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650A - 벨트용 오토 텐셔너 - Google Patents

벨트용 오토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650A
KR20040044650A KR1020020072741A KR20020072741A KR20040044650A KR 20040044650 A KR20040044650 A KR 20040044650A KR 1020020072741 A KR1020020072741 A KR 1020020072741A KR 20020072741 A KR20020072741 A KR 20020072741A KR 20040044650 A KR20040044650 A KR 2004004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idle pulley
belt
hub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지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650A/ko
Publication of KR2004004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텐션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오토 텐셔너의 아이들 풀리가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구조 설계상 공간적 제약없이 설치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벨트용 오토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엔진 실린더 블럭의 일측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허브와, 그 허브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로드와, 그 상부로드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하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에어 실린더 본체와, 그 에어 실린더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연동되는 하부로드와, 그 하부로드에 축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아이들 풀리와, 그 상부로드와 에어 실린더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이들 풀리가 수직으로 승강되어 엔진에 장착되는 오토 텐셔너의 주위에 위치한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고 구조 설계상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벨트용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본 발명은 벨트용 오토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엔진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오토 텐셔너의 구조를 변경하여 아이들 풀리의 수직 승강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벨트용 오토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차륜을 회전시켜 전진이나 후진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대 장치들을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 바, 이와 같이 엔진의 구동력을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부대 장치로는 예컨대 알터네이터와, 워터 펌프, 에어컨의 컴프레서 및, 동력조향장치용 오일 펌프 등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부대 장치들은 통상 엔진의 구동력을 벨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알터네이터와, 워터펌프, 에어컨의 컴프레서 및, 동력조향장치용 오일펌프 등은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와 벨트를 매개로 연동되는 종동 풀리를 각기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래의 부대장치에서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이 장력 조절장치는 통상 벨트의 이동궤적상에 장착되어 벨트면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는 오토 텐셔너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벨트용 오토 텐셔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과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댐퍼가 수용되는 허브(10)와, 그 허브(1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허브(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운동되는 아이들 풀리(30)와, 그 아이들 풀리(30)와 허브(1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50)로 구성된다.
그외에도, 허브(10)의 외측에는 허브(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핀(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오토 텐셔너는 그 사용전에 벨트와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그 벨트(B)의 일부위를 아이들 풀리(30)의 외주연에 걸어서 연결하면, 아이들 풀리(30)의 회전시 허브(10) 내에 설치된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벨트(B)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오토 텐셔너는 벨트의 장력에 따라 아이들 풀리가 허브로부터 회전되면서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벨트의 장력변화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아이들 풀리가 허브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략 70~80°정도 각운동되는 구조적 특성상 그 아이들 풀리의 회전 공간내에는 간섭될 만한 구조물이 없어야 하는 공간적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엔진의 외측에는 많은 부속품이 장착되므로, 그 부속품이 아이들 풀리의 회전시 간섭될 수 있으므로, 아이들 풀리의 위치를 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간적인 제약없이 오토 텐셔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면서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벨트용 오토 텐셔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용 오토 텐셔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아이들 풀리에 벨트가 걸리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아이들 풀리에 벨트 장착후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 벨트용 오토 텐셔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 벨트용 오토 텐셔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허브15 : 볼트
22 : 상부로드24 : 하부로드
25 : 에어 실린더 본체30 : 아이들 풀리
40 : 스프링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일측에 볼트로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하부에 마련되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하부에 상,하로 승강되도록 축 결합되고 엔진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회전가능하게 접촉되는 아이들 풀리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상하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아이들 풀리의 하강시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에어 실린더가 상기 허브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로드와, 상기 상부로드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에어 실린더 본체와, 상기 에어 실린더 본체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 풀리에 축 결합되는 하부로드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용 오토 텐셔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엔진 실린더 블럭의 일측에 볼트(15)로 고정 설치되는 허브(10)와, 그 허브(1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로드(22)와, 그 상부로드(22)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하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에어 실린더 본체(25)와, 그 에어 실린더 본체(25)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연동되는 하부로드(24)와, 그 하부로드(24)에 축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B)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아이들 풀리(30)와, 그 상부로드(22)와 에어 실린더 본체(25)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부재(3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에어 실린더는 봉형상의 상부로드(22)가 허브(10)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상부로드(22)의 외측에 감싸도록 결합되는 에어 실린더 본체(25)가 스프링부재(30)에 의해 상부로드(22)와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지지되며, 그 에어 실린더 본체(25)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하부로드(24)가 아이들 풀리(30)와 축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로드(22)는 볼트(15)에 의해 허브(10)에 고정 설치되고, 그 외주면과 에어 실린더 본체(25)의 외주면에는 각각 띠형상의 지지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부재(30)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아이들 풀리(30)는 하부로드(24)에 의해 에어 실린더 본체(25)와 일체화되어 같이 승강되며 하부로드(24)에 축 결합되어 벨트(B)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스프링부재(30)는 압축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들 풀리(3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복원력을 갖도록 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P1"와 "P2"는 일반적인 벨트(B) 시스템에서의 구동, 종동풀리를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고, "12"는 허브(10)를 볼트(15)로 엔진측에 장착한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이들 풀리(30)에 벨트(B)가 접촉 지지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풀리(30)를 하측으로 당기면, 스프링부재(30)가 신장되면서 아이들 풀리(30)와 일체화된 에어 실린더 본체(25)가 하측으로 하강된다.
이어서, 에어 실린더 본체(25)는 그 하단부 일부가 내부에 수용된 상부로드(22)와 이탈되면서 하강되고, 이에 따라 일체화된 하부로드(24)도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허브(10)와 아이들 풀리(3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벨트(B)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한편, 그 벨트(B)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 아이들 풀리(30)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아이들 풀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벨트(B)에 적정 텐션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아이들 풀리(30)는 에어 실린더 본체(25)와 연동되어 수직 일직선상으로 상,하 승강되며, 이는 에어 실린더 본체(25)가 승강동작시 그 내부에 수용된 상부로드(22)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벨트(B)에 텐션력 변화가 발생되면, 그 변화가 아이들 풀리(30)에 전달되어 스프링부재(30)의 신장/수축력으로 승강 작용하게 되어 벨트(B)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벨트의 텐션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오토 텐셔너의 아이들 풀리가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구조 설계상 공간적 제약없이 설치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진에 장착되는 오토 텐셔너의 주위에 위치한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엔진의 일측에 볼트(15)로 고정되는 허브(10)와,
    상기 허브(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하부에 상,하로 승강되도록 축 결합되고 엔진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B)와 회전가능하게 접촉되는 아이들 풀리(30)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상하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아이들 풀리(30)의 하강시 상승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오토 텐셔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허브(10)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로드(22)와,
    상기 상부로드(22)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부재(3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에어 실린더 본체(25)와,
    상기 에어 실린더 본체(25)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 풀리(30)에 축 결합되는 하부로드(24)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오토 텐셔너.
KR1020020072741A 2002-11-21 2002-11-21 벨트용 오토 텐셔너 KR20040044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41A KR20040044650A (ko) 2002-11-21 2002-11-21 벨트용 오토 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41A KR20040044650A (ko) 2002-11-21 2002-11-21 벨트용 오토 텐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650A true KR20040044650A (ko) 2004-05-31

Family

ID=3734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41A KR20040044650A (ko) 2002-11-21 2002-11-21 벨트용 오토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20A (ko) * 2021-08-24 2023-03-06 이노6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4142A (ja) * 1986-05-21 1987-11-28 Honda Motor Co Ltd 油圧式オ−トテンシヨナ
KR970018601U (ko) * 1995-10-18 1997-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구동 벨트 장력 감지장치
KR970046311A (ko) * 1995-12-22 1997-07-26 배순훈 구동 벨트 텐션 조절 장치
KR19980028908U (ko) * 1996-11-26 1998-08-05 김종진 구동체인의 장력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4142A (ja) * 1986-05-21 1987-11-28 Honda Motor Co Ltd 油圧式オ−トテンシヨナ
KR970018601U (ko) * 1995-10-18 1997-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구동 벨트 장력 감지장치
KR970046311A (ko) * 1995-12-22 1997-07-26 배순훈 구동 벨트 텐션 조절 장치
KR19980028908U (ko) * 1996-11-26 1998-08-05 김종진 구동체인의 장력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20A (ko) * 2021-08-24 2023-03-06 이노6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3696C (en) Orbital tensioner
CA2983031C (en) Dual arm tensioner
US20050181901A1 (en) Double action belt tensioner
CA3036700C (en) Tensioner
KR20190006547A (ko) 로터리 텐셔너
JP2005509117A (ja) 有限行程直動式ベルトテンショナ
CA3082420C (en) Rotary tensioner
CN102022492A (zh) 具有带张紧器及同平面惰轮的发动机附件驱动装置
CA2330891A1 (en) Tensioning device for a flexible driving element
US20190120345A1 (en) Tensioning device
US20130008401A1 (en) Belt driven electric starter system
CA3084264C (en) Tensioner
KR102383227B1 (ko) 차량용 벨트 연결 구조
KR100992822B1 (ko) 가변 텐셔너
KR20040044650A (ko) 벨트용 오토 텐셔너
KR102406124B1 (ko) 차량용 텐셔너 장착구조
JP2007001442A (ja) エンジン補機の駆動装置
CN102252069A (zh) 一种高阻尼橡胶缓冲皮带张紧器
KR100326610B1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535108B1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KR200247720Y1 (ko) 자동차의스윙암구조
KR100312520B1 (ko) 차량용에어콘의압축기장착장치
KR20050062052A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의 결합구조
KR0165733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콤퓨레셔의 구동벨트 조정장치
KR20040033879A (ko) 차량용 오토 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