 예컨대 중아황산나트륨(Na2S2O5)과 반응하였을 때 존재한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1종 이상의 개질 또는 비개질된 천연 활성 성분 및/또는 필요에 따라 합성 활성 성분, 예컨대 중합체 활성 성분, 유화제 및 필요에 따라 상기한 유화제 조성물 중 1종을 함유하는 희석제, 특히 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지제 조성물이며, 이때 상기 활성 성분은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은 중성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가지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80∼98 중량%, 바람직하게는 85∼95 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활성 성분의 20∼80 중량%, 특히 25∼75 중량%는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은 중성 오일이며, 이것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지제 조성물은 순수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익하게는 고형분 함량이 40∼80 중량%인 수성 에멀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가지제 조성물의 성분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혼합물 및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은 중성 오일은 가지제 플로트에 임의 순서로 별도로 첨가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가지제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액 플로트(aqueous liquor float)로 처리하여 가죽 및 수피(hide)를 가지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상기 가지제의 1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가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은 중성 오일이며, 상기 플로트는 본 발명 유화제 조성물을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유화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은 중성 오일과 함께 가죽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 및 본 발명 유화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산화도가 비교적 높고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은 중성 오일과 함께 가지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지제 조성물은 가죽을 연화시키는 역할, 가죽의 충만성 및 강성을 증가시키기 역할, 가죽을 수분, 오염 및 외부의 화학물질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죽 처리 플로트에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매우 우수한 노중 소비성이 얻어지며, 따라서 가죽 실내장식 제품내 가지제 성분의 우수한 부착성과 관련이 있는 특히 낮은 COD 값을 제공하고 연무값을 낮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의 제조
7 AEO 단위로 에톡시화된 C10알칸올 180 kg,
25 AEO 단위로 에톡시화된 C16-C18지방 알콜 200 kg, 및
80 AEO 단위로 에톡시화된 C16-C18지방 알콜 140 kg을 교반 용기에서 60∼80℃로 완전히 균질화될 때까지 함께 교반한다. 얻어진 제제는 수용성이다. 이 제제는 가죽 제조에 바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성 희석액의 형태(40∼80 중량%가 편리함)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가지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죽의 제조
크롬 유제 처리(chrome-tanned)를 하고, 탈모된 두께가 2.0∼2.2 mm인 우피 가죽 100 중량부를 40℃의 물 100 중량부에 넣고, 포름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4.5로 조절한다. 이 가죽을 40℃에서 60분간 드러밍(drumming)한 후, 200 중량부의 물로 세척한다.
그 후 40℃의 물 100 중량부 및 시판되는 중합체 유제(tanning material) 2 중량부, 시판되는 수지 유제 4 중량부 및 시판되는 미모사 4 중량부를 첨가한다. 90분간 드러밍한 후, 가죽을 시판되는 가죽 염료 1 중량부를 첨가하여 동일한 플로트에서 염색한다. 그 후 플로트를 낮추고, 물 100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죽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50℃에서 60분간 드러밍한다.
그 후 포름산을 가하여 플로트의 pH를 3.5∼3.8로 조절하고, 가죽을 저온에서 가볍게 헹구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추가 가공한다. 그 후 20 ㎖의 플로트 샘플을 취하여 COD를 측정한다. 제조된 가죽은 염색이 양호하였고, 충만성과 거친 촉감이 최소였다.
플로트 샘플의 COD 값은 DIN 38409-H43-1에 따라 측정하고, 제조된 가죽의 연무값은 DIN 75201 B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 테스트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3: 종래의 가지제를 사용한 가죽의 제조
크롬 유제 처리를 하고, 탈모된 두께가 2.0∼2.2 mm인 우피 가죽 100 중량부를 40℃의 물 100 중량부에 넣고, 포름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4.5로 조절한다. 이 가죽을 40℃에서 60분간 드러밍한 후, 200 중량부의 물로 세척한다.
그 후 40℃의 물 100 중량부 및 시판되는 중합체 유제 2 중량부, 시판되는 수지 유제 4 중량부 및 시판되는 미모사 4 중량부를 첨가한다. 90분간 드러밍한 후, 가죽을 시판되는 가죽 염료 1 중량부를 첨가하여 동일한 플로트에서 염색한다. 그 후 플로트를 낮추고, 이 가죽과 물 100 중량부 및 시판되는 레시틴 가지제 4 중량부 또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가지제 혼합물 A 및 B 6 중량부와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기 플로트에서 50℃로 60분간 드러밍한다.
그 후 포름산을 가하여 플로트의 pH를 3.5∼3.8로 조절하고, 가죽을 저온에서 가볍게 헹구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추가 가공한다. 그 후 20 ㎖의 플로트 샘플을 취하여 COD를 측정한다. 제조된 가죽은 색상이 매우 양호하였고, 우수한 충만성 및 평균 연화도와 관련이 있는 확실한 은면(銀面; grain)을 나타내었다. 이 가죽의 표면은 지방질 촉감이다. 가지 처리 작업의 후반부에 취한 플로트 샘플의 COD 값을 DIN 38409-H43-1에 따라 측정하고, 제조된 가죽의 연무값은 DIN 75201 B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 테스트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가지제 A 및 B의 조성
가지제 조성
시판되는 레시틴가지제[중량%] 아황산염 가지제[중량%]
A 가지제 혼합물기준으로 33 중량% 어유와 평지씨유의 40:60 혼합물, Δd가 0.01∼0.1*이 되도록 공기중에서 산화시키고, 중아황산나트륨(Na2S2O5) 4 중량%(오일 혼합물 기준)와 반응시킨 것[가지제 혼합물 기준으로 67 중량%]
B 가지제 혼합물기준으로 33 중량% 평지씨유, Δd가 0.01∼0.05*가 되도록 공기중에서 산화시키고, 중아황산나트륨 4 중량%(오일 혼합물 기준)와 반응시킨 것[가지제 혼합물 기준으로 67 중량%]
* 공기 산화 정도는 비중[g/㎖]의 증가분 Δd로 정의된다.
실시예 4: 본 발명 가지제를 사용한 가죽의 제조
동일한 조건 하에 동일한 유제를 사용하고, 역시 이전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던 가지제 혼합물 A 및 B를 사용하여 실시예 3을 반복한다. 그러나 가지제 혼합물 외에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화제 5.2 중량부를 플로트에 첨가한다. 이후의 가죽의 가지 처리 및 추가 처리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그 후, 플로트 샘플의 COD 값 및 제조된 가죽의 연무값을 실시예 2 및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한다.
제조된 가죽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가죽과 동일한 품질을 보유하였다. 실시예 2∼4에서 얻어진 COD 측정값 및 연무 측정값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번호(가지제) COD[mg O2/l] 상대 COD[%] 연무[mg]* 연무[mg in %]*
실시예 2, 가지제 사용하지 않음 6,200 78 1.8 42
실시예 3, 레시틴 가지제만 사용 7,900 100 4.3 100
실시예 3(가지제 A) 21,200 268 4.60 107
실시예 3(가지제 B) 28,200 357 3.2 74
실시예 4(가지제 A) 4,900 62 4.25 99
실시예 4(가지제 B) 6,100 77 3.10 72
*중량측정법
상기 결과로부터 연무의 감소 또는 불변과 관련이 있는 노중 소비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음(COD가 약 75%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COD 감소가 연무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결과이다.

Claims (10)

  1. 4∼12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6-C14알칸올, 또는 다수의 상기 알칸올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성분 A,
    15∼30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12-C24지방 알콜 혼합물인 성분 B, 및
    40∼100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12-C24지방 알콜 혼합물인 성분 C
    를 포함하는 유화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성분 A의 중량 비율은 20∼60 중량%이고, 상기 성분 B의 중량 비율은 20∼70 중량%이고, 상기 성분 C의 중량 비율은 10∼50 중량%인 유화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4∼12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8-C12알칸올 혼합물이고, 상기 성분 B는 15∼30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14-C20지방 알콜 혼합물이고, 상기 성분 C는 40∼100개의 AO 단위로 알콕시화된 C14-C20지방 알콜 혼합물인 유화제 조성물.
  4. 합성 활성 성분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1종 이상의 개질 또는 비개질된 천연 활성 성분, 유화제 및 필요에 따라 제1항에 기재된 유화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희석제, 특히 물을 포함하는 가죽용 가지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고 산화도가 비교적 높은 중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가지제 조성물.
  6. 가죽 제조에 사용되는 제1항의 유화제 조성물의 용도.
  7. 가지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1항의 유화제 조성물의 용도.
  8.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고 산화도가 비교적 높은 중성 오일과 함께 가죽 제조에 사용되는 제1항의 유화제 조성물의 용도.
  9.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고 산화도가 비교적 높은 중성 오일과 함께 가지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제1항의 유화제 조성물의 용도.
  10. 가지제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액 플로트(aqueous liquor float)로 처리하여 가죽 및 수피(hide)를 가지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지제의 1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는 아황산화도가 비교적 낮고 산화도가 비교적 높은 중성 오일이며, 상기 플로트는 제1항에 기재된 유화제 조성물을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KR20047003360A 2001-09-07 2002-09-06 유화제 조성물 및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400448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3949.0 2001-09-07
DE10143949A DE10143949A1 (de) 2001-09-07 2001-09-07 Emulgatorzusammensetzung und fogging-arme, hochauszehrende Fettungsmittel,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PCT/EP2002/010017 WO2003023069A1 (de) 2001-09-07 2002-09-06 Emulgatorzusammensetzung und fogging-arme, hochauszehrende fettungsmittel,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859A true KR20040044859A (ko) 2004-05-31

Family

ID=769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03360A KR20040044859A (ko) 2001-09-07 2002-09-06 유화제 조성물 및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216241A1 (ko)
EP (1) EP1427861A1 (ko)
JP (1) JP2005502458A (ko)
KR (1) KR20040044859A (ko)
CN (1) CN1238527C (ko)
AR (1) AR036417A1 (ko)
BR (1) BR0212245A (ko)
DE (1) DE10143949A1 (ko)
WO (1) WO2003023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7277A1 (de) 2002-02-21 2003-09-04 Basf Ag VOC-arme Fettungsmittel, ihre Verwendung in der Herstellung und/oder Behandlung von Leder und Häu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oder Behandlung von Leder und Häuten mit diesen Fettungsmitteln
DE10242401A1 (de) * 2002-09-12 2004-03-25 Basf Ag Fettungsmittel auf der Basis von Mischungen modifizierter, nativer Öle mit alkoxylierten Alkanolen, ihre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und/oder Behandlung von Leder und Häu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oder Behandlung von Leder und Häuten mit diesen Fettungsmitteln
DE10320110A1 (de) 2003-05-06 2004-11-25 Basf Ag Fettungsmittel zur Herstellung und Behandlung von Leder
DE102004024798A1 (de) * 2004-05-17 2005-12-08 Basf Ag Zusammensetz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969036B2 (ja) 2004-11-30 2012-07-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類
DE102006050795B4 (de) * 2006-10-27 2015-07-23 Lanxess Deutschland Gmbh Fettungsmittel zur flammwidrigen Ausrüstung von Leder,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r Fettung
WO2009030566A1 (de) 2007-09-03 2009-03-1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ässrigen formulierungen, wässrige formulierungen und ihre verwendung
US20100192307A1 (en) * 2007-09-03 2010-08-05 Basf S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queous formulations, aqueous formulations, and the use thereof
ES2405546T3 (es) 2007-09-04 2013-05-31 Basf Se Copolímeros, formulaciones acuosas de los mismos y usos de las mismas
US8062540B2 (en) * 2007-12-28 2011-11-22 Midori Hokuyo Co., Ltd Low-VOC leather
BRPI0909434A2 (pt) 2008-03-13 2015-12-15 Basf Se couro, solução de um tioéter, usos do couro e de uma solução, calçado, parte interna de automóveis ou peça de mobiliário, e, processos para a produção de couro, de peças de mobiliário, calçados ou partes internas de automóveis.
WO2011131542A1 (de) 2010-04-21 2011-10-27 Basf Se Produk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WO2011158168A1 (de) * 2010-06-14 2011-12-2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der
CN111440535B (zh) * 2020-06-02 2022-04-29 上海金狮化工有限公司 一种皮革涂饰乳化油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0232C2 (de) * 1978-01-09 1985-04-11 Unilever N.V., Rotterdam Flüssiges Reinigungsmittel
DE3437443A1 (de) * 1984-10-12 1986-04-17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ttungsmittel fuer leder und pelze
GB8810188D0 (en) * 1988-04-29 1988-06-0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5348807A (en) * 1991-02-05 1994-09-20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ic retan fatliquor for low fogging upholstery leather
DE4402029A1 (de) * 1994-01-25 1995-07-27 Basf Ag Wäßrige Lösungen oder Dispersionen von Copolymerisaten
US5634948A (en) * 1995-07-10 1997-06-03 Boehme Filatex, Inc. Low-fogging finish treatment for upholstery leath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1924A (zh) 2004-12-01
WO2003023069A1 (de) 2003-03-20
JP2005502458A (ja) 2005-01-27
US20040216241A1 (en) 2004-11-04
CN1238527C (zh) 2006-01-25
AR036417A1 (es) 2004-09-08
BR0212245A (pt) 2004-10-05
DE10143949A1 (de) 2003-03-27
EP1427861A1 (de)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859A (ko) 유화제 조성물 및 저연무 고소비성 가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A1297895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erivatives of natural fats and oils
US5556930A (en) Copolymer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leather
Kamely “Fatliquors” for leathers: an application of microemulsion—a review
JPH06510083A (ja) 革および皮の耐洗濯および耐クリーニング性オイリング用の新規な両親和性コオリゴマーの水性分散体およびその使用
US20060150342A1 (en) Stuffing agent for leather based on mixtures of modified, native oils with alcoxylated alkanols, use thereof and method for treating leather
KR950008980B1 (ko) 액체 또는 유동성의 천연지방 및 유분의 유도체 및 그들의 제법
US7192534B2 (en) Low-VOC stuffing agents, the use thereof in the production and/or treatment of leather and skins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or treatment method
DE19625984C2 (de) Wäßrige Polymerdispersio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der Lederherstellung
US5391784A (en) Liquid or flowable derivatives of natural fats and oil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CN100392107C (zh) 皮革防水配方和利用它防水的皮革制品
US20070021552A1 (en) Lubricant for the production and treatment of leather
JPS6011078B2 (ja) 耐寒性の液状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9990008395A (ko) 가죽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방수 가공을 개선시키는 방법
WO2005113839A2 (de) Wässrig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alkoxylierte alkohole und hydrophobe kompon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942681B4 (de) Copolymer zur Behandlung von Leder und Pelzfellen
SU1507800A1 (ru) Состав дл жировани меховых шкур
DE19513521A1 (de) Verwendung von amphiphilen Copolymeren zur Verbesserung der Beständigkeit von Leder gegenüber Hydrotropen
DE10332991A1 (de) Verfahren zur Hydrophobierung von Leder und Pelzfel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