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614A - 진동형 척추 서포트 - Google Patents

진동형 척추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614A
KR20040041614A KR10-2004-7003760A KR20047003760A KR20040041614A KR 20040041614 A KR20040041614 A KR 20040041614A KR 20047003760 A KR20047003760 A KR 20047003760A KR 20040041614 A KR20040041614 A KR 2004004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support
vibrating
mount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921B1 (ko
Inventor
넬슨존
코슈브레이놀드
Original Assignee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filed Critical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4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형 척추 서포트는 진동을 전자기 방식 펄스 진동기로부터 진동 플레이트, 가이드 로드, 아칭 가압면을 통한 다음,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진동부는 진동을 푸시 패들형 척추 서포트 또는 파형 와이어형 척추 서포트를 통해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형 척추 서포트 {VIBRATING LUMBAR SUPPORT}
시트 사용자, 특히 자동차 승객의 안락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콤포넌트의 시장이 점차 커지고 복잡해가고 있다. 시트 내 제한된 공간에 설치가능한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인체 공학 장치는 척추 서포트와 같은 자세 서포트 메커니즘, 마사지기 및 진동기와 같은 장시간 시트에 앉아있는 불편함을 개선시키는 메커니즘, 및 온도 조절관까지도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공간을 절약하고, 재료, 포장 및 조립 원가를 절감하며, 자동차, 보트, 항공기, 사무용 가구, 물리 요법 장비 등을 제조하는 업자에게 시트에 대한 광범위한 관련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맞춤형 척추 서포트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는 아칭 가압 플레이트, 아칭 푸시 패들, 아칭 가압 바스켓, 아칭 리브, 공압 블래더(pneumatic bladder), 또는 형상가능한 파형 와이어와 같은 여러 가지 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체로, 상기 군 각각은 기계적 수단, 일반적으로 보덴 케이블(bowden cable), 전기 모터, 또는 전기 에어 펌프에 의하여 작동된다. 아칭 가압 플레이트는 가압 또는 견인에 의하여 아치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맞춤형 척추 서포트를 설치하는 방법은 시트 프레임 또는 백 플레이트에 직접 고정하거나, 척추 서포트 가이드 로드를 시트 프레임에 부착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시트 쿠션 후측의 와이어 매트 상에 클램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맞춤형 척추 서포트는 상하 이동은 물론, 인 앤드 아웃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여러 가지 구조로 된 서포트가 독자적으로나 또는 결합되어 여러 군데의 신체 부분을 지지하도록 제조되었다.
진동기는 잘 알려져 있으며, 전자석, 에어 펄스 또는 편심 웨이트를 가진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시트에 결합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진동기의 플레이트가 시트 사용자와 면하는 쿠션과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장치를 고정된 와이어 매트(정적 척추 서포트)에 간단하게 클램핑된다.
마사지 메커니즘은 시트에 설치된 맞춤형 척추 서포트 내에 통합되고, 여러 가지 척추 서포트 구조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메커니즘는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크다. 상기 메커니즘은 대형이며 값비싼 고급 자동차에 유용한 것으로서 비용이 문제가 되는 소형 모델용은 아니다. 척추 서포트 메커니즘는 소형으로 값이 비싸지 않게 제조될 수 있지만, 이들 메커니즘은 승객의 마음에 들게 조정된 후에는 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맞춤가능한 자세 서포트와 결합되고 위치 상의 불편함이 개선된 경제적이며 소형인 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 장치는 정적 척추 서포트와 완전한 척추 마사지 옵션 사이에 새로운 중간층 제품을 시트 제조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척추 서포트, 및 척추 서포트를 진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형 척추 서포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형 척추 서포트의 후면도이다.
도 3은 전자기형 진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8은 패들형 척추 서포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패들형 척추 서포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파형 와이어형 척추 서포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파형 와이어형 척추 서포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와이어 그리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와이어 그리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진동기 하우징에 의하여 가리워지지 않은, 본 발명의 진동형 척추 서포트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진동기 하우징에 의하여 가리워지지 않은, 본 발명의 진동형 척추 서포트의 후면도이다.
도 16은 진동기 하우징에 의하여 가리워지지 않은, 본 발명의 진동형 척추 서포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맞춤가능한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을 두 개의 수직 가이드 로드 사이에 배치하여 아칭 척추 서포트와 협동하도록 특정의 치수로 만든다. 아칭 가압면이 상측 및 하측 슬라이딩 연결부에서 이들 로드를 따라 슬라이드한다. 아칭 형상은 견인 장치, 즉 보덴 케이블을 승객이 조정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일단 조정되면, 가압면은 다시 조정될 때까지 선택된 형상으로 유지된다.
진동부는 볼트로 함께 편평하게 조여질 수 있는 두 개의 인접하는 플레이트를 진동시킨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 사이에 가이드 로드를 끼워넣음으로써 진동 손실을 보존하고 시트 사용자에게 힘의 대부분을 전달하는 콤팩트한 방식으로 진동기를 장착한다. 진동은 전자석에서 발생하여, 진동 플레이트를 통과하고, 가이드 로드를 통과하며, 아칭 가압면을 통과한 다음, 시트 쿠션을 통과하여 승객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은 장착, 진동 작용, 진동 전달을 위한 균등한 실시예 및 진동하도록 제조될 수 있는 척추 서포트 장치를 다양하게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물론,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동일 부재에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가이드 로드(2)(제2 로드는 제1 로드 후측에 가려져 있음)는 자신의 최상측 말단 및 최하측 말단에서 시트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견고하게 부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가이드 로드(2)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웹 또는 와이어 네트워크인 와이어 매트에 부착되거나, 또는 백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2)는 레일(rail), 바(bar), 잘 구부려지지 않는 와이어(stiff wire) 또는 다른 종류의 얇은 강성 부재(rigid element)일 수 있다.
약간 아치형으로 만곡된 위치로 도시된 아칭 가압면(4)이 가이드 로드(2)를 상측 부재(6) 및 하측 부재(8)에 연동시킨다. 이들 연동 아이(engaging eye) 4개 모두가 가이드 로드(2)를 따라 슬라이드하거나, 또는 상측쪽 한 쌍의 아이 혹은 하측쪽 한 쌍의 아이가 대향하는 쌍의 아이는 고정된 상태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슬라이딩하는 연동 아이는 접합부가 원하지 않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만큼 견고한 접합부 내에서 가이드 로드(2)와 밀착되어 협동한다. 상기 슬라이딩 연동으로 인하여 아치형으로 만곡되는 힘이 가해질 때 가압면이 아치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견인 와이어(10)는 (12)로 표기된 위치의 가압면 상측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견인 와이어(10)는 (14)로 표기된 위치의 가압면 하측 부재에 견고하게 부착된 보덴 케이블 도관(18)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견인력은 스프링(16)에 의하여 조정된다. 견인력은 보덴 케이블 대향 말단(도시되지 않음)에서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견인력이 와이어(10)를 도관(18) 내로 끌어당김으로써 고정된 견인 와이어 장착부(12)가 고정된 도관 장착부(14)를 향하여 끌어당겨지게 되어 가압면이 아치형으로 만곡된다. 보덴 케이블 상의 견인력이 느슨해졌을 때, 자신의 편평한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가압면 고유의 바이어스가 아치를 축소시킨다.
진동기는 하우징(26)에 내장된다. 진동 플레이트(20, 22)는 가이드 로드(2)를 진동 플레이트 사이에 클램프한다. 상기 고정 부착품은 너트 및 볼트(24), 또는 임의의 상응하는 고정구에 의하여 지지된다. 진동기는 화살표(A)로 표기된 축을 따라 진동하여, 진동 플레이트(22, 20)를 진동시킨다. 진동은 가이드 로드(2)를 통해 가압면(4)으로, 그리고 가압면으로부터 시트 사용자에게로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후면도이다. 도 1에 표기된 부재 외에, 복수의 리브(30)로 도시된 가압면의 바람직한 리브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리브(30)는 가압면(4)에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한 조각의 금속을 스탬핑하여 가압면과 일체로 조립된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은 견인 와이어, 아치형으로 만곡된 가압면, 및 이들의 작동 연결부의 다른 구조가 각각 도시된 정면도, 후면도, 및 측면도이다. 진동기, 진동 플레이트 및 진동 하우징은 구성품의 묘사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면에서 모두 생략되었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다양한 구성품 구조가 각종의 시트 구조, 구성품 어셈블리 요구물 등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여전히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전자기 진동기의 단면도이다. 하우징(26)은 진동기의 기능 부재가 노출되도록 제거되었다. 전자석(40)은 U자 형상으로 된 금속 진동 이니시에이터(initiator)(42) 상에 장착된다. 전자석(40)은 전자 컨트롤(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활성화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이신사에서 제조된 진동기는 1 Hz ~ 125 Hz의 진동 범위로 사용된다. 전류가 인가될 때, 무거운 자석(40)이 갭(44)을 가로질러 진동 이니시에이터 반대쪽 말단(42a)으로 끌어 당겨져서 상기 말단에 부딪치게 되어, 가이드 로드(2)를 거쳐 승객에게 진동이 전달된다. 컨트롤 세팅에 따라서, 전류가 릴리스되고 다음 차례의 진동 사이클이 일어나도록 진동 이니시에이터 형상의 고유의 바이어스가 갭(44)을 재설정하는 위치로 전자석(40)을 복귀시킨다.
동작 시, 시트 사용자는 가압면을 원하는 아칭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수평으로 0 ~ 50 밀리미터의 범위로 설정한다. 다음에, 시트 사용자는 진동기를 켜고 상기 범위를 원하는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진동기 전자석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말단(42a)에서 진동 이니시에이터를 치고, 진동이 가이드 로드(2), 가압면(4) 및 시트 쿠션을 통해 승객에게 전달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견인 와이어, 케이블, 로드 등이 다양하게 상응하는 구조로 척추 서포트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구조는 견인 와이어를 레버 암(50)에 부착시키고 레버 암을 두 개의 이격된 견인로드 또는 와이어(52)에 부착시켜 가압면 상하측 부재(6, 8) 사이의 연결이 완성된것이다. 다른 상응하는 구조는 보덴 케이블을 두 갈래로 나누고 두 개의 평행인 견인 와이어를 가이드 와이어(2)와 평행으로 및 가이드 와이어에 근접한 상태로 척추 서포트의 횡방향 에지를 따라 배열한 것이다. 상기 구조 각각은 척추 서포트 어셈블리 내에 중간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면의 후면에 직접 부착된 진동기(54)의 운동을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진동기(5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기 구조이거나, 또는 편심 웨이트를 갖는 모터와 같은 기계적 수단, 다른 모터 수단, 에어 펄스 시스템 혹은 임의의 다른 표준 진동기일 수 있다. 하우징은 진동기가 견인 로드(52)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경우 완전하게 둘러싸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진동기는 사전에 형성된 슬롯 등에 삽입하기 위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볼트, 리벳, 용접, 로킹 탭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된 수단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하여 아칭 가압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아치의 정점이 여러 위치에 놓이도록 가압면 어셈블리 전체를 가이드 로드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승객이 서포트를 원하는대로 맞출수 있는 아칭 가압면 유형의 척추 서포트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가이드 로드 상에 장착된다. 플레이트(62)는 가압면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데 사용되는 제2 보덴 케이블(64)용의 고정 메커니즘이다. 플레이트(62)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제2 보덴 케이블 도관(66)은 (68)에서 플레이트(62)에 고정된다. 제2 보덴 케이블 와이어(70)는 이동식브래킷(72)을 통하여 가압면(4)에 고정된다. 브래킷은 가압면의 하측부에 고정된다. 제2 보덴 케이블(64)을 조임으로써 브래킷(72)이 당겨지고, 가압면(4)은 그 형상이 변경되지 않고 상측방향으로 향한다. 스프링(74)은 제2 보덴 와이어(64)가 느슨해질 때 이동하는 브래킷(72) 상으로 다시 끌어 당겨지게 되어 가압면이 원래의 위치로 끌어 당겨진다. 가이드 로드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62)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전체 가압면 어셈블리는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수직 이동은 기계적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4방향"(인 앤드 아웃, 업 앤드 다운) 구조로 인하여 진동기가 앵커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내측 진동 플레이트(20)에 추가로 되거나 또는 내측 진동 플레이트 대신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조작은 전술한 "2방향" 척추 서포트의 조작과 대등하다.
도 7은 이동식 브래킷(72) 및 다른 구성품이 명료하게 도시되도록 진동부가 생략된 "4방향"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진동부(26)는 장착 구멍(76)에서 앵커 플레이트(62)에 고정된다.
도 6은 진동부가 부착된 본 발명의 전체 구조가 도시된 "4방향"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진동부(26)는 진동 플레이트(22)를 사이에 끼워 앵커 플레이트(62)에 볼트(24)로 고정된다. 이로써 진동이 진동부(26)로부터 진동 플레이트(22), 앵커 플레이트(62), 가이드 로드(2), 및 가압면(4)을 통해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진동이 가압면에 직접 전달되도록 진동 플레이트로부터 가압면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아칭 가압면의 후면에 가장 근접한 진동 플레이트에 부가하는 것이다. 연장부는 승객이 선택한 아치 각도에 상관없이 가압면과 연장부의 말단을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싱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척추 서포트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푸시 패들형 척추 서포트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장착 서포트(100)는 후면 플레이트 또는 로드 어셈블리일 수 있다. 하우징(102)은 장착 서포트(10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하우징(102)은 척추 서포트 패들(104)의 대응하는 아칭 슬라이딩 말단을 포위하는 아칭 채널을 포함한다. 패들(104)은 포위된 말단과 대향하는 말단에서 척추 서포트면 내로 확장된다. 밀착 협동 시, 패들이 채널의 커브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하우징 내에서의 패들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패들이 승객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패들의 움직임은 견인 케이블(106) 또는 다른 균등한 수단에 의하여 작동된다. 보덴 케이블에 의하여 견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덴 케이블 도관(110)은 브래킷(108)에서 장착 서포트(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진동기(112)는 볼트(114)를 사용하여 장착 서포트(10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진동기 플레이트(116)는 장착 서포트(100), 하우징(102) 또는 양자 모두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진동기의 동작은 장착 서포트(100), 하우징(102) 및 패들(104)을 통하여 승객에게 진동을 전달한다.
아칭 가압면 유형의 척추 서포트에서와 같이, 패들형 서포트도 그들의 척추 지지면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또한 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후면플레이트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가이드 로드 또는 다른 장착 지지 구성품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은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 및 패들의 전체 어셈블리가 상승 및 하강하여 패들의 척추 지지부가 승객이 선택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견인 메커니즘에 부착된다.
제3 유형의 척추 서포트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와이어를 통해 승객의 척추 등뼈에 압박을 가한다. 와이어는 시트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견고하게 부착된 외주 장착 케이블(140)에 횡방향으로 가해진 견인에 의하여 승객쪽으로 아칭을 이룬다. 보덴 케이블과 같은 다수의 공지된 수단 중 임의의 하나의 수단에 의하여 또한 작동되는 견인 와이어는 파형 척추 서포트 와이어 어태치먼트나 또는 상기 어태치먼트에 근접하여 외주 와이어에 후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견인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보덴 케이블(142)을 사용한다. 보덴 케이블 도관(144)은 장착 브래킷(148)의 말단(146)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가요성의 반 강성 파형 케이블(150)은 양쪽 말단에서 두 개의 장착 브래킷(148) 각각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보덴 케이블 와이어(152)는 다른 다른 장착 브래킷으로 연장되어 (154)에 고정된다. 장착 브래킷(148)은, 예를 들면, 케이블(140)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레버로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들 레버 상의 견인력이 브래킷을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파형 와이어(150)를 시트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시킨다.
진동기(26)는 상기 파형 와이어(150)에 직접 부착된다. 또한 진동기 하우징(26)은 진동 플레이트(20, 22)에 볼트로 고정된다. 파형 와이어(150)는 진동 플레이트(20, 22) 사이에 끼워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섬유재 매트(156)를 파형 와이어(150)와 진동 플레이트(20, 22) 사이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진동 플레이트(20, 22) 사이에 또한 끼워 넣을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선택 사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기는 한 쌍의 진동 플레이트를 이들 플레이트를 포위하고 있는 와이어에 클램핑함으로써 파형 와이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진동기는 외측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움직이고 와이어는 아칭으로 만곡된다. 진동은 파형 와이어에 직접 인가된 다음 승객에게 인가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다른 유형의 척추 서포트는 일반적으로 견인력을 사용하여 시트 사용자를 향하여 구부려질 수 있는 아칭으로 만곡가능한 가압면을 형성하도록 와이어 어셈블리를 사용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아칭으로 만곡가능한 가압면은 로드, 강성 와이어, 강성 케이블, 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 다른 균등한 재료 등의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경계 부재(border element)(208)로 이루어진다. 이들 경계 부재(208)는 중간의 횡방향 위치에 대체로 수직 정렬된 상태로 배열된다. 이들 경계 부재(208)는 복수의 횡방향 와이어 부재(206)용 장착 플랫폼으로 작용하고, 이로써 와이어 그리드가 형성된다. 경계 부재(208)가 아치 내로 구부러질 때, 상기 경계 부재는 횡방향 와이어(206)를 경계 부재와 함께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진다.
경계 부재(208)의 상측 및 하측의 최말단에 인가된 수축 압력은 상측 브래킷(202) 및 하측 브래킷(204)을 거쳐 인가된다. 이들 장착 브래킷(202, 204)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착 브래킷(202, 204)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2)에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강성인 가이드 레일(2)은 브래킷(202, 20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수직으로 배치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경계 부재(208)와 장착 브래킷(202, 204)의 접합부(214, 216)는 피벗되거나 또는 구부러져서 압박력이 브래킷(202, 204)에 의하여 경계 부재(208)에 인가될 때 외측방향으로 아치를 그리는 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202, 204)은 보덴 케이블(218)과 함께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 보덴 케이블 도관(220)은 삼각형의 상측 브래킷(202)의 중간 정점(212)에 고정된다. (210)에 견고하게 부착된 보덴 케이블 와이어(222)가 도관으로부터 삼각형 하측 장착 브래킷(204)의 대응하는 중간 정점으로 연장된다. 물론, 가능한 대안으로서 도관 및 보덴 케이블을 대향하는 브래킷 상에 반대로 장착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진동 플레이트(20, 22)(도 12에는 진동 플레이트(22)는 도시되지 않음)는 진동기(26)(도시되지 않음)를 중앙에 위치된 다수의 횡방향 와이어(206)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보덴 케이블 와이어(222)의 진동기 하우징(26) 상에서의 이동은 가이드(224)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가이드는 롤러, 그루브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측 및 하측 브래킷(202, 204)은 원뿔대 삼각형, 이중 피크형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두 개의 보덴 케이블이나 갈라진 보덴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브래킷 상의 횡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되며 진동 하우징(26)의 양쪽 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이격된 두 개의 보텐 케이블 도관 고정 메커니즘(212)이 제공될 수 있다. 갈라진 보덴 케이블 와이어는 다른 브래킷(204) 상에 또한 배치된 횡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있는 한 쌍의 고정 메커니즘(210)까지 진동 하우징(26) 둘레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착 브래킷(202, 204)은 진동기가 아칭으로 만곡가능한 횡방향 와이어 그리드와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는 모든 지점에서 진동기 하우징(26)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짧게 제조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와이어는 진동기 하우징 상의 가이드(224)로 안내된다. 장착 브래킷은 그들의 접합부나 상기 접합부에 근접하여 피벗 또는 힌지되고, 경계 부재(208) 및 가이드 와이어(2)는 예를 들면 접합부(214, 216)나 상기 접합부에 근접하여 피벗 또는 힌지되도록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 브래킷은 진동기 하우징(26)이 횡방향 와이어 그리드가 편평한 경우 가장 멀리 떨어진 후측방향에 도달할 때 진동기 하우징(26)이 필요로 하는 공간을 수용하도록 시트 사용자로부터 멀리 후측방향으로 피벗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 진동기 - 척추 서포트 콤비네이션, 또는 대안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어 펄스 시스템 및 편심 웨이트 모터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진동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장점이 성취 및 달성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 및 이의 실질적인 응용의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당업자가 최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개시된 것으로서, 특정 용도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실시예 및 변형예로 구현될 수 있다.
여러 가지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 및 예시된 구조 및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내용은 한정적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으로 예를 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이들 청구범위에 상응하는 범위에 따라 정의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40)

  1.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를 갖는 아칭 가압면,
    아칭 액추에이터, 및
    진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시트 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되기에 적합한 상측 말단 및 하측 말단을 가지며,
    상기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동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아칭 가압면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됨으로써, 상기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다른 하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칭 가압면이 아치형으로 만곡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진동기는 작동 시에 진동이 상기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아칭 가압면을 거쳐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가이드 로드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전자기 방식으로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편심 웨이트(eccentric weight) 및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에어 펄스 시스템(air pulse system)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아칭 가압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칭 가압면은 와이어 그리드(wire grid)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칭 메커니즘은 견인 메커니즘(traction mechanism)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칭 메커니즘은 가압 메커니즘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10. 제1항에 있어서,
    연장부(extensio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진동기 및 상기 가압면 중 하나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진동기 및 상기 가압면 중 다른 하나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이어스됨으로써 상기 진동기 및 상기 가압면을 진동 동작 시 협동하게 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에 견고하게 부착된 장착 플레이트, 및
    엘리베이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아칭 가압면이 상승 및 하강하도록 상기 아칭 가압면과 연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전자기 방식으로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편심 웨이트 및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에어 펄스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견인 메커니즘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보덴 케이블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보덴 케이블 도관이 부착되고, 상기 가압면에 보덴 케이블의 와이어가 부착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8.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장착 서포트,
    상기 장착 서포트에 부착된 하우징,
    가압면 말단 및 슬라이딩 말단을 갖는 패들(paddle),
    상기 패들의 상기 슬라이딩 말단에 부착된 견인 메커니즘, 및
    시트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 서포트,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패들을 통하여 진동이 전달되도록 상기 장착 서포트에 견고하게 부착된 진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메일 아치형 부재(male arcuate member)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아치형 채널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말단은, 상기 아치형 채널과 긴밀하게 협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말단의 이동이 상기 패들을 수평으로 및 수직으로 동시에 연장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아치형 채널에 의하여 수용되기에 적합한 상기 메일 아치형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상기 패들의 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상기 장착 서포트에 고정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부착된 하우징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패들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패들이 상승 및 하강되도록 상기 장착 서포트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서포트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인 진동형 척추 서포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전자기 방식으로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편심 웨이트 및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에어 펄스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
  24.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seat)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를 갖는 아칭 가압면,
    아칭 액추에이터, 및
    진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는 상기 시트 프레임에 부착된 상측 말단 및 하측 말단을 가지며,
    상기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동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아칭 가압면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됨으로써, 상기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 중 다른 하나쪽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하여 상기 아칭 가압면이 아치형으로 만곡되며,
    상기 진동기는 상기 가이드 로드 및 상기 아칭 가압면을 거쳐 진동이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가이드 로드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전자기 방식으로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편심 웨이트 및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에어 펄스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아칭 가압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동되는 장착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 엘리베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아칭 가압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장착 엘리베이터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 및 상기 부착된 가압면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아칭 가압면은 와이어 그리드인 시트.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아칭 액추에이터는 보덴 케이블인 시트.
  32.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케이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케이블에 부착된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
    두 개의 말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형 와이어(sinuous wire),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을 함께 견인하여 상기 파형 와이어를 아치형으로 만곡시키도록 상기 장착 브래킷 각각에 장착된 견인 케이블,
    진동기, 및
    진동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말단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 중 하나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파형 와이어는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진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부터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상기 아치형으로 만곡 시 상기 진동기 및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파형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진동기 및 상기 파형 와이어에 부착되는
    시트용 척추 서포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블은 가요성을 갖는, 시트용 척추 서포트.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블은 강성(rigid)인, 시트용 척추 서포트.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케이블은 보덴 케이블이고,
    상기 보덴 케이블은 말단을 갖는 도관, 및 말단을 갖는 케이블을 가지며,
    상기 도관 말단은 상기 장착 브래킷 중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도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관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케이블 말단은 상기 장착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케이블은 상기 장착 브래킷을 함께 견인하도록 상기 장착 브래킷 각각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 견인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말단은 레버와 동작가능하게 연동되고,
    상기 레버는 또한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보덴 케이블을 거쳐 인가된 견인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형 와이어를 시트 사용자쪽으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장착 브래킷 중 하나와 동작가능하게 연동되는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말단은 레버와 동작가능하게 연동되고,
    상기 레버는 또한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보덴 케이블을 거쳐 인가된 견인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형 와이어를 시트 사용자쪽으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장착 브래킷 중 하나와 동작가능하게 연동되는
    시트용 진동형 척추 서포트.
  39.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부착된 장착 서포트,
    상기 장착 서포트에 부착된 하우징,
    가압면 말단 및 슬라이딩 말단을 갖는 패들,
    상기 패들의 상기 슬라이딩 말단에 부착된 견인 메커니즘, 및
    상기 장착 서포트,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패들을 통해 진동이 시트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장착 서포트에 부착된 진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메일 아칭 부재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아치형 채널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말단은, 상기 아치형 채널과 긴밀하게 협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말단의 이동이 상기 패들을 수평으로 및 수직으로 동시에 연장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아치형 채널에 의하여 수용되기에 적합한 상기 메일 아치형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상기 패들의 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상기 장착 서포트에 고정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40.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케이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케이블에 부착된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
    두 개의 말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형 와이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을 견인하여 상기 파형 와이어가 아치형으로 만곡되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에 장착된 견인 케이블,
    진동기, 및
    진동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브래킷 중 하나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파형 와이어는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진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부터 시트 사용자에게 진동이 전달되며 상기 아치형으로 만곡 시 상기 진동기 및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파형 와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진동기 및 상기 파형 와이어에 부착되는
    진동형 척추 서포트를 구비한 시트.
KR1020047003760A 2001-09-14 2002-09-11 진동형 척추 서포트 KR100644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52,961 2001-09-14
US09/952,961 US6918884B2 (en) 2001-09-14 2001-09-14 Vibrating lumbar suppport
PCT/US2002/028841 WO2003024278A1 (en) 2001-09-14 2002-09-11 Vibrating lumbar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614A true KR20040041614A (ko) 2004-05-17
KR100644921B1 KR100644921B1 (ko) 2006-11-10

Family

ID=2549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760A KR100644921B1 (ko) 2001-09-14 2002-09-11 진동형 척추 서포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8884B2 (ko)
JP (1) JP4057525B2 (ko)
KR (1) KR100644921B1 (ko)
CN (1) CN100508831C (ko)
DE (1) DE10297209T5 (ko)
WO (1) WO20030242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70B1 (ko) * 2007-05-29 2008-06-19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용 보강판
KR101398321B1 (ko) * 2013-10-02 2014-05-23 홍천유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가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5849A1 (de) * 2003-06-06 2005-01-05 Schukra Gerätebau AG Mehrweg-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Sitzkomponente
DE202004002569U1 (de) * 2004-02-19 2005-07-07 Schwarzbich, Jörg Lordosenstütze
US20060178603A1 (en) * 2004-10-21 2006-08-10 Popescu Horatiu M Lumbar adjustable support integrated with massage system
US7309105B2 (en) * 2006-01-09 2007-12-18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Lift wire lumbar
US7300106B2 (en) * 2006-03-30 2007-11-27 Schukra Of North America, Ltd. Trim foam lumbar
US7311681B1 (en) 2006-06-12 2007-12-25 Christalla Vaccarella Motor vehicle massage seat
US7997650B2 (en) 2008-02-22 2011-08-16 Schukra Of North America Constant pressure retreating lumbar system
JP5570776B2 (ja) * 2009-09-24 2014-08-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P2476343B1 (en) * 2009-11-16 2013-09-18 Schukra Gerätebau GmbH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US20110230803A1 (en) * 2010-03-17 2011-09-22 Morris Aboody Triangular Handle Support Vibration Machine
JP5903301B2 (ja) 2012-03-15 2016-04-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10107410B2 (en) 2013-03-06 2018-10-23 Kongsberg Automotive Ab Fluid routing device having a shape memory alloy member
JP6239850B2 (ja) * 2013-04-25 2017-11-2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WO2015086089A1 (en) 2013-12-13 2015-06-18 Kongsberg Automotive Ab Sma valve for controlling pressurized air supply to an air cell in a vehicle seat
DE112013007678T5 (de) * 2013-12-13 2016-09-15 Kongsberg Automotive Ab SMA-Ventil zur Steuerung von Druckluftzufuhr zu einer Luftzelle in einem Fahrzeugsitz
WO2015185132A1 (en) 2014-06-04 2015-12-10 Kongsberg Automotive Ab Sma valve for controlling pressurized air supply to an air cell in a vehicle seat
CN104706513B (zh) * 2015-03-25 2017-06-27 浙江川洋家私有限公司 一种带茶几的多功能电动按摩椅
AU2016287487B2 (en) * 2015-06-29 2020-11-26 MillerKnoll, Inc Attachment structure for suspension seating
CN105857136A (zh) * 2016-04-25 2016-08-17 昆山邦泰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u形扶手
CN106377389A (zh) * 2016-10-28 2017-02-08 孙广汉 腰椎舒展器
US10251487B2 (en) * 2016-11-01 2019-04-09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thoracic support mechanism
US10513211B2 (en) * 2017-12-21 2019-1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aptic device with waveguide and seat assembly having the same
CN109044723A (zh) * 2018-06-29 2018-12-21 泰山医学院 一种腰痛运动康复训练装置
CN109998854B (zh) * 2019-03-04 2022-03-11 财团法人亚洲大学 坐式腰椎牵引及椎间盘按摩设备
US11369203B2 (en) * 2020-02-10 2022-06-28 X-Chair, LLC Chair assemblies, systems, and apparatuses having integrated technologies, and related methods
CN111631548B (zh) * 2020-04-27 2023-04-25 乔路翔 一种腰部支撑椅
FR3113873B1 (fr) * 2020-09-10 2023-04-2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Nappe de suspension pour siège de véhicule à support de guidage de câbles électriques
US11974678B2 (en) * 2021-07-19 2024-05-07 Pierre Heroux Cushioned furniture restoration kit
KR20240059141A (ko) *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마시지 기능을 가지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1578A (en) 1958-04-17 1960-01-19 Guilford Lounge Inc Therapeutic apparatus of the chair type, and the like
US3405709A (en) 1966-04-11 1968-10-15 Niagara Therapy Mfg Corp Reciprocating gyratory massage assembly
US3446204A (en) 1967-01-20 1969-05-27 Frank M Murphy Vibratory massager with traveling action
JPS57113137U (ko) * 1980-12-27 1982-07-13
US4544867A (en) 1983-04-04 1985-10-01 Jones Jr John O Vibrator for furniture
JPS6214884U (ko) * 1985-07-11 1987-01-29
JPS6294161A (ja) * 1985-10-18 1987-04-30 白木金属工業株式会社 バイブレ−タ
JPS62238142A (ja) 1986-04-08 1987-10-19 Ikeda Bussan Co Ltd 車輌搭載装置用集中コントロ−ル装置
US5140977A (en) * 1986-08-18 1992-08-25 Raffel Product Development Mounting for vibrating motor
US4880271A (en) * 1987-12-28 1989-11-14 Wickes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lumbar support
JPH0354741Y2 (ko) * 1987-12-28 1991-12-04
JPH01159746U (ko) * 1988-04-26 1989-11-06
US5197780A (en) * 1991-02-20 1993-03-30 Fisher Dynamics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cable control of lumbar support mechanism
US5217278A (en) * 1991-03-13 1993-06-08 Findlay Industries, Inc. Mechanism for providing adjustable lumbar support in a seat
US5330416A (en) 1991-05-28 1994-07-19 France Bed Co., Ltd. Rolling massage apparatus with vibratory support
JP2578214Y2 (ja) * 1992-04-08 1998-08-06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バイブレータの支持構造
DE4220995A1 (de) * 1992-06-26 1994-01-27 Ameu Management Corp Luxembour Wölb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Rückenlehnen von Sitzen
DE4232679C1 (de) * 1992-09-29 1994-02-03 Ameu Management Corp Luxembour Rückenlehne eines Sitzes mit einer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elastisches Wölbelement zur Verstellung der Wölbung der Rückenlehne
US5518294A (en) 1993-04-05 1996-05-21 Ligon Brothers Manufacturing Company Variable apex back support
DE4314325C2 (de) * 1993-04-30 1995-02-16 Ameu Management Corp Vorrichtung für die Höhenverstellung und/oder Wölbungsverstellung eines biegeelastischen Stützelementes einer Rückenlehne eines Sitzes
DE4320105C1 (de) * 1993-06-17 1994-10-13 Ameu Management Corp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biegeelastisches Stützelement einer Rückenlehne
DE19505445A1 (de) 1995-02-17 1996-08-22 Himolla Hierl Gmbh C Massagevorrichtung
US6227618B1 (en) * 1996-02-23 2001-05-08 Schukra Usa, Inc. Cable attachment for a lumbar support
US5713832A (en) * 1996-04-23 1998-02-03 Product Development Consulting Inc. Massaging furniture with electric vibration device and eccentric rotor
CA2181776A1 (en) * 1996-07-22 1998-01-23 Christopher Cosentino Shape-adjusting mechanism for backrest
JPH10272033A (ja) * 1997-03-31 1998-10-1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US5911477A (en) * 1997-05-29 1999-06-15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JPH11123123A (ja) * 1997-10-23 1999-05-11 Marutaka Co Ltd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シートのフットレスト構造
CN2328259Y (zh) * 1998-06-23 1999-07-14 浙江安吉大康家具有限公司 带有振动器的座椅
US6682494B1 (en) * 1999-08-17 2004-01-27 Inseat Solutions, Llc Massaging system having isolated vibrators
US6758522B2 (en) * 2001-03-29 2004-07-0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varying coefficients of friction in a variable apex back sup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770B1 (ko) * 2007-05-29 2008-06-19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용 보강판
KR101398321B1 (ko) * 2013-10-02 2014-05-23 홍천유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가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18884B2 (en) 2005-07-19
JP4057525B2 (ja) 2008-03-05
JP2005502413A (ja) 2005-01-27
CN100508831C (zh) 2009-07-08
US20030055364A1 (en) 2003-03-20
CN1585611A (zh) 2005-02-23
KR100644921B1 (ko) 2006-11-10
DE10297209T5 (de) 2004-09-09
WO2003024278A1 (en) 200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921B1 (ko) 진동형 척추 서포트
US6908153B2 (en) Power lumbar support cable apparatus and method
KR100632209B1 (ko) 척추 지지체의 마사지 장치 및 방법
EP0618774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at arrangements providing adjustable lumbar support
US6357826B1 (en) Height adjustable spine support
US66920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able adjustment of an ergonomic support
KR100852740B1 (ko) 가위형 인체공학적 지지체용 방법 및 장치
US5911477A (en)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US7201446B2 (en) Integrated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trim attachment system
US5050930A (en) Lordosis-support backrest for a vehicle seat
EP1491395A2 (en) Backrest support structure with pressure map adjustment
CA2394041C (en) A seat for automobiles or the like
JP4242348B2 (ja) 二方向ケーブル調節による人間工学的支持装置および方法
EP0808746A2 (en) Lumbar supporting member for a motor-vehicle seat backrest
KR100795330B1 (ko) 럼버서포트 지지구조
JP2001029181A (ja) 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