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48A -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48A
KR20040044748A KR1020020072915A KR20020072915A KR20040044748A KR 20040044748 A KR20040044748 A KR 20040044748A KR 1020020072915 A KR1020020072915 A KR 1020020072915A KR 20020072915 A KR20020072915 A KR 20020072915A KR 20040044748 A KR20040044748 A KR 2004004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dition
optimal
optimum
dis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운
최정욱
임정란
Original Assignee
지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748A/ko
Publication of KR2004004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하폐수의 수량 및 수질농도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의 최적운전을 위한 이론적 최적운전 값 설정 스텝과, 최적운전일 때와 일치하는 각 센서의 실시간 감지 데이터 및 각 기계장치의 작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스텝과, 이론적 최적운전 값과 실제 가동시 최적운전 값 사이에 차이를 판단하여 이론적 최적운전 값을 수정·보완할 뿐만 아니라 이와 일치하는 센서감지 데이터 및 장치작동 데이터를 수정·보완하는 최적운전 세팅 스텝과, 유입하폐수의 수량 및 수질농도 변화가 일어날 때마다 이에 맞추어 여러 가지의 기 세팅 값을 동시에 변환시키는 세팅 변환제어 스텝으로 이루어진 하수처리장 운전제어 장치이며, 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폐수처리장의 자동운전을 위한 세팅 값은 시시각각으로 일어나는 유입하수의 수량 및 수질농도의 변화 시에 이와 일치하는 세팅 값의 즉각적인 변환이 어렵고, 실시간 감지 센서의 데이터에 따라 변환되도록 세팅된 자동운전 값도 감지 센서의 감도 저하나 오작동이 빈번히 일어나 하수처리장의 기능이 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하수처리장 운전 시에 나타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Remote controling method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by simulation expert system for optimal operation}
본 발명은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외 설치운영중이거나 개발중인하폐수처리공법들 자동운전방법에 대하여, 정상 또는 최적 운전 조건으로 동작하는 이론적인 최적가상시뮬레이션 상황을 각 수질, 유량 센서 또는 시간에 따라 저장하고, 실제운전 상황을 동시에 비교 분석하여 시뮬레이션 값에 가깝게 각 장치들을 제어하고, 또한 시뮬레이션에 의한 운전조건을 퍼지분석법에 의하여 시간으로 환산하여 저장함으로써 센서의 감도저하 및 오작동의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 기술은 현장뿐만 아니라,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퍼지 다단계 이상 판단시스템 및 이상진단복구 전문가시스템과 실시간 연동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의 최적화와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격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의 운전제어는 PLC, DCS 및 PC제어장치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ON/OFF를 반복하는 시간제어방법, 주파수 등을 조절하여 정량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사람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미리주어진 모델에 의하여 결과만큼을 제어에 수행하는 방법 등이 흔히 사용되어 진다. 즉, 미리 입력된 제어조건을 수행하는 방식과 사람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분을 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외부의 환경변화에 대하여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전문성이 결여된 상태에서는 적절한 제어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제어조건을 수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 적잘한 대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시설의 운전조건은 크게 유입유량, 유입수의 오염부하량, 생물반응조 내의 미생물 농도 등의 조건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며, 이러한 조건은 유량측정장치, 수질측정센서장치 및 실험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하폐수처리장의 운전조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유량 및 유입부하가 시간/일/월/계절 별로 상당히 유동적이기 때문에 정해진 제어조건에 의하여 운전하였을 경우에 정상운전에 많은 시간과 예산의 낭비가 초래되며, 정상운전 또한 어렵다. 뿐만 아니라, 실험값에 의한 운전조건의 변경은 실험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변하는 유량 및 오염부하량 조건에 대처하기가 어려우며, 무인으로 운전되는 중소형처리장의 경우에는 비상주 관리자가 상황에 따라 조정을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처리장은 일정기간의 시운전기간을 거친 후에 평균적인 운전방법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거나, 최근에는 유량센서 및 수질측정센서에 의한 자동운전제어 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수질센서의 측정감도가 설치초기에 비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오차의 범위가 커지고, 센서들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기술적인 문제와 경제적인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센서에 의존하는 하폐수처리장운전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센서의 역할은 단지 모니터링하여 운전에 참고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최적의 하폐수처리장 제어를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유량 및 유입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이것을 분석하여 제어조건에 적용시켜주어야 하며, 고가의 수질센서를 다량으로 설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는 기술도 개발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측정장치의 오차로 인한 신뢰도의 한계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제어조건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고급전문가의 확보가 어렵거나, 확보가 되더라도 많은 인건비 및 추가분석시스템에 대한 비용부담이 따라서 무인으로 움직이는 소규모 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이러한 보조시스템 및 전문인력을 갖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최초설치 후 몇 달을 유지하지 못하고, 미생물의 사멸, 장치고장, 유입수의 유량 및 부하량 변동에 대처하지 못하는 등 이유로 처리장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인 것이 국내의 처리장 현실이다. 무인 소형 처리장뿐만 아니라, 중대형 하폐수처리장의 제어조건을 수립을 위한 시운전을 위해서도 많은 시간과 인력 및 예산이 투입되며, 운영관리를 위해서도 일정 인원 이상이 늘 상주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즉,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외한 종래의 하폐수처리장에서 현재 사용중인 자동운전 방법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보면, 각 처리공법의 특성에 따라 장치를 시간적으로 ON/OFF시켜주는 방법과 유량 및 수질센서에서 전달받은 값에 의하여 ON/OFF 시간 및 펌프 등의 가동강도를 조절해 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처리유량의 변동폭이 상당히 심한 소형처리장에서는 유입수의 유량 및 수질농도에 따라 변동되어야 할 공기량, 약품공급량 등이 변동되지 않은 채 평균적인 값으로 운전되는 바람에 미생물의 사멸 등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다. 후자의 경우에도 관리자가 일정인원 상주함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으로 제시된 운전방법외에는 외부적인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상당히 떨어져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하폐수처리공법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최상의제어조건 수립 및 시간, 인력, 예산을 단축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인원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제어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단시간에 최적의 시운전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환경을 학습기능을 통하여 습득하고 이를 실제운전동안에도 유량변동 및 오염부하변동에 자동으로 실시간 대처가 가능하며, 이 결과로 처리수질의 안정화, 전력비의 감소, 각 장치의 수명연장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은, 유입하폐수의 수량 및 수질농도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의 최적운전을 위한 이론적 최적운전 값 설정 스텝과, 최적운전일 때와 일치하는 각 센서의 실시간 감지 데이터 및 각 기계장치의 작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스텝과, 이론적 최적운전 값과 실제 가동시 최적운전 값 사이에 차이를 판단하여 이론적 최적운전 값을 수정·보완할 뿐만 아니라 이와 일치하는 센서감지 데이터 및 장치작동 데이터를 수정·보완하는 최적운전 세팅 스텝과, 유입하폐수의 수량 및 수질농도 변화가 일어날 때마다 이에 맞추어 여러 가지의 기 세팅 값을 동시에 변환시키는 세팅 변환제어 스텝으로 이루어진 하수처리장 운전제어 장치이며, 이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론적 최적운전 값과 실제 가동시 최적운전 값 사이에 차이를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유입하폐수의 수량 및 수질농도 등의 변화와 같이 운전조건이 변화될 때마다 최적운전 값(장치작동 세팅 값의 포함)을 변환·설정하는 방법에서 전자의 경우에는 이론적 최적운전 값에 의해 나타나는 운전결과가 하수처리장 가동시 나타나는 실제운전 결과와 유사하게 될 때까지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이론적인 최적운전 값을 실제적인 최적운전 값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각 운전조건의 변화 시에 나타나는 운전결과를 하수처리장 시운전 또는 가동시에 연속된 모든 운전조건이 아닌 몇 개의 구간(구간의 간격이 최소화될수록 비용과 시간이 증가됨)에 대해 미리 파악하여 하수처리장 운전조건의 변화가 가동 중에 새로이 발생할 때마다 이러한 조건과 가장 유사한 조건에서 기 파악된 운전결과와 유사하게 될 때까지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최적운전 값(장치작동 세팅 값의 포함)을 새로운 운전조건에 따라 변환·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수질센서감지 기능의 저하나 오작동 시에도 최적운전을 이룩하기 위한 방법은 각 장치작동 값의 변환이 수질센서감지 데이터에만 의존하여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보에 따라서도 장치작동이 최적으로 이룩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측정유량의 변화마다 장치작동 값을 미리 저장하여 유량의 변화 시에 크기에 따라 기 저장된 장치작동 값에 의해 운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하폐수처리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인터페이싱부20...제 1 A/D 변환부
25...수질 측정부30...디지털 출력부
36...하수처리장치46...디지털 입력부
50...회전수 감지52...카운터부
70...콘트롤 시스템
100...중앙관리소(통합관리센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본 출원인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20001-3783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장치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탑재한 제어시스템과 기존의 자동제어시스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있다. 동 도면에서, 수질측정부(25)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질항목들을 측정하여 이에 해당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센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A/D 변환부(20)는 상기 수질 측정부(2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기 구성되어 있다.
한편, PC 베이스 콘트롤 시스템 또는 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하 컨트롤 프로세서)(70)은 상기 A/D 변환부(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질 상태를 판단하고 일정치 이상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치(36)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 장치와 포기장치 및 그리고 약품투여장치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정의 신호들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하수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운터부(52)는 회전수 감지부(50)에서 유압 펌프 등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출력한 데이터를 카운팅한 결과를 컨트롤 프로세서(70)에 공급하여 중앙관리소(100)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의 작동을 도 2 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인용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하폐수처리장치를 최적 상태로 원격제어하고자 도 2 의 스텝 S1과 같이 최적운전제어 데이터를 설정한 상태에서 수질측정부(25)에서 측정한 실시간 각 센서 정보와 하수처리장치(36)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장치 동작 정보 및 최적이론값을 스텝 S2와 같이 각각 입력한 후 스텝 S3으로 나아가서는 현재의 운전 상태가 최적조건인 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3에서 판단한 결과 최적 조건이면 스텝 S4로 나아가서 하폐수처리장치의 제어결과를 항목변화에 제어시간별 정보로 변환하고, 최적 조건이 아니면 장치제어를 지속하여 최적이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저장된 시간대별 제어정보는 최초에 입력된 최적이론값에 명시되지 않은 불연속 정보나, 같은 제어조건이지만 서로 상이한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을 스텝 S5와 스텝 S6에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스텝 S1에서 입력된 최적운전값이 유량이 10일 경우, 20일 경우, 30일 경우의 항목별 최적값을 주었다고 가정할 때, 실제운전상황에서 유량이 11인 상황, 유량이 15인 상황 및 유량이 90인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하면, 유량이 11인 상황의 경우 시스템은 유량이 10인상황과 동상황으로 판단하고, 나머지 두 번의 경우는 불연속상황으로 판단하여 다음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한 후자의 예를 들면, 유량이 10인 두 번의 상황에서 첫 번째 제어 조건에서는 전달되는 센서값에 의하여 포기장치를 10분 ON시키고 10분 OFF시키는 제어를 수행하고, 두 번째 상황에서는 8분 ON 시키고, 12분 OFF시키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텝 S5, 6에서 판단한 결과 불연속 제어 조건이나 유사 조건별 상이한 제어조건이 발생하면 스텝 S9와 같이 통계적인 방법이나 퍼지 방법에 의한 분석법을 이용하여 불연속 조건에서의 최적 조건을 스텝 S7과 같이 시간에 의한 최적 운전조건을 저장한 후, 향후에는 수량과 같이 하나의 제어조건만 가지고도 하폐수처리장치의 작동을 스텝 S8과 같이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① 각 운전조건별 최적의 이론적 제어조건으로 처리장의 실제 운전이 가능하다. ② 기존의 제어장치들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쉽고, 기존 제어장치(PLC), 모니터링 시스템(POS), 제어시스템(PES)등의 운영관리시스템 대체효과가 있으므로 중복설비 방지할 수 있다. ③ 각 측정센서 설치초기시의 최고 신뢰도를 가지는 기간 내에 시스템 내에서 자동으로 운전조건을 수립하고, 이후에는 기존 정보만을 가지고 시간에 의한 운전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센서를 장치할 필요가 없고, 사용기간도 최대한 늘릴 수 있으며, 센서오차에 의한 비정상 운전을 최소화 한다. ④ 꼭 필요한 만큼의 장치 운전이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수명연장 및 전력비가 감소된다. ⑤ 무인, 유인 및 원격제어의 어떤경우에도 활용이 쉽다. ⑥ 운전기준경계치에서 장치가 ON/OFF를 반복하여 발생하는 문제는 반복빈도수, 중요도, 지속시간등을 동시에 고려한 퍼지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문제점 해결된다. ⑦ 경험하지 못한 운전조건이나, 같은 조건에서 서로 상이한 운전조건도 통계적방법이나 퍼지분석방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추가 및 보정이 가능하다. ⑧ 시스템의 스스로의 학습능력을 갖기 때문에 공법개발시에나 설치 시운전시에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개발 및 운영관리 인원이 최소화된다. ⑨ 기존운전방법이나 OSE(최적운전시뮬레이션 전문가시스템)에 의한 운전방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⑩ 설치지역 및 기후별 상황대처능력이 뛰어난 효과 등이 있다.

Claims (2)

  1. 하수의 수량 및 수질항목 변화에 따른 최적 운전제어의 최적 및 이론 값을 설정하는 최적 운전값 설정 스텝과,
    실시간 각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와 각 하수처리장치의 동작정보와 이론값을 수집하는 정보 데이터 수집 스텝과,
    상기 각종 데이터 정보와 이론 값을 연산하여 최적 조건인 가를 판단하는 최적 조건 판단 스텝과,
    상기 최적 조건 판단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최적 조건이면 하수의 수질 항목 변화에 따른 시간대별 제어정보를 변환하여 하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 스텝과, 상기 작동 제어 스텝과 같이 하수처리장치의 작동을 항목변화에 따라 최적으로 운전 제어하는 과정에서 불연속 제어 조건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불연속 제어 조건인 가를 판단하는 불연속 제어 판단 스텝과,
    상기 불연속 제어 판단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불연속 제어가 아니면 유사 조건별 상이한 제어 조건인 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상기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상이한 제어 조건이 아니면 시간에 의한 최적 운전 조건을 저장하고 이 조건수립결과를 이용하여 하폐수처리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판단스텝과 유사조건 상이 판단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불연속 제어 조건이거나 유사 조건이 상이한 제어 조건일 때는 통계적인 방법이나 퍼지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 조건을 설정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KR1020020072915A 2002-11-22 2002-11-22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KR20040044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15A KR20040044748A (ko) 2002-11-22 2002-11-22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15A KR20040044748A (ko) 2002-11-22 2002-11-22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48A true KR20040044748A (ko) 2004-05-31

Family

ID=3734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15A KR20040044748A (ko) 2002-11-22 2002-11-22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74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522B1 (ko) * 2009-05-21 2009-10-09 대양바이오테크 주식회사 하수처리공정 진단 및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35364B1 (ko) * 2009-05-18 2010-01-06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수위 변화에 따른 퍼지모델을 이용한 무인 원격 수처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19623A3 (en) * 2008-08-11 2010-06-10 Kuit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evaluation and analysis of an enterprise
WO2013125737A1 (ko) * 2012-02-20 2013-08-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수처리장 공정상태 진단에 따른 규칙기반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4157833A1 (ko) * 2013-03-25 2014-10-02 현대엔지니어링(주) 정수처리장의 수질센서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한 전문가 의사결정 시스템
CN106054990A (zh) * 2016-07-04 2016-10-26 清华大学 垃圾渗滤液处理专家控制系统及方法
CN111652445A (zh) * 2020-06-11 2020-09-11 广东科创工程技术有限公司 基于高斯分布的污水设备优化运行控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170A (ja) * 1995-08-29 1997-03-11 Hitachi Ltd 下水処理場の汚水ポンプ制御装置
JPH10118627A (ja) * 1996-10-17 1998-05-12 Kurita Water Ind Ltd 水処理装置のモデル参照型自動制御装置
JP2002001388A (ja) * 2000-06-15 2002-01-08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汚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32787A (ko) * 2000-10-27 2002-05-04 유창환, 황호재 원격 수처리 시스템
JP2002157003A (ja) * 2000-11-17 2002-05-31 Fuji Electric Co Ltd 多変数モデル予測制御装置、方法、及びその記憶媒体
KR20030092731A (ko) * 2002-05-31 2003-12-06 대성산소 주식회사 공급 가스의 산소 농도 및 양 제어를 통한 폐수 처리 방법및 장치
KR20030095881A (ko) * 2002-06-15 2003-12-2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Cod 예측제어를 통한 ech 공정 폐수처리 최적화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170A (ja) * 1995-08-29 1997-03-11 Hitachi Ltd 下水処理場の汚水ポンプ制御装置
JPH10118627A (ja) * 1996-10-17 1998-05-12 Kurita Water Ind Ltd 水処理装置のモデル参照型自動制御装置
JP2002001388A (ja) * 2000-06-15 2002-01-08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汚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32787A (ko) * 2000-10-27 2002-05-04 유창환, 황호재 원격 수처리 시스템
JP2002157003A (ja) * 2000-11-17 2002-05-31 Fuji Electric Co Ltd 多変数モデル予測制御装置、方法、及びその記憶媒体
KR20030092731A (ko) * 2002-05-31 2003-12-06 대성산소 주식회사 공급 가스의 산소 농도 및 양 제어를 통한 폐수 처리 방법및 장치
KR20030095881A (ko) * 2002-06-15 2003-12-2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Cod 예측제어를 통한 ech 공정 폐수처리 최적화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9623A3 (en) * 2008-08-11 2010-06-10 Kuit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evaluation and analysis of an enterprise
KR100935364B1 (ko) * 2009-05-18 2010-01-06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수위 변화에 따른 퍼지모델을 이용한 무인 원격 수처리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0522B1 (ko) * 2009-05-21 2009-10-09 대양바이오테크 주식회사 하수처리공정 진단 및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3125737A1 (ko) * 2012-02-20 2013-08-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수처리장 공정상태 진단에 따른 규칙기반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4157833A1 (ko) * 2013-03-25 2014-10-02 현대엔지니어링(주) 정수처리장의 수질센서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한 전문가 의사결정 시스템
CN106054990A (zh) * 2016-07-04 2016-10-26 清华大学 垃圾渗滤液处理专家控制系统及方法
CN111652445A (zh) * 2020-06-11 2020-09-11 广东科创工程技术有限公司 基于高斯分布的污水设备优化运行控制方法
CN111652445B (zh) * 2020-06-11 2024-03-22 广东科创智水科技有限公司 基于高斯分布的污水设备优化运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31B1 (ko) 종합 감시 진단 장치
KR101301072B1 (ko) 정수처리장의 수질센서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한 전문가 의사결정 시스템
CN107741738A (zh) 一种污水处理过程监控智能预警云系统及污水处理监测预警方法
CN101014916A (zh) 用于检测与反应器相关的异常情况的系统和方法
CN103197539A (zh) 污水处理智能优化控制曝气量的方法
CN112374556B (zh) 一种污水异常排放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20040044748A (ko) 최적운전 시뮬레이션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하폐수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
CN114578008A (zh) 一种用于污水厂水质风险管理的决策支持系统及方法
CN202041828U (zh) 生物废水处理进水量非稳态变化模拟控制系统
CN109133209A (zh) 基于简单控制的污水处理智能调节系统
KR20030041652A (ko)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KR20020032787A (ko) 원격 수처리 시스템
WO2002066835A1 (fr) Procede de surveillance d'une pompe et pompe utilisant ce procede
JP2003245653A (ja) 処理装置の運転支援方法、水処理装置の運転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054990A (zh) 垃圾渗滤液处理专家控制系统及方法
CN205676212U (zh) 智能污水处理系统
CN115809749B (zh) 污水处理综合性在线预测模型的建立方法及预测预警方法
KR102265586B1 (ko) 지능형 학습시스템을 이용한 상하수도 통합감시 제어장치
JP4636191B2 (ja) 建物設備管理の分析装置
KR20050005827A (ko) 웹기반 원격무인 중소규모 하폐수처리장 시설감시 제어용수질측정 및 공정최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이결합된 일체형 통합시스템
JP2005182441A (ja) 建物設備管理の分析装置
CN112631221A (zh) 一种污水处理远程监控系统及其方法
JP2000197883A (ja) 複数貯水設備対応型の水質監視システム
KR200329215Y1 (ko) 웹기반 원격무인 중소규모 하폐수처리장 시설감시 제어용수질측정 및 공정최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이결합된 일체형 통합시스템
KR200298547Y1 (ko) 유수율 향상을 위한 블록유량구축시스템용 전용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