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104A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104A
KR20040042104A KR1020020070251A KR20020070251A KR20040042104A KR 20040042104 A KR20040042104 A KR 20040042104A KR 1020020070251 A KR1020020070251 A KR 1020020070251A KR 20020070251 A KR20020070251 A KR 20020070251A KR 20040042104 A KR20040042104 A KR 2004004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guide housing
camera lens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0434B1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434B1/ko
Priority to US10/339,465 priority patent/US7193653B2/en
Priority to CNB031031307A priority patent/CN100448246C/zh
Publication of KR2004004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힌지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축 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한 경통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일측으로 인출됨으로써, 단말기의 본체 또는 폴더에 의해 촬영 각도범위가 제한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인출된 상태에서는 촬영 방향의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REWITH}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의 형태로는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 플립 커버(flip cover)를 구비한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본체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폴더를 구비한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는 통화시 본체와 폴더가 펼쳐져 송수화부 간 거리확보가 용이하면서, 통화 종료 시에는 통화시의 절반 크기로 본체와 폴더가 접철되어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점차 단말기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상대방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는데, 예를 들어 이-메일(e-mail)이나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넷 게임, 문자 전송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CDMA 1x EVDO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면서 단말기 사용자간의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상에는 다양한 키 버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등이 추가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가 확대되면서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30)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폴더(102)를 구비하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30)가 상기 폴더(102)의 힌지 축(H)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본체(101)는 상면에 키패드(111)와 송화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키패드(111)는 각종 메뉴 호출 및 선택에 이용되는 기능 키들과 숫자 및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1)의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115)이 설치되어 상기 폴더(102)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폴더(102)는 상기 본체(101)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단말기 상태 정보 및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송수신 정보 등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폴더(102)의 하단에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상응하는 센터 힌지 암(125)이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은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102)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과 센터 힌지 암(125)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 힌지 축(H)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101)로부터 개폐되는 구성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30)는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115)의 위치는 상기 본체(101)의 중앙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그 단부에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30)가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30)는 상기 힌지 축(H) 상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 축(H)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본체에 의해 일정 부분이 지지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으로의 촬영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더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촬영의 범위가 더욱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즈 하우징을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각도범위가 확장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양단이 완전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실린더 형 제1 가이드 하우징; 양단이 완전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형 제2 가이드 하우징; 및 카메라 렌즈가 수용되고,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힌지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축 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한 경통구조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하우징이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3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10 : 제1 가이드 하우징
330 : 제2 가이드 하우징 350 : 렌즈 하우징
370 : 홀딩 플레이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단말기(200)의 측방향(A)으로 인입/인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는 본체(201), 폴더(202) 및 상기 본체(201)와 폴더(20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1)는 상면에 키패드(211)와 송화(213)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01)의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215)이 설치되어 상기 폴더(202)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폴더(202)는 상기 본체(201)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221)와 수화부(223)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202)의 하단에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215)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225)이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사이드 힌지 암(215)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202)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215)과 센터 힌지 암(225)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 힌지 축(H1)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201)로부터 개폐되는 구성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215)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215)의 위치는 상기 본체(201)의 중앙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그 단부에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가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상기 힌지 축(H1) 상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 축(H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상기 힌지 축(H1) 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제1 가이드 하우징(310), 제2 가이드 하우징(330), 렌즈 하우징(350) 및 홀딩 플레이트(370)를 구비한다.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단말기(200)의 일측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경통(body tube)구조가 적용된 것이다.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은, 양단이 개방단으로 형성된 원형 실린더 형으로 상기 본체(201)의 일측 사이드 힌지 암(215)에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 힌지 암(215)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홀(21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힌지 암(215)에는 카메라 렌즈(미도시)와 본체(201) 내에 수용된 메인보드(미도시)를 접속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391)를 통과시키는 슬릿(219)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217)과 상기 본체(201)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의 단부에는 상기 메인보드에 접속되는 커넥터(39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 일단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의 제1 스토퍼(311)가 돌출된다. 상기 제1 스토퍼(311)는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으로부터 인입/인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은 원형의 실린더 형이며, 일단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스토퍼(311)와 상응하는 제2 스토퍼(331)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으로부터의 인출 거리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은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가이드(335)가 연장되며,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쇄회로보호대(337)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35)와 보호대(337)는 일체형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며, 다만,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내주면에 위치되면 상기 렌즈 하우징(35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335)가 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일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면 가요성 인쇄회로(391)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타단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3 스토퍼(333)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350)은 카메라 렌즈(미도시)가 수용되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축(35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350)은 상기 카메라 렌즈의 노출용 창(359)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축(351)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축(351)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제3 스토퍼(333)에 상응하는 제4 스토퍼(35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하우징(350)의 인출 거리는 상기 제3 및 제4 스토퍼(333, 353)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4 스토퍼(353)에는 소정 부분이 함몰된 슬라이딩 홈(355)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355)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슬라이딩 가이드(335)에 상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350)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 내에서 인입/인출을 위한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회전운동은 제한된다.
한편, 상기 렌즈 하우징(350)에 수용된 카메라 렌즈와 본체(201) 내에 수용된 메인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391)가 상기 가이드 축(351)의 단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축(351)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가 지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홀딩 플레이트(370)는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기 홀딩 플레이트(370)는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폭만큼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절개하여, 이를 다시 절곡시킴으로써 홀더(371)와 개구(373)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373)와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375)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373)와 관통홀(375) 각각을 통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인쇄회로 보호대(337)가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는 상기 개구(373)를 통해 인출되어 단말기의 본체(201) 내의 메인보드에 접속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로서 상기 렌즈 하우징(350)의 가이드 축(351) 및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은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축(351) 및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 단부에 결합된 홀딩 플레이트(370)에 닿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351) 및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하우징(310, 330)의 다른 단부는 상기 렌즈 하우징(350)에 닿게 된다.
이때,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가 소정 위치에서 상기 홀딩 플레이트(370)의 홀더(371)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축(351) 및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이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371)는 상기 가이드 축(351)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는 굴곡을 이루며 일부분이 다시 상기 가이드 축(351) 내에 수용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 중 상기 가이드 축(351) 내에 수용되지 않은 일부분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으로부터 연장된 보호대(337)의 길이 이내에서 굴곡을 이루어 보호된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 보호대(337)는 상기 홀딩 플레이트(370)의 개구(373) 또는 관통홀(375)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이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홀딩 플레이트(37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의 렌즈 하우징(350)이 완전히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하우징(350)이 완전히 인출되면,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도 인출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350)이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스토퍼(311, 331, 333, 353)는 각각 인접한 다른 스토퍼에 상호 맞물리게 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310)의 제1 스토퍼(311)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제2 스토퍼(331)가 서로 맞물리고,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의 제3 스토퍼(333)와 상기 가이드 축(351)의 제4 스토퍼(353)가 서로 맞물리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하우징(310, 330)과 렌즈 하우징(350)의 인출 거리는 상기 제1 내지 제4 스토퍼(311, 331, 333, 353)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350)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350)으로부터 상기 홀더(371) 사이의 가요성 인쇄회로(391)는 일직선 상태로 펼쳐진다. 한편, 상기 렌즈 하우징(350)이 완전히 인출되는 순간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391)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350)과 홀더(371) 사이의 가요성 인쇄회로(391)는 일정정도의 여유 길이를 둘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하우징(350)이 인출되면, 상기 단말기 본체(201)의 측단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이 회전 가능하므로, 상기 렌즈 하우징(350)도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330)과 함께 회전하여 단말기 본체(201) 또는 폴더(202)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두 개의 가이드 하우징과 렌즈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가이드 축을 이용하여 인입/인출 가능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하였으나, 렌즈 하우징의 인출 거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결합위치,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가이드 하우징 또는 세 개 이상 다수의 가이드 하우징을 이용하여 인입/인출 가능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일측으로 인출됨으로써, 단말기의 본체 또는 폴더에 의해 촬영 각도범위가 제한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인출된 상태에서는 촬영 방향의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양단이 완전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실린더 형 제1 가이드 하우징;
    양단이 완전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형 제2 가이드 하우징; 및
    카메라 렌즈가 수용되고,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로부터 상기 가이드 축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가요성 인쇄회로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된 홀더를 구비하는 홀딩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홀더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이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되고,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와 상기 홀더 사이의 가요성 인쇄회로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을 이루고;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및 렌즈 하우징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굴곡이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인쇄회로 보호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이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되고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가이드 축 내로 삽입되며;
    상기 굴곡을 이룬 가요성 인쇄회로는 상기 가이드 축 내부 및 보호대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내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스토퍼;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퍼에 상응하는 제2 스토퍼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인출거리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타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내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제3 스토퍼;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따라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 스토퍼에 상응하는 제4 스토퍼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인출거리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에 상응하게 돌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힌지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축 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한 경통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양단이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 축 상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 축 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 형 가이드 하우징; 및
    카메라 렌즈가 수용되고,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축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양단이 완전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실린더 형 제1 가이드 하우징;
    양단이 개방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형 제2 가이드 하우징; 및
    카메라 렌즈가 수용되고,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사이드 힌지 암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은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로부터 상기 가이드 축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가요성 인쇄회로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된 홀더가 형성된 홀딩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홀더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소정 폭의 개구가 더 연장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가 상기 개구를 통해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무선 단말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이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되고,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와 상기 홀더 사이의 가요성 인쇄회로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곡을 이루고;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및 렌즈 하우징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굴곡이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인쇄회로 보호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이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되고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의 가이드 축이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가이드 축 내로 삽입되며;
    상기 굴곡을 이룬 가요성 인쇄회로는 상기 가이드 축 내부 및 상기 보호대사이에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일측의 상기 인쇄회로 보호대가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리브;
    상기 스토퍼 리브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홈에 상응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2002-0070251A 2002-11-13 2002-11-1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8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251A KR100480434B1 (ko) 2002-11-13 2002-11-1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10/339,465 US7193653B2 (en) 2002-11-13 2003-01-10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CNB031031307A CN100448246C (zh) 2002-11-13 2003-01-30 照相机镜头组件以及包括该组件的便携式无线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251A KR100480434B1 (ko) 2002-11-13 2002-11-1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104A true KR20040042104A (ko) 2004-05-20
KR100480434B1 KR100480434B1 (ko) 2005-04-07

Family

ID=3309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251A KR100480434B1 (ko) 2002-11-13 2002-11-1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93653B2 (ko)
KR (1) KR100480434B1 (ko)
CN (1) CN10044824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90B1 (ko) * 2004-04-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8002B2 (ja) * 2003-02-24 2007-12-05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US7369178B2 (en) * 2003-06-05 2008-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ATE422782T1 (de) * 2003-07-04 2009-02-15 Lg Electronics Inc Drehbare kamera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557084B1 (ko) * 2003-08-2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WM241908U (en) * 2003-09-09 2004-08-21 High Tech Comp Corp Rotatable image catching device
KR100575746B1 (ko) * 2003-10-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591821B1 (ko) * 2003-12-10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 폴더형 휴대폰
FR2865977B1 (fr) * 2004-02-09 2006-06-02 Sonceboz Sa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e phares
KR100617688B1 (ko) * 2004-05-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63553B1 (ko) * 2004-06-1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92449B1 (ko) * 2004-06-16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1114210B1 (ko) * 2004-07-29 2012-03-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US7440783B2 (en) * 2004-08-17 2008-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604323B1 (ko) * 2004-08-28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FI20050106A (fi) * 2005-01-31 2006-08-01 Elcoteq Se Matkaviestinlaite
KR100677475B1 (ko) * 2005-07-1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에프피시비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750733B1 (ko) * 2006-03-2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US7677815B2 (en) * 2006-10-10 2010-03-16 Microsoft Corporation Photographic device with retractable lens
US10218942B2 (en) 2017-04-08 2019-02-26 Lenovo (Singapore) Pte. Ltd. Positionable camera
US10101777B1 (en) * 2017-04-08 2018-10-16 Lenovo (Singapore) Pte. Ltd. Retractable camera
US10863135B2 (en) * 2017-07-12 2020-12-08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tegrated multi-angle camera
JP7323283B2 (ja) * 2018-11-30 2023-08-08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JP7269718B2 (ja) * 2018-11-30 2023-05-09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US11347074B2 (en) * 2018-11-30 2022-05-31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having shake correction function
US11300802B2 (en) * 2018-11-30 2022-04-12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CN109873886B (zh) * 2019-03-06 2020-07-28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终端设备
JP7376279B2 (ja) * 2019-08-19 2023-11-08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47522B2 (ja) * 2020-02-07 2024-03-12 ニデック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JP7447523B2 (ja) * 2020-02-07 2024-03-12 ニデック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US20230224563A1 (en) * 2022-01-07 2023-07-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DE29510170U1 (de) * 1995-06-22 1995-11-30 Siemens Ag Stiftorientierter Kleinrechner in Notizblockform
JPH1075287A (ja) * 1996-08-30 1998-03-1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US5801919A (en) * 1997-04-04 1998-09-01 Gateway 2000, Inc. Adjustably mounted camera assembly for portable computers
JPH11205761A (ja) * 1998-01-14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機能付携帯電話装置
AU696473B3 (en) * 1998-03-19 1998-09-10 Umax Data Systems Inc. Extended adjusting mechanism for the lens set of an imaging system
GB2358538B (en) * 1999-11-24 2003-11-0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JP2001245266A (ja) * 2000-02-25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488425B1 (ko) *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40001432A (ko) * 2002-06-28 2004-01-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472898B1 (ko) * 2002-10-19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90B1 (ko) * 2004-04-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0434B1 (ko) 2005-04-07
US7193653B2 (en) 2007-03-20
CN100448246C (zh) 2008-12-31
CN1501666A (zh) 2004-06-02
US20040198433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43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EP1578113B1 (en) Camera lens module pop-up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6704586B2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JP4454677B2 (ja) 携帯端末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100630139B1 (ko)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40005410A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39919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265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89433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557084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472898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790089B1 (ko)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28550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76021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13480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4278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70219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50024009A (ko) 휴대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