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021B1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021B1
KR100576021B1 KR1020040027294A KR20040027294A KR100576021B1 KR 100576021 B1 KR100576021 B1 KR 100576021B1 KR 1020040027294 A KR1020040027294 A KR 1020040027294A KR 20040027294 A KR20040027294 A KR 20040027294A KR 100576021 B1 KR100576021 B1 KR 10057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exible circuit
stopper
guide
le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021A (ko
Inventor
이상욱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2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75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 A24D3/0287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for composi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키게 채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말기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되며,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렌즈 하우징과,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스토퍼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연성회로를 가이드 하거나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는 연성회로 가이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 모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이물질에 대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에 구비된 연성회로를 가이드 하는 연성회로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인출시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에 따라서 연성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렌즈 하우징, 카메라 렌즈 모듈, 스토퍼 하우징, 연성회로 가이드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POP UP APPARATUS OF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PHONE }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를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장착하여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키게 채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 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화상통화를 위하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피사체 촬영을 위해서는 공지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휴대용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져야 한다. 상기 공지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카메라 렌즈와, 씨씨디 소자와 소자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물로 구성된다.
상기한 카메라 렌즈 모듈이 폴더형 단말기에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폴더형 단말기는 다수의 키(11)들 및 마이크 장치(12)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0)과, 엘씨디 모듈(21)과 스피커 장치(22)가 구비된 폴더(2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폴더(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0)는 본체 하우징(10)이나 폴더(20) 및 힌지 장치(30)의 어느 한곳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된다.
바형이나 플립형 단말기도 카메라 렌즈 모듈이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또한 노트북이나 PDA에도 동일한 구조로 카메라 렌즈 모듈이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영상 통화, 피사체 촬영 등을 위하여 채용되는 렌즈 하우징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카메라 렌즈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항시 카메라 렌즈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짐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별도의 보호 장치 없이는 보호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를 회전시킬 경우 렌즈 하우징을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시키고자 할때 자유롭지 못 할뿐만 아니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연성회로가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시 주변 부품에 접촉되어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키게 채용하고, 인출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키게 채용하여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 모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이물질에 대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에 구비된 연성회로를 가이드 하는 연성회로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인출시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에 따른 연성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말기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되며,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렌즈 하우징;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스토퍼 하우징; 및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연성회로를 가이드 하거나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는 연성회로 가이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이 구성요소 중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 내지 도 10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100)는 렌즈 하우징(200)과, 스토퍼 하우징(300)과, 연성회로 가이드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렌즈 하우징(2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측에 카메라 렌즈 모듈(40)을 수용하며, 상기 단말기의 힌지 장치(30)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되며,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40)의 회전축(A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은 그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상기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인입/인출시키거나 멈추게 하며, 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의 힌지 장치(30)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에서 인입/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200)에 구비된 연성회로(201)를 가이드 하거나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200)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성회로(20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 실린더(2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2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201)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에 형성된 개구(202c)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내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를 통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내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골곡되어 진다.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에서 인출시 골곡되어진 상기 연성회로(201)가 펼쳐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는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302)에 걸려 단계적으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0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202a)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원주 둘레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202a)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원주 둘레에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인출시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걸림턱(302)에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202a)를 순차적으로 걸리게 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인출을 단계적으로 멈추게 하거나 인출시 거리를 제한하도록 걸이부(20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202b)는 환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인입/인출시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이동공간(3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걸림돌기(202a)와 접촉되어 단계적으로 인입/인출시키거나 상기 걸이부(202b)에 걸리도록 걸림턱(3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단말기의 힌지 장치(30)내에 형성된 고정돌기(31)와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을 상기 힌지 장치(30)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홈(3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바(40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홀(402)과, 인출홀(40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바(401)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개구(202c)내로 결합 및 이탈시 상기 연성회로(201)를 골곡지게 하거나 펼쳐질 수 있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바(401)는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홀(402)은 상기 렌즈 하우징(200)이 인입/인출시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가이드 플레이트(203)와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홀(403)은 상기 연성회로(201)를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에서 인 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홀(40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이 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정,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캠(4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404)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단말기의 힌지 장치(30)에 형성된 돌기(32)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홈(40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폴더형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체 하우징(10)과, 폴더(20)와, 힌지 장치(30)와, 상기 힌지 장치(30)내에 상기 렌즈 하우징(200)이 구비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힌지 장치(30)내에는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스토퍼 하우징(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힌지 장치(30)내에 형성된 고정돌기(31)와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을 상기 힌지 장치(30)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홈(30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돌기(31)에 상기 고정홈(303)을 결합하여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을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에 형성된 이동공간(301)에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가이드 실린더(202)를 끼워 결합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20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3)에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402)과 결합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연성회로(201)를 구비하고, 상기 연성회로(201)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를 지나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인출홀(403)을 통해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에서 인출된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연성회로(201)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에 형성된 개구(202c)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내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 의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내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골곡되어 진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인출시 골곡되어진 상기 연성회로(201)가 펼쳐진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개구(202c)내로 이탈되어 상기 연성회로(201)를 펼쳐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401)가 상기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바(401)가 개구(202c)에서 이탈되어 골곡되어진 상기 연성회로(201)를 펼치도록 가이드 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는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이동공간(301)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에는 상기 실린더(202)의 원주 둘레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0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202a)와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302)이 접촉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02a)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원주둘레에 상기 실린더(202)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선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이 일단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인출을 멈추게하거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걸이부(20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가이드 실린더(202)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에서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걸이부(202b)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걸림턱(302)에 걸려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한다.
이때, 도 8 및 도 10과 같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가이드 플레이트(203)는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의 슬라이딩 홀(402)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상기 렌즈 모듈(40)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0)이 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캠(40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캠(404)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201)의 뒤틀임 없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정, 역회전시킨다.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회전캠(404)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힌지 장치(30)내에 형성된 돌기(32)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홈(404a)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9과 같이, 상기 렌즈 하우징(200)을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내로 인입시킬 경우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의 걸림턱(302)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걸림돌기(202a)를 단계적으로 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300)내로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개구(202c)에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가이드 바(401)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바(401)는 상기 연성회로(201)를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내에서 골곡되도록 가이드 한다.
이때,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202)의 가이드 플레이트(203)가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400)의 슬라이딩 홀(402)내로 삽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렌즈 모듈을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키게 채용하고, 인출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하고,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 모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이물질에 대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에 구비된 연성회로를 가이드 하는 연성회로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인출시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에 따른 연성회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말기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되며,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렌즈 하우징;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스토퍼 하우징; 및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에서 인입/인출시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연성회로를 가이드 하거나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는 연성회로 가이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렌즈 하우징내측에 카메라 렌즈 모듈을 수용하고, 상기 렌즈 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하우징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내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실린더내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골곡되어 지며,
    상기 가이드 실린더가 상기 스토퍼 하우징에서 인출시 골곡되어진 상기 연성회로가 펼쳐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의 원주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단계적으로 인입/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는 상기 실린더의 원주 둘레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선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인출시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걸림턱이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를 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인출을 멈추게 하거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걸이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환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을 인입/인출시 상기 가이드 실린더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걸림돌기 및 걸이부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하우징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단말기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결 합되어 상기 스토퍼 하우징을 단말기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개구내로 결합 및 이탈시 상기 연성회로를 골곡지게 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와,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이 인입/인출시 상기 실린더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홀과,
    상기 슬라이딩 홀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회로를 상기 스토퍼 하우징에서 인출시키는 인출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 가이드부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이 인출시 렌즈 하우징을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캠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20040027294A 2004-04-20 2004-04-2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57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294A KR100576021B1 (ko) 2004-04-20 2004-04-2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294A KR100576021B1 (ko) 2004-04-20 2004-04-2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21A KR20050102021A (ko) 2005-10-25
KR100576021B1 true KR100576021B1 (ko) 2006-05-02

Family

ID=3728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294A KR100576021B1 (ko) 2004-04-20 2004-04-2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0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21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43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578113B1 (en) Camera lens module pop-up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75999B1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4234379B2 (ja) 折り畳み型端末機のヒンジ装置および折り畳み型端末機
EP142293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JP2004235687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079015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5265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2823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KR100576021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663501B1 (ko)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100442689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810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20050103348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703266B1 (ko)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KR100516562B1 (ko) 조명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51513B1 (ko)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KR20040105531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46784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플립형 휴대전화기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857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식 카메라 정지장치
KR100594025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개폐장치
KR20050024009A (ko) 휴대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