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811A -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811A
KR20040044811A KR1020020072995A KR20020072995A KR20040044811A KR 20040044811 A KR20040044811 A KR 20040044811A KR 1020020072995 A KR1020020072995 A KR 1020020072995A KR 20020072995 A KR20020072995 A KR 20020072995A KR 20040044811 A KR20040044811 A KR 2004004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ottom plate
connecting member
bridge bottom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540B1 (ko
Inventor
황윤국
김형렬
박기태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5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기 위해 중간 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서, 교량 바닥판의 폭(교축 직각방향)을 길게 형성시킬 필요(개략 4차로라면 폭이 개략 20m 이상이 된다.)가 있는 경우에, 운반 가능한 교량 바닥판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교량 바닥판을 용이하게 연속으로 이어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좋고, 별도의 중간 연결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연결부의 국부 좌굴 및 응력 집중을 줄일 수 있으며, 단면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joint structure of frp precast bridge slab using a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기 위해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서, 교량 바닥판의 폭(교축 직각방향)을 길게 형성시킬 필요(개략 4차로라면 폭이 개략 20m 이상이 된다.)가 있는 경우에, 운반 가능한 교축 직각 방향으로의 교량 바닥판 길이를 확보하면서, 교량 바닥판을 용이하게 연속으로 이어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좋고, 별도의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연결부의 국부 좌굴 및 응력 집중을 줄일 수 있으며, 단면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은 자중이 일반 강재 또는 콘크리트보다 매우 작고, 구조적 특성(휨 강성, 인장강도, 압축강도 등)이 우수한 복합소재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등) 제품으로 제작된 여러 단면 형상의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제작됨으로서 최근 토목, 건축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교량분야에서는 도1과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교량 바닥판을 프리캐스트화 하여 제작한 후, 최종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진 교량 바닥판(10)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 바닥판(10)은 교각(20)에 형성된 거더(30) 위에 설치되는 식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교량 바닥판의 연결에 있어 교량 바닥판의 교축 직각방향(바닥판의 폭 방향)으로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연결방법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설사 여러 가지 제작방법에 의하여 교량의 슬래브 폭(교축 직각방향의 슬래브 폭)에 해당할 만큼 긴 교량 바닥판을 제작할 수 있다 할지라도, 이를 운반하는 차량 등의 문제 때문에 그 길이를 제한하여 제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제한된 길이의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려는 경우 통상적인 거더 또는 빔의 연결부위와 같이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볼트 등의 접합에 의하여 연결한다면, 연결부위에 국부적으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내구성에 악 영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연결부위에 차량하중에 의해 국부 좌굴 문제 때문에 적절한 교량 바닥판의 단부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지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술개발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축 직각방향(교량 바닥판의 폭 방향)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교량 건설에서도, 교축 직각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단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의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연결설치하되, 상기 교량 바닥판 연결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국부 응력 및 국부 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교량 바닥판의 내구성 증진이 가능한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부재의 연결에 있어 그 다양한 단면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가능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연결시공이 가능한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교축 방향으로의 교량 바닥판 연결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되 횡 구배가 형성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교량 바닥판 및 중간연결부재에 프리스트레싱 수단이 부가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싱 수단을 이용한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 교량 바닥판 및 중간연결부재의 연결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교량 바닥판200:중간 연결부재
300:교각400:거더
500:쐐기부재600:프리스트레싱 수단
700:단부연결부재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축 직각방향으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1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중간연결부재(200)를 채택하는 것을 핵심적인 기술사상으로 한다. 즉, 여러 단면의 형상으로 설사 교량 바닥판이 제작된다 할지라도 이를 교축 직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교량 바닥판 연결 단부를 변형시켜 서로 연결하는 기존 방식에서 탈피하여,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교량 바닥판 양쪽에서 끼움식으로 교량 바닥판을 이어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공성도 매우 증진되며, 교량 바닥판의 단부를 중간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서 연결부위에서의 국부 응력 집중문제 및 국부 좌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교량 바닥판의 양 측면에 교량난간을 설치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중간연결부재로 연속하여 설치된 교량 바닥판 양 측 단부에 역시 끼움식으로 교량 난간이 설치되는 단부연결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서, 교량 바닥판의 이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단순한 형상변형에 의하여 교량 바닥판에 횡방향 구배(교축 직각방향으로의 구배)를 부여하여 교면의 원활한 배수기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중간연결부재로 연결된 교량 바닥판의 양 단부에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교량 바닥판을 관통하는 프리스트레싱 수단을 추가 설치하여 교량 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를 교량바닥판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2 및 도3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상기 연결구조는 교량 바닥판의 교축 직각방향으로의 연결시공에서, 복합소재로 제작된 교량 바닥판(100); 및 상기 교량 바닥판과 교량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부재로서, 교량 바닥판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몸통부 양쪽으로 형성된 중간연결부재(200);를 포함하며 도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교량 바닥판(100)은 본 발명에서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다양한 단면 형상의 가지도록 제작된 것으로 프리캐스트 화되어 공장 제작된 것이다.
복합소재는 통상 FRP(Fiber Reinforced Plastics)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유리섬유를 주 보강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적층하여 경화 가공한 구조용 재료로서, 강재 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내식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강화플라스틱 류이다.
이러한 복합소재를 교량용 바닥판(100,Slab)에 이용하는 예가 바로 도2와 같이 다수의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일정단면 형상(도2에서는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한 후, 전체적인 형상을 일정 높이로 가진 판 형상으로 제작하되 교각(300)위 형성된 교량 거더(400) 위에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 바닥판(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동일한 형고 및 단면적을 가지는 강재 또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비교하여 자중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부식 및 내구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여러 외부환경에 저항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설치작업에 있어 매우 용이하며, 내구성도 뛰어나며, 특히 콘크리트 바닥판과 같이 양생에 필요한 기간을 없앨 수 있어, 설치를 위한 작업공기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대부분 공장 제작(프리캐스트 제품화)되기 때문에 품질이 균질하고, 그 관리가 매우 효율적이다.
이러한 교량 바닥판(100)은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교축 직각방향(도2의 직선 화살표 방향)으로 놓여져 병렬로 교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교축 방향에서의 연결은 접착제 및 볼트와 너트와 같은 화학적 또는 기계적 연결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교축 직각방향으로의 연결은 본 발명에 서의 도2와같이 중간연결부재(200)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설치된다.
교량 바닥판은 내부 중공이 형성된 부재로서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길이(L)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운반 가능한 최대 길이로 제작된다. 즉 공장 제작에 의해서 얼마든지 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은 가능하나 운반차량에 의한 제약 때문에 가능한 최대 길이로 분할 제작된다. 이러한 최대 길이(L)로 제작되어도 교량 바닥판의 폭이 4차로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밖에 없는데 만약 기존의 교량 빔 등의 연결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교량 바닥판과 교량 바닥판을 서로 맞대어 놓고 플레이트를 덧대어 볼트로 교량 바닥판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은 현장이든 공장이든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본 발명과 같이 교량 바닥판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기술적 효과(공기 단축, 시공성 향상 등)를 무색케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교량 바닥판의 연결부위는 볼트 등에 의하여 관통되어 구조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결국 관련된 종래의 교량 바닥판의 교축 직각방향으로의 연결방식은 교량 바닥판의 폭(D)이 커지면 커질수록 연결부위에 있어 교량 바닥판의 단부를 별도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 국부적으로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연결부위에 국부적인 좌굴 현상의 우려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본 발명의 중간연결부재(200)이다.
상기 중간연결부재(200)는 도2와 같이 교량 바닥판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부(220)가 몸통부(210) 양쪽으로 일체로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교량 바닥판의 중공 단면이 도2에서는 사각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돌출부도 역시 사각단면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교량 바닥판의 중공 단면 형상이 삼각형, 원형 등 가장 단순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강성이 큰 단면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돌출부의 형상도 동일하게 변형 가능하다. 하지만 교량 바닥판의 중공단면 형상과 상기 돌출부의 형상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몸통부(210)는 도2에서는 사각단면 형상의 봉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돌출부(220)가 양쪽으로 형성되며, 제작 시 돌출부 및 몸통부는 일체로 제작된다. 도2에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되어 있으나 중간연결부재가 거더와 연결될 때를 고려하여 내부 중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제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와 돌출부의 접면이 수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교량 바닥판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교량 바닥판과 중간연결부재에 의하여 교량 바닥판은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몸통부와 돌출부의 접면을 하방 경사지게 몸통부를 제작한다면 이와 연속하여 형성된 돌출부도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로서 교량 바닥판도 도3과 같이 중간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양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몸통부의 단면 변형에 의하여 교량 바닥판에 자연스럽게 횡구배를 줄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발현된다.
즉, 교량 바닥판의 폭이 상당히 커지는 경우 교면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미리 교량 바닥판에 설계 시부터 인위적으로 횡구배를 주고, 이러한 횡구배를 주기 위해서는 교량 바닥판 제작, 설치시 이를 고려하여 설계, 제작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간연결부재의 몸통부의 단면 형상을 미리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서 원하는 각도로 교량 바닥판에 횡구배를 자연스럽게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별도로 교량 바닥판 제작시 이를 고려하여 제작할 필요성이 없어, 교량 바닥판의 제작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횡구배가 만약 크다면 최종적인 교량 바닥판의 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며, 교량 바닥판이 경사진 만큼 그 경사부를 지지할 수 있는 쐐기부재(500)를 교량 거더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한 후, 볼트 등과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상기 쐐기부재를 교량 바닥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도3에 부분 상세도로 표시되어 있는데 교량 바닥판 중간 부위 및 단부에 형성된 쐐기부재를 각각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교량 바닥판을 연결 설치하는 경우 비교적 강성이 큰 단면으로 제작한 중간연결부재의 존재에 의하여 교량 바닥판의 길이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길어지더라도 연결부위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 및 국부적인 좌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중간연결부재를 교량 바닥판을 지지하는 교각에 설치한 거더(400) 위에 위치시키는 경우, 별도의 교량 바닥판의 단부 지점 처리를 위한 설계 고려사항이 줄어들어 매우 효율적인 교량 바닥판의 연결시공이 가능하다.이때 중간 연결부재와 교량 바닥판의 연결은 결국 교량 바닥판의 내부 중공에 중간 연결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끼움식 연결방식인데, 접착제 및 볼트 등과 같은 기계적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지만 교량 바닥판의 길이(L)가 길어지는 경우 아무래도 추가적인 연결성능의 증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긴장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수단(600)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도4와 같이 교량 바닥판의 내부 중공을 따라 교축 직각방향으로 긴장재(610)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긴장재의 양 단부를 교량 바닥판의 양 단부에 정착장치(정착판, 정착용 쐐기, 정착콘 등)를 이용하여 긴장 후 정착시켜 교량 바닥판에 미리 압축력을 가함으로서 교량 바닥판의 추가적인 연결능력의 증진을 꾀할 수 있다. 이는 교량 바닥판의 폭(D)이 상당히 큰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고 할 것이며 설치 위치 및 개수는 교량 바닥판의 폭 및 중간연결부재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정하게 된다.
도5는 최종적으로 소요 폭을 가지며, 중간연결부재로 제작된 교량 바닥판이 설치된 경우, 교량 바닥판의 양 단부에 교량난간(710)을 설치하기 위한 단부연결부재(700)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교량 바닥판은 양 단부에 돌출되어 교량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부재가 필요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교량 바닥판의 양 단부에 형성된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부(720) 및 상기 돌출부와 연속하여 단부 몸통부(730)를 포함하는 단부연결부재(700)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몸통부의 상부 면에서는 교량 난간(710)이 설치됨으로서 최종적으로 교량 바닥판에 교량 난간까지도 조립식으로 완성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도4의 프리스트레싱 수단(600)을 도5와 같이 교량 바닥판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관통하도록 설치하면 상기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를 교량 바닥판의 단부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상기 프리스트레싱 수단은 교량난간이 설치된 단부연결부재의 고정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상기 교량시공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합소재로 내부 중공이 형성된 형상의 교량 바닥판(100) 및 상기 교량 바닥판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몸통부 양쪽으로 형성된 중간연결부재(200)를 공장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 방향으로 교각(300)에 설치된 거더(400) 상부에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속하여 교량 바닥판을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교량 바닥판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이를 운반수단을 이용해 현장으로 반입하게 된다. 상기 교량 바닥판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단면형상으로 제작하여도 상관없는 것이 중간연결부재에 삽입되어 이어져 설치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가장 강성이 큰 단면을 가지면서 단순한 단면으로 제작할 수 있어 그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별도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량 바닥판의 단면형상을 고려하여 공장에서 별도로 중간연결부재를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한다.
이로서 교량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수단은 마련되며, 중간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교량 바닥판을 서로 연결하면서, 교량 바닥판을 설치한다.이때 프리스트레싱 수단을 도4와 같이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교량 바닥판의 교축 직각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여 교량 바닥판과 중간연결부재의 연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의 형성 위치를 교각 위에 설치한 거더 위에 설치하는 것이 거더에 발생할 수 있는 휨 부모멘트의 발생에 대한 지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교량 바닥판을 최종적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양 단부에 본 발명의 단부연결부재(700)를 역시 교량 바닥판에 삽입 설치하고, 상기 단부연결부재 상부 면에 교량난간을 설치하면, 최종적으로 교량을 완성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도5와 같이 교량 바닥판 양 단부에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를 관통하는 프리스트레싱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를 교량 바닥판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교량 바닥판의 연결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국부 응력 및 국부 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교량 바닥판의 내구성 증진이 가능하며, 교축 직각방향으로의 연결에 있어 교량 바닥판 의 다양한 단면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가능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교량시공이 가능하다.

Claims (8)

  1.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의 교축 직각방향으로의 연결시공에서,
    복합소재로 제작된 교량 바닥판; 및
    상기 교량 바닥판과 교량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부재로서, 교량 바닥판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몸통부 양쪽으로 형성된 중간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몸통부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돌출부와의 접촉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교량 바닥판에 횡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교량 바닥판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교량용 난간이 상부 면에 형성되는 소정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하는 단부연결부재가 추가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교량 거더와의 연결부에 위치하도록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교축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교량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긴장재; 및 상기 긴장재의 양 단부가 교량 바닥판 또는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의 단부에 긴장 후 정착되는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6. 복합소재로 내부 중공이 형성된 교량 바닥판 및 상기 교량 바닥판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몸통부 양쪽으로 형성된 중간 연결부재를 공장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교량 바닥판을 교축 직각방향으로 교각에 설치된 거더 상부에 중간연결부재를 중간에 삽입하면서 연속하여 교량 바닥판을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공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교량 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에, 교량 바닥판 양 단부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교량용 난간이 상부 면에 형성되는 소정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하는 단부연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교량 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교량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긴장재; 및 상기 긴장재의 양 단부가 교량 바닥판 또는 교량난간이 형성된 단부연결부재의 단부에 긴장 후 정착되는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수단을 교량 바닥판에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KR10-2002-0072995A 2002-11-22 2002-11-22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046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95A KR100469540B1 (ko) 2002-11-22 2002-11-22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95A KR100469540B1 (ko) 2002-11-22 2002-11-22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811A true KR20040044811A (ko) 2004-05-31
KR100469540B1 KR100469540B1 (ko) 2005-02-02

Family

ID=3734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95A KR100469540B1 (ko) 2002-11-22 2002-11-22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54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17B1 (ko) * 2006-09-28 2007-12-2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섬유보강 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의 종방향 연결구조체
KR101712430B1 (ko) * 2016-03-24 2017-03-07 주식회사 태하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RU173490U1 (ru) * 2017-04-19 2017-08-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RU174705U1 (ru) * 2017-06-19 2017-10-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RU178135U1 (ru) * 2017-12-05 2018-03-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RU183091U1 (ru) * 2018-05-22 2018-09-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KR20190131213A (ko) * 2018-05-16 2019-11-26 (주)비에스씨코리아 기성바닥판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311884B1 (ko) * 2021-01-07 2021-10-13 (주)상보 응력 전달이 균일한 교량 상부 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용 프리캐스트 단위 블록
KR102311885B1 (ko) * 2021-01-07 2021-10-13 (주)상보 바닥판 헌치를 구비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10B1 (ko) * 2011-01-28 2011-06-30 박명옥 교량 슬래브 경사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245797B1 (ko) * 2020-10-26 2021-04-28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비균일 형고 거더 교량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6202B1 (fr) * 1983-05-16 1986-03-21 Bouygues Sa Pont a voussoirs prefabiques et a precontrainte exterieure par cables, voussoirs pour ce pont et procedes de fabrication de ces voussoirs
JPS60238504A (ja) * 1984-05-09 1985-11-27 日開技研株式会社 特殊耳桁を使用するpc桁による床版橋工法
DE4214758C2 (de) * 1992-05-09 1994-07-07 Alten K Tragplatte für Brücken und Rampen
JP3226986B2 (ja) * 1992-11-09 2001-11-12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JPH07102530A (ja) * 1993-10-07 1995-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結合装置
US5953878A (en) * 1997-06-06 1999-09-21 S.S.D. Control Technology, Inc. Polyvinyl deck
KR100342983B1 (ko) * 1999-01-13 2002-07-05 이토가 미찌야 양면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US6324796B1 (en) * 2000-04-10 2001-12-04 Homeland Vinyl Products, Inc. Modular decking plank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17B1 (ko) * 2006-09-28 2007-12-2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섬유보강 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의 종방향 연결구조체
KR101712430B1 (ko) * 2016-03-24 2017-03-07 주식회사 태하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RU173490U1 (ru) * 2017-04-19 2017-08-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RU174705U1 (ru) * 2017-06-19 2017-10-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RU178135U1 (ru) * 2017-12-05 2018-03-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KR20190131213A (ko) * 2018-05-16 2019-11-26 (주)비에스씨코리아 기성바닥판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RU183091U1 (ru) * 2018-05-22 2018-09-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KR102311884B1 (ko) * 2021-01-07 2021-10-13 (주)상보 응력 전달이 균일한 교량 상부 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교량용 프리캐스트 단위 블록
KR102311885B1 (ko) * 2021-01-07 2021-10-13 (주)상보 바닥판 헌치를 구비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540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30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AU2007206065B2 (en) Hybrid composite beam system
US5457839A (en) Bridge deck system
KR20020071612A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KR100469540B1 (ko) 교축 직각방향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소재로 제작된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1169460B1 (ko) 방음벽 기초부가 내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CA2023198C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823448B1 (ko) 면진성이 향상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연속화 구조 및 그 공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529518B1 (ko) 솔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중간 지점부 연속화 구조 및 방법
KR100502584B1 (ko)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100719957B1 (ko) 스페이서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 시공방법및 그 연결구조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JPH04228710A (ja) 橋梁用道路スラブ
KR100488189B1 (ko) 교량용 5분절 세그멘탈 벌브티 거더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200384817Y1 (ko) 만곡 파형 강판 복부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KR200291793Y1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KR100466017B1 (ko)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KR100439470B1 (ko) 교량용 합성빔
KR200361193Y1 (ko) 파형 강판 복부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